KR102507202B1 -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202B1
KR102507202B1 KR1020220101893A KR20220101893A KR102507202B1 KR 102507202 B1 KR102507202 B1 KR 102507202B1 KR 1020220101893 A KR1020220101893 A KR 1020220101893A KR 20220101893 A KR20220101893 A KR 20220101893A KR 102507202 B1 KR102507202 B1 KR 10250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ylinder
tank
ga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투엠 filed Critical (주)에스투엠
Priority to KR102022010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8Measur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level, volume, 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more than on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에 사용되는 가스 배출용 안전밸브에 있어서, 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가스의 압력에 따라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고, 가스의 배출 상태를 확인하고 가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SAFETY VALVE OF OIL TRANSPORT TANK LORRY}
아래 실시예들은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에 사용되는 가스 배출용 안전밸브에 있어서, 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가스의 압력에 따라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고, 가스의 배출 상태를 확인하고 가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탱크로리는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개발된 차량으로, 가연성, 휘발성 유체 등을 운반하는 경우 기화된 가스들로 인해 탱크 내부의 압력이 과하게 높아져 폭발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탱크로리에는 가스배출을 위한 안전밸브들이 설치되고 있다.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안전밸브가 개방되는 순간에는, 우천 시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안전밸브가 선행실용신안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 기술의 안전밸브들은 다양한 유체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단 구조로 확장할 수는 없었으며, 배출되는 가스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 등을 필터링하거나 가스의 배출여부 확인 기능, 가스의 압력 확인 기능 등은 구비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KR 20-0195743 Y KR 20-0185604 Y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안전밸브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가스의 압력에 따라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고, 가스의 배출 상태를 확인하고 가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일측에 연결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수용되며, 탱크의 내외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제1디스크; 상기 제1디스크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디스크를 가압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제1디스크가 개방되도록 기능하는 제1스프링;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프링을 수용하여 상기 제1스프링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캡; 및 상기 제1실린더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캡 및 제1분사노즐의 구조에 의해 탱크 내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캡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중앙통공; 상기 제1디스크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제1중앙통공을 관통하는 중앙막대; 상기 제1중앙통공을 개폐 가능하도록 중앙막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디스크; 상기 제2디스크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2디스크를 가압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제2디스크가 개방되도록 기능하는 제2스프링; 상기 제1캡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스프링을 수용하여 상기 제2스프링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캡;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소정의 제1압력범위에서 상기 제1디스크가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범위보다 높은 압력인 제2압력범위에서 상기 제2디스크도 개방되어, 압력 범위에 따른 가스 배출량의 다단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캡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중앙통공; 상기 제1캡 및 제2캡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3실린더; 상기 제3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캡; 상기 제3실린더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3분사노즐; 상기 제3캡의 상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 상기 제3실린더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 및 상기 제1디스크의 개방으로 인해 중앙막대가 상부로 이동했을 때, 중앙막대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3캡의 상부에 배치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1디스크의 개방 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소정의 물을 분사하여 가스 내부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3실린더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4실린더; 상기 제4실린더의 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제3실린더의 접선 방향에 대해 소정의 예각을 가지고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4분사노즐; 및 상기 제4실린더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가스가 배출될 때 외부로부터 가스의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4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배출식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량계는: 상기 플랜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유량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게이지는: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와 연통되고,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로들을 가지는 하부 게이지; 상기 하부 게이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들과 연통되고, 상기 하부 게이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유량변화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게이지; 상기 하부 게이지와 상기 상부 게이지 사이에 압입되어 상기 하부 게이지에서 상기 상부 게이지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 필터; 및 상기 하부 게이지에 수용되어 상기 디스크 필터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하부 게이지로 유입되어 상기 디스크 필터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관형의 튜브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로리의 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가스의 배출 유량을 다단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스 압력이 과도하게 높을 때에 빠른 시간 내에 정상 범위까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의 배출 상태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가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3실시예에 따른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4실시예에 따른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의 일부분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제5실시예에 따른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의 유량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탱크(T)의 일측에 연결되는 플랜지(F); 상기 플랜지(F)의 내측에 수용되며, 탱크(T)의 내외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제1디스크(11); 상기 제1디스크(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디스크(11)를 가압하여 탱크(T)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제1디스크(11)가 개방되도록 기능하는 제1스프링(12); 상기 플랜지(F)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프링(12)을 수용하여 상기 제1스프링(12)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실린더(13); 상기 제1실린더(13)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캡(14); 및 상기 제1실린더(13)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11)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T)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131);을 포함하여, 상기 제1캡(14) 및 제1분사노즐(131)의 구조에 의해 탱크(T) 내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F)는 볼트, 스크류 등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탱크로리의 탱크(T) 외측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F)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탱크(T)와의 연결지점으로부터 탱크(T)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크(11)는 평소에는 하단에 밀착하여 탱크(T)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며, 탱크(T)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상기 제1스프링(12)이 압축되면 개방되어 개방된 틈새를 통해 탱크(T)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1스프링(12)은 탈착/교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탱크로리에 저장되는 유체의 종류가 변경될 때 설계변수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12)의 상단은 제1실린더(13)에 고정되며, 하단은 제1디스크(11)에 고정되고, 제1디스크(11)의 이동에 따라 하단이 상하로 이동하며 제1스프링(12)이 압축/인장된다.
상기 제1캡(14)은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빗물 등이 제1실린더(13)로 인접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F), 제1실린더(13) 및 제1캡(14)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지(F), 제1실린더(13), 제1캡(14) 및 제1스프링(12)이 서로 탈착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제n실린더, 제n캡 및 제n스프링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캡(14)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중앙통공(141); 상기 제1디스크(11)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제1중앙통공(141)을 관통하는 중앙막대(111); 상기 제1중앙통공(141)을 개폐 가능하도록 중앙막대(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디스크(112); 상기 제2디스크(112)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2디스크(112)를 가압하여 탱크(T)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제2디스크(112)가 개방되도록 기능하는 제2스프링(21); 상기 제1캡(14)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스프링(21)을 수용하여 상기 제2스프링(21)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실린더(22); 상기 제2실린더(22)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캡(23); 및 상기 제2실린더(22)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디스크(112)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T)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2분사노즐(221);을 포함하여, 소정의 제1압력범위에서 상기 제1디스크(11)가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범위보다 높은 압력인 제2압력범위에서 상기 제2디스크(112)도 개방되어, 압력 범위에 따른 가스 배출량의 다단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스의 압력(탱크(T)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일 때에는 제1디스크(11)가 폐쇄되어 가스의 배출이 중단되고, 가스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할 때(제1압력범위)에는 제1디스크(11)가 개방되어 가스가 'a' 유량만큼 배출되고, 가스의 압력이 더 높아져 소정의 압력을 초과할 때(제2압력범위)에는 제2디스크(112)도 개방되어 가스가 'a + b' 유량만큼 배출될 수 있다(a 및 b는 소정의 상수).
탱크로리가 위치한 어느 한 공간 내에 가스가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유량을 제어하면서도, 가스의 압력이 과도한 경우에는 유량을 더 크게 배출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제1디스크(11), 제1스프링(12), 제1실린더(13), 제1캡(14) 및 제1분사노즐(131)을 포함하는 구성을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2디스크(112), 제2스프링(21), 제2실린더(22), 제2캡(23) 및 제2분사노즐(221)의 구성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캡(14)은 제1중앙통공(141)이 있는 것과 없는 것, 제1디스크(11)는 중앙막대(111)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1디스크(11)와 중앙막대(111) 및 제2디스크(112)가 서로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크(11), 중앙막대(111) 및 제2디스크(112)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캡(23)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중앙통공(231); 상기 제1캡(14) 및 제2캡(23)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3실린더(31); 상기 제3실린더(31)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캡(32); 상기 제3실린더(31)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탱크(T)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3분사노즐(311); 상기 제3캡(32)의 상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33); 상기 제3실린더(31)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미도시); 및 상기 제1디스크(11)의 개방으로 인해 중앙막대(111)가 상부로 이동했을 때, 중앙막대(111)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3캡(32)의 상부에 배치되는 작동스위치(34);를 포함하여, 상기 제1디스크(11)의 개방 시 탱크(T)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소정의 물을 분사하여 가스 내부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어느 실린더와 어느 캡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서, 분사된 물과 접촉한 가스는 순간적으로 냉각 및 용해되어 상기 물배출구를 통해 소정의 배출수탱크(T)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노즐(33)은 제1디스크(11)의 이동에 따라 On/Off되는 작동스위치(34)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스가 배출되는 동안에만 물이 분사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제2디스크(112), 제2스프링(21), 제2실린더(22), 제2캡(23) 및 제2분사노즐(221)을 포함하는 구성을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3실린더(31), 제3캡(32) 및 제3분사노즐(311)의 구성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실린더(31)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3실린더(3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4실린더(41); 상기 제4실린더(41)의 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탱크(T)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제3실린더(31)의 접선 방향에 대해 소정의 예각을 가지고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4분사노즐(411); 및 상기 제4실린더(41)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가스가 배출될 때 외부로부터 가스의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4실린더(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배출식별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분사노즐(311)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제4실린더(41)의 내측과 제3실린더(31)의 외측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다가 제4분사노즐(411)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되는 힘의 반작용에 따라 제4실린더(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4실린더(41)의 회전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제4분사노즐(411)은 제3분사노즐(311)보다 더 많은 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분사노즐(311)이 제3실린더(31)의 둘레를 따라 4개 배치되어 있었던 경우, 제4분사노즐(411)은 제4실린더(41)의 둘레를 따라 8개 내지 10개 가량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식별구(412)는 제4실린더(41)의 외주면으로부터 신장되어, 식별 가능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전밸브를 관찰하여 배출식별구(412)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면서 가스가 배출되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F)에 연결되는 유량계(5);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량계(5)는: 상기 플랜지(F)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F)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유량게이지(51);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게이지(51)는: 상기 플랜지(F)에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F)와 연통되고,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로들을 가지는 하부 게이지(52); 상기 하부 게이지(5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들과 연통되고, 상기 하부 게이지(5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유량변화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게이지(53); 상기 하부 게이지(52)와 상기 상부 게이지(53) 사이에 압입되어 상기 하부 게이지(52)에서 상기 상부 게이지(53)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 필터(54); 및 상기 하부 게이지(52)에 수용되어 상기 디스크 필터(54)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하부 게이지(52)로 유입되어 상기 디스크 필터(54)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관형의 튜브 필터(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랜지(F)는 탱크(T)의 측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밸브를 적용하기 위하여 플랜지(F)가 'ㄴ'형태로 곡관(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신장됨)될 수 있다. 상기 유량계(5)는 절곡되기 전 수평한 방향의 플랜지(F)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안전밸브를 적용시키기 위한 플랜지(F)와는 별도의 플랜지(F)를 탱크(T)에 추가로 체결하고, 안전밸브와 유량계(5)를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F) 1의 방향(수직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전밸브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F) 2의 방향(수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량계(5)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게이지(52)는 플랜지(F)에 결합되어 플랜지(F)와 연통되고, 유체가 유출입되는 유로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유로들은 플랜지(F)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부 게이지(53) 측으로 흐르는 유입로와, 상부 게이지(53)에서 배출된 유체가 플랜지(F) 측으로 흐르는 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게이지(53)는 하부 게이지(52)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로들과 연통되고, 하부 게이지(5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유량변화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부 게이지(53)는 상부 게이지(53)는 유량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게이지관과, 게이지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체에 의해 부유되는 플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필터(5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게이지(52)와 상부 게이지(53) 사이에 압입되어 하부 게이지(52)에서 상부 게이지(53)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 필터(54)는 다수의 매쉬를 갖거나, 다수의 홀들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크 필터(54)는 하부 게이지(52)와 상부 게이지(53) 사이에 압입되므로, 유체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고, 이에 하부 게이지(52)와 상부 게이지(53)가 완전히 차폐되므로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측정 게이지는 관형의 튜브 필터(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형의 튜브 필터(55)는 하부 게이지(52)에 수용되어 디스크 필터(54)에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하부 게이지(52)로 유입되어 디스크 필터(54)로 유동되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 : 탱크
F : 플랜지
11 : 제1디스크
111 : 중앙막대
112 : 제2디스크
12 : 제1스프링
13 : 제1실린더
131 : 제1분사노즐
14 : 제1캡
141 : 제1중앙통공
21 : 제2스프링
22 : 제2실린더
221 : 제2분사노즐
23 : 제2캡
231 : 제2중앙통공
31 : 제3실린더
311 : 제3분사노즐
32 : 제3캡
33 : 물분사노즐
34 : 작동스위치
41 : 제4실린더
411 : 제4분사노즐
412 : 배출식별구
5 : 유량계
51 : 유량게이지
52 : 하부 게이지
53 : 상부 게이지
54 : 디스크 필터
55 : 튜브 필터

Claims (3)

  1.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일측에 연결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수용되며, 탱크의 내외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제1디스크;
    상기 제1디스크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디스크를 가압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제1디스크가 개방되도록 기능하는 제1스프링;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프링을 수용하여 상기 제1스프링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캡; 및
    상기 제1실린더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캡 및 제1분사노즐의 구조에 의해 탱크 내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제1캡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중앙통공;
    상기 제1디스크의 상단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제1중앙통공을 관통하는 중앙막대;
    상기 제1중앙통공을 개폐 가능하도록 중앙막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디스크;
    상기 제2디스크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2디스크를 가압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제2디스크가 개방되도록 기능하는 제2스프링;
    상기 제1캡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스프링을 수용하여 상기 제2스프링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캡;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소정의 제1압력범위에서 상기 제1디스크가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범위보다 높은 압력인 제2압력범위에서 상기 제2디스크도 개방되어, 압력 범위에 따른 가스 배출량의 다단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2캡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2중앙통공;
    상기 제1캡 및 제2캡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3실린더;
    상기 제3실린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정의 고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캡;
    상기 제3실린더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가스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하향 분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3분사노즐;
    상기 제3캡의 상부에 배치되어 소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
    상기 제3실린더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구; 및
    상기 제1디스크의 개방으로 인해 중앙막대가 상부로 이동했을 때, 중앙막대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3캡의 상부에 배치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1디스크의 개방 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소정의 물을 분사하여 가스 내부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1893A 2022-08-16 2022-08-16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KR10250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93A KR102507202B1 (ko) 2022-08-16 2022-08-16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93A KR102507202B1 (ko) 2022-08-16 2022-08-16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202B1 true KR102507202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893A KR102507202B1 (ko) 2022-08-16 2022-08-16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2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596A (ja) * 1994-02-11 1997-05-06 メルセデス−ベンツ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多段調整弁
KR200185604Y1 (ko) 2000-01-07 2000-06-15 신희섭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
KR200195743Y1 (ko) 2000-04-04 2000-09-15 신희섭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596A (ja) * 1994-02-11 1997-05-06 メルセデス−ベンツ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多段調整弁
KR200185604Y1 (ko) 2000-01-07 2000-06-15 신희섭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
KR200195743Y1 (ko) 2000-04-04 2000-09-15 신희섭 탱크로리의 안전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8649B1 (en) Pressurised fluid cylinders
KR101356344B1 (ko) 탱크 매니폴드 조립체
CA1163895A (en) Filler valve for a liquefied gas tank
CN103711961B (zh) 带有双引导调节器的先导型泄压阀
US9791054B2 (en) Isolatable non-slam piston check valve
RU265750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080015739A (ko) 가스 실린더 디스펜싱 밸브
US20230075356A1 (en) Device for storing compressed gas, vehicle
DE19917431C2 (de) Ventilarmatur für einen Druckbehälter
US8739825B2 (en) Device for burst pipe safety
CN105636705A (zh) 用于分配系统的喷嘴
JP2013190084A (ja) 空気弁
US8360101B2 (en) Arrangement of a filling and filtering device in a valve body
KR102507202B1 (ko) 유류 운반용 탱크로리의 안전밸브
WO2015074803A1 (de) Abfüllventil für flüssigkeiten
KR101918213B1 (ko) 노즐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EP2128043A2 (de) Ventil für einen Druckgasbehälter
JPS6097236A (ja) 弁構体
KR101061244B1 (ko) 안전 방출 밸브
CA1097183A (en) Steam and fuel oil control and purge valve
US5456445A (en) Cylinder gas valve
DE3507263A1 (de) Unter behaelterdruck austauschbares sicherheitsventil
TWM586101U (zh) 具有飲料瓶自密封和co漏氣保護裝置的氣泡水產生機
EP2999914A2 (en) A pressured fluid container
DE3618018A1 (de) Direktwirkendes sicherheitsve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