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57B1 - 마킹 펜 - Google Patents

마킹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57B1
KR102507057B1 KR1020210062194A KR20210062194A KR102507057B1 KR 102507057 B1 KR102507057 B1 KR 102507057B1 KR 1020210062194 A KR1020210062194 A KR 1020210062194A KR 20210062194 A KR20210062194 A KR 20210062194A KR 102507057 B1 KR102507057 B1 KR 10250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arking
elastic member
main bod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528A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102021006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57B1/ko
Priority to PCT/KR2022/006944 priority patent/WO2022240263A1/ko
Publication of KR2022015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킹 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OMR 카드의 해당 마킹영역에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마킹을 수행할 수 있는 마킹 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킹 펜{Marking pen}
본 발명은 마킹 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OMR 카드의 정답 영역에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마킹을 수행할 수 있는 마킹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익, 각종 자격시험 또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객관식시험에는 통상 4지선다형 또는 5지선다형 문제의 해답을 OMR카드의 해당번호에 마킹하고, 마킹된 해당 OMR카드를 컴퓨터를 통해력 해독하여 자동으로 채점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종래 OMR카드의 해당번호에 마킹하는데 통상 컴퓨터용 사인펜이 사용되고 있으며, 수험자가 사인펜의 몸체부를 파지하고, 사인펜 외부로 돌출된 마킹부를 OMR카드의 선택한 해당번호에 곧바로 접촉시켜 마킹하였다.
종래에 사용되는 OMR 카드용 사인펜은 일반 필기구처럼 필기심의 끝이 뾰쪽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해당번호의 기입란을 작성하기 위해 사인펜으로 색칠을 하듯이 여러 번 왕복하며 움직여서 표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수험자의 아까운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시험에만 집중하여야 하는 수험자의 집중력을 분산시키고, 초조한 가운데 이뤄지는 시험의 경우 긴장으로 인해 기입란을 벗어나서 작성하게 되면 오답처리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불안함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OMR 카드의 정답 영역에 마킹을 진행할 수 있는 마킹 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킹 위치를 1차로 결정한 후, 해당 마킹 위치를 확인하면서 해당 마킹영역에 신속하게 마킹을 진행할 수 있는 마킹 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킹부가 마킹 위치를 결정하는 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마킹 위치를 결정한 이후에 해당 마킹영역에 정확히 마킹을 진행할 수 있는 마킹 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립부를 갖는 본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본체 내에 위치하며, 카드의 정답 표시 영역 내 소정의 제1 영역에 접촉시킬 수 있는 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본체에 대하여 핀의 전진 및 후퇴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핀 지지부;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착홀을 갖고, 핀이 접촉된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카드 상의 정답 표시 영역을 접촉 마킹하도록 마련된 마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핀은 마킹부를 관통하여 본체 외부로 노출되고, 탄성부재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핀은 장착홀을 따라 마킹부 내로 삽입되는 마킹 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정답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핀은 마킹부의 중앙부 또는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핀 지지부는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본체 내에 고정된 홀더; 및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압축 및 압축 해제에 따라 상기 홀더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홀더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홀더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마킹 펜에 따르면, 마킹 위치를 1차로 결정한 후, 해당 마킹 위치를 확인하면서 정답 영역에 신속하게 마킹을 진행할 수 있고, 마킹부가 마킹 위치를 결정하는 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마킹 위치를 결정한 이후에 정답 영역에 정확히 마킹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펜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펜으로 OMR 카드를 마킹하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킹 펜의 일부 영역을 절개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마킹 펜의 핀 지지부 및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펜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펜으로 OMR 카드를 마킹하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마킹 펜(100)은, 답안지 카드(10, 이하, '카드'라 약칭함), 예를 들어, OMR 카드에 답을 마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킹 펜(100)은 본체(110), 핀(120), 핀 지지부(130) 및 마킹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킹 펜(100)은 그립부(111)를 갖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단일의 일체형 몸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 마킹부(140) 및 핀 지지부(13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부를 가질 수 있다. 본체(110)는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립부(111)는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잘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표면 처리(돌기, 홈부 등)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마킹 펜(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본체(110) 내에 위치하며, 카드(10)의 소정의 제1 영역(121)에 접촉시킬 수 있는 핀(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121)은 카드(10) 상에 마련된 정답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소정의 영역으로서 마킹부(140)로 마킹을 진행하기 이전에 정답 표시 영역(141) 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하고, 제1 영역(121)은 마킹부(140)로 마킹이 이루어질 정답 표시 영역(141)보다 면적이 작은 영역이다.
한편, 핀(120)은 마킹부(140)의 마킹 영역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카드(10)에 접촉하는 핀(120)의 선단부는 접촉 시 카드가 찢어지지 않도록 뭉뚝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선단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선단부가 카드에 접촉 시 일부 변형되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핀(120)은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킹 펜(100)은 상기 본체(110) 내에 배치되며, 본체(110)에 대하여 핀(120)의 전진 및 후퇴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132)를 포함하는 핀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핀(120)은 마킹부(140)로 마킹할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로서, 본체(110)에 대하여 전진(본체 외부로 일부가 노출) 및 후퇴(본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마킹 펜(100)은 본체(110) 내에 배치되며, 핀(120)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착홀(140a)을 가지고 핀(120)이 접촉하는 제1 영역(121)을 둘러싸는 카드(10) 상의 정답 표시 영역(141)을 접촉 마킹하도록 마련된 마킹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마킹부(140)는 잉크 조성물(I)과 접촉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펜의 마킹부와 같이, 마킹부(140)가 카드 상의 정답 표시 영역에 접촉함에 따라 정답 표시 영역으로 잉크 조성물(I)이 도출되어 카드의 정답 표시 영역(141)을 마킹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은 알코올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빠르게 건조되어 잉크가 마킹 영역(141)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3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핀(120)은 상기 마킹부(140)를 관통하여 본체 외부로 노출된다. 본 문서에서, 탄성부재(132)에 외력을 가한다고 함은, 사용자가 마킹 펜(100)을 쥐고, 카드(10) 상에 핀(120)의 위치를 결정한 이후에, 마킹 펜(100)을 카드(10)와 가까워지도록 마킹부(140)을 전진(F)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핀(120)의 선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132)에도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카드(10)에 접촉된 핀(120)은 가압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32)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며, 핀(120)의 본체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후퇴) 됨에 따라, 탄성부재(132)의 압축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마킹부(140)에 의해 카드(10) 상의 정답 표시 영역(141)을 마킹하게 된다. 상기 마킹부(140)는 카드 상의 정답 표시 영역의 크기 및 모양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마킹부(140)를 이용한 마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본체(110)를 카드(10)로부터 이격시키고, 카드로부터 이격된 핀(120)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32)에도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탄성부재(132)가 탄성 복원하게 되고, 핀(120)은 본체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핀(120)의 일부 영역이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킹 펜(100)을 카드(10)와 가까워지도록 마킹부(140)을 전진(F) 시킴에 따라, 탄성부재(132)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핀은 마킹부(140)의 장착홀(140a)을 따라 본체(110) 내로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핀(120)으로 카드 상의 마킹 영역의 위치(121)를 결정한 이후에, 바로 마킹부(140)를 카드(1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신속히 마킹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마킹부(140)의 장착홀(140a) 내에 핀(120)이 수용된 상태이므로, 마킹부(140)는 핀(120)의 안내에 따라 위치가 결정된 카드(10) 상의 정답 표시 영역(141)으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핀(120)이 접촉한 카드 상의 제1 영역(121a)은 마킹부(140)가 접촉하는 카드 상의 정답 표시 영역(141) 내에 위치하고, 핀(120)은 마킹부(14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핀(120)은 마킹부(14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킹부(14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120)이 마킹부(140)의 중심 또는 중앙부에 위치함에 따라 마킹부(140)에 의해 마킹될 정답 표시 영역(141)을 시각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답 표시 영역(141)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킹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킹 펜의 일부 영역을 절개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마킹 펜의 핀 지지부 및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는 마킹부(140) 및 탄성부재(132)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마킹부(140)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핀 지지부(130)는 탄성부재(132)가 수용되고, 본체(110) 내에 고정된 홀더(131)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13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탄성부재(132)가 수용되는 중공부를 갖는다.
또한, 핀 지지부(130)는 핀(120)에 연결되며, 탄성부재(13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베이스부(133) 및 탄성부재(132)가 압축 해제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33)가 홀더(1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멈춤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춤부(134)는 핀(12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134a)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부(133)는 탄성부재(132)에 결합되어 핀(120)의 전진 및 후퇴시 홀더(131) 내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2)는 홀더(131) 내에 위치하여 잉크 조성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2)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는 홀더(131)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홀더(131)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 돌기(1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160)는 홀더(13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홀더(1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고정돌기(160)가 각각 홀더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13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고정돌기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 고정되어 잉크 조성물(I)은 마킹부(140)에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펜에 따르면, 핀(120)에 의하여 마킹 위치를 1차로 결정한 후, 해당 마킹 위치를 확인하면서 정답 영역에 신속하게 마킹을 진행할 수 있고, 마킹부가 마킹 위치를 결정하는 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마킹 위치를 결정한 이후에 정답 영역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킹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마킹 펜 110: 본체
120: 핀 130: 핀 지지부
131: 홀더 132: 탄성부재
133: 베이스부 134: 멈춤부
140: 마킹부 10: OMR 카드
121: 제1 영역 141: 정답 표시 영역

Claims (5)

  1. 그립부를 갖는 본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본체 내에 위치하며, 카드의 정답 표시 영역 내 소정의 제1 영역에 접촉시킬 수 있는 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본체에 대하여 핀의 전진 및 후퇴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핀 지지부;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착홀을 갖고, 핀이 접촉된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카드 상의 정답 표시 영역을 접촉 마킹하도록 마련된 마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 지지부는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본체 내에 고정된 홀더; 및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멈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홀더가 배치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홀더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핀은 마킹부를 관통하여 본체 외부로 노출되고, 탄성부재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핀은 장착홀을 따라 마킹부 내로 삽입되는 마킹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정답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핀은 마킹부의 중앙부 또는 중심에 위치하는 마킹 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압축 및 압축 해제에 따라 상기 홀더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마킹 펜.
  5. 삭제
KR1020210062194A 2021-05-13 2021-05-13 마킹 펜 KR10250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94A KR102507057B1 (ko) 2021-05-13 2021-05-13 마킹 펜
PCT/KR2022/006944 WO2022240263A1 (ko) 2021-05-13 2022-05-13 마킹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94A KR102507057B1 (ko) 2021-05-13 2021-05-13 마킹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28A KR20220154528A (ko) 2022-11-22
KR102507057B1 true KR102507057B1 (ko) 2023-03-06

Family

ID=8402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194A KR102507057B1 (ko) 2021-05-13 2021-05-13 마킹 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7057B1 (ko)
WO (1) WO20222402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40U (ko) * 1999-03-16 2000-10-16 김태균 수험용펜
US6213664B1 (en) * 2000-06-15 2001-04-10 Diane E. Kondo Card marking device
KR100445787B1 (ko) * 2002-06-12 2004-08-25 이경원 컴퓨터용 수성펜
KR200455492Y1 (ko) * 2011-06-15 2011-09-15 김태휘 Omr 카드 마킹용 스탬프
KR101532941B1 (ko) * 2014-10-27 2015-07-01 신현호 직선 왕복 운동을 이용한 점선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28A (ko) 2022-11-22
WO2022240263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66590A (en) Test pin
JP2009115585A (ja) プローブ組立体及び検査装置
CA2853260C (en) Sleeve clamp
KR102507057B1 (ko) 마킹 펜
JP4909803B2 (ja) プローブ組立体及び検査装置
TW201704755A (zh) 探針、探針頭及探針模組
KR102118737B1 (ko) 펜심 홀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전자펜
JP6352510B2 (ja) コンタクト装置および測定用ソケット
CN113544831A (zh) 电连接装置
GB1577089A (en) Drawing device for use with a table and electrical evaluating means
KR200455492Y1 (ko) Omr 카드 마킹용 스탬프
KR20000018240U (ko) 수험용펜
JPH0723284U (ja) ファインピッチ用プローブユニット
JPH1038922A (ja) プローブピン装置
KR930003575Y1 (ko) 필기구의 필심 출몰장치
US746897A (en) Pencil-case.
KR101172425B1 (ko) 눈금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
JP3245619U (ja) マーキング用クリップ
CN220137231U (zh) 一种应用在万用表上的表笔装置
KR102074636B1 (ko) 스마트 자
US4652164A (en) Device to prevent the inadvertent coming-apart of the parts of a draftsman's ink writing instrument
JP3859095B2 (ja) 多ピンプローブユニット
JP6602640B2 (ja) 測定用治具
JP2024513760A (ja) アルコール水準器用の追加デバイス
KR100481941B1 (ko) 컴퓨터용 수성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