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529B1 -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529B1
KR102506529B1 KR1020220071391A KR20220071391A KR102506529B1 KR 102506529 B1 KR102506529 B1 KR 102506529B1 KR 1020220071391 A KR1020220071391 A KR 1020220071391A KR 20220071391 A KR20220071391 A KR 20220071391A KR 102506529 B1 KR102506529 B1 KR 102506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waste
sludge
ceramic hea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혜
최형준
조동환
Original Assignee
그린해머테크노홀딩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해머테크노홀딩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지티 filed Critical 그린해머테크노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80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23G2203/801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using conveyors
    • F23G2203/8013Screw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4/0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 F23G2204/2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energy
    • F23G2204/203Microwa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기 위해 호퍼로 유입되는 유기 및 무기성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유전가열발열체(세라믹발열체)를 같이 혼합하고 세라믹발열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세라믹발열체에 형성되는 고열 고온(400~1,000℃)에 의해 같이 혼합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 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되는 세라믹 발열체는 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에 의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 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equipment pyrolyzing and dty waste by pyrogen of a dielectric heating element shooting microwave}
본 발명은 산업 폐기물의 탈수에서 발생하는 유기 및 무기성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함께 유전가열(세라믹)발열체을 호퍼를 통하여 혼합기로 유입하고 혼합합기의 패들의 회전에 의해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세라믹발열체가 혼합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세라믹 발열체가 같이 회전하면서 챔버 내벽과 패들과 폐기물이 부딧치고 충돌하면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 마쇄, 커팅 등을 구성하여 폐기물의 열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혼합기에서 챔버로 이송하여 챔버의 외부에 장착한 마그네트 유니트에 전위를 구성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의 세라믹발열체로 조사하여 폐기물과 같이 혼합되면서 이송되는 세라믹 발열체가 고열 고온(400~1,000℃)을 형성하여 세라믹 발열체의 고열(400~1,000℃)에 의해 유기 및 무기성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고 건조하도록 구성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폐기물 열분해 하고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사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 제10-1270721(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 장치, 이하, 종래의 기술이라 함 )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폐기물을 열분해 하기 위해 본체 내부 벽에 유전 발열체를 구성하고 본체 외부에서 내부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여 유전발열체에 고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본체의 배출구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열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구성은 유전 발열체가 몸체에 거푸집 부착된 것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전 발열체가 직접 몸체에 전도할 수 있으므로 몸체가 단열되어 있다 해도 몸체 전체가 고열로 전도되어 열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전 발열체는 스크류와 같이 회전하는 폐기물이 고형일 경우 폐기물이 유전 발열체를 충격과 마찰로 몸체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 및 무기성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 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단열 상태를 유지하는 몸체의 둘레와 그 길이에 걸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수 있는 마그네트 유니트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는 그 길이에 걸쳐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축을 따라 나사산 모양으로 패들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혼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유입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같이 유전가열(세러믹)발열체를 유입하여 회전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해 세라믹 발열체가 고열 고온(400~1,000℃)을 형성하여 혼합되고 있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 하고 건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몸체는 각형으로 구성하고 내부 벽과 외부 벽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여 몸체 내부에서 형성되는 열이 밖으로 방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몸체의 벽은 비전도체로 구성하되 그 내벽은 전도체로 구성하여 마그네트유니트와 연계된 내벽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몸체는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하되 단열층으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쌍축으로 형성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는 나사산 모양으로 회전축의 길이에 걸쳐 배열한 패들과, 그 외벽에는 그 길이와 둘레 걸쳐 마그네트 유니트에 전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몸체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본체 내부 방향으로만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체 내부에는 그 길이에 걸쳐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축의 길이에 걸쳐 패들을 나사산 모양으로 배열하였다.
상기 회전축은 쌍축으로 구성하여 몸체 단부에 형성된 모터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모터는 회전축 어느 한 회전축을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회전축은 쌍축에 형성한 기어의 결합으로 2개의 회전축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고 몸체의 중앙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세라믹발열체가 몸체의 중앙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중앙으로 혼합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이 마쇄, 분쇄, 파쇄가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세라믹발열체의 높은 발열(400~1,000℃)에 의해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이 용이하게 열분해 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몸체의 전방의 상부에는 폐기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유입구를 형성하고 유입구에는 호퍼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호퍼 위에는 그 좌 우에 세라믹 발열체를 수용하는 저장고와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수용하는 저장고를 형성하여 설정된 량의 세라믹발열체와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몸체에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유입구와 이웃하여 열풍기를 형성하고 몸체 내부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유입구와 열풍기 사이에 칸막이를 패들 위로 형성하여 패들의 작업 과정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이 혼합되고 이동하는 몸체의 윗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어 열풍이 유입구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몸체의 후방의 저부에는 열분해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세라믹발열체가 동시에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형성하였다.
몸체 상부 후방에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를 형성하였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열손실이 커서 많은 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소재인 탄화규소(SiC), 흑연(C6O) 등으로 구성하고 탄화붕소(B4C), 질화 알루미나(AlN), 텡스턴, 지오라이트 등을 혼합하여 더 큰 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세라믹 발열체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흡수에서 고열의 에너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외부에는 그 둘레와 그 길이에 걸쳐 형성한 마그네트 유니트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주파의 전기장 내에서 절연 재료는 절연 재료 자체에서 분자들이 +와 -의 전극에서 전자 이동의 변화에 따라 전자 마찰이 발생하면서 유전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유전 손실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는 10~30MHz의 주파수의 조사에 의해 세라믹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고열(400~1,000℃)에 의해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신속하게 열분해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몸체는 그 내벽과 외벽에 걸쳐 단열층을 구성하여 몸체 내부의 열이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마그네트 유니트의 마이크로 웨이브는 몸체 내부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몸체의 단열층의 내벽은 전도체로 구성하고 몸체의 외벽은 비전도체로 구성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밖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내벽에는 여러 개의 크랙을 형성하여 고열에 의해 내벽에 팽창이 발생할 경우 그 팽창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몸체 내부의 패들의 하우징은 ∪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혼합되는 폐기물 윗 부분은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한 공간 전방에는 칸막이를 형성하여 칸막이 후방에 형성한 열풍기의 열풍으로 열기성 습한 공기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몸체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세라믹 발열체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같이 혼합되면서 폐기물과 마찰 마쇄, 충돌을 형성하고 폐기물과 같이 혼합하면서 이동하게되는 과정에서 신속하게 열분해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몸체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상태에 따라 동일한 구성으로 연속 설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유입되는 폐기물에 슬러지가 포함되었을 경우와, 폐기물이 자체적으로 수분이 많을 경우 열분해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에서부터 유입되는 세라믹 발열체와 슬러지를 포함한 폐기물은 몸체의 패들에 의해 혼합되고 이동하면서 열분해하고 열분해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은 건조되고 건조된 잔여물은 세라믹 발열체는 같이 배출하면서 분리하여 호퍼로 이송되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 열분해 장치는 적은 전기량과 낮은 주파수로 구성되는 마이크웨이브와 유전 손실이 큰 소재로 구성되는 유전가열 발열체인 세라믹 발열체(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하여 몸체 내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혼합되어 있는 세라믹 발열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세라믹 발열체가 형성하는 높은 열 에너지로 폐기물을 열분해 하고 건조할 수 있고 세라믹발열체는 연속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절약하면서 폐기물을 열분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측단면도
도 3은 몸체의 측단면의 상세도
도 4는 몸체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도
본 발명에 의한 몸체(11)는 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정의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벽(17)과 외벽(16)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벽(17)과 외벽(16) 사이에는 여러 층의 단열층(24)으로 구성되어 보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열층(24)은 비전도체로 구성되어 있고 내벽(17)은 전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회전축(25a,25b)이 쌍축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25a,25b)에는 그 길이에 걸쳐 패들(13)이 나사선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쌍축으로 구성되는 회전축(25a,25b)의 어느 한 회전축(25a)이 동력(26)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25a)은 동력(26)에 의해 회전하고 다른 회전축(25b)는 회전축(25a)과 기어(27)로 결합되어 각 회전축(25a,25b)은 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혼합을 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의 상부의 유입구(18)에 근접하여 열풍기(22)가 형성되어 몸체(11) 내부로 고압의 열풍을 제공하여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성 습한 공기를 배기구를 통하여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 내부 패들(13) 윗쪽에는 공간부(28)를 형성하여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이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성 습한 공기가 공간부(28)로 용이하게 모일수 있도록 구성하고 몸체(11)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이 상기 공간부(28)로 이동이 용이하여 열기성 습한 공기를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 그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25a,25b)은 ∪자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23)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하우징(23) 내에서 혼합되는 폐기물(12-1)이 온전하게 혼합되고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 좌측 상부에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가 같이 투입할 수 있는 유입구(18)가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18)에는 호퍼(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호퍼(14) 위에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를 이송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몸체(11)의 우측 하부에는 열분해 되고 건조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11)의 우측 상부에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의 열분해와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성 습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기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11) 외부에는 그 둘레와 그 길이에 걸쳐 등 간격으로 마그네트 유니트(15)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유니트(15)는 전력 인가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몸체(11) 내부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유니트(15)는 몸체(11)의 내벽(17)을 통하여 내벽(17)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몸체(11)의 마그네트유니트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입구(18)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를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입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는 패들(13)의 회전에 의해 혼합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가 혼합하는 과정에서 세라믹 발열체(12)와 세라믹발 발열체(12) 사이에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을 사이에 두고 마찰 및 충돌하게 되고 세라믹 발열체(12)와 패들(13)이 폐기물(12-1)에서 충돌하게 되어 세라믹 발열체(12)가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을 내벽(17) 사이에 두고 충동하면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을 파쇄, 마쇄, 분쇄 등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몸체(11)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세라믹 발열체(12)를 조사하게 되어 세라믹 발열체(12)는 고열(400~1,000℃)을 형성하고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을 열분해 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 열분해 하고 건조하는 장치는 낮은 전력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세라믹 발열체(12)에 조사하여 세라믹 발열체(12)에 고열(400~1,000℃)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높은 발열을 구성하여 낮은 전력으로 높은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라믹 발열체(12)는 탄화규소(SiC), 흑연(C6O) 등으로 구성하고 탄화붕소(B4C), 텡스텐, 지오라이트, 질화 알루미나(AlN)등을 혼합하는 조성물로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다.
실시 예
본 발명은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해 고열(400~1,000℃)을 발열하는 세라믹 발열체(12)를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혼합하는 과정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 중에 있는 발열체(12)가 높은 열 에너지를 구성하게 되므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와 건조를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열분해하는 종래의 기술로 특허 제10-1270721(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 장치, 이하, 종래의 기술이라 함 )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폐기물을 열분해 하기 위해 본체 내부 벽에 유전 발열체를 구성하고 본체 외부에서 내부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여 유전발열체에 고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본체의 배출구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열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구성은 유전 발열체가 몸체에 내부에 거푸집이 부착된 것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전 발열체가 직접 몸체에 전도할 수 있으므로 몸체가 단열되어 있다 해도 열이 몸체에 전도되어 열의 손실이 있고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폐기물의 깊은 곳까지 발열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열분해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 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몸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측면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몸체를 측단면으로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몸체(11)는 연속적으로 다수개를 설치하여 열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몸체(11)는 외벽(16)과 내벽(17)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벽(16)과 내벽(17) 사이에는 단열층(24)으로 구성하여 내부 열이 외벽으로 손실되는 것을 벙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몸체(11)의 외벽(16)에는 그 길이와 둘레 걸쳐 마그네트 유니트(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 유니트(15)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내벽(17)을 통하여 내부 공간 중앙으로 조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체(11)의 내벽(17)은 전도체로 구성되고 외벽(16)은 비전도체로 구성되어 마이크로웨이브가 외벽(16)을 통과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본체(11) 상면 좌측에는 유입구(18)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가 투입된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12)의 투입량은 폐기물(12-1)의 종류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
본체(11)의 우측 저면에는 열분해된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가 배출구(19)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1) 우측 상면에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이 열분해 하고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열기성 습한 공기를 배기구(21)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11) 내부에는 수평으로 2개의 회전축(25a,25b)을 형성하고 본체(11) 양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25a,25b)에는 그 둘레에 걸쳐 패들(13)이 나사산 모양으로 배열되어 회전축(25a,25b)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25a,25b)과 일체로 구성된 패들(13)이 회전하면서 폐기물(12-1)과 세라믹 발열체(12)가 같이 혼합하면서 회전축(25a,25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혼합되고 이동하는 세라믹발열체(12)에 마이크로 웨이브가 조사되어 고열(400~1,000℃)을 형성하는 세라믹발열체(12)에 의해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할 수 있고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1)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이 열분해되고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열기성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몸체(11) 상부에 형성되는 열풍기(22)에 의해 열풍을 고압으로 몸체(11)에 주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1)로 유입되는 열풍이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고 유입구로 역류되는 곳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들(13) 윗부분의 몸체 공간부(28)에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칸막이(34)를 형성하여 열기성 습한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몸체(11) 내부의 패들(13) 하우징(23)을 별도로 형성하여 하우징(23) 내부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12-1)을 혼합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건조된 폐기물(12-1)이 온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열분해 되고 건조된 폐기물(12-1)은 세라믹 발열체(12)와 같이 배출구(19)로 배출하게 되고 배출한 세라믹 발열체(12)는 별도로 분리하여 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1 : 몸체 12 : 세라믹발열체
13 : 패들 14 : 호퍼
15 : 마그네트유니트 16 : 외벽
17 : 내벽 18 : 유입구
19 : 배출구 21 : 배기구
22 : 열풍기 23 : 하우징
24 : 단열층 25 : 회전축(a,b)
26 : 동력 27 : 기어
28 : 공간부 31 : 폐기물
32 : 이송기(a,b) 33 : 저장고
34 : 칸막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몸체는 각형으로 형성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층과 외벽의 길이와 둘레에 걸쳐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몸체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트 유니트와,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는 몸체 내부 세라믹 유전발열체를 400~1,000℃의 고열을 발열하도록 구성되며 어느 한 측인 좌측 상면에 슬러지와 폐기물을 유입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우측 상면에 몸체 내부의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열풍기와, 우측 저면에 건조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과 세라믹발열체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로 구성되고 그 내부의 길이에 걸쳐 쌍축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축 방향으로 나사산 모양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패들과, 상기 패들은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유입되는 세라믹발열체와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을 혼합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몸체 내부의 패들 윗 부분에 공간부의 유입구와 열풍기 사이에 세라믹발열체의 발열에 의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칸막이와, 슬러지와 폐기물을 열분해한 세라믹발열체는 분리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부 유입구에 근접하여 몸체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는 열풍기가 형성하는 열풍이 세라믹 발열체의 열 에너지에 의해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성 습한 기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20071391A 2022-06-13 2022-06-13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KR10250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91A KR102506529B1 (ko) 2022-06-13 2022-06-13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91A KR102506529B1 (ko) 2022-06-13 2022-06-13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529B1 true KR102506529B1 (ko) 2023-03-08

Family

ID=8550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391A KR102506529B1 (ko) 2022-06-13 2022-06-13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786B1 (ko) * 2013-11-12 2015-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소각처리를 위한 스크러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소각방법
KR101706304B1 (ko) * 2016-07-04 2017-02-14 (주)대우건설 유전 발열체 이송 및 순환 방식의 마이크로파 슬러지 건조장치
KR101826014B1 (ko) * 2017-02-03 2018-03-22 (주)대운테크 차압교반식 열풍 건조장치
KR101964947B1 (ko) * 2018-09-10 2019-04-02 주식회사 한미산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786B1 (ko) * 2013-11-12 2015-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소각처리를 위한 스크러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소각방법
KR101706304B1 (ko) * 2016-07-04 2017-02-14 (주)대우건설 유전 발열체 이송 및 순환 방식의 마이크로파 슬러지 건조장치
KR101826014B1 (ko) * 2017-02-03 2018-03-22 (주)대운테크 차압교반식 열풍 건조장치
KR101964947B1 (ko) * 2018-09-10 2019-04-02 주식회사 한미산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947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CA2625643C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version of materials including asbestos
AU2011311838B2 (en) Microwave rotary kiln
KR101516789B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환원 유전가열장치
JP5355011B2 (ja) 有機植物原料の膨張および乾燥プロセスの効率、特にジェットドライヤーにおける効率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供給装置
KR102506529B1 (ko)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에 의한 유전가열발열체의 발열로 폐기물 열분해하고 건조하는 장치
KR102183573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4673B1 (ko) 마이크로웨이브 유전가열을 이용한 반탄화장치
JP2005024157A (ja) 乾燥装置
CN208373058U (zh) 用于油泥、废油、废活性炭再生的微波裂解机
KR200425258Y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92889B1 (ko) 연속식 소성로
CN210089292U (zh) 一种粉状物料微波干燥回转炉
CN109900086A (zh) 一种粉状物料微波干燥回转炉及干燥方法
CA3136407C (en) Heat treatment apparatus
KR100537455B1 (ko) 출력가변형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단열재의 연속식건조장치
JP3566917B2 (ja) 原料処理装置及び原料処理方法
EP158878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activating industrial waste
CN2491792Y (zh) 内外并热式转炉
KR100465151B1 (ko) 연속식 유기물 탄화로 시스템
KR102550870B1 (ko) 복합열원을 이용한 폐기물 탄화장치
KR10035653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드럼식 연속 건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066598A (ja) 水分含有被処理物の加熱処理方法と処理施設
KR20080083927A (ko) 음식물 쓰레기 재생 방법
KR100909941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