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859B1 -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859B1
KR102505859B1 KR1020210194555A KR20210194555A KR102505859B1 KR 102505859 B1 KR102505859 B1 KR 102505859B1 KR 1020210194555 A KR1020210194555 A KR 1020210194555A KR 20210194555 A KR20210194555 A KR 20210194555A KR 102505859 B1 KR102505859 B1 KR 10250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eat
block
block sheet
se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갑
Original Assignee
이정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갑 filed Critical 이정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생성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개의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1인 1좌석 매칭이 아닌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보다 여유 있는 좌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티켓 또는 좌석 판매자 입장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좌석을 판매함으로써,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대표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LOCK SEAT}
본 발명은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생성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비행기, 극장, 공연장, 스포츠 경기장, 기차 등 좌석과 관련한 현실세계 티켓 및 메타버스 등 가상세계 티켓 확보를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다. 이 경우 사람들은 우선적으로 해당 서비스의 입장귄 및 탑승권을 보장 받는 조건으로 비용을 지불한다.
다만, 티켓 구매와 별개로 사전에 원하는 좌석을 지정하는 서비스는 티켓 구매와 동시 또는 티켓 구매 후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원하는 좌석 지정 서비스 가격은 공급자 가격정책에 따라 좌석 위치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근래 항공 시장에는 저비용항공사(LCC, Low Cost Carrier) 사업모델이 등장함으로써, 이용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항공여행을 하게 되었지만 비좁고 협소한 비행기 실내에서 수 시간의 비행을 하기에는 불편하기가 이루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제는 항공권 구매 시 항공권 티켓구매비용 외 추가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좀 더 공간이 넓고 이동이 용이한 좌석이나 창가 좌석, 통로 좌석 등 자신의 선호 좌석을 인터넷으로 미리 지정하는 사전좌석지정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대형 항공사(FSC, Full Service Carrier)까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 공급 좌석 중 맨 앞좌석, 비상구 등 사람들이 선호하는 좌석 수 비중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모든 탑승객에게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탑승객 중 유아나 아동, 노약자, 임산부, 그리고 신체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탑승객이 포함된 경우 맨 앞좌석, 비상구 좌석 등 보다 넓은 좌석이 더욱 필요하지만 공급이 한정적이어서 승객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만일 선호 좌석 외 중간 좌석, 뒷좌석 등 전 좌석을 대상으로 1인 당 1좌석 이상의 점유가 가능하도록 체계화된 사전 좌석 지정 시스템을 제공한다면 탑승객에게 보다 넓은 좌석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항공사의 탑승율(LF, Load Factor), 즉 운항 편 당 공급 좌석 수 대비 실제 탑승자 수 비율을 나타내는 탑승율은 약 80%로, 만일 공급좌석 수가 100석, 탑승 마감 시점 탑승율이 80% 라면, 100석 중 80석은 판매완료 티켓이고 20석은 미 판매 티켓으로 빈 좌석이다. 그러나, 비행기 출발 시점에 20석의 빈 좌석이 있는 경우라도, 기존 시스템으로는 빈 좌석 20석을 활용 해 탑승객에게 1인당 1좌석 이상의 여유로운 좌석공간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가족 단위 등 그룹탑승객들은 타 승객과 같은 위치 열, 같은 블록에 좌석 지정이 되는 것 보다는 독립된 형태의 블록 좌석(Block Seat)을 요구하는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예를 들어, 창가 좌석(1A) 지정자가 화장실 등 이동을 위해서는 타 승객인 중간 좌석(1B) 지정자 또는 통로 좌석(1C) 지정자에게 양해를 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만일 특정 탑승객이 연속된 개별 좌석 IA,1B,1C 3좌석 모두를 동시에 제품 블록으로 지정하는 경우, 타 승객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으면서도 독립된 여유로운 좌석공간을 보장받을 수 있어 좌석만족도는 크게 높아질 것이다.
또한 최근 전세계 COVID-19 영향으로 점차 승객 간 거리 유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공간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독립 형태의 블록좌석(Block Seat)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결론적으로, 탑승객 편의를 위한 1인당 1좌석 점유 이상의 넓은 좌석 공간 확보 욕구와 타 승객과 공간적으로 완전 분리된 독립 형태의 좌석지정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블록좌석(Block Seat) 시스템 도입이 절실한 시점이다.
따라서 예약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연속된 복수의 개별 좌석으로 이루어진 블록 시트(Block Seat)를 생성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탑승 인원 수와 티켓 미 판매 정보, 사전 좌석 지정 정보 등을 고려하고 인공지능 방식에 기반하여 블록 시트(Block Seat)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39950호(2003.05.22.), 공연, 외식, 숙박, 운송 및 기타부문의 좌석지정예약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생성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NR(name record)의 인원수와 로드 팩터에 의해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를 이용하여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수 있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원당 시트 사용률을 이용하여 복수 제품 블록 시트 각각의 추천 밸류를 계산하여 랭킹을 결정할 수 있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좌석 지정이 되지 않은 유닛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생성 가능한 모든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여 추천 밸류를 계산하고, 계산된 추천 밸류에 따라 특정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대표자와 매칭시키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의 블록 시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총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는 단계; 미선택 블록을 도출하는 단계-상기 미선택 블록은 현재 좌석 지정이 되지 않은 유닛 블록임-; 상기 도출된 미선택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생성 가능한 모든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품 블록 시트는 상기 미선택 블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됨-;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총 개별 좌석수, 대표자 NR(Name record)의 인원수, 및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는 0 이상이고, 상기 총 잔여 좌석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수학식]
Figure 112021153517852-pat0000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에 있어서, 미선택 블록을 도출하는 미선택 블록 도출부-상기 미선택 블록은 좌석 지정이 되지 않은 유닛 블록임-; 현재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총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고, 상기 도출된 미선택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생성 가능한 모든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는 블록 시트 생성부- 상기 제품 블록 시트는 상기 미선택 블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됨-; 및 상기 미선택 블록 도출부 및 블록 시트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총 개별 좌석수, 대표자 NR(Name record)의 인원수, 및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는 0 이상이고, 상기 총 잔여 좌석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수학식]
Figure 112021153517852-pat0000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의 블록 시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도출된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각각에 대해 인원당 시트 사용률을 고려하여 추천 밸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추천 밸류에 따라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에 있어서,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도출된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각각에 대해 인원당 시트 사용률을 고려하여 추천 밸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추천 밸류에 따라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의 랭킹을 결정하는 추천 밸류 계산부; 및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록 시트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대표자 NR(name record)의 인원수 및 현재 로드 팩터에 의해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를 이용하여 제품 블록 시트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1인 1좌석 매칭이 아닌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보다 여유 있는 좌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티켓 또는 좌석 판매자 입장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좌석을 판매함으로써,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에 포함된 총 개별 좌석수가 대표자 NR(name record) 인원수와 잔여 좌석수의 합 및 현재 로드 팩터에 의해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대표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Block Seat)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 및 유닛 블록(Unit Block)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선택 블록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선택 블록을 이용하여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0 내지 도 11의 방식으로 생성된 제품 블록 시트가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최소 유닛 블록 수 및 최대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은 추천 밸류 산출에 이용되는 변수 중 유닛 블록 간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추천 밸류가 산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추천 밸류에 의해 제품 블록 시트의 랭킹이 정해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와 대표자가 매칭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Block Seat)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좌석 지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극장과 같은 공연장, 비행기, 스포츠 관람장, 기차 등의 좌석 추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Block Seat)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동반자 정보가 포함된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NR의 인원수라 함은 상기 NR 정보에 포함된 대표자 및 동반자 수의 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블록 시트 생성이라 함은 좌석의 물리적 제조가 아니라 시트맵에서 연속된 개별 좌석으로 이루어진 특정 좌석 블록을 지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는 현실 세계의 좌석 추천 또는 지정뿐만 아니라 좌석마다 위치가 다르고 좌석 지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메타버스 등 가상 세계의 좌석 추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표자란 그룹의 대표자로서, 극장과 같은 공연장, 비행기, 스포츠 경기장, 기차 등의 티켓의 대표 예약자, 가상 세계에서의 대표 참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는 티켓 예약 또는 특정 게임 참가의 경우 해당 대표자 및 동반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Name record) 정보는 항공권 PNR(Passenger name recor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반자라 함은 그룹 좌석 추천 또는 제품 블록 시트 지정 시 대표자와 함께 그룹을 이루는 구성원으로, 동승객, 동반 관람객, 동반 참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그룹 유형은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그룹 타입을 의미할 수 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유형에는 그룹 탑승객 유형, 그룹 참여자 유형, 그룹 관람객 유형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닛 블록(Unit Block)은 이격되지 않고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좌석 그룹의 단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블록 시트(Block Seat)라 함은 유닛 블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좌석 그룹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은 판매될 수 있는 블록 시트이고,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중 어느 하나가 대표자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비행기 좌석의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을 본 발명의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의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로드 팩터(Load Factor)라 함은 항공운송에서, 항공기의 적재 가능한 여객수에 대한, 실제로 수송한 여객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로드 팩터는 동일한 클래스마다 구분되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코노미 클래스에 대한 로드 팩터와 비즈니스 클래스에 대한 로드 팩터가 구분되어 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잔여 좌석수라 함은 미판매 티켓분에 대한 좌석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코노미 클래스에 대한 총공급 좌석수가 200석이고, 이코노미 클래스에 대한 로드 팩터가 90%인 경우, 상기 이코노미 클래스에 대한 잔여 좌석수는 20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Block Seat)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시트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 여행사 서버(300) 및 항공사 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PNR(Passenger name record)에서 대표 예약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록 시트 관리 시스템은 여행사 서버(300) 또는 항공사 서버(350)와 제휴된 서버(예: GDS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 블록 시트 생성(200), 여행사 서버(300) 및 항공사 서버(350)는 서로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직접 비행기 좌석 사전 구매 또는 지정 페이지에 접속할 수도 있고, 여행사 서버(300) 또는 항공사 서버(350)를 통해 비행기 좌석 구매 또는 지정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여행사 또는 항공사를 통해 항공권 티켓을 구매된 경우, 상기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는 여행사 서버(300) 또는 항공사 서버(350)로부터 항공권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항공권 예약 정보의 일례로 PNR(Passenger name record)이 있다. PNR(Passenger name record) 정보는 항공권 예약에 관한 정보로, 탑승객 이름, 동승자 이름, 탑승객 여권 정보, 출국 정보, 귀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PNR(Passenger name record)을 NR(Name record) 정보의 일례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는 PNR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PNR에 포함된 승객 수보다 많은 좌석이 포함된 추천 좌석 블록을 생성하여 추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는 수신부(210), 유닛 블록 수 결정부(215), 로드 팩터(Load Factor) 데이터베이스(DB)(220), 미선택 블록 도출부(225), 블록 시트 데이터베이스(DB)(230), 블록 시트 패턴 데이터베이스(DB)(235), 블록 시트 생성부(240), 추천 밸류 계산부(245),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 갭 분석부(255)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10)는 여행사 서버(300) 또는 항공사 서버(350)로부터 사용자(예: 대표 예약자)의 PNR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PNR을 통해 탑승객 이름, 동승자 이름, 탑승객 여권 정보, 출국 정보, 귀국 정보 등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10)는 좌석별 구매 통계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NR 정보는 수신할 수도 있지만,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닛 블록 수 결정부(215)는 PNR 정보에 근거하여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구성할 수 있는 최대 유닛 블록(Unit Block) 수 및 최소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로드 팩터(Load Factor) 데이터베이스(DB)(220)에는 주기별로 또는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로드 팩터가 저장된다.
상기 미선택 블록 도출부(225)는 미선택 블록을 도출할 수 있다. 미선택 블록이라 함은 현재 좌석 지정이 되지 않은 유닛 블록을 의미한다. 유닛 블록 중 어느 한 좌석이라도 좌석이 지정된 경우는 미선택 블록이 아니고 선택 블록이 된다.
상기 블록 시트 데이터베이스(DB)(230)에는 선택 블록과 미선택 블록이 구별된 시트 맵이 저장된다.
상기 블록 시트 패턴 데이터베이스(DB)(235)에는 유닛 블록의 배치 모양을 나타내는 블록 시트 패턴 정보가 저장된다. 유닛 블록의 배치 모양에는 I Type, Cross Type, L Type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미선택 블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PNR의 인원수에 대응되는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품 블록 시트를 구성하는 미선택 블록의 수는 최소 유닛 블록 수 이상, 최대 유닛 블록 수 이하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245)는 상기 도출된 모든 제품 블록 시트 각각에 대한 추천 밸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밸류는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각 좌석의 위치 밸류, 패턴 밸류, 인원당 시트 사용률 등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추천 밸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는 추천 밸류가 가장 높은 제품 블록 시트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매칭된 제품 블록 시트는 대표자의 제품 블록 시트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갭 분석부(255)는 목표값과 실제 제품 블록 시트 매칭 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밸류, 상기 패턴 밸류 및 인원당 시트 사용률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값 조정은 위치 밸류, 상기 패턴 밸류 및 인원당 시트 사용률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수신부(210), 유닛 블록 수 결정부(215), 로드 팩터(Load Factor) 데이터베이스(DB)(220), 미선택 블록 도출부(225), 블록 시트 데이터베이스(DB)(230), 블록 시트 패턴 데이터베이스(DB)(235), 블록 시트 생성부(240), 추천 밸류 계산부(245),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 갭 분석부(255)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블록 시트 생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수신부(210)는 여행사 서버(300) 또는 항공사 서버(350)로부터 대표 예약자의 PNR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상기 유닛 블록 수 결정부(215)는 PNR 정보에 근거하여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구성할 수 있는 최대 유닛 블록(Unit Block) 개수 및 최소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할 수 있다(S320). 상기 최소 유닛 블록 수 및 최대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하는 자세한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 및 유닛 블록(Unit Block)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조부호 410은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품 블록 시트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닛 블록(Unit Block)(4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유닛 블록은 연속된 복수개의 개별 좌석(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품 블록 시트(410)는 유닛 블록(420) 2개(1L, 1R)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 블록(1L) 3개의 연속된 개별 좌석(1A, 1B, 1C)으로 구성되고, 유닛 블록(1R) 3개의 연속된 개별 좌석(1D, 1E, 1F)으로 구성된다. 유닛 블록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좌석 그룹이다. 1C 좌석과 1D 좌석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으므로 1L 블록과 1R 블록은 하나의 유닛 블록으로 될 수 없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블록 시트(510)는 하나의 유닛 블록(1L)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품 블록 시트(520)는 두 개의 유닛 블록(1L, 1R)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품 블록 시트(610)는 같은 줄에 위치하는 3개의 유닛 블록(1L, 1M, 1R)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품 블록 시트(620)는 앞뒤로 위치는 2개의 유닛 블록(3M, 4M)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선택 블록 도출부(225)는 상기 블록 시트 데이터베이스(DB)(230)로부터 미선택 블록을 도출할 수 있다(S33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선택 블록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조부호 710은 좌석이 지정된 유닛 블록으로 선택 블록이다. 참조부호 720은 좌석이 지정되지 않은 블록으로 미선택 블록이다.
상기 미선택 블록 도출부(225)는 블록 시트 데이터베이스(DB)(230)에 저장된 시트맵(Seat Map)을 통해 선택 블록과 미선택 블록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선택 블록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미선택 블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현재 생성 가능한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수 있다(S34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선택 블록을 이용하여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미선택 블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PNR의 인원수에 대응되는 제품 블록 시트(81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선택 블록 조합을 이용할 경우, 상기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블록 시트 패턴 데이터베이스(DB)(235)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블록 시트 생성은 특정 시점(예: D-24시간)에 로드 팩터가 특정 범위(예: 60%~95%)에 있을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항공권 예약이 시작되면, 탑승권 구매와 사전 좌석지정이 진행될 수 있다. 탑승권 구매만으로 바로 좌석 지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예: PNR 대표 예약자)는 사전 좌석지정서비스를 통해 체크인 전에 좌석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행기 출발 시각으로부터 특정 시간 전(예: D-24시간)부터 체크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는 먼저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하여 PNR의 대표자와 매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 블록 시트 생성 및 지정 서비스가 종료된 후에, 상기 블록 시트 관리 장치(200)는 사전 좌석 지정도 하지 않고, 제품 블록 시트도 구매하지 않은 탑승객들을 대상으로 체크인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현재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총 잔여 좌석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상기 총 잔여 좌석수 및 도출된 미선택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생성 가능한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총 개별 좌석수, 대표자 PNR의 인원수 및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서 제어될 수 있다.
Figure 112021153517852-pat00003
즉, 상기 생성된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총 개별 좌석수는 대표자 PNR의 인원수와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의 합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는 0 이상이고, 상기 총 잔여 좌석수 이하이다. 그리고 제품 블록 시트가 최종적으로 대표자와 매칭된 경우는 총 잔여 좌석수가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만큼 차감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PNR 인원수가 2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PNR 정보로부터 PNR 인원수에 할당된 좌석수(2)를 도출할 수 있다(S1010).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사전 좌석 지정 결과로부터 미선택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S1020).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현재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총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에서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될 잔여 좌석수를 결정할 수 있다(S1030). 제품 블록 시트 수가 복수 개인 경우, 후술하는 추천 밸류(Value)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가 대표자와 실시간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NR 인원수에 할당된 좌석수가 2이고, 유닛 블록 당 좌석수가 3이고, 하나의 미선택 블록으로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경우에는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될 잔여 좌석수를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 블록 시트를 구성하는 총 개별 좌석수 3은 PNR 인원수에 할당된 좌석수 2와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 1의 합인 3과 동일하다. 이 경우, 총 잔여 좌석수는 사용된 잔여 좌석수 1만큼 차감되기에 19가 된다.
도 11은 PNR 인원수가 1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PNR 정보로부터 PNR 인원수에 할당된 좌석수(1)를 도출할 수 있다(S1110).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사전 좌석 지정 결과로부터 미선택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S1120).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현재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총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에서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될 잔여 좌석수를 결정할 수 있다(S1130). 제품 블록 시트 수가 복수 개인 경우, 후술하는 추천 밸류(Value)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가 대표자와 실시간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NR 인원수에 할당된 좌석수가 1이고, 유닛 블록 당 좌석수가 3이고, 하나의 미선택 블록으로 제품 블록 시트를 생성할 경우에는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될 잔여 좌석수를 2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 블록 시트를 구성하는 총 개별 좌석수 3은 PNR 인원수에 할당된 좌석수 1과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사용된 잔여 좌석수 2의 합인 3과 동일하다. 이 경우, 총 잔여 좌석수는 사용된 잔여 좌석수 2만큼 차감되기에 18이 된다.
한편, 상기 제품 블록 시트를 구성하는 미선택 블록 수는 최소 유닛 블록 수 이상, 최대 유닛 블록 수 이하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 내지 도 11의 방식으로 생성된 제품 블록 시트가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선택 블록 2개에서 하나는 NR 인원수가 2이고, 다른 하나는 NR 인원수가 1이다. NR 인원수가 1인 경우가 NR 인원수가 2인 경우보다 인당 좌석 사용율이 높아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최소 유닛 블록 수 및 최대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유닛 블록 수는 PNR의 인원수(탑승객 수)(A)를 유닛 블록 당 좌석수(B)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A/B 값이 자연수일 경우, 그 값이 최소 유닛 블록 수가 되고, A/B 값이 소수점이 있는 경우, 소수점 이하에서 올림한 수가 최소 유닛 블록 수가 된다. 예를 들어, A/B 값이 1일 경우는 최소 유닛 블록 수가 1이지만, A/B 값이 1.33일 경우는 최소 유닛 블록 수가 2가 된다.
또한, 최대 유닛 블록 수는 PNR 인원수와 같다. 예를 들어, PNR 인원수가 3이면, 최대 유닛 블록 수가 3이고, PNR 인원수가 4이면, 최대 유닛 블록 수가 4가 된다.
즉, 최소 유닛 블록 수 및 최대 유닛 블록 수는 하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153517852-pat00004
Figure 112021153517852-pat00005
여기서 A는 PNR의 인원수(탑승객 수)이고, B는 유닛 블록 당 좌석수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예는 유닛 블록의 좌석수 모두 3인 경우를 예를 들었다. 그렇지만, 유닛 블록 마다 좌석수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유닛 블록 수 결정부(215)는 좌석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유닛 블록이 우선적으로 포함되도록 상기 최소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NR 인원수 4인 경우, 좌석수가 4인 유닛 블록과 좌석수가 3인 유닛 블록이 모두 존재할 경우, 좌석수가 3인 유닛 블록으로 최소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할 경우는 최소 유닛 블록 수가 2이지만, 좌석수가 4인 유닛 블록으로 최소 유닛 블록 수를 결정할 경우는 최소 유닛 블록 수가 1이 된다. 이러한 경우, 유닛 블록 수 결정부(215)는 좌석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유닛 블록(좌석수가 4인 유닛 블록)이 우선적으로 포함되도록, 최소 유닛 블록 수를 1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 시트 생성부(240)는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잔여 좌석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품 블록 시트 생성에 이용되는 미선택 블록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좌석 수가 100개이고, 현재 로드 팩터가 97%인 경우 잔여 좌석수는 3이다. 이 경우, 모든 유닛 블록의 개별 좌석수는 3이고, 미선택 블록의 수가 10이고, PNR의 인원수가 2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PNR의 인원수가 2이기 때문에 최소 유닛 블록 수는 1이고 최대 유닛 블록 수는 2이다. 하지만 최대 유닛 블록 수 2를 미선택 블록 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잔여 좌석수가 4가 되기 때문에 미선택 블록 수로 2는 사용 못하고, 1만 미선택 블록 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245)는 상기 도출된 모든 제품 블록 시트 각각에 대한 추천 밸류를 계산할 수 있다(S350). 상기 추천 밸류는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각 좌석의 위치 밸류, 패턴 밸류, 인원당 시트 사용률 등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245)는 도출된 각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각 좌석의 위치 밸류, 패턴 밸류를 이용하여 추천 밸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밸류를 결정하는 변수에는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출구까지 거리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D), 좌석의 가로 위치가 창가인지, 복도인지, 가운데 좌석인지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WMA), 좌석의 가로 위치가 오른쪽 블록에 속하는지, 왼쪽 블록에 속하는지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LR), 좌석 당 면적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S) 등이 있다.
상기 패턴 밸류를 결정하는 변수에는 제품 블록 시트가 복수의 미선택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미선택 블록 간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B) 등이 있다.
또한, 추천 밸류 계산 시, 인원당 시트 사용률 나타내는 변수(OSPP)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OSPP는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개별 좌석수의 합을 PNR에 포함된 인원수로 나눈 값(OSPP =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개별 좌석수의 합/PNR에 포함된 인원수)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밸류 계산 시, 제품 블록 시트의 가격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BP)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추천 밸류는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4는 추천 밸류를 계산할 때 변수를 이용하는 하나의 예이지,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21153517852-pat00006
여기서 V(Value)는 추천 밸류이고, D는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출구까지 거리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WMA는 좌석의 가로 위치가 창가인지, 복도인지, 가운데 좌석인지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LR은 좌석의 가로 위치가 오른쪽 블록에 속하는지, 왼쪽 블록에 속하는지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S는 좌석 당 면적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OSPP는 인원당 시트 사용률 나타내는 변수이고, B는 유닛 블록 간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BP는 제품 블록 시트의 가격에 따른 가치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상기 변수들은 실제 좌석 지정 구매 데이터에 근거하여 초기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4는 추천 밸류 산출에 이용되는 변수 중 유닛 블록 간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닛 블록 간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B)의 초기값은 같은 줄 통로 사이 블록=1, 앞뒷줄 블록=0.9, 대각선 블록=0.8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추천 밸류가 산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PNR 인원수가 모두 2인 경우이고, 도 16는 PNR 인원수가 모두 3인 경우이고, 도 17은 PNR 인원수가 1, 2, 3인 경우이다.
패턴 밸류는 블록 패턴에 따라 변수 B에 할당된 값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밸류는 D, S, WMA, LR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출구까지 거리가 가까울수록 D 값이 높게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좌석인 경우보다 2D 석과 같이 좌석이 넓은 경우에 초기 S 값이 더 높게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창가석이냐, 가운데 석이냐, 복도석이냐에 따라 WMA의 초기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좌석의 가로 위치가 오른쪽 블록에 속하는지, 왼쪽 블록에 속하는지에 따라 LR의 초기값이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OSPP는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개별 좌석수의 합을 PNR에 포함된 인원수로 나눈 값(OSPP =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개별 좌석수의 합/PNR에 포함된 인원수)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NR의 인원수 2이고, 제품 블록 시트가 개별 좌석수가 3인 1개의 유닛 블록으로 구성된 경우, OSPP는 1.5(3/2)이고, 제품 블록 시트가 개별 좌석수가 3인 2개의 유닛 블록으로 구성된 경우, OSPP는 3(6/2)이다.
그리고 제품 블록 시트의 가격에 따라 BP값이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추천 밸류에 의해 제품 블록 시트의 랭킹이 정해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할당된 변수값들을 상기 수학식 4에 대입하면, 추천 밸류(Value)가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계산된 추천 밸류에 따라 제품 블록 시트의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복수의 대표자로부터 블록 시트 구매를 위한 반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60). 상기 반응 정보는 블록 시트 구매를 위한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는 추천 밸류가 가장 높은 제품 블록 시트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S370). 이 경우, 대표자는 복수의 대표자 중 상기 반응 정보를 가장 먼저 전송한 대표자일 수 있다. 상기 매칭된 제품 블록 시트는 대표자의 제품 블록 시트로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는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잔여 좌석수 및 NR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제품 블록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표자와 실시간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와 대표자가 매칭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정보가 수신된 순서에 따라 제품 블록 시트가 대표자와 매칭된다. 이 경우, 매칭된 결과에 따라 이용 가능한 유닛 블록(미선택 블록)(Available Unit Block) 수 및 잔여 좌석 수가 실시간으로 차감된다. 예를 들어. LEE. J.K.에 제품 블록 시트가 매칭된 경우, 이용 가능한 유닛 블록(미선택 블록)(Available Unit Block) 수는 1이 차감되고, 총 잔여 좌석수는 2이 차감될 수 있다.
만약, 유닛 블록(미선택 블록)(Available Unit Block)이 남아 있더라도, 잔여 좌석수가 0이 되면, 매칭 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유닛 블록(미선택 블록)(Available Unit Block)이 남아 있더라도,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매칭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는 계산된 추천 밸류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중 일부를 상기 대표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표자는 추천된 제품 블록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250)는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대표자에 의해 선택된 제품 블록 시트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갭 분석부(255)는 목표값과 실제 제품 블록 시트 매칭 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밸류, 상기 패턴 밸류 및 인원당 시트 사용률 중 적어도 하나의 값(초기 할당값 또는 현재 할당값)을 조정할 수 있다(S380). 상기 값 조정은 위치 밸류, 상기 패턴 밸류 및 인원당 시트 사용률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제품 블록 시트 생성은 구간 운항 항공편마다 적용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인천에서 뉴욕까지의 항공편이 하나의 항공편이 아니라 2개의 항공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항공편에 대한 제품 블록 시트 생성 및 제2항공편에 대한 제품 블록 시트 생성이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대표자 NR(name record)의 인원수 및 현재 로드 팩터에 의해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를 이용하여 제품 블록 시트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1인 1좌석 매칭이 아닌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보다 여유 있는 좌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티켓 또는 좌석 판매자 입장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좌석을 판매함으로써,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에 포함된 총 개별 좌석수가 대표자 NR(name record) 인원수와 잔여 좌석수의 합이 및 현재 로드 팩터에 의해 계산된 총 잔여 좌석수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제품 블록 시트(Product Block Seat)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대표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블록 시트 관리 방법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사용자 단말
200: 블록 시트 관리 장치
210: 수신부
215: 유닛 블록 수 결정수
220: 로드 팩터 DB
225: 미선택 블록 도출부
230: 블록 시트 DB
235: 블록 시트 패턴 DB
240: 블록 시트 생성부
245: 추천 밸류 계산부
250: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
255: 갭 분석부
260: 제어부
300: 여행사 서버
350: 항공사 서버

Claims (12)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의 블록 시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도출된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각각에 대해 추천 밸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추천 밸류에 따라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천 밸류를 계산 단계는 상기 제품 블록 시트에 대한 위치 밸류, 및 패턴 밸류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밸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밸류는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출구까지 거리에 따른 가치, 좌석의 가로 위치가 창가인지, 복도인지, 가운데 좌석인지에 따른 가치 및 좌석 당 면적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패턴 밸류는 유닛 블록끼리의 인접하는 정도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밸류를 계산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품 블록 시트에 대한 위치 밸류, 패턴 밸류 및 인원당 시트 사용률을 이용하여 상기 추천 밸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밸류는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출구까지 거리에 따른 가치, 좌석의 가로 위치가 창가인지, 복도인지, 가운데 좌석인지에 따른 가치 및 좌석 당 면적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패턴 밸류는 유닛 블록끼리의 인접하는 정도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인원당 시트 사용률은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개별 좌석수의 합을 NR에 포함된 인원수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은
    상기 계산된 추천 밸류가 가장 높은 제품 제품 블록 시트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시트 관리 방법은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잔여 좌석수 및 NR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제품 블록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결과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중 일부를 상기 대표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방법.
  7.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결된 블록 시트 관리 장치에 있어서,
    대표자의 NR(Name record) 정보에 근거하여 도출된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각각에 대해 추천 밸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추천 밸류에 따라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의 랭킹을 결정하는 추천 밸류 계산부; 및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는 제품 블록 시트에 대한 위치 밸류, 및 패턴 밸류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밸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밸류는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출구까지 거리에 따른 가치, 좌석의 가로 위치가 창가인지, 복도인지, 가운데 좌석인지에 따른 가치 및 좌석 당 면적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패턴 밸류는 유닛 블록끼리의 인접하는 정도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블록 시트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밸류 계산부는
    상기 생성된 제품 블록 시트에 대한 위치 밸류, 패턴 밸류 및 인원당 시트 사용률을 이용하여 상기 추천 밸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밸류는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출구까지 거리에 따른 가치, 좌석의 가로 위치가 창가인지, 복도인지, 가운데 좌석인지에 따른 가치 및 좌석 당 면적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패턴 밸류는 유닛 블록끼리의 인접하는 정도에 따른 가치를 이용하여 산출되고,
    상기 인원당 시트 사용률은 제품 블록 시트에 포함된 개별 좌석수의 합을 NR에 포함된 인원수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블록 시트 관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시트 관리 장치는
    상기 계산된 추천 밸류가 가장 높은 제품 블록 시트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키는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시트 관리 장치는
    로드 팩터(load factor)를 이용하여 잔여 좌석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잔여 좌석수 및 NR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제품 블록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표자와 매칭시키는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블록 시트 매칭부는
    상기 계산된 결과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품 블록 시트 중 일부를 상기 대표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시트 관리 장치.
KR1020210194555A 2021-10-28 2021-12-31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0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165 2021-10-28
KR20210146165 2021-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859B1 true KR102505859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7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41A KR20230061196A (ko) 2021-10-28 2021-12-31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210194555A KR102505859B1 (ko) 2021-10-28 2021-12-31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220141626A KR20230061284A (ko) 2021-10-28 2022-10-28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230077872A KR20230093213A (ko) 2021-10-28 2023-06-19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41A KR20230061196A (ko) 2021-10-28 2021-12-31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626A KR20230061284A (ko) 2021-10-28 2022-10-28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230077872A KR20230093213A (ko) 2021-10-28 2023-06-19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20230061196A (ko)
WO (1) WO202307504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50A (ko) 2001-11-16 2003-05-22 이한진 공연, 외식, 숙박, 운송 및 기타부문의 좌석지정예약시스템
KR20050016653A (ko) * 2002-07-02 2005-02-21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컴퓨터 예약 시스템에서 고객에게 좌석을 배정하는 방법
KR20050081879A (ko) * 2005-03-29 2005-08-19 김종국 온라인 실시간 좌석예약 방법
JP2018504696A (ja) * 2014-12-26 2018-02-15 アリバ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座席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96B1 (ko) * 2010-04-29 2011-10-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이용권 매매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및 이의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JP6740589B2 (ja) * 2015-09-30 2020-08-19 日本電気株式会社 席予約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13983A (ja) * 2017-12-22 2019-07-1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976332B1 (ko) * 2018-11-27 2019-05-07 김형준 좌석 자동 배정 예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06689B2 (ja) * 2020-03-19 2023-12-2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指定席候補抽出プログラム、指定席候補抽出方法、指定席候補抽出装置、指定席券発券プログラム、指定席券発券方法、及び指定席券発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50A (ko) 2001-11-16 2003-05-22 이한진 공연, 외식, 숙박, 운송 및 기타부문의 좌석지정예약시스템
KR20050016653A (ko) * 2002-07-02 2005-02-21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컴퓨터 예약 시스템에서 고객에게 좌석을 배정하는 방법
KR20050081879A (ko) * 2005-03-29 2005-08-19 김종국 온라인 실시간 좌석예약 방법
JP2018504696A (ja) * 2014-12-26 2018-02-15 アリバ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座席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044A1 (ko) 2023-05-04
KR20230061196A (ko) 2023-05-08
KR20230061284A (ko) 2023-05-08
KR20230093213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63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ttraction admission
US81218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seats for a ticketed event
EP1690220A1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via priority control
US20100076826A1 (en) Onboard auction of a first class seat ticket
JP2007310634A (ja) 座席選択のためのオンライン情報提供システム
WO2006002204A2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entertainment environments
KR20060129188A (ko) 텔레비전 통제를 통해 군중 밀집의 중심에 관련한 사람의흐름 관리
JP2008507790A (ja) 運行設備に対する乗客、手荷物及び貨物の流れの管理
EP1690221A2 (en) Management of the flow of persons in relation to centers of crowd concentration via wireless control
KR102505859B1 (ko) 블록 시트 관리 방법 및 장치
JP5280977B2 (ja) 席種別設定計画作成方法、席種別設定計画作成システム、出札窓口システム及び座席割当通知システム
Chang A new aircrew-scheduling model for short-haul routes
WO201720120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 modular passenger aircraft cabin and design thereof
WO2018144821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serving passage on an aircraft having a modular interior
KR102441739B1 (ko) 좌석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40033197A (ko) 좌석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40033198A (ko) 좌석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40032382A (ko) 좌석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40032380A (ko) 좌석 추천 방법 및 장치
Minis et al. Contribution to the design of the Athletes Bus Network during the Athens 2004 Olympic Games
KR20230115481A (ko) 시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34195A (ko) 시트 맵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17482A (ko) 인공지능 기반의 좌석 패턴 자동 완성 방식의 좌석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20240840A1 (ja) 配席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Sabar et al. Preferences of low-cost passengers, low cost airlines and airport management on Low Cost Terminal (LCT) facilities development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