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333B1 - 전자장치 및 이에 구비된 표시모듈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이에 구비된 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333B1
KR102505333B1 KR1020160110169A KR20160110169A KR102505333B1 KR 102505333 B1 KR102505333 B1 KR 102505333B1 KR 1020160110169 A KR1020160110169 A KR 1020160110169A KR 20160110169 A KR20160110169 A KR 20160110169A KR 102505333 B1 KR102505333 B1 KR 10250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module
edge
top co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289A (ko
Inventor
민명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79,072 priority Critical patent/US9911942B2/en
Priority to CN201710301143.XA priority patent/CN107346192B/zh
Publication of KR2017012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289A/ko
Priority to US15/886,213 priority patent/US10164209B2/en
Priority to US16/191,042 priority patent/US103552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모듈, 바텀 커버, 및 탑 커버를 포함한다. 탑 커버는 표시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모듈 또는 상기 바텀 커버에 결합된다. 표시모듈은 표시패널층, 윈도우부재, 및 베젤층을 포함한다. 윈도우부재는 중심부분 및 엣지부분을 포함한다. 엣지부분은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탑 커버에 중첩한다. 엣지부분은 중심부분보다 얇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이에 구비된 표시모듈{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모듈을 구비한다.
전자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표시모듈의 형태로 그에 대응하게 변화되고 있다. 수요자들은 베젤영역이 좁고 표시영역이 넓은 전자장치들을 요구한다. 또한, 수요자들은 심미감이 높은 전자장치들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견고한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전자장치에 적합한 표시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 커버 및 상기 표시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모듈 또는 상기 바텀 커버에 결합된 탑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층, 윈도우부재, 및 베젤층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중심부분 및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부분에 연결된 엣지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엣지부분은 상기 탑 커버에 중첩하고 상기 중심부분보다 얇다. 상기 베젤층은 상기 윈도우부재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에 중첩한다.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탑 커버는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탑 커버는 유채색이고, 상기 베젤층은 무채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층의 일부분은 상기 탑 커버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분을 에워싸는 차광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분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중심하면, 상기 중심하면과 상기 중심하면의 법선방향에서 마주하는 중심상면 및 상기 중심하면과 상기 중심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엣지부분은 상기 연결면들 중 상기 제1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1 연결면과 제2 연결면에 각각 연결된 제1 엣지부분과 제2 엣지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베젤층은 상기 중심하면의 상기 제2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1 엣지영역과 제2 엣지영역에 더 배치된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3 연결면과 제4 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면과 상기 제4 연결면은 곡면을 제공한다.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제1 엣지부분을 커버하는 제1 탑 커버 및 상기 제2 엣지부분을 커버하는 제2 탑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엣지부분과 상기 제2 엣지부분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엣지부분은 상기 제1 연결면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상면에 평행한 엣지상면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상면, 상기 제1 연결면 및 상기 엣지상면은 상기 단차를 정의된다.
상기 제1 엣지부분은 상기 법선방향에서 상기 엣지상면에 마주하는 엣지하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엣지하면은 상기 중심하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윈도우부재의 상기 하면을 제공하는 강화 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베이스 기판, 상기 윈도우부재의 상기 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필름을 결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패널층의 하측에 배치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터치감지층 및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 커버 및 상기 표시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모듈 또는 상기 바텀 커버에 결합된 탑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층, 윈도우부재, 및 기능성층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중심부분 및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부분에 연결된 엣지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엣지부분은 상기 탑 커버에 중첩하고 상기 중심부분보다 얇다. 상기 기능성층은 상기 윈도우부재의 상기 중심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을 노출시킨다.
상기 기능성층은 지문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에 중첩하는 베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엣지부분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탑 커버는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바텀 커버와 동일한 컬러를 갖는 탑 커버가 베젤층의 대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베젤층은 바텀 커버와 동일한 컬러를 갖는 유채색의 컬러층이 불필요하다. 유채색의 컬러층이 생략됨에 따라 표시모듈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탑 커버가 베젤층의 대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베젤층의 불량 인쇄가 외부에 시인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베젤층을 얇게 또는 단층으로 인쇄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의 단차는 탑 커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킨다. 그에 따라 탑 커버가 견고하게 윈도우 부재 또는 바텀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사시도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평면도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층의 제조장치를 도시하였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d 및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층의 평면도들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블록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D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에 평행한다. 표시면(DS)은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에 인접한 베젤영역(BA)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이미지(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이 도시되었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베젤영역(B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싼다. 다시 말해, 베젤영역(BA)은 표시면(DS)의 테두리를 이룬다.
표시면(DS)의 법선 방향, 즉 전자장치(E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제공 전자장치(ED)의 일예로 스마트 폰을 도시하였으나, 본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또는 스마트 텔레비젼 등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장치(ED)는 표시모듈(DM), 전자모듈(EM), 전원모듈(PM), 바텀 커버(BC), 탑 커버(TC1, TC2)를 포함한다. 도 2에서 표시모듈(DM), 전자모듈(EM), 및 전원모듈(PM)은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표시모듈(DM)은 적어도 이미지(IM)를 생성하는 표시패널층(DP, 또는 표시패널)과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층(TS, 또는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표시면(DS)은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는 입력면의 기능도 갖는다. 표시모듈(DM)은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통해 전자모듈(E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단차영역(EA1, EA2) 및 중심영역(CA)을 포함한다. 도 2에는 2개의 단차영역(EA1, EA2)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단차영역(EA1, EA2)은 중심영역(CA)으로부터 오목하게 단차진다. 표시모듈(DM)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자모듈(EM)은 전자장치(E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전자모듈(EM)은 제어 모듈(10), 무선통신 모듈(20),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메모리(60), 외부 인터페이스(70), 발광 모듈(80), 수광 모듈(90), 및 카메라 모듈(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메인 회로기판에 실장되거나, 다른 일부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통해 메인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0)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은 표시모듈(DM)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10)은 표시모듈(DM)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30)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모듈(DM)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40)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출력 모듈(50)은 무선통신 모듈(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70)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발광 모듈(80)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80)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90)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80)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90)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전원모듈(PM)은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커버(BC)는 표시모듈(DM)의 하측에 배치되고, 표시모듈(DM)에 결합된다. 1개로 구성된 바텀 커버(BC)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바텀 커버(BC)는 서로 조립되는 2개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바텀 커버(BC)는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서로 동일한 재질의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탑 커버(TC1, TC2) 또는 표시모듈(DM)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TC1, TC2)는 표시모듈(DM)의 상측에 배치되고, 표시모듈(DM)의 일부분에 중첩하며, 표시모듈(DM) 또는 바텀 커버(BC)에 결합된다. 2개의 단차영역(EA1, EA2)에 대응하는 2개의 탑 커버(TC1, TC2, 이하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탑 커버(TC1, TC2)는 단차영역(EA1, EA2)을 커버할 수 있다. 탑 커버(TC1, TC2)에는 단차영역(EA1, EA2)의 단차와 맞물리는 단차가 정의될 수 있다.
탑 커버(TC1, TC2)는 접착부재를 통해 표시모듈(DM)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수지일 수 있다. 접착부재는 단차영역(EA1, EA2)의 상면과 탑 커버(TC1, TC2)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TC1, TC2)는 구조적 결합 또는 추가적인 결합수단을 통해 바텀 커버(BC)에 결합될 수 있다. 구조적 결합의 일 예로써, 탑 커버(TC1, TC2)와 바텀 커버(BC)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결합수단의 일 예로써, 나사(screw)를 이용하여 탑 커버(TC1, TC2)와 바텀 커버(BC)를 결할 할 수도 있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는 전자장치(ED)의 외면을 제공한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는 동일한 컬러를 갖는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는 골드, 실버, 블루, 네이비, 핑크, 그린등과 같은 유채색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 각각은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컬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의 컬러층들이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가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의 베이스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거나,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의 베이스 부재들은 메탈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의 컬러층들은 동일한 방법, 예컨대 증착, 프린팅, 또는 코팅 등의 방법으로 각각의 베이스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장치(ED)는 바텀 커버(BC)와 탑 커버(TC1, TC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전자장치(ED)는 방열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제1 탑 커버(TC1)는 투광영역들(TA1, TA2, TA3) 및 차광영역(NTA)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층(TC1-CL)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 즉 컬러층(TC1-CL)의 개구영역들이 투광영역들(TA1, TA2, TA3)로 정의되고, 컬러층(TC1-CL)이 배치된 영역이 차광영역(NT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광영역들(TA1, TA2, TA3)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이 정의되면 충분하다. 컬러층(TC1-CL)이 베이스 부재(TC1-B)의 내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컬러층(TC1-CL)은 베이스 부재(TC1-B)의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투광영역들(TA1, TA2, TA3)은 광이 투과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1 내지 제3 투광영역들(TA1, TA2, TA3)은 내부에 배치된 발광 모듈(80), 수광 모듈(90), 및 카메라 모듈(100)에 얼라인되기 위해 표시모듈(DM)에 비중첩한다.
발광 모듈(80), 수광 모듈(90), 및 카메라 모듈(100)은 제1 탑 커버(TC1)와 바텀 커버(BC, 도 2 참조)가 정의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3 투광영역들(TA1, TA2, TA3)에 각각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투광영역들(TA1, TA2, TA3)은 베이스 부재(TC1-B)를 관통하는 제1 내지 제3 관통홀들이 정의된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탑 커버(TC2) 역시 투광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탑 커버(TC2)는 제1 탑 커버(TC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WM)의 사시도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평면도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WM)의 단면도들이다. 도 6b는 도 6a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지지부재(SM), 보호필름(PF), 표시패널층(DP), 터치감지층(TS), 반사방지층(RPL), 윈도우부재(WM), 베젤층(BZL) 및 접착층들(AM1, AM2, AM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SM), 보호필름(PF), 터치감지층(TS), 반사방지층(RPL), 및 접착층들(AM1, AM2, AM3)은 생략될 수 있다. 지지부재(SM), 보호필름(PF), 터치감지층(TS), 및 반사방지층(RPL)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에서 해당 기능이 필수적이지 않거나, 해당 기능을 갖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접착층들(AM1, AM2, AM3)은 결합의 대상이 되는 2개의 구성들이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들(AM1, AM2, AM3)은 2개의 구성들 사이의 구조적 결합 또는 추가적인 결합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모듈(DM)은 윈도우부재(WM)의 외면 상에 배치된 기능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층은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반사방지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들(AM1, AM2, AM3) 각각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접착층들(AM1, AM2, AM3) 각각은 광경화 접착물질 또는 열경화 접착물질을 포함하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필름(PF)은 표시패널층(DP)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접착층(AM1)은 표시모듈(DM)과 보호필름(PF)를 결합한다. 보호필름(PF)는 표시모듈(DM)을 보호한다. 보호필름(PF)는 외부의 습기가 표시패널층(DP)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필름(PF)는 별도의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는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PF)은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기능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층은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층은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층(DP) 상에 터치감지층(TS)과 반사방지층(RPL)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감지층(TS)과 반사방지층(RPL)의 적층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속공정을 통해 터치감지층(TS)이 표시패널층(DP) 상에 직접 배치되고, 연속공정을 통해 반사방지층(RPL)이 터치감지층(TS)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층(DP)은 통상적인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 등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대응하는 표시패널층(DP)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표시패널층(DP)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터치감지층(TS)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감지층(TS)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감지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기 유도 방식과 같이, 2개 타입의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의 터치감지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감지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반사방지층(RPL)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흡수 또는 상쇄간섭시켜 표시장치의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반사방지층(RPL)은 광을 흡수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제1 굴절률층/제2 굴절률층/제1 굴절률층의 상쇄간섭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터치감지층(TS) 및 반사방지층(RPL)은 표시모듈(DM)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감지층(TS)과 반사방지층(RPL)은 별도로 제조된 터치패널 및 광학필름(편광필름 및 리타더필름)으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터치패널 및 광학필름은 접착층을 통해 표시패널층(DP)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부재(WM)는 표시모듈(DM)의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DM)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표시면(DS, 도 1 참조) 및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윈도우부재(WM)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질적으로 표시면(DS)은 윈도우부재(WM)의 상면 중 외부에 노출된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일부분은 후술하는 중심상면(CP-US)에 대응한다. 표시모듈(DM)의 단차영역(EA1, EA2) 및 중심영역(CA)은 윈도우부재(WM)의 단차들(ST1, ST2)에 의해 정의된다. 윈도우부재(WM)는 중심부분(CP) 및 단차(ST1, ST2)를 형성하도록 중심부분(CP)에 연결된 엣지부분(EP1, EP2)을 포함한다. 엣지부분(EP1, EP2)은 제1 단차(ST1) 및 제2 단차(ST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은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에 의해 각각 커버될 수 있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은 중심부분(CP)보다 얇을 수 있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의 두께(EP-TH)는 중심부분(CP)의 두께(CP-TH)보다 작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의 두께(EP-TH)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단차(ST1) 및 제2 단차(ST2)의 깊이(DT)는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의 두께(TC-TH)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단차(ST1) 및 제2 단차(ST2)의 깊이(DT)와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의 두께(TC-TH)가 동일할 때, 윈도우부재(WM)와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는 평탄한 외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에서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는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부분(CP)은 중심하면(CP-LS), 중심하면(CP-LS)의 법선 방향(DR3)에서 중심하면(CP-LS)에 마주하는 중심상면(CP-US) 및 중심하면(CP-LS)과 중심상면(CP-US) 연결하는 연결면들(CP-CS1 내지 CP-C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면들(CP-CS1, CP-CS2)은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고, 제3 및 제4 연결면들(CP-CS3, CP-CS4)은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한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은 제1 연결면(CP-CS1) 및 제2 연결면(CP-CS2)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은 제1 연결면(CP-CS1) 및 제2 연결면(CP-CS2)을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수 있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은 중심부분(CP)과 일체의 형상을 가질수 있다.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은 제1 연결면(CP-CS1) 및 제2 연결면(CP-CS2)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강화 유리 기판의 마주보는 2개의 엣지영역을 컷팅 바이트 또는 슬로터를 이용하여 두께 방향(DR3)으로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를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의 마주보는 2개의 엣지영역을 연마하여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밖에 사출, 압출 성형방법으로 플라스틱 윈도우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제1 엣지부분(EP1)을 참조하여 엣지부분에 대해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엣지부분(EP1)은 제1 연결면(CP-CS1)에 연결되며, 중심상면(CP-US)에 평행한 엣지상면(EP1-US)을 포함한다. 중심상면(CP-US), 제1 연결면(CP-CS1) 및 엣지상면(EP2-US)은 상기 제1 단차(ST1, 도 4 참조)를 정의한다.
제1 엣지부분(EP1)은 제3 방향(DR3)에서 엣지상면(EP1-US)에 마주하는 엣지하면(EP1-LS) 및 엣지상면(EP1-US)과 엣지하면(EP1-LS)을 연결하는 엣지측면(EP1-CS)를 포함한다. 엣지하면(EP1-LS)과 엣지측면(EP1-CS)은 하나의 경사면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엣지하면(EP1-LS)은 중심하면(CP-LS)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도 5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젤층(BZL)은 윈도우부재(WM)의 하면 상에 배치된다. 베젤층(BZL)은 적어도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에 중첩한다. 베젤층(BZL)은 외부의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특히, 차광 기능을 갖는다.)한다. 베젤층(BZL) 하측의 구성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젤층(BZL)은 중심하면(CP-LS)의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는 제1 엣지영역(CP-EA1)과 제2 엣지영역(CP-EA2)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베젤층(BZL)은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하는 중심하면(CP-LS)의 제3 엣지영역(CP-EA3)과 제4 엣지영역(CP-EA4)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b에서 베젤층(BZL)이 배치된 영역은 그렇지 않은 영역 대비 어둡게 도시되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엣지영역(CP-EA1)과 제2 엣지영역(CP-EA2)에대응하는 베젤층(BZL)의 일부분은 평면상에서 탑 커버(TC1, TC2)로부터 노출된다. 사용자는 제1 엣지영역(CP-EA1)과 제2 엣지영역(CP-EA2)에대응하는 베젤층(BZL)의 일부분을 시인할 수 있다.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탑 커버(TC1, TC2)로부터 노출된 상기 베젤층(BZL)의 상기 일부분은 탑 커버(TC1, TC2)의 엣지(TC2-E)를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젤층(BZL)의 상기 일부분은 표시영역(DA, 도 1 참조)과 베젤영역(BA, 도 1 참조)을 경계짓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층(BZL)은 유채색을 갖는 컬러층을 생략할 수 있다. 베젤층(BZL)은 무채색을 갖는 하나의 컬러층을 가지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층(BZL)은 표시영역(DA)과 베젤영역(BA)을 경계짓는 기능을 가지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바텀 커버(BC)와 동일한 컬러를 갖는 탑 커버(TC1, TC2)가 베젤층(BZL)의 대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바텀 커버(BC)와 동일한 컬러를 갖는 유채색의 컬러층이 불필요하다. 유채색의 컬러층이 생략됨에 따라 표시모듈(DM)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탑 커버(TC1, TC2)가 베젤층(BZL)의 대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베젤층(BZL)의 불량 인쇄가 외부에 시인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베젤층(BZL)을 얇게 또는 단층으로 인쇄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층(BZ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베젤층(BZL)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층의 베젤층(BZL)은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버퍼층(BZL1), 소정의 무늬를 제공하는 패턴층(BZL2), 및 무채색층(BZL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ZL1)은 투명한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질은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BZL2) 및 무채색층(BZL3)을 윈도우부재(WM)에 직접 형성하는 것보다, 버퍼층(BZL1)을 통해 윈도우부재(WM)에 형성하는 것이 패턴층(BZL2) 및 무채색층(BZL3)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패턴층(BZL2)은 헤어라인이라 지칭되는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무채색층(BZL3)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들은 증착, 프린트,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채색층(BZL3)은 블랙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SM)는 보호필름(PF)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3 접착층(AM3)이 지지부재(SM)와 보호필름(PF)을 결합한다. 지지부재(SM)는 윈도우부재(WM)와 지지부재(SM) 사이에 배치된 구성들을 보호한다. 지지부재(SM)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WM1, WM2)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6c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8은 도 6a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부재(WM)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부재(WM1)의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하는 제3 연결면(CP-CS30)과 제4 연결면(CP-CS40)은 곡면일 수 있다. 제3 연결면(CP-CS30)과 제4 연결면(CP-CS40)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부재(WM2)는 베이스 기판(BS), 베이스 기판(BS)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 필름(BF) 및 베이스 기판(BS)과 베이스 필름(BF)을 결합하는 접착층(AM)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BS)은 강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부재(WM)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이 윈도우부재(WM2)의 하면(WM2-LS)을 제공한다. 상기 하면(WM2-LS)의 엣지영역에 베젤층(BZL)이 배치된다. 접착층(AM)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접착층(AM)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층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부재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 도 4 참조)은 기능성층(AF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층(AFL)은 적어도 지문방지층(anti-finger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기능성층(AFL)은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은 지문방지층(anti-finger layer)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과 지문방지층을 구성하는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층(AFL)은 중심상면(CP-US) 상에 배치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성층(AFL)은 윈도우부재(WM)의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에 미배치된다. 즉, 기능성층(AFL)은 엣지상면(EP1-US)에 배치되지 않는다. 기능성층(AFL)은 연결면(CP-CS1)에 배치되지 않는다.
윈도우부재(WM)의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 EP2)는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기능성층(AFL)이 불필요하다. 오히려, 기능성층(AFL)의 성질에 따라 윈도우부재(WM)와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의 결합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지문방지층(anti-finger layer)과 같이 표면 접촉각을 상승시키는 물질은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윈도우부재(WM)와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의 결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부재(WM)의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에 접착층(AHL)이 배치된다.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엣지상면(EP1-US)에 접착층(AHL)이 배치된다. 접착층(AHL)은 윈도우부재(WM)와 제1 탑 커버(TC1)를 결합시킨다. 지문방지층(anti-finger layer) 상에 접착층(AHL)이 배치되면 윈도우부재(WM)와 제1 탑 커버(TC1) 사이의 결합력이 감소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성층(AFL)을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에 미 배치시킴으로써, 윈도우부재(WM)와 제1 탑 커버(TC1) 및 제2 탑 커버(TC2)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성층(AFL)은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문방지층(anti-finger layer)은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MSK)는 제1 엣지부분(EP1) 및 제2 엣지부분(EP2)을 지지하며, 중심상면(CP-US)을 노출시킨다. 증착원(ES)으로부터 증착물질(AFM)이 증발된다. 그에 따라 기능성층(AFL)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진공챔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다만, 기능성층(AFL)의 종류에 따라 제조방법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하드 코팅층은 코팅, 프린팅 방식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DP)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DP)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d 및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DP)의 단면도들이다.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층(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대응한다. 표시패널층(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P-DA) 및 비표시영역(DP-NDA)은 전자장치(ED)의 표시영역(DA) 및 베젤영역(B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표시패널층(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층(DP)은 표시영역(DP-DA)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비 매트릭스 형태, 예컨대 펜타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b에는 i번째 주사 라인(SLi)과 j번째 소스 라인(DLj)에 접속된 하나의 화소(PXij)의 등가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동일한 등가회로를 가질 수 있다.
화소(PXij)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TR1, TR2),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AP), 및 유기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트랜지스터들(TR1, TR2) 및 하나의 커패시터(CAP)를 포함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 구동회로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는 제2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전원 라인(PWL)으로 인가된 제1 전원전압(ELVDD)을 수신한다. 유기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수신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j번째 소스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AP)는 제1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도 11c는 도 11a에 표시된 일부 영역(DP-P)에 대응하고, 도 11d은 도 11b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커패시터(CAP)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11e는 도 11b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R2) 및 유기발광 소자(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8a 및 도 8b에는 제1 외면(OS-L)에 배치된 제1 접착층(AM1) 및 보호필름(PF)가 도시되었다.
도 1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P-D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으로 정의된다. 도 11c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는 3개의 서로 다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는 화이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3개 타입의 서로 다른 컬러의 컬러필터들이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 각각 중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광영역에서 소정의 컬러의 광을 방출한다"는 것은 대응하는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을 그대로 방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의 컬러를 변환시켜서 방출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은 4개 타입 이상의 발광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을 에워쌓는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및 제1 비발광영역들(NPXA-1)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2 비발광영역(NPX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의 구동회로, 예컨대 트랜지스터들(TR1, TR2, 도 11b 참조) 또는 커패시터(CAP, 도 11b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발광영역(NPXA-2)에 신호 라인들, 예컨대 주사 라인(SLi, 도 11b 참조), 소스 라인(DLj, 도 11b 참조), 전원 라인(PWL, 도 11b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비발광영역들(NPXA-1)과 제2 비발광영역(NPXA-2)은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은 마름모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복적으로 배치된 4개 타입의 발광영역들에 4개의 서로 다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1d 및 도 11e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층(DP)은 베이스층(SUB), 회로층(DP-CL), 유기발광소자층(DP-OLED), 및 박막봉지층(TFE)을 포함한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도전층과 복수 개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유기발광소자층(DP-OLED)은 복수 개의 도전층과 복수 개의 기능성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폴리 이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SUB)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SUB)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반도체 패턴(AL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반도체 패턴(AL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는 저온에서 형성되는 아몰포스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층(SUB)의 일면 상에 기능성층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층들은 배리어층 또는 버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은 배리어층 또는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SUB) 상에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12)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절연층(1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 상에 커패시터(CAP)의 제1 전극(E1)이 배치된다. 제1 제어전극(GE1), 제2 제어전극(GE2), 및 제1 전극(E1)은 주사 라인(SLi)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E1)은 주사 라인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 및 제1 전극(E1)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4)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절연층(14)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소스 라인(DLj조) 및 전원 라인(PWL)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입력전극(S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1: 이하, 제1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2 트랜지스터(TR2)의 입력전극(S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2: 이하,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SE1)은 소스 라인(DLj)으로부터 분기된다. 제2 입력전극(SE2)은 전원 라인(PWL)으로부터 분기된다.
제2 절연층(14) 상에 커패시터(CAP)의 제2 전극(E2)이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소스 라인(DLj) 및 전원 라인(PW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전극(SE1)과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AL1)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전극(E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력전극(DE1)은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관통홀(미 도시)을 통해 제1 전극(E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전극(SE2)과 제2 출력전극(DE2)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AL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제2 트랜지스터(TR2)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1 입력전극(SE1), 제1 출력전극(DE1), 제2 입력전극(SE2), 및 제2 출력전극(DE2)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16)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6)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16)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6) 상에 화소정의막(PXL) 및 유기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다. 화소정의막(PX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XL)은 또 하나의 절연층과 같다. 도 11d의 개구부(OP)는 도 11c의 개구부들(OP-R, OP-G, OP-B)에 대응할 수 있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16)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DE2)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유기 발광층(EML), 전자 제어층(ECL)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정공 제어층(HCL)은 적어도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제어층(ECL)은 적어도 전자 수송층을 포함한다. 이후, 캐소드(CE)를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CE)의 층구조에 따라 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식의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CE) 상에 유기발광소자층(DP-OLED)을 봉지하는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된다.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 박막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박막을 포함한다. 무기 박막들은 수분으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하고, 유기 박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광이 생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영역(PXA)은 유기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AE) 또는 발광층(EML)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유기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유기 발광층(EML)은 비발광영역(NPXA) 및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기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층(TS)의 단면도들이다. 도 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층(TS)의 평면도들이다. 박막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된 2층형 터치감지층(TS)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감지층(TS)은 제1 도전층(TS-CL1), 제1 터치 절연층(TS-IL1), 제2 도전층(TS-CL2),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을 포함한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과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T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T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은 터치전극들 및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 및 제2 터치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을 절연시키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의 형상에 따라 제1 터치 절연층(TS-IL1)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후술하는 박막봉지층(TFE)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거나 복수 개의 절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b 및 도 12b에 도시된 2층형(2-layer)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층은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좌표 정보 획득을 위한 구동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b의 제1 도전패턴들은 도 12a의 제1 도전층(TS-CL1)에 대응하고, 도 12c의 제2 도전패턴들은 도 12a의 제2 도전층(TS-CL2)에 대응한다.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b에는 3개의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그에 연결된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이다. 메쉬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들(SP1)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도전패턴들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c에는 3개의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그에 연결된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절연 교차한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이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들(SP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은 정전결합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에 터치 감지 신호들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 사이에 커패시터들이 형성된다.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센서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부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교차하는 부분으로 정의되면 충분하고, 센서부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비중첩하는 부분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일정한 너비를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2b의 AA영역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13b는 도 13a의 III-III'에 대응하는 표시모듈(DM)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센서부(SP1)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제1 센서부(SP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은 메쉬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쉬선의 선폭은 수 마이크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센서부(SP1)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구비한 메쉬 형상을 갖는다. 터치 개구부들(TS-OP)이 발광영역들(PXA)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터치 개구부(TS-OP)는 2 이상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연결부(CP1), 제2 센서부(SP2), 및 제2 연결부(CP2)는 제1 센서부(SP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에 중첩하며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된다.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센서부(SP1, 도 13a 참조), 즉 제1 가로부(SP1-L)를 커버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터치 절연층(TS-IL1)은 제1 연결부(CP1) 및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도 커버한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제1 터치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되고,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에 중첩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터치 절연층(TS-IL2)은 제2 센서부(SP2, 도 12c 참조) 및 제2 연결부(CP2, 도 12c 참조)를 커버한다.
제2 터치 절연층(TS-IL2) 상에 반사방지층(RPL)이 배치된다. 반사방지층(RPL)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 중첩하는 컬러필터들(CF) 및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하는 블랙매트릭스(B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전자장치 DM: 표시모듈
EM: 전자모듈 TC1, TC2: 탑 커버
BC: 바텀 커버

Claims (25)

  1.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 커버; 및
    상기 표시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모듈 또는 상기 바텀 커버에 결합된 탑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층;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중심부분 및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부분에 연결된 엣지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엣지부분은 상기 탑 커버에 중첩하고 상기 중심부분보다 얇은 윈도우부재; 및
    상기 윈도우부재와 상기 표시패널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윈도우부재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탑 커버에 의해 가려지는 베젤층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탑 커버는 동일한 컬러를 갖는 전자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탑 커버는 유채색이고,
    상기 베젤층은 무채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층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층의 일부분은 상기 탑 커버로부터 노출된 전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분을 에워싸는 차광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비중첩하는 전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분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중심하면, 상기 중심하면과 상기 중심하면의 법선방향에서 마주하는 중심상면 및 상기 중심하면과 상기 중심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엣지부분은 상기 연결면들 중 상기 제1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1 연결면과 제2 연결면에 각각 연결된 제1 엣지부분과 제2 엣지부분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마주하는 상기 중심하면의 제1 엣지영역과 상기 중심하면의 제2 엣지영역에 더 배치된 전자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3 연결면과 제4 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면과 상기 제4 연결면은 곡면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제1 엣지부분을 커버하는 제1 탑 커버 및 상기 제2 엣지부분을 커버하는 제2 탑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부분과 상기 제2 엣지부분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전자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부분은 상기 제1 연결면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상면에 평행한 엣지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상면, 상기 제1 연결면 및 상기 엣지상면은 상기 단차를 정의하는 전자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엣지부분은 상기 법선방향에서 상기 엣지상면에 마주하는 엣지하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엣지하면은 상기 중심하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전자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윈도우부재의 하면을 제공하는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는,
    베이스 기판;
    상기 윈도우부재의 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필름을 결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패널층의 하측에 배치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터치감지층; 및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8. 표시패널층;
    중심부분 및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부분보다 얇은 엣지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부재; 및
    상기 윈도우부재와 상기 표시패널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윈도우부재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탑 커버에 의해 가려지는 베젤층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층의 일부분은 상기 중심부분의 엣지영역에 더 중첩하는 표시모듈.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층의 하측에 배치된 플라스틱 기판;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터치감지층; 및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21.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 커버; 및
    상기 표시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모듈 또는 상기 바텀 커버에 결합된 탑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층;
    상기 표시패널층의 상측에 배치된 중심부분 및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부분에 연결된 엣지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엣지부분은 상기 탑 커버에 중첩하고 상기 중심부분보다 얇은 윈도우부재; 및
    상기 윈도우부재의 상기 중심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을 노출시키는 기능성층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엣지부분에 중첩하는 베젤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층은 지문 방지층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분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탑 커버는 동일한 컬러를 갖는 전자장치.
KR1020160110169A 2016-05-04 2016-08-29 전자장치 및 이에 구비된 표시모듈 KR10250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79,072 US9911942B2 (en) 2016-05-04 2016-12-14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provided therein
CN201710301143.XA CN107346192B (zh) 2016-05-04 2017-05-02 电子设备和设置在其中的显示模块
US15/886,213 US10164209B2 (en) 2016-05-04 2018-02-01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provided therein
US16/191,042 US10355237B2 (en) 2016-05-04 2018-11-14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provid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44 2016-05-04
KR20160055744 2016-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89A KR20170125289A (ko) 2017-11-14
KR102505333B1 true KR102505333B1 (ko) 2023-03-07

Family

ID=6038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69A KR102505333B1 (ko) 2016-05-04 2016-08-29 전자장치 및 이에 구비된 표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220A (ko) 2019-02-22 2020-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10010782A (ko) 2019-07-19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10044920A (ko) * 2019-10-15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1575A1 (en) 2012-02-08 2013-08-08 Kyu Hyeong CHEON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02B1 (ko) * 2009-09-24 2016-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61663B1 (ko) * 2011-05-25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18987B1 (ko) * 2012-02-08 2018-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1575A1 (en) 2012-02-08 2013-08-08 Kyu Hyeong CHEON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89A (ko)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6192B (zh) 电子设备和设置在其中的显示模块
CN108121478B (zh) 显示装置
KR10196493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57140B1 (ko) 표시장치
KR20210064483A (ko) 입력 감지 기능을 갖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44391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TW202036111A (zh) 顯示裝置
KR20200066471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505333B1 (ko) 전자장치 및 이에 구비된 표시모듈
KR102111448B1 (ko) 표시 장치
KR10220217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016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1017B1 (ko) 표시장치
KR10200850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6014A (ko) 표시장치
KR20200135910A (ko) 표시 장치
KR102663495B1 (ko) 표시 장치
KR102131801B1 (ko) 표시장치
KR10240662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320111A1 (en) Display device
KR102559081B1 (ko) 표시 장치
KR102081986B1 (ko) 표시장치
KR102520492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4505B1 (ko) 표시 장치
KR102675011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