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61B1 -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61B1
KR102505261B1 KR1020200099725A KR20200099725A KR102505261B1 KR 102505261 B1 KR102505261 B1 KR 102505261B1 KR 1020200099725 A KR1020200099725 A KR 1020200099725A KR 20200099725 A KR20200099725 A KR 20200099725A KR 102505261 B1 KR102505261 B1 KR 10250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trees
supply device
automatic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380A (ko
Inventor
방종갑
Original Assignee
방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종갑 filed Critical 방종갑
Priority to KR102020009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빗물을 장치 내부로 상기 본체부를 폐쇄할 수 있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구의 하단에 부착되며 하부 방향으로 뻗은 일자형 배수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낙수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저수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저수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부의 경사면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의 경사면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공급부로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여 빗물 또는 직접 공급 방식으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의 증발 및 응결 현상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수목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Trees and Suppl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급장치 내부의 물 저장고에 빗물 또는 직접 공급 방식으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의 증발 및 응결 현상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수목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기후가 불규칙적으로 변하고 불안정해지면서, 국내에서도 최근 몇 년간 가뭄이 반복되고 겨울철 적설량도 줄어듦으로 인해 가로수의 잎이 누렇게 변하는 황화(黃化) 현상과 가지가 말라 죽는 고사지(枯死枝)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는 몇 가지의 대책을 실시하고 있는데, 첫 번째는 살수차를 임대하여 가로수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긴 가뭄에 증발한 나무뿌리 내부의 수분 보유량을 빠르게 채워주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는 나무 하단에 그늘막을 설치하여 토양온도를 낮추고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것으로, 수목이 말라 죽는 피해를 방지하고 나무뿌리 성장을 돕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는 물을 채운 물주머니를 나무에 달아주는 것으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지속능력이 뛰어나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지속적인 관리가 불가피하여 인력과 자원을 꾸준히 소모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363436 호 (등록일 2014.02.10.)에서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목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가 발명된 바 있다. 그러나 빗물이 저수조를 가득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는 수목에 물을 공급하지 못하며, 수목에 물이 필요한 시점을 특정하여 물을 공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수 뿐 아니라 물 공급을 자주 요구하는 화분에 심어진 수목의 경우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은 동일하다. 소유자가 일일이 물의 공급시기를 놓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물을 주어야만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우며 특히 수경재배의 경우에는 물의 지속적인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발육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특별한 주의가 요해지고 있다. 야외에 배치된 화분에 심어진 수목의 경우 실내에 배치된 것보다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빗물을 저장하여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날씨 변화에 맞추어 수목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344914 B1 (등록일 2013.12.18.) KR 10-1363436 B1 (등록일 2014.02.10.) KR 10-2011875 B1 (등록일 2019.08.12.)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빗물이 유입되는 구조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을 저수하고, 증발과 응결을 통해 저수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수된 빗물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장치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증발된 빗물이 응결되는 과정에서 저수된 빗물과 섞이지 않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기간 비가 오지 않는 경우 장치 내부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내부에 공간이 빗물이 유입되는 구조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을 저수하고, 증발과 응결을 통해 저수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공급방법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목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를 폐쇄할 수 있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저수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저수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부의 경사면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배수부, 상기 배수부는 경사면의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증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부 또는 상기 저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1개 내지 10개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가 2개 이상의 상기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면과 면이 맞닿는 변은 상기 유입부가 기울어진 경사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부의 경사면의 최하단에 구멍으로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의 하단에 부착되며 하부 방향으로 뻗은 일자형 배수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하부 끝단에 유입관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덮개는 상기 유입관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덮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덮개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스프링부재를 통해 폐쇄된 상태를 디폴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증기홀의 상부면 둘레에 상기 증기홀이 있는 부분이 뚫려 있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배수부의 경사면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제1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배수부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뚫린 구멍으로 형성되는 제1공급구, 상기 제1공급구와 연결되며 관으로 형성되는 제1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부는 상기 저수부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최하단 일측면에 뚫린 구멍으로 형성되는 제2공급구, 상기 제2공급구와 연결되며 관으로 형성되는 제2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상기 저수부의 최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되는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며 마개로 형성되어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주입구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수목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자동 물 공급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빗물을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하는 단계, 저장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빗물이 있을 경우, 저장된 빗물이 증발 및 응결 과정을 거쳐 수목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단계, 저장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빗물이 없을 경우,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물을 직접 주입하는 단계, 직접 주입된 물이 증발 및 응결 과정을 거쳐 수목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빗물을 저장하는 단계로부터 반영구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단으로 인한 본 발명의 효과로, 빗물이 유입되는 구조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을 저수하고, 증발과 응결을 통해 저수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수된 빗물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장치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된 빗물이 응결되는 과정에서 저수된 빗물과 섞이지 않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간 비가 오지 않는 경우 장치 내부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내부에 공간이 빗물이 유입되는 구조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을 저수하고, 증발과 응결을 통해 저수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공급방법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일부파절사시도이다.
도3a는 유입관덮개가 닫혀 폐쇄된 상태인 유입관의 종단면도이다.
도3b는 유입관덮개가 열려 개방된 상태인 유입관의 종단면도이다.
도4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증기홀의 역류방지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6은 주입부를 통해 물이 주입되는 것을 나타낸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 개의 수목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8은 또 다른 본 발명인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공급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급장치 내부의 물 저장고에 빗물 또는 직접 공급 방식으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의 증발 및 응결 현상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수목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 종사자 등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음을 일러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있는 도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00)를 토대로 구성된다. ~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유리,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투명도는, 내부에 저수된 빗물의 양을 파악하기 위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나 불투명한 재질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투명할수록 직사광선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내부에 저수된 빗물을 지속적으로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이 투명한 경우에는 직사광선을 통한 내부의 가열과 복사열을 통한 내부의 가열이 동시에 이뤄지므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저수된 빗물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로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불투명해지므로 높은 복사열을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전달할 수 있는 계절인 여름에 특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으나 내구성이 뛰어나고 내부에 저수된 빗물이 쉽게 부패하여 변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형태로는 내부에 단일 공간이 형성된 어떠한 도형도 가능하나, 완성된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하여 원기둥 또는 각기둥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되어야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의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면에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빗물이 유입되기 위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유입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최하단에 위치하며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저수부(400), 상기 유입부(300)와 상기 저수부(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부(300) 경사면의 반대측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면인 배수부(500), 상기 배수부(500) 경사면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는 공급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여과부(200) 그물망 구조의 재질과 촘촘함은 빗물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있으면서도 1 inch 당 구멍의 수인 메쉬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그물망 구조는 메쉬의 크기가 작을수록, 재질이 친수성일수록, 물방울의 입사각이 높을수록 물방울의 투과도가 높다. 따라서 상기 여과부(200)는 그물망의 구조가 10 내지 60의 메쉬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여과부(200)의 재질로써 극친수성 성질을 갖는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불화비닐, 풀리비닐실록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비닐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200)의 재질로 금속을 사용할 경우 금속은 대부분 친수성이므로 적합하다. 또한 물방울의 입사각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200)의 기울기는 10°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300)는 상기 여과부(200)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저수부(4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빗물이 흐르는 경사면, 빗물이 통과하는 유입구(310), 상기 유입구(310)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저수부(400)의 상부면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320)으로 구성된다.
유입부(300)의 경사면은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5°내지 20°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310)를 통해 빗물이 내려가므로 높은 경사를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유입구(310)는 상기 유입부(300)의 경사면의 최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310)의 지름은 경사면의 너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도3에 도시된 상기 유입관(320)은 상기 유입구(310)의 지름과 같은 너비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310)에 상단 입구가 일체 또는 부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관(320)은 상기 배수부(500)를 통과하여 상기 배수부(500)의 하단에서 상기 유입관(320)의 하단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320)의 하단 입구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입관덮개(321)로 폐쇄되어 있으며,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관덮개(321)가 개방되어 상기 저수부(400)로 빗물을 인도한다.
상기 유입관덮개(321)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덮개(321)와 상기 유입관(320)이 연결된 경첩 부위에 스프링부재(321-A)가 더 포함되어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유입관(320)의 하단 입구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321-A)는 상기 유입관(320)에 빗물이 들어올 경우 빗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320)의 내부 공간과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를 힘으로 치환하고, 치환된 힘의 크기에 변형되는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부재(321-A)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은 먼저 빗물이 상기 여과부(200)를 통과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이 상기 유입부(300)를 통해 상기 저수부(400)에 저장되고,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는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의해 상기 저수부(400)에 저장된 빗물은 수증기로 증발된다. 증발된 수증기는 상기 배수부(500)의 경사면을 관통함으로 형성되는 증기홀(510)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부(300)의 하부면에서 응결된다. 응결된 빗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부(500)의 경사면으로 낙하하고, 상기 공급부(600)를 통과하여 수목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과정에 있어서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의 증발과 응결이 이뤄지는 속도가 결국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중요하다. 외부의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수록 증발과 응결의 속도가 느려지고 수목에 대한 물 공급속도는 느려질 것이나 그와 동시에 수목 내부의 수분 함유량 또한 높게 유지되고, 외부의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수록 그 반대가 된다. 이에 따라 수목에 대한 물 공급과 수목 내부의 수분 소모량이 균형을 이루는 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여과부(200)를 통과한 빗물이 상기 저수부(400)로 이동하는 데 있어서 상기 유입부(300)의 존재의의는 상기 저수부(400)의 빗물이 증발과 응결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배수부(500)에 모이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증발된 수증기가 응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입부(300)의 하부면과 같은 천장이 필요하며, 응결된 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공급부(600)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부(500)와 같은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 유입관덮개(321)의 상기 스프링부재(321-A) 또한 상기 저수부(400)에서 증발되는 빗물의 수증기가 상기 유입관(32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홀(510)에 역류방지부재(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511)는 상기 증기홀(510)이 위치하는 부분이 관통된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는 화산의 분화구와 같은 형태가 된다. 상기 유입부(300)의 하부면에서 응결된 빗물이 상기 배수부(500)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증기홀(510)을 통해 다시 상기 저수부(400)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역류방지부재(511)는 상기 배수부(500)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성형사출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벳을 사용하여 증기홀(510)을 형성함과 동시에 역류방지부재(511)를 형성하는 방법과 인두와 같은 고열의 장치를 통해 증기홀(510)을 형성함과 동시에 증기홀(510)에 위치했던 부재를 열변형하여 역류방지부재(511)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500)의 경사면은 상기 유입부(300)의 경사면과 같이 복수 개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00)와 상기 배수부(500)의 복수 개의 경사면은 면 사이의 경계변이 하부 방향으로 모서리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계변은 위에서 보았을 때 오목한 형태가 되고, 상기 유입부(300)와 상기 배수부(500)에서 물이 흐르는 수로가 된다.
상기 배수부(500)를 통과한 응결된 빗물은 상기 공급부(600)로 이동한다. 상기 공급부(600)는 상기 배수부(500)의 최하단에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관통되는 구멍으로 형성된 제1공급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부(610)는 제1공급구(611)와 상기 제1공급구(611)에 연결된 제1공급관(6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600)로 상기 저수부(400)의 최하단에 제2공급부(620)를 구성하고, 상기 제2공급부(620)에 포함되는 제2공급부(621)와 상기 제2공급부(621)에 연결된 제2공급관(622)을 추가하여 상기 저수부(400)에 저장된 빗물을 급속으로 수목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공급관(612), 상기 제2공급관(622)은 고무 호스, 플라스틱 호스 또는 금속 관 중 어느 하나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저수부(400)는 하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400)의 경사진 하부면의 최하단에 상기 제2공급부(621)를 형성하여 잔여 저수량 없이 상기 저수부(400)의 빗물을 상기 제2공급관(62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수부(400)의 하부면에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외부에 상기 감지 센서와 연동하는 비콘 또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표면에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저수부(400)에 직접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700)는 상기 저수부(400)와 상기 유입관(320) 최하단의 사이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주입부(7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주입구(710)와 상기 주입구(710)를 폐쇄할 수 있는 주입구 뚜껑(7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 뚜껑(720)은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에 빗물이 가득찼을 경우, 빗물의 압력으로 상기 주입구 뚜껑(720)이 외부로 튕겨나오지 않도록 돌려서 닫는 뚜껑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구(710)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일정간격을 두고 산과 골이 반복되는 미세한 나선형의 돌기가 사출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구(710)와 상기 주입구 뚜껑(72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 또는 부착 형성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급관(612)을 복수 개의 관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수목에 연결되는 시스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시스템에서 자동 물 공급장치의 크기는 대형 저수조와 같은 스케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400)의 면적을 넓게 조절하면 저수부(400)에 저수된 빗물의 표면적이 넓어져 빗물의 증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다수의 수목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공급관(622) 또한 상기 제1공급관(612)과 같이 복수 개의 관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수목에 연결하고, 상기 저수부(400)에 저장된 빗물을 직접 급속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개방 가능한 뚜껑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부 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인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에는 상기 여과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빗물의 성분에는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어 결정과 같은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저수부(400)에는 지속적으로 침전물이 쌓인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 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저수부(400)를 청소하는 것은 장치의 유지보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인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공급방법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자동 물 공급장치를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빗물을 저장하는 단계(S120), 저장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하는 단계(S130),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 저장된 빗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에서 저장된 빗물이 없을 경우,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물을 직접 주입하는 단계(S150), 저장된 빗물 또는 주입된 물을 증발 및 응결 과정을 통해 수목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S160), 이후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빗물을 저장하는 단계(S120)로부터 반영구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장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하는 단계(S130)에 있어서, 자동 물 공급장치에서 수목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증발 및 응결 과정을 통해 수목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S160)와 같이 지속적인 공급방법에 더하여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의 저수조에 직접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수목에 직접적으로 빠르게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 방법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와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물을 직접 주입하는 단계(S150)의 다음에, 물을 공급할 해당 수목에 조속한 물 공급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저장된 빗물 또는 주입된 물을 증발 및 응결 과정을 통해 수목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S160)에 더하여, 저장된 빗물 또는 주입된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10: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100: 본체부
200: 여과부
300: 유입부
310: 유입구
320: 유입관
321: 유입관덮개
321-A: 스프링부재
400: 저수부
500: 배수부
510: 증기홀
511: 역류방지부재
600: 공급부
610: 제1공급부
611: 제1공급구
612: 제1공급관
620: 제2공급부
621: 제2공급구
622: 제2공급관
700: 주입부
710: 주입구
720: 주입구 뚜껑

Claims (9)

  1. 수목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100)를 폐쇄할 수 있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저수부(400);
    상기 유입부(300)와 상기 저수부(40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부(300)의 경사면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배수부(500);
    상기 배수부(500)는,
    경사면의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증기홀(510);
    상기 증기홀(510)의 상부면 둘레에 상기 증기홀(510)이 있는 부분이 뚫려 있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재(5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부(500) 또는 상기 저수부(400)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600);를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유입부(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되는 여과부(200);를 더 포함하는 자동 물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300)는,
    1개 내지 10개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300)가 2개 이상의 상기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면과 면이 맞닿는 변은 상기 유입부(300)가 기울어진 경사면과 평행한 것을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300)는,
    상기 유입부(300)의 경사면의 최하단에 구멍으로 형성되는 유입구(310);
    상기 유입구(310)의 하단에 부착되며 하부 방향으로 뻗은 일자형 배수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관(320);을 더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20)은,
    하부 끝단에 유입관덮개(3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덮개(321)는 상기 유입관(320)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덮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덮개(321)는 스프링부재(321-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320)은 상기 스프링부재(321-A)를 통해 폐쇄된 상태를 디폴트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600)는,
    상기 배수부(500)의 경사면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제1공급부(610);
    상기 본체부(100)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제2공급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부(610)는,
    상기 배수부(500)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뚫린 구멍으로 형성되는 제1공급구(611);
    상기 제1공급구(611)와 연결되며 관으로 형성되는 제1공급관(6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부(620)는,
    상기 저수부(400)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최하단 일측면에 뚫린 구멍으로 형성되는 제2공급부(621);
    상기 제2공급부(621)와 연결되며 관으로 형성되는 제2공급관(622);을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면에 상기 저수부(400)의 최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되는 주입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7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면에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는 주입구(710);
    상기 주입구(710)와 연결되며 마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710)를 개폐할 수 있는 주입구 뚜껑(720);을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
  9. 청구항 1의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를 이용한 수목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비닐,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자동 물 공급장치를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빗물을 저장하는 단계(S120);
    저장된 빗물을 수목에 공급하는 단계(S130);
    자동 물 공급장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
    저장된 빗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에서 저장된 빗물이 없을 경우,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물을 직접 주입하는 단계(S150);
    저장된 빗물 또는 주입된 물을 증발 및 응결 과정을 통해 수목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S160);
    이후 상기 자동 물 공급장치에 빗물을 저장하는 단계(S120)로부터 반영구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의 공급방법.
KR1020200099725A 2020-08-10 2020-08-10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KR10250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725A KR102505261B1 (ko) 2020-08-10 2020-08-10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725A KR102505261B1 (ko) 2020-08-10 2020-08-10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80A KR20220019380A (ko) 2022-02-17
KR102505261B1 true KR102505261B1 (ko) 2023-02-28

Family

ID=8049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725A KR102505261B1 (ko) 2020-08-10 2020-08-10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523B1 (ko) * 2022-12-09 2023-05-04 (주)우진엔지니어링 친환경 수목용 우수 저장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733A (ja) * 2007-07-17 2009-05-14 Kozo Oshio 自動潅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542A (ko) * 2008-04-18 2009-10-22 이경자 빗물저류탱크를 구비한 친환경 화분
KR20110087543A (ko) * 2010-01-26 2011-08-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빗물저장 자동관수시스템
KR101344914B1 (ko) 2011-01-20 2013-12-26 이훈재 수분 자동 공급장치
KR20130112164A (ko) * 2012-04-03 2013-10-1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빗물을 활용한 관개시스템
KR101363436B1 (ko) 2013-07-18 2014-02-14 박성화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KR102011875B1 (ko) 2017-10-11 2019-08-20 유한회사 케이조경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733A (ja) * 2007-07-17 2009-05-14 Kozo Oshio 自動潅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80A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045B1 (ko)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생태환경 빗물집수시스템
Sacks et al. Estimating ground-water exchange with lakes using water-budget and chemical mass-balance approaches for ten lakes in ridge areas of Polk and Highlands Counties, Florida
Johnson et al. Nutrient fluxes in forests of the eastern Sierra Nevada mountains, United States of America
CN101084733A (zh) 屋顶绿化的构造
KR102505261B1 (ko)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KR20110111657A (ko) 수목 양액 공급장치
CN207969440U (zh) 一种绿色屋顶
CN208777413U (zh) 一种生态式景观沟
CN106223551A (zh) 一种屋顶蓄水绿化结构
CN109098268A (zh) 一种雨水渗蓄系统
CN104604629B (zh) 智能山地造林系统
WO2017124995A1 (zh) 初期径流污染联控消纳装置及方法
CN207143645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城市道路结构
US20110188933A1 (en) Water-storage and water-purification system
CN102183623A (zh) 一种排水试验测坑
CN104221755A (zh) 一种蓄水种植箱
CN206553872U (zh) 一种hdpe线性排水沟
CN108781576A (zh) 一种耦合水循环的滩涂脱盐方法
CN202024993U (zh) 一种排水试验测坑
CN207079439U (zh) 一种环保透水地坪
KR101266799B1 (ko) 지하수 충전 및 운용시스템
ES2924082T3 (es) Dispositivo de depósito de agua para un sistema de riego de superficies útiles y dispositivo de riego para superficies útiles
CN206146901U (zh) 一种用于检测绿色屋顶截流调峰效果的试验装置
KR200458659Y1 (ko) 자동 물공급 기능을 가진 화분
KR101107734B1 (ko) 사이펀식 빗물 저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