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875B1 -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 Google Patents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875B1
KR102011875B1 KR1020170129690A KR20170129690A KR102011875B1 KR 102011875 B1 KR102011875 B1 KR 102011875B1 KR 1020170129690 A KR1020170129690 A KR 1020170129690A KR 20170129690 A KR20170129690 A KR 20170129690A KR 102011875 B1 KR102011875 B1 KR 10201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e
ground
bag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575A (ko
Inventor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케이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케이조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케이조경
Priority to KR102017012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ackag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에 시공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이나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주머니의 하중이 나무로 전달되어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목보호용 물주머니{WATER PACK FOR SUPPLYING TREES WITH WATER}
본 발명은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에 있어서, 수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면서 수목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감겨지는 소정길이의 바닥부 및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홀 및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수목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나선 방형으로 감겨져 고정띠를 매개로 나무에 고정되는 소정길이의 밀착부가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밀착부는 팽창되어 자연스럽게 나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고, 바닥부는 팽창되어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물의 하중이 나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이나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수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5∼6월의 강우량 부족과 7∼8월의 증발량의 상대적인 과다에 의해 수목이 항시적으로 가뭄의 피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특히 뿌리의 발달이 불충분한 가로수나 토양조건이 좋지 못한 곳의 수목의 경우 수분의 흡수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가뭄피해를 쉽게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람들이 일일이 물조리나 양동이에 물을 채워 뿌리거나 살수차를 대동하여 호스로서 살수하여 물을 공급하는 방법에 의존하였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바닥으로부터 1∼1.5m높이로 나무에 물포대(또는 물주머니)를 고정하고, 상기 물포대에 구멍을 내어 나무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이러한 물포대의 예로서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 20-0257845호는 그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공간을 갖는 물주머니팩과; 상기 물주머니팩의 입구부 및 몸체의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물이 채워진 물주머니팩을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와; 상기 물주머니팩 내측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측의 상단부에 설치된 프라스틱 압착단추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 주입구덮개와; 상기 물주머니팩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물주머니팩에 채워져 있는 물을 나무 주변의 지중에 공급하기 위한 호스와; 상기 호스상에 설치되며 물주머니팩 하부에 설치되며 호스나 물주머니를 갈아 끼울 수 있게 삽입한 호스연결관과; 상기 호스상에 설치되며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물공급 조절기; 및 상기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며, 지중에 몸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중에 물을 토출함으로써 나무에 물을 공급하는 근계연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의 물포대는 나무에 묶어 고정하여 사용하는데, 키가 작거나 굵기가 얇은 나무에는 설치가 어려우며 특히 어린 묘목의 경우 물주머니의 하중 때문에 사용 자체가 곤란하여 별도의 지주목을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날씨나 기온의 영향으로 인해 내부에 이끼가 끼면 호스가 차단되면서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내부에 채워진 물의 하중으로 인해 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끼치거나 나무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6042호는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물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물주머니가 구비되고, 상기 물주머니의 하부에는 수목의 뿌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하부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물주머니로 수목의 밑동을 감싼 후 물주머니의 좌우 양측단을 고정하는 지퍼로 구성되어, 상기 물주머니로 수목의 밑동을 감싼 후 지퍼로 잠그며, 그 후 상기 물주입구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 하부배수공을 통해 물이 배출되어 수목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도록 한 것으로, 물주머니의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으면서 수목의 밑동을 감싸며 고정되므로 내부에 물을 채우더라도 물주머니의 하중이 나무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끼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물주머니는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하중으로 인해 지면에 밀착 고정되므로 물을 느리게 공급할 수 있으나, 일정량 이하로 물이 배출되면 물주머니의 바닥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하부배수공과 지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므로 급격하게 물이 배출되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가 오는 날에도 내부의 물이 배출되어 버리므로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제 20-0257845호의 물포대의 경우 장마철 또는 비가 오는 날에는 물공급 조절기를 조절하면 호스가 차단되면서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작업자가 수목이 심어진 곳에 직접 방문해야 할 뿐만 아니라, 비가 그친 뒤 다시 물공급 조절기를 원래 상태로 변경해주어야 하므로 작업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내부에 물을 채우면 그 하중으로 인해 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끼치거나 나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물이 소모되지 않으면서 나무에 지속적으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에 있어서, 수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면서 수목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감겨지는 소정길이의 튜브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홀 및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목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나선 방형으로 감겨져 고정띠를 매개로 나무에 고정되는 소정길이의 튜브로 형성되는 밀착부;가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밀착부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게 형성되어 하부로부터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원뿔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물의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바닥부는 팽창되어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물의 하중이 나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이나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수목을 보호하고, 밀착부는 팽창되어 자연스럽게 나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 내부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상기 흡수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을 관통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급수부로 이루어지며,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과배수 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흡수부보다 조밀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수목의 밑둥 테두리로부터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시켜 상부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띠로 나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바닥부가 팽창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이나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밀착부의 하부에서 밀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물의 하중이 나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는 물에 의해 팽창되면서 자연스럽게 나무를 감싸게 되어 강풍이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필요한 인력이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게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원뿔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층부의 하중을 하층부에서 용이하게 분산시키면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배수 방지수단이 구비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장시간 서서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흡수부보다 조밀하게 형성되는 급수부가 지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비가 오거나 지면이 촉촉한 경우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내부의 물이 현저히 느리게 배출되므로 기존의 물주머니에 비해 낭비되는 물의 양이 현저히 적으며, 따라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인력이나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포대의 예시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의 예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시 나무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나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주머니는 방수성, 내구성을 갖는 방수섬유나, 비닐 또는 PVC나 PE 등의 합성수지 재질이나 신축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내지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주머니는 소정길이의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밀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소정길이의 튜브 형태로서, 지면에 접하면서 수목의 밑둥 테두리를 감싸도록 감겨지며, 바닥면에는 수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홀(11)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20)는 상기 바닥부(10)와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소정길이의 튜브로서, 수목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나선 방향으로 감겨진다.
상기 밀착부(20)의 일측에는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홀(21)과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W)가 삽입되는 고정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홀(21)과 고정홀(22)은 물 주입작업이나 나무에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 및 6과 같이 상기 밀착부의 상단에 소정두께의 결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밀착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주입홀(21)이 형성되며, 주입홀의 양측으로 고정홀(22)이 형성되어 고정띠(W)를 통해 상기 물주머니를 나무(T)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띠(W)로 밀착부(20)를 나무(T)에 고정할 때에는 강하게 결속하는 것이 아니라 물주머니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결속력으로만 결속한다. 상기 고정띠(W)를 통해 물주머니를 나무에 고정하면 상기 바닥부(10)는 바닥면이 지면에 접촉되거나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밀착부(20)는 나무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에 물을 주입하면 상기 바닥부(10)가 먼저 팽창되면서 바닥면에 밀착되고, 이후 상기 밀착부(20)가 팽창되면서 자연스럽게 나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밀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띠(W)는 나무(T)의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물주머니를 가이드한다.
상기 팽창된 바닥부(10)는 상부의 팽창된 밀착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물주머니의 하중이 나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이나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수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20)는 팽창하면서 나무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므로 나무의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시공 및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나무에 묶어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물주머니는 키가 작거나 굵기가 얇은 나무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서 주변에 별도의 지주목을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나무에 결속 후 물을 채우면 그 하중이 나무에 그대로 전달되어 나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생장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용 물주머니는 나무의 크기나 굵기와 관계없이 신속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고정띠(W)를 통해 나무(T)에 고정한 다음 내부에 물을 채우면 팽창된 바닥부(10)가 상부의 팽창된 밀착부(20)를 지지하면서 밀착부의 하중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수목의 변형방지,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주머니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물주머니 내부에 물이 주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나무에 고정한 후 내부에 물을 주입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물주머니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물주머니 내부에 물을 채웠을 때 상기 바닥부(10)가 밀착부(20)보다 더 넓게 팽창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밀착부(20)가 바닥부(10) 상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0)가 지면에 맞닿는 면적이 더 확보되면 밀착부(20)의 하중을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수목 주위에 바닥부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증대되므로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8에서는 상기 바닥부(10) 및 밀착부(2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주입홀(21)과 고정홀(22)은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밀착부(20)의 상단에 도 5에 도시된 결합부(23)를 형성하여 고정띠(W)를 통해 물주머니를 나무(T)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물주머니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수홀(11)을 통해 급격하게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배수 방지수단(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과배수 방지수단(30)은 상기 바닥부 내부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는 흡수부(31) 및 상기 흡수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수홀(11)을 관통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급수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부(31)는 상기 바닥부(10)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바닥부 내부에 저장된 물을 충분히 흡수하면서 바닥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을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바닥부의 내경보다 좁고 배수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흡수부(31)는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부직포나, 펠트, 스폰지 또는 면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급수부(32)는 상기 흡수부(31)로부터 분기되며 배수홀(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되 바닥부(10)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어 흡수된 물을 지면에 지속적으로 서서히 공급하는 심지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32)는 상기 배수홀(11)과 대응되거나 배수홀(11)보다 미세하게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배수홀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흡수된 물이 지면으로 곧바로 급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서서히 급수되도록 흡수부보다 조밀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물의 양이 줄어들수록 바닥면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여 흡수부가 바닥부 내부의 물을 최대한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에 잠긴 상태로 구비되는 흡수부를 통해 원활하게 물을 흡수하여 급수부를 통해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물의 양이 줄더라도 남아있는 물이 바닥면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여 흡수부가 지속적으로 물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급수부가 흡수부보다 조밀한 구조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서서히 급수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갈수기와 같이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의 경우 물을 보충해주는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인력이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32)가 바닥부(10)에 의해 눌린 상태로 지면에 밀착되어 불필요하게 물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형태의 물주머니는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아 있어서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하중으로 인해 지면에 밀착 고정되므로 물을 느리게 공급할 수 있으나, 수목이 식재되는 땅의 표면이 평평하지 않지 않기 때문에 일정량 이하로 물이 배출되면 물주머니의 바닥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하부배수공이 개방되므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물이 배수된다. 또한, 상기의 물주머니는 내부에 물이 충분히 채워져 바닥면이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도 지면에 수분이 충분한 경우에도 물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하게 물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32)가 바닥부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비가 오는 날이나 지면에 충분한 양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는 삼투압 현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며, 반대로 건기나 갈수기와 같이 지면에 수분이 부족한 시기에는 흡수부를 통해 흡수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물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물주머니
10 : 바닥부 11 : 배수홀
20 : 밀착부 21 : 주입홀
22 : 고정홀 23 : 결합부
30 : 과배수 방지수단 31 : 흡수부
32 : 급수부
T : 나무 W : 고정띠(와이어)

Claims (4)

  1. 수목보호용 물주머니에 있어서,
    수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홀(11)이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면서 수목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감겨지는 소정길이의 튜브로 형성되는 바닥부(10); 및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홀(21) 및 나무에 묶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가 삽입되는 고정홀(22)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목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나선 방형으로 감겨져 고정띠를 매개로 나무에 고정되는 소정길이의 튜브로 형성되는 밀착부(20);가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 및 밀착부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게 형성되어 하부로부터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원뿔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물의 하중이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바닥부는 팽창되어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물의 하중이 나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목 주위의 수분이나 냉기의 자연증발이나 직사광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수목을 보호하고, 밀착부는 팽창되어 자연스럽게 나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내부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상기 흡수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을 관통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급수부로 이루어지며,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과배수 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흡수부보다 조밀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KR1020170129690A 2017-10-11 2017-10-11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KR10201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90A KR102011875B1 (ko) 2017-10-11 2017-10-11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90A KR102011875B1 (ko) 2017-10-11 2017-10-11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75A KR20190040575A (ko) 2019-04-19
KR102011875B1 true KR102011875B1 (ko) 2019-08-20

Family

ID=662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90A KR102011875B1 (ko) 2017-10-11 2017-10-11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80A (ko) 2020-08-10 2022-02-17 방종갑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279B1 (ko) * 2019-07-03 2021-08-26 주식회사 스마트웜 폐타이어를 이용한 관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17Y1 (ko) * 2003-09-09 2003-11-21 이종화 수목에의 관수 및 시비용 물주머니
KR101501093B1 (ko) * 2013-08-13 2015-03-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 및 산소 공급 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17Y1 (ko) * 2003-09-09 2003-11-21 이종화 수목에의 관수 및 시비용 물주머니
KR101501093B1 (ko) * 2013-08-13 2015-03-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 및 산소 공급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80A (ko) 2020-08-10 2022-02-17 방종갑 수목을 위한 자동 물 공급장치와 그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75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1443T3 (es) Sistema de gestión de raíces y aguas para plantas en macetas
US6108970A (en) Self-watering plant guard
KR200446693Y1 (ko) 수목용 물주머니
KR102011875B1 (ko)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US20070278330A1 (en) Oozing Hose
KR101187686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KR200463147Y1 (ko) 식물 생력 증진관
KR102049959B1 (ko) 식물생육 증진을 위한 점적 관수장치
KR200257845Y1 (ko) 수목에의 수분공급용 물주머니
JP2009118770A (ja) マット植物用地盤軽量化部材及び屋上緑化工法
CN205511324U (zh) 一种食用玫瑰花基地节水高效灌溉系统
KR20160059848A (ko) 수목의 수분 및 영양제 공급장치
KR101187687B1 (ko)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한 조경장치
KR101062434B1 (ko) 수목용 수공제어관
KR101911934B1 (ko) 수목용 물 공급 시스템
KR20060085732A (ko) 나노플랜트 화분
JP6006182B2 (ja) 栽培槽の給水装置
KR101638962B1 (ko) 씨앗발아대가 구비된 부직포 식생블럭
KR102493540B1 (ko) 수목용 유공관
CN204948677U (zh) 沙地绿化毯
KR101744035B1 (ko) 관수용 물 주머니
CN210987282U (zh) 一种节水型屋顶种植池
JP5960759B2 (ja) 柱状体への緑化工法
CN214545923U (zh) 一种渗水型绿化养植盆
KR102576067B1 (ko) 다용도 농사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