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115B1 -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115B1
KR102505115B1 KR1020220127555A KR20220127555A KR102505115B1 KR 102505115 B1 KR102505115 B1 KR 102505115B1 KR 1020220127555 A KR1020220127555 A KR 1020220127555A KR 20220127555 A KR20220127555 A KR 20220127555A KR 102505115 B1 KR102505115 B1 KR 10250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d
urban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주
Original Assignee
서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주 filed Critical 서종주
Priority to KR102022012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chitectu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지리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는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Land Use Planning Documentation and Safety Assessment System}
본 발명은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문서화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는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급속한 도시성장과 함께, 지속 가능한 도시를 개발하는 것이 새로운 도시 성장 관리의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였다. 이에, 지자체, 공사, 민간 건설사 및 시행사는 매년 지속 가능한 도시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고 있으며, 중견 이하의 건설사 역시, 이러한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소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지속 가능한 도시의 개발 방안 및 소규모 도시 등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은 토지 이용 계획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은 교통 계획, 시설 계획, 공원 녹지 계획과 더불어 도시 계획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때, 토지 이용 계획이란, 일반적으로 계획 구역 내의 토지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계획으로, 도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들의 양적 수요를 예측하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계획 작업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계획 구역에 대한 지형 정보와 함께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각의 토지 이용 계획 내에 포함되는 계획 구역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수집해야 했으므로 그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연간 계획되는 다수의 토지 이용 계획이 모두 실시되는 것은 아니므로, 계획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모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긴 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계획 구역에 대한 지형 정보 및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수집할 뿐, 이러한 시스템 역시, 계획 구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 및 예상 비용 정보 등을 일일이 검토하고 산출해야 하므로, 여전히 그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8404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지리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는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은,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문서화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하는 설명서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서 생성부는,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목적, 대상 지역, 시공사, 개발 기간, 신축 건축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계획 설명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은,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에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이 이루어질 지역에 대한 3차원 건물모델을 생성하는 구현부; 및
상기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성 평가부는,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설정하고,
생성된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설정된 최대 하중을 가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변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3차원 건물 모델의 변형도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되,
시뮬레이션 이후의 3차원 객체 및 시뮬레이션 이전의 3차원 객체의 외곽선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두 외곽선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유사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지리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100)은 수집부(110),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로서 제공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인터렉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수집부(110)는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신하고,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및 지리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업로드 되고,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공급자 단말(20)을 통해 직접 업로드 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불러오기를 통해 수집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10) 및 공급자 단말(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및 데스크탑 등 유선 및 무선 통신의 사용이 가능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계획 설명서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설명하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사용자(예컨대, 발주자)가 개발하려는 토지 위치 정보(주소 검색 영역), 토지(도시) 정보 표시 영역, 건축물 정보 표시영역, 국토 계획정보 표시 영역, 토지개발 가능여부 표시 영역 및 지도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주소 검색 영역은 사용자가 개발 또는 재생하려는 도시의 주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주소 검색 영역에 주소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검색된 도시에 대한 현황, 개발 현황, 지도 등과 같은 세부적인 정보가 하단 영역에 표시된다.
도시 정보 표시 영역은 도시의 전체 면적, 공시지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건축물 정보 표시 영역은 현재 개발 또는 재생 대상 도시에 건출된 건축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개발 대상 위치 정보가 주소 검색 영역에 입력되는 경우, 도시 정보 표시 영역을 통해 해당 토지에 대한 토지 대장 정보도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공되는 토지 대장 정보는 후술되는 비용 산출 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서울 모처(토지 위치 정보)에 생태 공원을 개발하고자 하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와, 토지 데이터에 대한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개발 계획서는 위치 정보, 토지 개발 방식 정보 및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시 개발 계획서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 및 토지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수집부(110)는 해당 토지 개발 방식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토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토지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도 표시 영역은 주소 검색 영역에 입력된 주소에 대한 도시에 대한 2차원 지도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 영역에서 사용자는 범위 설정 기능을 통해 범위 정보를 더 추가하여 상기 범위의 구역을 세분화 하고, 세분화된 구역 각각에 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한편 지도 표시 영역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가 반영되는 데이터이고, 지리 정보 데이터에는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각종 지리정보가 수치화되어 포함되며,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지리 정보를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 정보 데이터는 특정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지형정보, 지하시설물 등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의 서버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수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직접 입력 또는 시스템 분석을 통해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어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각 세부 항목에 마우스 오버와 같은 미리 보기 동작을 실행하면, 선택된 각 세부 항목 별로 해당되는 범위에 대한 시각 정보가 지도 표시 영역을 통해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설정된 세부 항목에 따라 서로 중복되는 구역에 대한 정보 또한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100)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따라,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생태 공원을 개발하고자 하는 1 내지 2등급지에 대한 세부 항목이 선택된 토지 개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집부(110)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생태 공원의 개발이 가능한 1등급지 및 2등급지에 해당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는 수집부(1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수집부(110)가 지리 정보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국토계획정뵤 표시 영역 및 토지개발 가능여부 표시 영역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적용 가능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키워드에 근거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특정 토지 위치에 대한 개발 면적 제한, 토지의 공적 규제 사항, 용도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주택법, 도시개발법, 국토계획법, 관광진흥법 등의 관련 법령 적용 여부와 같은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면적' 및 '제한'과 같은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위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외부 기관에서 제공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관이라 함은, 상기 키워드 추출의 대상이 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렇게 생성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지리 정보 시스템 기반의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되어, 지도 표시 영역상에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으며, 지도 데이터 상에 반영된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구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추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자는 공급자 단말(20)을 통해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적용 가능한 층수 제한 정보, 개발면적 제한 정보 등과 같은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의해서만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로 판단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하는 경우, 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형정보, 지하시설물 등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추가 반영하여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로 판단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시킨 후,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토지 데이터의 좌표계를 기준 원점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각 지자체 또는 사용자가 토지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 정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었던 기존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표현되는 토지 위치 정보를 개발 가능한 위치와 불가능한 위치로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분된 토지 위치 정보의 개발 가능한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정보,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및 예상비용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상 비용은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용역비, 공사비 및 용지 보상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준품셈은 건설 공사 표준품셈으로서, 건설 공사 중 대표적이며 일반화된 공종 및 공법을 기준으로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 및 공사량 등을 수치로 나타내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실현 가능 정도를 토대로 등급을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를 DB화하고 해당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100% 실현 가능한 경우 A등급, 9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B등급, 8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C등급, 7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D등급, 그 이하인 경우 F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총괄 평가에서 70%의 실현 가능성이 도출되는 경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서 D등급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예상 비용을 산출함에 있어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토지의 규제와 관련된 토지 관련 법규 정보 간에 상관 관계를 구축한 후, 우선시해야 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먼저 적용하고 후 순위의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등급 및 예상 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했을 때, 해당 토지의 구역이 특별법에 의한 개발 제한 구역일 경우, 다른 규제 사항보다 우선 적용할 수 있고, 동등한 위계의 규제 또는 규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단 알고리즘에 의해 미리 분석된 조항 간 상관 관계에 따라 규제 또는 규정이 차등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직접 그리기 기능을 통해 범위 설정한 구역에 대해서 다른 개발 가능한 사업 방식을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시킬 지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부(14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10)의 설정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뿐만 아니라, 등급 및 비용을 산출하게 된 산출 과정까지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공부(14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을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공부(140)를 통해 직접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과, 이의 산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판례 및 사례 데이터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등급 산출 예를 참조하면,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판례 및 사례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추출함으로써,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에 기초한 머신 러닝 분석은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수많은 표본(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해서 정확도 높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200)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부(210), 데이터 가공부(220), 문서 생성부(230), 구현부(240) 및 안전성 평가부(25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데이터 가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목적, 대상 지역, 시공사, 개발 기간, 신축 건축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
문서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계획 설명서를 생성한다.
구현부는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에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이 이루어질 지역에 시공될 예정인 건축물에 대한 3차원 건물모델을 생성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상기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200)에 의해 생성된 도시 계획 설명서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성 평가부는 3차원 건물모델의 부위별로 하중을 가하여 3차원 가상객체의 변형 정도를 시뮬레이션한다.
구체적으로, 안전성 평가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사용용도별 최대 하중에 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안전성 평가부는 이러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건물의 층별로 최대 얼마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안전성 평가부는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생성된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가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설정된 최대 하중을 1m단위로 3차원 가상객체에 부여하여, 3차원 가상객체의 변형을 시뮬레이션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후의 3차원 객체를 시뮬레이션 이전의 3차원 객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후의 3차원 객체 및 시뮬레이션 이전의 3차원 객체의 외곽선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두 외곽선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산출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예컨대 90%) 이상인 경우 해당 건축물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산출된 유사다고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 미만인 경우 해당 건축물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성 평가부는 3차원 건물모델에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점은 비상구, 소화전, 기둥 등과 같이 건물의 안전과 직결되는 주요 장소마다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안전성 평가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구조를 파악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생성할 수 있다.
안전성 평가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특징점을 연결하는 특징선분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성분의 각도와 크기를 나타나는 벡터정보를 특징선분별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성 평가부는 3차원 건물모델의 1층에 설정된 제1 특징점과 3차원 건물모델의 2층에 설정된 제2 특징점을 연결하는 제1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으며, 3차원 건물모델의 2층에 설정된 제2 특징점과 3차원 건물모델의 3층에 설정된 제3 특징점을 연결하는 제2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동일 층에 두 개의 특징점이 생성되는 경우 해당 특징점들을 우선적으로 연결한 후 다음 층에 설정된 특징점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건물모델에 1층에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이 설정되고, 2층에 제3 특징점이 설정되는 경우, 안전성 평가부는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을 연결하는 제1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특징점과 제3 특징점 간의 거리정보와 제2 특징점과 제3 특징점 간의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제1 특징점이 제3 특징점과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특징점과 제3 특징점을 연결한 제2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특징점으로부터 복수의 특징선분이 생성될 수도 있다.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과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을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전의 제1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1a와, 시뮬레이션 이후의 제1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1b를 비교하여 각도와 크기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시뮬레이션 이전의 제2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2a와, 시뮬레이션 이후의 제2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2b를 비교하여 각도와 크기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전성 평가부는 생성된 모든 특징선분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안전성 평가부는 산출된 각각의 변화량들을 합산하여 합산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합산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합산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건축물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산출된 합산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건축물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결과 건축물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200)에 의해 생성된 도시 계획 설명서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지역에 시공될 건축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시 개발 또는 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지역에 시공될 건축물이 안전한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받아 안전한 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데이터베이스부
220: 데이터 가공부
230: 문서 생성부
240: 구현부
250: 안전성 평가부

Claims (2)

  1.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목적, 대상 지역, 시공사, 개발 기간, 신축 건축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계획 설명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에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이 이루어질 지역에 대한 3차원 건물모델을 생성하는 구현부; 및
    상기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성 평가부는,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설정하고,
    생성된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설정된 최대 하중을 가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변형도를 시뮬레이션하여, 측정된 3차원 건물 모델의 변형도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에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하고, 복수의 특징점 중 서로 이웃하는 두 특징점을 연결하는 특징선분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성분의 각도와 크기를 나타나는 벡터정보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과 시뮬레이션 이후의 벡터정보들을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각의 변화량들을 합산하여 합산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합산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2. 삭제
KR1020220127555A 2022-03-31 2022-10-06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KR10250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55A KR102505115B1 (ko) 2022-03-31 2022-10-06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21A KR102453874B1 (ko) 2022-03-31 2022-03-31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
KR1020220127555A KR102505115B1 (ko) 2022-03-31 2022-10-06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21A Division KR102453874B1 (ko) 2022-03-31 2022-03-31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15B1 true KR102505115B1 (ko) 2023-02-28

Family

ID=83599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21A KR102453874B1 (ko) 2022-03-31 2022-03-31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
KR1020220127555A KR102505115B1 (ko) 2022-03-31 2022-10-06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21A KR102453874B1 (ko) 2022-03-31 2022-03-31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38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79B1 (ko) * 2013-05-20 2013-07-10 (주)한성개발공사 지적도 및 도시계획도 관리 시스템
KR102184048B1 (ko) 2018-07-10 2020-11-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KR102356403B1 (ko) * 2019-12-02 2022-01-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변형 형상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79B1 (ko) * 2013-05-20 2013-07-10 (주)한성개발공사 지적도 및 도시계획도 관리 시스템
KR102184048B1 (ko) 2018-07-10 2020-11-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KR102356403B1 (ko) * 2019-12-02 2022-01-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변형 형상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74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 BIM-WMS integrated decision support tool for supply chain management in construction
Chen et al. Development of city buildings dataset for urban building energy modeling
Xiao et al. Urban morphology and housing market
Nyimbili et al. Integration of GIS, AHP and TOPSIS for earthquake hazard analysis
Irizarry et al. Optimizing location of tower cranes on construction sites through GIS and BIM integration
Ren et al. Developing an information exchange scheme concerning value for money assessment in Public-Private Partnerships
KR20130019629A (ko)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amírez Eudave et al. On the suitability of a unified GIS-BIM-HBIM framework for cataloguing and assessing vulnerability in Historic Urban Landscapes: A critical review
Bansal Integrated framework of BIM and GIS applications to support building lifecycle: A move toward nD modeling
Omrany et al. The uptake of City Information Modelling (CIM):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implementation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Fan et al. Evaluation for social and humanity demand on green residential districts in China based on SLCA
Kalantari et al. Assessing OpenStreetMap as an open property map
KR102184048B1 (ko)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Mirpanahi et al.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BIM attribute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riteria using PLS-SEM technique
Fadoul et al. A knowledge-based model for constructability assessment of buildings design using BIM
Knoth et al. Buildings in GI: How to deal with building models in the GIS domain
Jafary et al. BIM and real estate valuation: Challenges, potentials and lessons for future directions
KR102505115B1 (ko) 토지 이용 계획 문서화 및 안전성 평가 시스템
Cichociński et al. Spatio-temporal analysis of the real estate marke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hatta et 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s a Planning Support System (PSS) in Urban Planning: Theoretical Review and its Practice in Urban Renewal Process in Hong Kong
JP2003196369A (ja) 不動産評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Ezekwem Environmental information modeling: An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lean and green developments
JP2003330360A (ja) 時系列的に複数のレコードを記憶する地図データベースのデータ構造
Muthumanickam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BIM-energy use ontology
Stephenson Quantifying the effec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on housing prices in metropolitan Atlan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