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29B1 -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29B1
KR102505029B1 KR1020210014626A KR20210014626A KR102505029B1 KR 102505029 B1 KR102505029 B1 KR 102505029B1 KR 1020210014626 A KR1020210014626 A KR 1020210014626A KR 20210014626 A KR20210014626 A KR 20210014626A KR 102505029 B1 KR102505029 B1 KR 10250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umidifier
sterilizing water
steriliz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415A (ko
Inventor
강환수
Original Assignee
(주)덕산코트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산코트랜 filed Critical (주)덕산코트랜
Priority to KR102021001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가 설치되어 열교환기와 가습기를 일체화시키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에 분사되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살균수 탱크를 포함하는 분사살균장치와;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와 가습기를 거쳐 케이싱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송 및 관리가 용이하고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Thermo-hygrostat with integrated steriliza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humidifier}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와 가습기를 일체로 살균할 수 있는 일체형 분사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항온항습기는 전산실의 장비와 전산매체, 공공기록물, 도서관, 문화재 등의 보존과 유지를 위해 사용되며, 정밀한 온습도의 평형이 요구되는 반도체, 제약, 생명과학 등 첨단 분야와 미래농업을 견인하고 있는 스마트 파밍(Smart Farming)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항온항습기, 가정용 에어컨, 차량용 에어컨 등의 공조제품들은 공기와, 물, 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질을 관리하는 장비이며, 특히 항온항습기는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가 함께 관리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항온항습기는 냉동사이클(Refrigeration cycle) 즉, 증발, 압축, 응축, 팽창의 4가지 장치에서 많은 전력이 소모되며, 이외에도 온습도 관리를 위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별도의 가열을 위한 히터와 설정습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가습을 위한 가습기에서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항온항습기는 냉동사이클의 증발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가습기가 내부에 설치되는데, 열교환기에서는 냉동사이클 중에 응축수가 표면에서 발생하면서 오염이 되고, 가습기는 세균이 내부에서 증식되어 오염된다.
이를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81955호(명칭 : 전해수에 의한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가습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는 전해수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와 기화식 가습기를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위 특허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열교환기와 기화식 가습기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전해수 분사부가 열교환기와 기화식 가습기를 따로따로 담당하는 구조로 장치의 천장 측에 설치되어 있어 장치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오염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 있었다. 특히, 2개의 전해수 분사부가 열교환기와 기화식 가습기의 직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해수를 열교환기와 기화식 가습기의 상단을 향해 분사하고 있어 전체 표면에 걸쳐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살균수를 분사하여 열교환기와 가습기의 오염을 해소하고 있는데, 열교환기와 가습기 및 이들에 살균수를 분사하는 장치들이 모두 분리된 상태로 항온항습기 내부에 설치되다 보니 내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오염관리가 쉽지 않고 살균과정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68195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기와 가습기 그리고 살균장치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장비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비의 오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일체화된 상태에서 살균수를 열교환기와 가습기에 효과적인 위치에서 분사함으로써 살균시간의 절감과 살균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에 동시에 분사되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살균수 탱크를 포함하는 분사살균장치와,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와 가습기를 거쳐 케이싱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살균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 사이에 분사되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살균수 탱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살균장치의 살균수 탱크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저면에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의 표면에 살균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다.
특히,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은 상기 살균수 탱크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2열 배치되어, 전방 1열의 분사노즐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살균수를 분사하고, 후방 1열의 분사노즐은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 사이에 살균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은 초음파식 무압 포그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살균수 탱크에 저장되는 살균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획득한 전해수로서,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의 살균 또는 공기의 살균에 따라 전해수의 농도를 달리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에는 일반운전버튼과 장비살균버튼이 구비된 운전반이 설치되어, 상기 일반운전버튼이 눌렸을 때는 상기 송풍기가 작동되어 항온항습 공정이 가동되고, 상기 장비살균버튼이 눌렸을 때는 항온항습 공정은 가동되지 않으면서 살균수는 상기 열교환기와 가습기의 표면에 분사된다.
나아가 상기 운전반에는 공기살균버튼이 더 구비되어, 공기살균버튼 눌렸을 때는 상기 송풍기가 작동되어 항온항습 공정이 가동되고, 살균수는 pH 5.0~6.0 범위의 약산성으로 유효 염소농도는 10~80 pmm을 함유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는 열교환기와 가습기,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살균수 탱크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므로, 운송 및 관리가 용이하고 케이싱 내부에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열교환기의 전방과 열교환기와 가습기의 사이에서 살균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넓게 분사함으로써 살균수가 열교환기와 가습기의 전체 표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살균이 진행되므로 촘촘하게 살균이 진행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살균수의 농도 조절 그리고 살균수와 일반 물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일반 항온항습운전, 장비 살균운전 및 공기 살균운전을 선택할 수 있어 장비 내부의 오염과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를 보인 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체화된 열교환기, 가습기 및 분사살균장치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가습기 및 분사살균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살균장치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수를 이용한 일체형 분사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를 보인 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화된 열교환기, 가습기 및 분사살균장치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가습기 및 분사살균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살균장치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기(30)와,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분사살균장치(4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5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60)와, 상기 케이싱(10)의 흡입구(11) 측에 설치되는 필터(70)와, 상기 분사살균장치(40)에 살균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해수 생성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항온항습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측에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12)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상기 흡입구(11)는 케이싱(1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송풍기(50)가 작동될 때 케이싱(10) 외부의 공기가 이 곳을 통해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케이싱(10)의 상면 또는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조화 공정을 거진 후 이 곳을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열교환기(20)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로서, 외관을 이루는 틀 내부에 다수의 냉매관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한다.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떨어진다.
상기 가습기(30)는 외관을 이루는 틀 내부에 다공성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져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기화식 가습기로서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되 열교환기(20)의 후방쪽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기에 습기를 제공한다. 즉 송풍기(5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기(20)를 통과하고, 연이어 가습기(3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수분이 포함된다.
상기 분사살균장치(40)는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모듈로 일체화시키면서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에 살균수를 일체로 분사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분사살균장치(40)는 연결프레임(41)과, 상기 연결프레임(41)에 일체로 구비된 살균수 탱크(4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41)에는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41)은 외관을 이루는 틀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구조이고, 연결프레임(41)의 전방쪽에는 열교환기(20)를 설치하고 연결프레임(41)의 후방쪽에는 가습기(30)를 설치하여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일체화시킨다. 따라서 연결프레임(41)를 중심으로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는 일체화된 모듈이 된다. 즉 열교환기(20), 가습기(30) 및 연결프레임(41)은 각자의 외관을 이루는 틀이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연결프레임(41)을 중심으로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가 전후 마주보게 배치되는 하나의 모듈로 일체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살균수 탱크(42)는 연결프레임(41)에 구비되어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에 분사되는 살균수를 제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살균수 탱크(42)는 연결프레임(41)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저면에 다수의 분사노즐(N)이 설치된다. 따라서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의 표면에 살균수가 분사될 때 살균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된다.
특히, 살균수 탱크(42)의 저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N)을 전자식 무압 포그(Fog) 노즐로 구성함으로써 열교환기(20)의 표면과 가습기(30)의 표면 전체에 빈 틈 없이 살균수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식 무압 포그 노즐은 초음파 진동으로 분무되는 살균수를 인공안개 입자로 넓은 범위로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에 전해수가 맺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살균수 탱크(42)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N)은 전후방으로 2열 배치된다. 이렇게 2열로 배치된 분사노즐 중 전방 1열의 분사노즐은 열교환기(20)의 전면에 살균수를 분사하고, 후방 1열의 분사노즐은 열교환기(20)의 후면과 가습기(30)의 전면에 살균수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열교환기(20)의 전면과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 사이에서 전해수가 인공안개 입자로 넓은 범위로 균일하고 강력하게 분사됨으로써,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의 전체에 빈 틈 없이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이때 가습기(30)의 반대 면에서도 살균수를 분사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화식 가습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수성이 좋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어느 한쪽에만 살균수를 분사해도 반대쪽까지 충분히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 탱크(42)에 저장되는 살균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획득한 전해수를 사용한다.
케이싱(10)의 외부에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만드는 전해수 생성장치(80)가 구비되고, 이 전해수 생성장치(80)와 살균수 탱크(42)가 배관 또는 호스 등을 통해 펌프(90)와 연결되어 전해수가 살균수 탱크(42)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전해조에 유입한 수돗물 등의 물을 전기 분해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한 전해수를 생성시킨다. 전해수는 차염소산수 또는 차염소산나트륨 등을 생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80)는 살균 모드에 따라 전해수의 농도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의 살균이 필요한 장비살균 시에는 고농도의 전해수를 생성하고, 외부 공기의 살균이 필요한 공기살균 시에는 저농도의 전해수를 생성한다. 전해수의 농도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값을 다르게 하여 전해수중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저농도의 전해수는 피부(pH 5.5)에 자극을 주지 않는 pH 5.0~6.0 범위의 약산성으로 유효 염소농도는 10~80 pmm을 함유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해수 생성장치(80)가 케이싱(10) 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항온항습기의 크기 또는 설치 장소 등에 따라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항온항습기의 운전은 일반 운전, 장비 살균 운전 그리고 공기 살균 운전으로 구분된다. 일반 운전은 전해수 공급이 중단된 상태로 항온항습 운전하는 모드이고, 장비 살균 운전은 항온항습 운전이 중단된 상태로 열교환기와 가습기를 고농도의 전해수로 살균하는 운전 모드이고, 공기 살균 운전은 항온항습 운전과 함께 공기를 저농도의 전해수로 살균하는 운전모드이다.
이를 위해 케이싱(10)에는 일반운전버튼(13a). 장비살균버튼(13b) 및 공기살균버튼(13c)이 구비된 운전반(13)이 설치되는데, 이 운전반(13)의 조작을 통해 항온항습 공정과 살균 공정이 가동되거나 가동 정지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 항온항습 운전을 위해 운전버튼(13a)을 누르면 항온항습기는 작동되어 항온항습 공정이 진행되면서, 전해수 공급은 차단되어 살균공정은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 살균을 위해 공기살균버튼(13c)을 누르면 항온항습기는 작동되어 항온항습 공정이 진행되고, 전해수 생성장치(80)에서는 저농도의 전해수가 생성되어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에 분사됨과 아울러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통과하는 공기에도 직접 분사되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의 살균공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장비 살균을 위해 장비살균버튼(13b)을 누르면 항온항습기는 작동되지 않아서 항온항습 공정은 진행되지 않고, 전해수 생성장치(80)에서는 고농도의 전해수가 생성되어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에 분사됨으로써 살균공정이 진행된다. 이때 송풍기(50)는 중단되기 때문에 고농도의 전해수는 외부로 토출됨이 없이 장비의 살균에만 사용된다.
한편, 살균수 탱크(42)는 앞서 기재한 대로 전해수 생성장치(80)와 연결되어 전해수를 공급받아 살균공정을 진행하지만, 일반적인 물 공급장치와도 연결되어 살균수 대신 일반적인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버튼(13a)이 눌려 항온항습 공정이 진행될 때 그 과정 중에 분사노즐(N)을 통해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열교환기(20)에 일반적인 물이 급수될 경우 증발열을 이용한 냉각효과를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50)는 케이싱(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거쳐 케이싱(10)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즉 송풍기(50)가 작동되면 송풍기(5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 후 항온항습 공정을 거쳐 케이싱(10)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히터(60)는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외부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상기 필터(70)는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케이싱(10)의 흡입구(11) 측에 설치하여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정화할 수도 있고, 케이싱(10)의 토출구(12) 측에 설치하여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한 후 케이싱(10) 외부로 토출할 수도 있으며, 케이싱(10)의 흡입구(11) 측과 토출구(12) 측에 모두 설치할 수도 있다.
10: 케이싱 11: 흡입구
12: 토출구 13: 운전반
13a: 일반 운전버튼 13b:장비살균 운전버튼
13c:공기살균 운전버튼 20: 열교환기
30: 가습기 40: 분사살균장치
41: 연결프레임 42: 살균수 탱크
50: 송풍기 60: 히터
70: 필터 80: 전해수 생성장치
N: 분사노즐

Claims (9)

  1.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기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30)와;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에 동시에 분사되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살균수 탱크(42)를 포함하는 분사살균장치(40)와; 상기 케이싱(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를 거쳐 케이싱(10)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송풍기(50);를 포함하는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살균장치(40)는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41)과, 상기 연결프레임(41)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 사이에 분사되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살균수 탱크(42)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20)는 외관을 이루는 틀 내부에 다수의 냉매관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습기(30)는 외관을 이루는 틀 내부에 다공성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진 기화식 가습기이고, 상기 연결프레임(41)은 외관을 이루는 틀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열교환기(20), 가습기(30) 및 연결프레임(41)은 각자의 외관을 이루는 틀이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프레임(41)을 중심으로 상기 열교환기(20)와 상기 가습기(30)가 전후 마주보게 배치되는 하나의 모듈로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살균장치(40)의 살균수 탱크(42)는 저면에 다수의 분사노즐(N)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의 표면에 살균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N)은 상기 살균수 탱크(42)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2열 배치되어, 전방 1열의 분사노즐은 상기 열교환기(20)의 전면에 살균수를 분사하고, 후방 1열의 분사노즐은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 사이에 살균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N)은 초음파식 무압 포그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탱크(42)에 저장되는 살균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획득한 전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장치(80)는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의 살균 또는 공기의 살균에 따라 전해수의 농도를 달리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일반운전 버튼(13a)과 장비살균 버튼(13b)이 구비된 운전반(13)이 설치되어, 상기 일반운전 버튼(13a)이 눌렸을 때는 상기 송풍기(50)가 작동되어 항온항습 공정이 가동되고, 상기 장비살균버튼(13b)이 눌렸을 때는 항온항습 공정은 가동되지 않으면서 살균수는 상기 열교환기(20)와 가습기(30)의 표면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전반(13)에는 공기살균 버튼(13c)이 더 구비되어, 공기살균 버튼(13c) 눌렸을 때는 상기 송풍기(50)가 작동되어 항온항습 공정이 가동되고, 살균수는 pH 5.0~6.0 범위의 약산성으로 유효 염소농도는 10~80 ppm을 함유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KR1020210014626A 2021-02-02 2021-02-02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KR10250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26A KR102505029B1 (ko) 2021-02-02 2021-02-02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26A KR102505029B1 (ko) 2021-02-02 2021-02-02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415A KR20220111415A (ko) 2022-08-09
KR102505029B1 true KR102505029B1 (ko) 2023-03-02

Family

ID=8284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26A KR102505029B1 (ko) 2021-02-02 2021-02-02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498A (ko) 2022-10-11 2024-04-19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실내공기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55B1 (ko) * 2015-08-21 2016-12-02 주식회사 휴먼에어텍 전해수에 의한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가습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1981A3 (en) * 2006-08-25 2009-10-21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filtering apparatus and air filtering system
KR20180123865A (ko) * 2017-05-10 2018-11-20 오성에스티주식회사 항온항습기
KR102436261B1 (ko) * 2017-12-06 2022-08-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증발 냉각기
KR102399992B1 (ko) * 2017-12-06 2022-05-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55B1 (ko) * 2015-08-21 2016-12-02 주식회사 휴먼에어텍 전해수에 의한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가습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415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8826B2 (ja) 空気除菌装置
CN207132459U (zh) 一种空调
KR101681955B1 (ko) 전해수에 의한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가습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
KR10211953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KR101503025B1 (ko) 살균유니트를 구비한 다층 구조의 자정식 공기조화장치
KR102505029B1 (ko)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CN107327945A (zh) 一种空调
KR101403960B1 (ko) 자연 기화 가습기
CN101590250B (zh) 除菌系统和空调除菌系统
JP2003014261A (ja) 加湿装置
KR101688577B1 (ko) 나노버블을 이용한 직분사 노즐형 가습시스템
CN107388411A (zh) 一种空调
CN101676644B (zh) 电解水生成装置及除菌系统
CN201285132Y (zh) 超音波震荡加湿机
KR102483191B1 (ko) 살균성능이 향상된 항온항습기
KR102533491B1 (ko) 공기 및 장비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의 살균시스템
CN207214250U (zh) 一种空调
JP2009039560A (ja) 空気除菌装置
CN113864913B (zh) 一种用于中央空调的活性雾离子发生装置
KR101153974B1 (ko) 기화식 가습 살균기
US7399343B2 (en) System and device for mass transfer and elimination of contaminants
US20060202365A1 (en) Self contained wall mounted room humidifier
KR102506103B1 (ko) 열교환기와 가습기가 일체로 자외선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
CN211064437U (zh) 一种低温蘑菇房恒温恒湿系统
JP533521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