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78B1 -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78B1
KR102504778B1 KR1020180103432A KR20180103432A KR102504778B1 KR 102504778 B1 KR102504778 B1 KR 102504778B1 KR 1020180103432 A KR1020180103432 A KR 1020180103432A KR 20180103432 A KR20180103432 A KR 20180103432A KR 102504778 B1 KR102504778 B1 KR 10250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ilm
tensile force
temperature
change r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517A (ko
Inventor
강문식
임채민
김준석
이창엽
이광용
염치선
김다애
박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Publication of KR2019002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e.g. refractory materials, to rapid heat ch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온도 정보, 제2 온도 정보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MECHANICAL AND THERMAL PERFORMANCE OF HEATING FILM}
본 발명은 발열필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함께 테스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이 캠핑 등의 새로운 취미 생활을 가짐에 따라 발열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성능의 발열제품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제품 중 전기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통상의 면상발열체는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일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소음이 없기 때문에 발열을 요하는 매트, 패드, 침대 매트리스, 보온 이불, 담요, 및 주거용 난방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상업용 건물의 난방 장치, 산업용 난방 장치, 농업용 설비, 동결방지장치 등에도 이용되고 있으므로, 사람들의 생활 곳곳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체에 대한 계속된 연구 결과로 얇은 필름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열필름(heating film)이 개발되었다. 다만, 개발된 발열필름에 대해여 일정한 성능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열필름의 성능을 평가하는 테스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추가적으로 계속되었다.
기존의 발열필름의 성능 테스트 방법은 접착 강도 테스트, 열충격 테스트, 연속 동작 테스트, 인장 강도 테스트 및 표면 온도 제어 테스트 등을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다만, 이러한 개별적인 테스트는 단위적인 신뢰성 테스트에 불과함으로, 발열필름의 종합적인 성능을 테스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종 테스트를 개별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막대한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방법은,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온도 정보, 제2 온도 정보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정보, 제2 온도 정보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온도 정보 및 제2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 온도 변화율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변화율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인장력보다 강한 제2 인장력을 발열필름에 가하며, 제2 인장력에 대한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3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온도 정보, 제3 온도 정보 및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방법은,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저항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저항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저항 값, 제2 저항 값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는, 두 개의 지그(jig), 푸쉬 풀 게이지(push pull gage), 온도 측정 장치, 프로세서(processor) 및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제1 온도 정보, 제2 온도 정보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온도 정보 및 제2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제1 온도 변화율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제1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인장력보다 강한 제2 인장력을 발열필름에 가하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2 인장력에 대한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3 온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제2 온도 정보, 제3 온도 정보 및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는, 두 개의 지그(jig), 푸쉬 풀 게이지(push pull gage), 저항 측정 장치, 프로세서(processor) 및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저항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저항 값을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저항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저항 값을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제1 저항 값, 제2 저항 값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필름의 인장 강도 테스트, 열적 성능 테스트 및 장기 내구성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 PL)과 관련하여 제조사 및 클라이언트에게 종합적인 테스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발열필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j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발열필름의 개념도이다.
발열필름(heating film)은 전류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얇은 필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전도성 인크를 이용하여 발열 회로를 인쇄한 필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발열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에 대상이 될 수 있는 발열필름 중 하나를 예로 나타낸 것이며, 통상의 발열필름은 모두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에 대상이 될 수 있는 발열필름은 보호층(110), 발열층(120) 및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필름의 구성은 명칭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능을 하나의 구성이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능을 복수의 구성이 수행할 수 있다.
보호층(110)은 발열층(120)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층(120)의 상층 부분에 적층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및 아크릴(Acrylic)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PI는 높은 열 안정성으로 인해 고온 및 저온을 견딜 수 있고, 내화학성, 내마모성도 높은 성질을 가질 수 있고, TPU는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며, 내구성이 강하고, 마모가 잘 되지 않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아크릴은 투명하고, 단단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발열층(120)은 전도성 잉크로 구성된 발열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도성 잉크로 실버 페이스트, 가본 페이스트, 탄소나노튜브 및 은나노 잉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발열층(120)은 전도성 잉크를 후술하는 기판(130)에 인쇄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잉크를 인쇄하는 방식은 스크런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플렉소 프린팅, 레터프레스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및 롤투롤 그라비아 프린팅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판(130)에는 절연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위해 절연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절연성 기판 또는 절연성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사이클로올레핀(cyclo olefin, COC)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대부분의 발열필름은 철판,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의 피착물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핸들링하거나 포장 시 단자부의 인장 강도가 발열필름의 성능 테스트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부착된 발열필름의 계면에서 서로 다른 이형 특성으로 물리적인 힘이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필름의 인장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할 요소가 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발열필름의 테스트는 기계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 발열필름의 발열 성능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발열필름의 테스트는 발열필름을 테스트하기 위한 성능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기계적인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계적인 인장 강도 표준이 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열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종합적인 테스트를 통해 품질이 우수한 제품 평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인장 강도 표준을 4~5kgf/㎠로 설정할 수 있고, 전압 인가 조건을 구동 전압의 13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서 경시 변화율을 초기 저항과 비교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5% 이상 +5% 이하의 평가 결과가 나오도록 발열필름 성능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설정 및 목표 등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황 또는 환경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설명은 도 3과 같이 후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y), 고정된 지그(fixed jig), 움직이는 지그(moving jig) 푸쉬 풀 게이지(push pull gage) 및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통상의 실험에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AC 및 DC 중 어느 하나를 전압을 조절하며 인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그(jig)는 일종의 고정시킬 수 있는 일종의 보조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고정된 지그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보조 기구를 의미할 수 있고, 움직이는 지그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보조 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각 지그는 도 2에 나타낸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푸쉬 풀 게이지는 물체를 당기거나 미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에서는 푸쉬 풀 게이지의 양 끝단을 고정된 지그 및 움직이는 지그에 고정시켜, 움직이는 지그의 움직임에 따라 당겨지는 힘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측정 장치는 발열필름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구를 의미할 수 있으며, 통상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방법은 우선, 테스트 대상인 발열필름의 전극부를 고정된 지그에 고정시킬 수 있고, 발열필름 전극부의 반대 부분을 움직이는 지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열필름의 전극부는 발열필름에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발열필름을 테스트 장치에 위치시킨 후,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필름이 발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움직이는 지그를 당김으로써 인장 강도를 함께 테스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발열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고, 움직이는 지그를 움직여 발열필름에 적용되는 인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을 통해 발열필름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인 성능 및 열적 성능을 종합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저장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두 개의 지그(jig), 푸쉬 풀 게이지(push pull gage) 및 온도 측정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 및/또는 저장 장치(4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420)와 저장 장치(4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20)는 프로세서(4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및 제1 온도 정보, 제2 온도 정보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정보, 제2 온도 정보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명령은, 제1 온도 정보 및 제2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는 명령 및 제1 온도 변화율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변화율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명령은,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은, 제1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명령 및 제1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한 경우, 제1 인장력보다 강한 제2 인장력을 발열필름에 가하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2 인장력에 대한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3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및 제2 온도 정보, 제3 온도 정보 및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지그, 푸쉬 풀 게이지 및 저항 측정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저항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저항 값을 획득하는 명령,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저항 값을 획득하는 명령 및 제1 저항 값, 제2 저항 값 및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500)는 전원공급부(510), 인장 강도 측정부(520), 온도 측정부(530) 및 판단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500)는 데이터베이스 및 저항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10)는 발열필름에 특정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다만, 인가할 수 있는 전압은 교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정에 의해 교류 또는 직류의 특정 전압 값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인장 강도 측정부(520)는 발열필름에 전원공급부(510)에 의해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미리 설정한 힘을 발열필름에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장 강도 측정부(520)는 발열필름에 미리 설정한 힘을 발열필름에 가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높은 힘을 발열필름에 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적은 일정한 구간을 나누어 구간에 따르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연속적 또는 점진적인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인장 강도 측정부(520)는 발열필름에 가하는 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발열필름에 힘을 가해지는 경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이 때의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온도 측정부(530)는 발열필름에 전원공급부(510)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 경우, 발열필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측정부(530)는 인장 강도 측정부(520) 또는 사용자에 의해 발열필름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발열필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판단부(540)는 인장 강도 측정부(520)에 의해 획득한 인장 강도 정보 및 온도 측정부(530)로부터 획득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판단부(540)는 발열필름에 가하는 힘이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발열필름의 온도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급격한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발열필름이 손상되는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급격한 변화는 온도의 변화율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온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필름의 온도 변화율과 미리 설정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우선, 발열필름에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S610). 여기서, 교류 전압은 정격 전압의 13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미리 설정한 초기 인장력을 발열필름에 부가할 수 있으며(S620), 발열필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30).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미리 설정한 온도 변화율과 발열필름의 온도 변화율을 비교할 수 있으며(S640), 발열필름의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한 온도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 인장력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S650). 이후,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발열필름의 온도를 다시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30).
다만, 발열필름의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한 온도 변화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발열필름이 해당 인장력에서 손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발열필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발열필름의 단자 간의 저항을 측정하여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발열필름의 단자 간의 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이를 심화 테스트로 지칭할 수 있으며, 단자부의 상태도 함께 확인될 수 있다.
심화 테스트에 따르는 경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제1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단자부의 손상에 따른 제2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보다 높은 힘(예를 들어, 10kgf)을 발열필름에 가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심화 테스트는 순간적인 높은 힘에 따라 단자부 파과 테스트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 및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힘에 따른 단자부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장치는 도 7과 같이 발열필름의 단자부 및 발열필름 반대측의 끝단을 각각 움직이는 지그 및 고정된 지그에 연결하여 단자부의 내구성을 고려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발열필름의 단자부가 아닌 일측의 끝단 및 타측의 끝단을 각각 움직이는 지그 및 고정된 지그에 연결하여 발열필름만을 고려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7 내지 10과 함께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움직이는 지그에 발열필름의 단자부를 연결하고, 고정된 지그에 발열필름 반대측의 끝단을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테스트 결과는 도 8a 내지 도 8f와 함께 후술하겠다. 여기서, 도 7은 발명의 이해를 돕게 위해 나타낸 모습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모습으로, 인장력의 크기는 각각 다르나 모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8a는 인장력 0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2.5Ω 및 섭씨 32.2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b는 인장력 2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2.8Ω 및 섭씨 28.0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c는 인장력 4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2.8Ω 및 섭씨 31.1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d는 인장력 6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3.2Ω 및 섭씨 30.7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e는 인장력 8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3.6Ω 및 섭씨 28.5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f는 인장력 10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4.7Ω 및 섭씨 28.8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도 8a 내지 도 8f의 온도 데이터는 발열필름의 중앙을 측정한 것이며, 측정 부위에 따라 다른 온도 데이터가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도 8a 내지 도 8f는 일 실시예이며, 인장력 10kgf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부의 연결이 끊어지기 전까지 계속하여 인장력을 단계적으로 높여 테스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부의 연결이 끊어지는 인장력의 강도를 단자부의 내구성 한계 인장력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인장력의 강도를 발열 한계 인장력으로 판단할 수 있고, 단자부의 내구성 한계 인장력 및 발열 한계 인장력 중 낮은 인장력을 해당 발열필름의 한계 인장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움직이는 지그 및 고정된 지그에 각각 발열필름의 단자부를 제외한 양 끝단을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테스트 결과는 도 10a 내지 도 10j와 함께 후술하겠다. 여기서, 도 9는 발명의 이해를 돕게 위해 나타낸 모습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a 내지 도 10j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j는 도 9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모습으로, 인장력의 크기는 각각 다르나 모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0a는 인장력 0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0.0Ω 및 섭씨 32.3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b는 인장력 2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0.3Ω 및 섭씨 33.1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c는 인장력 4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0.5Ω 및 섭씨 34.3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d는 인장력 6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0.8Ω 및 섭씨 29.7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e는 인장력 8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1.4Ω 및 섭씨 32.7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f는 인장력 10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1.7Ω 및 섭씨 32.1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g는 인장력 12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2.3Ω 및 섭씨 32.9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h는 인장력 16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4.6Ω 및 섭씨 30.4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i는 인장력 18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5.6Ω 및 섭씨 30.9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j는 인장력 20kgf인 경우 발열필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발열필름 테스트 장치는 저항 값 76.2Ω 및 섭씨 29.6 도의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0a 내지 도 10j의 온도 데이터는 발열필름의 중앙을 측정한 것이며, 측정 부위에 따라 다른 온도 데이터가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0a 내지 도 10j는 일 실시예이며, 인장력 20kgf에 한정되지 않고 계속하여 인장력을 단계적으로 높여 테스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인장력의 강도를 발열 한계 인장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필름 테스트 방법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공급부, 푸쉬 풀 게이지 및 온도 측정 장치가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고, 인장 강도 조절, 전압 인가 조절 및 온도 측정 등을 수행하는 명령을 메모리가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으로 발열필름의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보호층 120: 발열층
130: 기판

Claims (12)

  1.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상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 정보, 상기 제2 온도 정보 및 상기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 정보 및 상기 제2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 변화율 및 상기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 변화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 변화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인장력보다 강한 제2 인장력을 상기 발열필름에 가하며, 상기 제2 인장력에 대한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3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온도 정보, 상기 제3 온도 정보 및 상기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6.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저항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발열필름에 4~5㎏f/㎠의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상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저항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항 값, 상기 제2 저항 값 및 상기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저항 값과 상기 제2 저항 값에 기초한 경시변화율을 초기 저항과 비교하여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경시변화율이 -5% 이상, +5%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시변화율이 -5% 이상, +5% 이하의 범위에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7.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지그(jig);
    푸쉬 풀 게이지(push pull gage);
    온도 측정 장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지그에 연결된 상기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발열필름에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상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온도 정보, 상기 제2 온도 정보 및 상기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온도 정보 및 상기 제2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제1 온도 변화율 및 상기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온도 변화율 및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을 비교하여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온도 변화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온도 변화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변화율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인장력보다 강한 제2 인장력을 상기 발열필름에 가하며, 상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인장력에 대한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3 온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2 온도 정보, 상기 제3 온도 정보 및 상기 제2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되는, 테스트 장치.
  12.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지그(jig);
    푸쉬풀게이지(push pull gage);
    저항 측정 장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저항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지그에 연결된 상기 발열필름에 대한 제1 저항 값을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발열필름에 4~5㎏f/㎠의 제1 인장력을 가하며, 상기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장력에 대한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저항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장력을 가한 발열필름에 대한 제2 저항 값을 획득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제1 저항 값, 상기 제2 저항 값 및 상기 제1 인장 강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발열필름의 기계적 성능 및 열적 성능을 동시에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 저항 값과 상기 제2 저항 값에 기초한 경시변화율을 초기 저항과 비교하여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필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경시변화율이 -5% 이상, +5%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되지 않은 발열필름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시변화율이 -5% 이상, +5% 이하의 범위에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열필름을 손상된 발열필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KR1020180103432A 2017-09-01 2018-08-31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 KR102504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2135 2017-09-01
KR1020170112135 2017-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17A KR20190025517A (ko) 2019-03-11
KR102504778B1 true KR102504778B1 (ko) 2023-02-28

Family

ID=6552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32A KR102504778B1 (ko) 2017-09-01 2018-08-31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4778B1 (ko)
WO (1) WO2019045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432B1 (ko) * 2020-07-14 2022-03-16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면상발열체 발열 특성 분석 장치
CN115639064B (zh) * 2022-09-30 2023-07-14 培迪新材料科技(江苏)有限责任公司 一种塑料包装袋韧性强度检测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7150A (ja) 2009-02-24 2010-09-09 Ihi Corp 損傷評価装置及び損傷評価方法
KR101041899B1 (ko) * 2010-12-13 2011-06-15 메디소스플러스(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JP2014182029A (ja) 2013-03-19 2014-09-29 Ihi Corp 高温割れ評価方法及び高温割れ評価装置
JP2016024056A (ja) * 2014-07-22 2016-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疲労限度応力特定システムおよび疲労限度応力特定方法
JP2018004273A (ja) 2016-06-27 2018-01-11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強度測定方法および強度測定を行う引張または圧縮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403A (ja) * 1994-07-27 1996-02-06 Fuji Electric Co Ltd 材料試験片を取付けた寿命消費監視材料試験装置
JPH09161952A (ja) * 1995-12-07 1997-06-20 Kurabe Ind Co Ltd 面状発熱体
JP4084499B2 (ja) * 1999-06-11 2008-04-30 株式会社東洋精機製作所 フィルム状試験片の引張試験方法とその装置
JP3983938B2 (ja) * 1999-06-18 2007-09-26 エスアイアイ・ナノ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熱機械測定装置の引っ張り測定用試料長さ設定治具及びそれを備えた熱機械測定装置
JP4439682B2 (ja) * 2000-05-15 2010-03-24 Jsr株式会社 被覆ファイバの力学特性試験方法および引張試験機
KR20040056910A (ko) * 2002-12-24 2004-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탈부착이 가능한 인장 시험용 열전대
DE102014102077A1 (de) * 2014-02-19 2015-08-20 Netzsch-Geräte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essung einer Längenänderung einer Probe und/oder zur Messung einer Deformationskraft an einer Prob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7150A (ja) 2009-02-24 2010-09-09 Ihi Corp 損傷評価装置及び損傷評価方法
KR101041899B1 (ko) * 2010-12-13 2011-06-15 메디소스플러스(주)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JP2014182029A (ja) 2013-03-19 2014-09-29 Ihi Corp 高温割れ評価方法及び高温割れ評価装置
JP2016024056A (ja) * 2014-07-22 2016-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疲労限度応力特定システムおよび疲労限度応力特定方法
JP2018004273A (ja) 2016-06-27 2018-01-11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強度測定方法および強度測定を行う引張または圧縮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17A (ko) 2019-03-11
WO2019045525A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778B1 (ko) 발열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
Bessonov et al. Highly reproducible printable graphite strain gauges for flexible devices
BR102018004142B1 (pt) Sistema de ensaio não destrutivo, e, método
US20120029851A1 (en) Remaining capacity detecting device and battery control ic
CN107110716B (zh) 传感器片
TWI638580B (zh) 減少引線數的加熱器陣列區塊
Schutzeichel et al.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multifunctional polymer electrolyte coated carbon fibres
CN108432341B (zh) 集成加热器和传感器系统
Dahmardeh et al. High‐power MEMS switch enabled by carbon‐nanotube contact and shape‐memory‐alloy actuator
US7882748B2 (en) Clip for detecting bending force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CN102628668A (zh) 用于确定多层结构中感兴趣的层的厚度的系统和方法
CN110800152A (zh) 电池温度检测系统和方法
JP4925042B2 (ja) 絶縁検査装置
US20130009660A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150042367A1 (en)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ickness
CN106293285A (zh) 触摸屏及显示装置
JP2012057992A (ja) 感圧センサー
WO2017197336A1 (en) Dual measurement displacements sensing technique
KR20230068421A (ko) 직류 충전 전류 결정 방법, 장치 및 차량
Song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single asperity contact and separation in Au
CN220085014U (zh) 一种用于监测锂电池鼓胀的装置、电子设备
JP2001300740A (ja) 抵抗溶接機
US11217740B2 (en) Thermoelectric module
KR102616290B1 (ko) 발열필름의 수중 절연 저항 및 내전압 테스트 방법 및 장치
KR20210044696A (ko) 발열필름 인쇄 전극 및 전선 연결부의 압착 두께 측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