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203B1 -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203B1
KR102504203B1 KR1020210047698A KR20210047698A KR102504203B1 KR 102504203 B1 KR102504203 B1 KR 102504203B1 KR 1020210047698 A KR1020210047698 A KR 1020210047698A KR 20210047698 A KR20210047698 A KR 20210047698A KR 102504203 B1 KR102504203 B1 KR 10250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crew
main screw
ro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504A (ko
Inventor
윤영화
박성조
정동군
정일수
안홍훈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2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헤드 용접 시 작업자의 팔을 얹어 지지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에 관한 것으로, 일정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스크류; 상기 메인 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는 메인 자석홀더; 상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여 회전하거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회전자와, 상기 메인 스크류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일측이 메인 회전자에 고정되는 막대형 선반으로 된 지지대; 상기 메인 회전자가 메인 스크류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메인 회전자를 받치며 메인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지지너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SUPPORT ZIG FOR OVER-HEAD WELDING}
본 발명은 오버헤드 용접 시 작업자의 팔을 얹어 지지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의 선박건조 과정에서, 선체 블록의 하부에 러그나 기타 다양한 부착물을 붙이기 위하여 오버헤드 자세의 용접이 빈번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오버헤드 용접을 사람에 의해 수행할 경우, 용접 토치를 들고 계속적으로 팔을 위쪽으로 뻗어 장시간 작업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감을 가중시켰으며, 작업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힘든 작업여건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38호(2004.11.10)에서는 작업자의 허리에 있는 안전벨트에 치공구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벨트 탈착고리와, 상기의 안전벨트 탈착고리에 일치하여 연결된 허리 고정링과, 허리 고정링과 일치하여 연결되어 치공구의 몸체를 이루는 파이프와, 상기의 파이프 내부에 연결되어 신축성을 가지는 스프링과, 스프링에 연결되어 다양한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와, 유니버셜 조인트에 다른 한쪽에 연결되며 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밴드를 구비한 팔걸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선행 오버헤드 용접용 치공구를 제공한다.
하지만, 오버헤드 용접작업의 특성상 작업자는 용접토치를 파지한 팔을 일정한 자세로 장시간 유지하거나, 팔을 미세하게 이동해야 하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실제로 용접기를 파지한 팔이 지지 되지 않아 작업자의 근육 피로도가 매우 높았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거나, 미세한 자세이동을 하기에 어려움이 따라 작업자의 자세가 불안정하여 작업품질의 저하를 가져온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39635호(2013.12.23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오버헤드 용접 작업자가 작업 위치와 자세 등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팔을 받쳐 지지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스크류;
상기 메인 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는 메인 자석홀더;
상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여 회전하거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회전자와, 상기 메인 스크류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일측이 메인 회전자에 고정되는 막대형 선반으로 된 지지대; 및
상기 메인 회전자가 메인 스크류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메인 회전자를 받치며 메인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지지너트;
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오버헤드 용접을 위해 작업자가 자신의 팔을 용접 자세에 맞춰 선반에 걸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피로를 줄이며 모재에 대한 섬세한 용접이 가능한 한편, 현장 환경 등에 맞춰 받침 지그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용접 현장과 작업자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 자세 등에 제한 없이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받침 지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받침 지그의 회전자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회전자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받침 지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Z)는, 일정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스크류(10); 메인 스크류(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메인 자석홀더(20);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여 회전하거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회전자(31)와, 메인 스크류(10)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일측이 메인 회전자(31)에 고정되는 막대형 선반(32)으로 된 지지대(30); 메인 회전자(31)가 메인 스크류(10)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메인 회전자(31)를 받치며 메인 스크류(10)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지지너트(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 스크류(10)는 둘레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되었으나, 메인 스크류(10)의 일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자석홀더(20)는, 선박 블록의 저면 또는 측면(이하 '벽면(W)')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영구자석(21)과, 영구자석(21)를 수용하며 메인 스크류(10)의 상단이 고정되는 하우징(22)으로 구성된다. 메인 스크류(10)와 하우징(22) 간의 고정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우징(22)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홀(221)과 메인 스크류(10) 간의 나사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메인 자석홀더(20)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영구자석(21)과 하우징(22) 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대(30)의 회전자(31)는 메인 스크류(1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홀(311)에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자(31)는 도 3의 (b)도면과 같이 메인 스크류(10)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도 3의 (a)도면과 같이 메인 스크류(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자(31)의 관통홀(311)은 내경이 메인 스크류(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메인 스크류(10)를 중심으로 회전자(31)가 공회전하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관통홀(311)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메인 스크류(10)와 나사 결합할 수도 있고, 메인 스크류(10)와 고정된 베어링 구조일 수도 있다.
베어링 구조의 회전자(31)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 실시 예로 해당 베어링은 볼베어링 구조이고, 상기 볼베어링에 구성된 내륜(미도시됨)은 메인 스크류에 고정 설치되고, 외륜(미도시됨)은 선반(32)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륜과 외륜은 다수의 볼(미도시됨)을 매개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선반(32)은 메인 스크류(1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결국, 회전자(31)가 메인 스크류(10)에 공회전하는 연결 구조인 경우에는 선반(32)이 메인 스크류(1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메인 스크류(10)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31)가 메인 스크류(10)에 나사결합하는 연결 구조인 경우에는 선반(32)이 메인 스크류(1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과 더불어 메인 스크류(10)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31)가 베어링인 경우에는 선반(32)이 메인 스크류(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30)은 선반(32)은 막대 형상을 이루므로, 작업자는 오버헤드 용접 작업을 위해 선반(32)에 자신의 팔을 얹을 수 있다. 본 실시의 선반(32)은 원형 막대인 것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판형일 수 있다.
지지너트(40)는 메인 회전자(31)가 메인 스크류(10)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메인 회전자(31)를 받치며 메인 스크류(10)에 나사 결합된다. 지지너트(40)는 메인 스크류(1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므로, 메인 스크류(10)에 설치된 메인 회전자(31)가 작업자 팔의 중량을 지탱하며 해당 위치를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너트(40)는 메인 회전자(31)의 저면을 직접 받치도록 메인 스크류(10)와 나사결합된다. 메인 회전자(31)가 메인 스크류(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지지너트(40)는 나사 결합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면서 도 3의 (a)도면과 같이 선반(32)의 높이를 조절한다.
절연커버(51, 52)는 금속 재질인 메인 스크류(10)를 절연 피복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금속은 열전도성 재질이므로, 용접 작업 중에 발생한 열이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스크류(10)와 접하는 작업자는 화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연커버(51, 52)는 절연성 재질의 커버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도시되었으나 작업자의 팔이 직접 닿는 선반(31) 또한 절연커버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메인 회전자(31)는 손잡이 기능을 하는 메인 스크류(10)의 하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확보되도록 중앙에 위치한다. 따라서 절연커버(51, 52)는 메인 회전자(31)를 중심으로 메인 스크류(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별도 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Z)는 메인 스크류(10)에 상응하는 보조 스크류(60); 보조 스크류(60)의 상단에 고정되는 보조 자석홀더(70); 보조 회전자(33)가 보조 스크류(60)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보조 회전자(33)를 받치며 보조 스크류(60)에 나사 결합되는 보조 지지너트(미도시함);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30')는, 보조 스크류(60)가 관통하여 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반(32)의 타측에 고정되는 보조 회전자(33)를 더 포함한다.
보조 스크류(60)는 메인 스크류(1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선반(32)의 양측에 각각 메인 회전자(31)와 보조 회전자(33)가 연결되어서 메인 스크류(10)와 보조 스크류(60)에 지지대(30')가 고정되므로, 작업자의 팔을 지지하는 선반(32)이 선박 블록의 벽면(W)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보조 스크류(60) 또한 절연커버(53, 54)에 의해 절연된다. 보조 스크류(60)를 절연 피복하는 절연커버(53, 54)는 메인 스크류(20)를 절연커버(51, 52)와 사실상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지그(Z)는, 메인 회전자(3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게 설치된 보호덮개(9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용접지점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작업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메인 스크류(10)가 손잡이 부분이 없이 짧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용접지점과 작업자의 신체가 서로 근접하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도 5와 같이 메인 스크류(10)와 지지대(30)의 연결 지점에 보호덮개(90)를 추가 구성해서 용접지점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작업자에게 튀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메인 스크류(10)는 손잡이 부분이 없이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므로, 메인 회전자(31)가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기능도 갖는 절연커버(52)가 미구성된다. 따라서 메인 회전자(31)가 흔들림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하며 메인 스크류(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 구조를 보강하는 보조너트(80)를 더 포함한다. 보조너트(80)는 메인 회전자(31)의 상면에 접하도록 메인 스크류(10)에 고정되어서, 보호덮개(90)과 메인 회전자(31)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 예는 보호덮개(90)가 메인 회전자(31)와 메인 스크류(10)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조 회전자(31)와 보조 스크류(60)의 연결지점에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받침 지그의 회전자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회전자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6 내지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30)의 메인 회전자(31)는 회전패널(312)과 하부패널(313)과 상부패널(314)과 체결부로 구성된다.
회전패널(312)은, 선반(32)에 고정되어서 메인 스크류(10)와 선반(32)을 연결하는 매개체 기능을 한다. 회전패널(312)은 메인 스크류(10)와의 연결을 위해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는 원형 제1중심홀(311a)이 메인 스크류(10)의 인입출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스크류(10)는 제1중심홀(311a)을 개방하기 위해 개구된 출입구(311')를 통해 제1중심홀(311a)로 인입출하므로, 작업자는 회전패널(312)을 메인 스크류(10)에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패널(312)은 제1중심홀(311a)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원호를 따라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라인(315)이 형성된다. 가이드라인(315)에 대한 설명은 상기 체결부의 설명과 더불어 한다. 계속해서 회전패널(312)은 제1중심홀(31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돌출하게 형성되고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 상부 지지관(317)과 하부 지지관을 더 포함한다. 제1중심홀(311a)은 출입구(311') 부분을 제외한 원 형태이므로, 상부 지지관(317)과 하부 지지관은 출입구(311')를 제외한 제1중심홀(311a)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지관(317)과 하부 지지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돌출하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하부 지지관은 도면에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회전패널(312)의 본체를 기준으로 상향하게 둘출된 상부 지지관(317)과 대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관은 회전패널(312)의 본체를 기준으로 하향하게 돌출된다.
하부패널(313)은 회전패널(312)과 같이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며 제1중심홀(311a)에 연통하는 제2중심홀(311b)이 메인 스크류(10)의 인입출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제2중심홀(311b)의 개구를 위한 출입구(311') 역시 제1중심홀(311a)의 출입구(311')에 상응하는 폭과 형상을 이루므로, 회전패널(312)과 하부패널(313)이 상하로 적층되면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은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도록 상호 연통한 구조를 이루고,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 각각의 출입구(311') 역시 상호 연통한 구조를 이룬다. 결국, 출입구(311') 통해 삽입된 메인 스크류(10)는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에 삽입된다. 한편, 회전패널(312)의 하부 지지관은 제2중심홀(311b)에 삽입되어서 회전패널(312)과 하부패널(313)을 상호 연결한다. 더 나아가 하부 지지관은 단부에 플랜지가 돌출하게 형성되므로, 제2중심홀(311b)을 관통해서 단부가 돌출된 하부 지지관은 플랜지에 의해 제2중심홀(311b)의 가장자리가 걸린다. 따라서 하부패널(313)은 하부 지지관을 매개로 회전패널(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패널(314)은 회전패널(312)과 같이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며 제1중심홀(311a)에 연통하는 제3중심홀(311c)이 메인 스크류(10)의 인입출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제3중심홀(311c)의 개구를 위한 출입구(311') 역시 제1중심홀(311a)의 출입구(311')에 상응하는 폭과 형상을 이루므로, 회전패널(312)과 상부패널(314)이 상하로 적층되면 제1중심홀(311a)과 제3중심홀(311c)은 메인 스크류(10)가 관통하도록 상호 연통한 구조를 이루고, 제1중심홀(311a)과 제3중심홀(311c) 각각의 출입구(311') 역시 상호 연통한 구조를 이룬다. 결국, 출입구(311') 통해 삽입된 메인 스크류(10)는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과 제3중심홀(311c)에 동시에 삽입된다. 한편, 회전패널(312)의 상부 지지관(317)은 하부 지지관과 같이 제3중심홀(311c)에 삽입되어서 회전패널(312)과 상부패널(314)을 상호 연결한다. 더 나아가 상부 지지관(317)은 단부에 플랜지가 돌출하게 형성되므로, 제3중심홀(311c)을 관통해서 단부가 돌출된 상부 지지관(317)은 플랜지에 의해 제3중심홀(311c)의 가장자리가 걸린다. 따라서 상부패널(314)은 상부 지지관(317)을 매개로 회전패널(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연결 구조를 통해 메인 회전자(31)는 도 7의 (a)도면과 같이 회전패널(312)을 중심으로 상하에 각각 하부패널(313)과 상부패널(314)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메인 스크류(10)가 맞물리도록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과 제3중심홀(311c)이 상호 연통하고, 메인스크류(10)의 원활한 인입출을 위해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과 제3중심홀(311c) 각각의 출입구(311') 역시 상호 연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메인 회전자(31)는, 하단이 하부패널(313)에 고정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이 가이드라인(3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관통해서 상부패널(314)을 관통하며 돌출하는 연결심(316a)과, 연결심(316a)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며 상부패널(314)을 가압하는 가압너트(316b)를 갖춘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결국 상부패널(314)과 하부패널(313)은 연결심(316a)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므로, 하부패널(313)과 상부패널(314)은 회전패널(312)을 기준으로 가이드라인(315)의 범위 내에서 도 7의 (b)도면과 같이 상대적으로 함께 회전하거나, 회전패널(312)만이 상부패널(314)과 하부패널(313)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과 제3중심홀(311c)에 대한 메인 스크류(10)의 출입구(311')는 회전패널(312) 또는 상부패널(314)과 하부패널(313)이 회전하면서 회전패널(312)의 본체에 의해 폐구되므로, 제1중심홀(311a)과 제2중심홀(311b)과 제3중심홀(311c)에 삽입된 메인 스크류(10)는 출입구(311')를 통해 재이탈하지 회전자(3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연결심(316b)의 상단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단은 상부패널(314)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단의 나사는 가압너트(316b)와 나사결합되므로, 회전패널(312)이 회전하며 제 위치에 이르면 작업자가 가압너트(316b)를 회전하며 연결심(316b)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서 가압너트(316b)가 상부패널(314)의 상면을 가압하게 한다. 결국, 가압너트(316b)에 의해 가압된 상부패널(314)은 상호 적층 구조를 이루는 회전패널(312)과 하부패널(313)을 밀착시켜서 회전패널(312)이 회전하지 않도록 저지한다.
회전자(31)에 관한 이상의 연결 구조에 의해서, 회전자(31)의 자세를 도 7의 (a)도면과 같이 배치하여 출입구(311')를 개방하면, 작업자는 출입구(311')를 통해 메인 스크류(10)를 회전자(31)와 손쉽게 결합할 수 있고, 도 7의 (b)도면과 같이 회전패널(312)을 회전시켜서 출입구(311')를 폐구하면 메인 스크류(10)의 이탈을 방지하며 메인 스크류(10)와 회전자(31)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 스크류(10)와 결합하는 메인 회전자(31)가 전술한 구조를 이룬 것으로 했으나, 서브 스크류(60)와 결합하는 서브 회전자(33) 또한 전술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Z; 받침 지그 10; 메인 스크류 20; 메인 자석홀더
21; 영구자석 22; 하우징 30; 지지대
31, 31'; 메인 회전자 311; 관통홀 311'; 출입구
312; 회전패널 313; 하부패널 314; 상부패널
315; 가이드라인 317; 상부 지지관 32; 선반
33; 보조 회전자
40; 메인 지지너트 51, 52, 53, 54; 절연커버
60; 서브 스크류 70; 서브 자석홀더

Claims (6)

  1. 일정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스크류; 상기 메인 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는 메인 자석홀더; 상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여 회전하거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회전자와, 상기 메인 스크류와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일측이 메인 회전자에 고정되는 막대형 선반으로 된 지지대; 상기 메인 회전자가 메인 스크류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메인 회전자를 받치며 메인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지지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전자는,
    상기 선반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는 원형 제1중심홀이 메인 스크류의 인입출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중심홀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원호를 따라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심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돌출하게 형성되고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 상부 지지관과 하부 지지관을 갖춘 회전패널;
    상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며 제1중심홀에 연통하는 제2중심홀이 메인 스크류의 인입출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관이 제2중심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해당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어서 회전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패널;
    상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며 제1중심홀에 연통하는 제3중심홀이 메인 스크류의 인입출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관이 제3중심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해당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어서 회전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패널; 및
    하단이 상기 하부패널에 고정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이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관통해서 상부패널을 관통하며 돌출하는 연결심과, 상기 연결심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며 상부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너트를 갖춘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크류와 나란히 배치되는 보조 스크류; 상기 보조 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는 보조 자석홀더; 보조 회전자가 보조 스크류를 따라 낙하하지 않도록 보조 회전자를 받치며 보조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보조 지지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보조 스크류가 관통하여 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반의 타측에 고정되는 보조 회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크류를 절연 피복하는 절연커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자는, 상기 메인 스크류에 설치되는 내륜과, 상기 선반에 설치되는 외륜이 결합된 볼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자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메인 스크류가 관통하게 설치된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6. 삭제
KR1020210047698A 2021-04-13 2021-04-13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KR10250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98A KR102504203B1 (ko) 2021-04-13 2021-04-13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98A KR102504203B1 (ko) 2021-04-13 2021-04-13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04A KR20220141504A (ko) 2022-10-20
KR102504203B1 true KR102504203B1 (ko) 2023-02-27

Family

ID=8380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98A KR102504203B1 (ko) 2021-04-13 2021-04-13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2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901Y1 (ko) * 2002-05-22 2002-08-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고정용 지그
KR101383501B1 (ko) * 2012-06-13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버헤드 용접작업용 팔걸이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401Y1 (ko) * 1994-03-28 1996-09-30 유부돌 유류기기의 연소효율 증강장치
KR20070013615A (ko) * 2005-07-26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드 스크류 어셈블리
KR20140006117U (ko) * 2013-05-27 2014-1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론지 복원 지그용 서포트
KR20160090191A (ko) * 2015-01-21 2016-07-29 이다운 용접 작업용 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901Y1 (ko) * 2002-05-22 2002-08-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고정용 지그
KR101383501B1 (ko) * 2012-06-13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버헤드 용접작업용 팔걸이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504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203B1 (ko) 오버헤드 용접용 받침 지그
CN218612142U (zh) 一种焊枪夹持机构
US5383636A (en) Bracket system for mounting a cable splicing tool to a pedestal
CN206966951U (zh) 一种钣金加工中螺母焊接工装
CN214264891U (zh) 龙门加工中心主轴冷却系统
CN214456230U (zh) 一种可调气缸盖安装角度吊具
US4930954A (en) Holding device for milling machines
CN210529099U (zh) 一种待电镀工件的便捷式固定装置
CN211413946U (zh) 一种便于固料的攻丝机
CN219358673U (zh) 一种工件加工钻孔装置
CN217647682U (zh) 一种便于移动的可调式焊接操作机
KR20140001346U (ko) 오버헤드 용접용 스탠드
CN217123998U (zh) 防护头罩的加工装置
CN212497488U (zh) 一种扭矩紧固设备用定位装置
CN212665168U (zh) 一种磁吸式搭铁装置
CN220436129U (zh) 操作台和工业设备
CN215846336U (zh) 一种可摄像显示的手持激光焊接装置
CN215919285U (zh) 一种新型切割机
CN220408648U (zh) 控制柜作业平台
JP3030953U (ja) Tig溶接装置
CN209223488U (zh) 一种机械焊接用固定装置
CN215998990U (zh) 一种用于高速钻铣攻牙机的防碰伤装置
JPH0233989Y2 (ko)
CN217965480U (zh) 焊接辅助装置及焊接装置
CN220094360U (zh) 一种产品组装夹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