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034B1 - 자화수기 - Google Patents

자화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034B1
KR102504034B1 KR1020220030833A KR20220030833A KR102504034B1 KR 102504034 B1 KR102504034 B1 KR 102504034B1 KR 1020220030833 A KR1020220030833 A KR 1020220030833A KR 20220030833 A KR20220030833 A KR 20220030833A KR 102504034 B1 KR102504034 B1 KR 10250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pipe
conduit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화석
Original Assignee
고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화석 filed Critical 고화석
Priority to KR102022003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자화수기는 적어도 일단영역에 배관을 포함하는 외부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본체, 외부연결부와 연결부가 연결되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로 및 연결관로를 향해 대향한 방향에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화수기{Magnetization Machine}
본 발명은 자화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자화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자화수기에 관한 것이다.
자화수는 색깔, 냄새, 맛도 보통물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산소가 풍부하게 포함된 6각형의 고리구조로써 보통물과는 확연하게 다른 물인 것이다. 물을 자기처리한 자화수는 물의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된 후 물속의 전해질 이온들이 다른 물질과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활성화된 물이다. 결국 이런 과정을 거쳐 물의 친화적.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 살아있는 물이, 자화수가 되는 것이다. 자화수는 자석에 의한 자계로 처리된 물을 말하며 자화육각수를 포함한다. 자화수를 제조하는 장치는 배관 끝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수도미터기 외측 유입구에 링 형태로 삽입 결합되기도 한다.
그러나 모두 수돗물이 흐르는 배관이나 외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하므로 배관이나 외측의 두께에 따라 자력이 약해지며 이로 인하여 좋은 품질의 자화수를 생산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화수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화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기는, 적어도 일단영역에 배관을 포함하는 외부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본체; 상기 외부연결부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를 향해 대향한 방향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를 포함한다. 연결관로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 연결관로를 관통하는 물이 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근거리에서 자화되어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 살아있는 물 즉, 자화육각수의 생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로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의 순방향관로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를 가지면 연결관로를 관통하는 물이 자석부의 자력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로는, 상기 복수의 순방향관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관로를 가지면 연결관로의 방향이 변경되어 연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순방향관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면 자석부의 자력영역에서 물이 이동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로의 단면형상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에 대하여 대면 대향한 방향의 면이 넓게 형성되면 연결관로를 관통하는 물에 자석부의 자력이 더욱 많이 노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로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 연결관로를 관통하는 물이 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근거리에서 자화되어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 살아있는 물 즉, 자화육각수의 생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화수기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자화수기의 측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는 변형 가능한 다른 자화수기의 측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5는 자화수기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화수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자화수기는 자기로 처리된 물을 말한다. 100 ~ 4,000에르스테드의 자계를 형성시켜 특수자석의 N그과S극 사이에 물을 직각으로 통과시키면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 활성화되어 인체에 유익한 6각형의 구조수(육각수)로 변하는데 이렇게 자화 처리된 물을 자화육각수라 한다. 즉, 미네랄이 포함된 물을 자기처리하게 되면 지하수, 수돗물, 연수 및 경수 모두 자화육각수가 된다.
자화육가수는 색깔, 냄새 및 맛도 보통물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산소가 풍부하게 포함된 6각형의 고리구조로써 보통물과는 확연하게 다른 물인 것이다. 물을 자기처리한 자화육각수는 물의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된 후 물속의 전해질 이온들이 다른 물질과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활성화된 물이다. 결국 이런 과정을 거쳐 물의 친화적.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 살아있는 물이 자화육각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자석에 의한 자장에너지로 물분자를 6각고리로 만드는 방법으로 강력한 자장을 지닌 특수자석이 필요하고, 특수한 방법과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물을 이온화시켜 육각수로 만드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가장 손쉬운 방법인데 이는 물 속에 이온이 전기분해하는 방식으로 이온수(육각수)로 만드는 원리이다. 그러나 전기분해를 당하는 원수자체가 6각형 고리 구조형성물질, 즉 칼슘 및 미네랄이 충분히 함유한 물이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세계적으로 장수촌으로 이름난 지역의 물은 ph7.8~9.8의 약알카리성을 띠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약알카리수가 인체 내에서 여러 가지 병원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 냈다. 활성산소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산소가 전자를 잃거나 필요 이상으로 많이 가진 상태를 가르킵니다.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의 2%는 활성산소로 변하는데 인체에서는 "선 악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활성산소는 우리 몸을 세균으로 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하지만 세포를 산성화시켜 노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암, 동맥경화, 고혈압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약알카리수의 경우 활성산소와 결합해 물로 변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황산화제가 될 가능성도 보인다.
1.물의 균형 조절
혈관이나 세포에 들어있는 물이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가려면 삼투현상에 의해서 반 투과성 세포막을 통과해야 하는데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외로 이동하는 물의 방향과 양은 미네랄의 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미네랄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체액의 축적 또는 탈수를 일으킬 수 있다.
2.알칼리성 유지
미네랄은 식품으로부터 흡수되어 신체 내에 분포되며 조직이나 체액 속에 들어있는 미네랄은 많은 대사반응에 필요한 산성 혹은 알칼리성을 정상으로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혈액, 조직, 세포들의 적절한 산성도 혹은 알칼리성은 비록 다르지만 미네랄은 체내에서 적절한 Ph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3.신체의 필수성분
미네랄은 신체의 각부분을 형성하며 신체를 구성한다. 뼈와 치아의 칼슘, 인, 불소 등의 농도는 경조직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며 아연, 구리, 망간 등은 연결조직의 형성에 필수적이다. 또한 신체 내에서 많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은 미네랄을 구성 성 분으로서 함유한다.
4.촉매작용
미네랄은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반응에서 촉매의 역할을 한다. 마그네슘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분해 합성 과정에 필요하며, 그 외 구리, 칼슘, 망간, 아연 등 많은 종류의 무기원소들은 체내의 이화작용 및 동화작용에서 촉매로서 또는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화수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자화수기(1)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3은 변형 가능한 자화수기(1)의 측단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4는 변형 가능한 다른 자화수기(1)의 측단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5는 자화수기(1)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화수기(1)를 설명한다.
자화수기(1)는 본체(10), 연결관로(20), 자석부(30) 및 자화수탱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적어도 일단영역에 배관을 포함하는 외부연결부와 연결되어 물이 후술할 연결관로(20)를 통해 물이 유동되도록 한다. 본체(10)는 암연결부(11), 숫연결부(12) 및 탱크연결부(13)를 포함한다.
암연결부(11)는 관상의 본체(10)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갖고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내측벽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숫연결부(12)는 암연결부(11)가 형성된 본체(10)의 일측에 대한 타측으로부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외측벽에 숫나사산이 형성된다.
탱크연결부(13)는 후술할 자화수탱크(40)에 형성된 인입연결부(44)에 연결되면서 본체(10)의 암연결부(11)로 인입되는 물을 자화수탱크(40)로 인입되도록 한다.
연결관로(20)는 외부연결부와 연결부(11, 12)가 연결되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연결관로(20)는 순방향관로(21), 역방향관로(22) 및 연통관로(23)를 포함한다. 연결관로(20)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방향관로(21)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암연결부(11)를 통해 인입되는 물을 순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역방향관로(22)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순방향관로(21)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물을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연통관로(23)는 복수의 순방향관로(21)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22)를 연통시킨다.
복수의 순방향관로(21)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22)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순방향관로(21)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22)는 다양한 방향으로 물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관로(11, 12)의 단면형상은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30)에 대하여 대면 대향한 방향의 면이 넓게 형성된다. 연결관로(11, 12)는 납작한 직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마련되어 자석부(30)와 가까운 거리가 되도록 한다.
자석부(30)는 연결관로(10)를 향해 대향한 방향에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자석부(30)는 연결관로(1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자석부(30)는 상측자석부(31). 중간측자석부(32) 및 하측자석부(33)을 포함한다.
자화수탱크(40)는 본체(10)와 연결 및 연통되어 인입되는 물을 자화시켜 다시 본체(10)로 인출시킬 수 있다. 자화수탱크(40)는 탱크본체(41), 순환배관(42), 순환펌프(43), 인입연결부(44), 인입배관(45), 인입밸브(46), 연결감지부(47) 및 자화부(48)를 포함한다.
탱크본체(41)는 인입연결부(44)를 통해 인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순환배관(42)은 탱크본체(41) 상측의 물을 탱크본체(41)의 하측으로 순환시키도록 탱크본체(4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배치된다. 순환배관(42)은 복수로 마련되어 탱크본체(41)의 복수의 상측 영역에서 탱크본체(41)의 하측영역 중 자화부(48)의 하측으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순환펌프(43)는 복수의 순환배관(42) 상에 배치되어 탱크본체(41)의 복수의 상측 영역의 물을 탱크본체(41)의 하측영역으로 유동시킨다.
인입연결부(44)는 탱크연결부(13)와 연결되어 암연결부(11)로 인입되는 물을 탱크본체(41)로 인입되게 한다.
인입배관(45)은 인입연결부(44)와 연결되며, 탱크본체(41)의 하측영역 중 자화부(48)의 하측까지 배치된다.
인입밸브(46)는 인입배관(45) 상에 설치되며, 인입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연결감지부(47)는 탱크연결부(13)와 인입연결부(44)가 연결되어 연통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연결감지부(47)는 스위치로 마련되어 탱크연결부(13)와 인입연결부(44)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면 접촉되어 감지할 수 있다.
자화부(48)는 본체(10), 연결관로(20) 및 자석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석부(3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화부(48)는 순환배관(42)과 인입배관(45)으로 유동되는 물에 자력을 노출시켜 자화수를 만들어 탱크본체(41)에 저장하게 한다.
도 2는 자화수기(1)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연결관로(20)가 가로 방향으로 3개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로(20)의 상방과 하방에 배치되어 연결관로(20)를 유동하는 물에 자력이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도 2 (a)는 자화수기(1)의 평면도이고, 도 2 (b)는 자화수기(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자화수기(1)의 측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상측과 하측에는 순방향관로(21)가 형성되며 중간측에는 역방향관로(22)가 연통관로(23)에 의해 연결 연통되어 암연결부(11)로 인입된 물이 상측의 순방향관로(21), 연통관로(23), 중간측의 역방향관로(22), 연통관로(23) 및 하측의 순방향관로(21)를 유동하여 우측으로 유동한다.
도 3 (a)는 자화수기(1)의 축선 상향의 측단면도이고, 도 3 (b)는 길이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3 (b)는 자화수기(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변형 가능한 다른 자화수기(1)의 측단면도와 평면도이다.
상측과 하측에는 순방향관로(21)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측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역방향관로(22)가 연통관로(23)에 의해 연결 연통되어 암연결부(11)로 인입된 물이 상측의 순방향관로(21), 연통관로(23), 중간측의 역방향관로(22), 연통관로(23) 및 하측의 순방향관로(21)를 유동하여 우측으로 유동한다.
도 4 (a)는 자화수기(1)의 축선 상향의 측단면도이고, 도 4 (b)는 길이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4 (b)는 자화수기(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자화수기(1)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5 (a) 탱크연결부(13)와 인입연결부(44)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순환펌프(43)가 가동되어 탱크본체(41)의 복수의 상측 영역의 물을 탱크본체(41)의 하측영역으로 유동시키며 자화부(48)에 의해 탱크본체(41) 내의 물을 자화수로 만드는 것을 나타낸다.
도 5 (b) 탱크연결부(13)를 인입연결부(44)에 연결하며, 연결감지부(47)에서 연결을 감지하면 인입밸브(46)를 개방하여 인입배관(45)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인입배관(45)으로 인입된 물은 탱크본체(41)의 하측영역으로 유동되어 자화부(48)에 의해 탱크본체(41) 내의 물을 자화수로 만드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의 연결관로(20)는 내측에 스크류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물이 스크류 흐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자화수탱크(40)는 버블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버블형성부는 버블을 탱크본체(41)의 하측영역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자화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자화수탱크(40)는 수소이온농도감지센서 및 PH센서를 더 포함하며, 정상수소이온농도범위와 PH범위를 설정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순환펌프(43)와 자화부(48)를 구동하여 정상수소이온농도범위와 PH범위의 자화수가 탱크본체(41)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자화수기(1)로 인하여, 연결관로(20)를 둘러싸며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30)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 연결관로(20)를 관통하는 물이 자석부(30)의 자력에 의해 근거리에서 자화되어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 살아있는 물 즉, 자화육각수의 생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자화수기
10: 본체 11: 암연결부
12: 숫연결부 13: 탱크연결부
20: 연결관로 21: 순방향관로
22: 역방향관로 23: 연통관로
30: 자석부 31: 상측자석부
40: 자화수탱크 41: 탱크본체
42: 순환배관 43: 순환펌프
44: 인입연결부 45: 인입배관
46: 인입밸브 47: 연결감지부
48: 자화부

Claims (5)

  1. 자화수기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영역에 배관을 포함하는 외부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본체;
    상기 외부연결부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를 향해 대향한 방향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로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의 순방향관로와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 및 상기 순방향관로와 상기 역방향관로를 각각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로의 단면형상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자석부에 대하여 대면 대향한 방향의 면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순방향관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방향관로는, 상기 순방향관로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역방향관로는 상기 순방향관로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관로의 내측에 스크류 형상의 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30833A 2022-03-11 2022-03-11 자화수기 KR10250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33A KR102504034B1 (ko) 2022-03-11 2022-03-11 자화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33A KR102504034B1 (ko) 2022-03-11 2022-03-11 자화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034B1 true KR102504034B1 (ko) 2023-02-27

Family

ID=8532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33A KR102504034B1 (ko) 2022-03-11 2022-03-11 자화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5644U (ko) * 1992-05-14 1993-12-20 박상돈 자화수 처리장치
KR100878770B1 (ko) * 2008-03-20 2009-01-14 조천행 음이온 발생 정수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651497B1 (ko) * 2016-03-15 2016-08-29 장성훈 물 자화 및 필터링장치
KR20200011189A (ko) * 2018-07-24 2020-02-03 이상무 자화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5644U (ko) * 1992-05-14 1993-12-20 박상돈 자화수 처리장치
KR100878770B1 (ko) * 2008-03-20 2009-01-14 조천행 음이온 발생 정수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651497B1 (ko) * 2016-03-15 2016-08-29 장성훈 물 자화 및 필터링장치
KR20200011189A (ko) * 2018-07-24 2020-02-03 이상무 자화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302B1 (ko) 물의 전해장치
JP4022251B1 (ja) 還元水生成装置
KR20090121737A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차 음료제조용수를 생산하는 방법과이를 차 음료제조에 이용하는 방법
KR101030721B1 (ko)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CA2775531C (en) Combination of a single-station ro device with a hemodialysis device
CN208279353U (zh) 一种雾状小分子富氢水制备装置
US20140166498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197684B2 (en) Desalination device using selective membranes and magnetic fields
KR102504034B1 (ko) 자화수기
KR101847139B1 (ko) 자화수소수 제조 장치
US11524911B2 (en) Magnetization purifying device for air and water
JP2006198499A (ja) 水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KR100850378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환원성 알칼리이온 음료수의 제조방법
CN104326529A (zh) 一种羟基自由基处理高藻水的方法和装置
EP0286233B1 (en) Water electrolyzing apparatus
CN100586872C (zh) 一种用于产生消毒水的单元元件
JP3199237U (ja) 癌、糖尿病、高コレステロール、高血圧、腎臓病を改善するマイナス水素水製造設備
JP2791889B2 (ja) 電解殺菌水または中性無菌水製造装置
EP1428797A1 (en) Water revitalizer
CN210711092U (zh) 一种无传感器控制的高超饱和富氢水连续制备装置
KR200381587Y1 (ko) 자화수 생성기
CN216998013U (zh) 一种清创水制备装置
KR20060061720A (ko)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66864A (ko) 휴대형 자화수 생성 장치
CN212292934U (zh) 一种富氢水制备设备的兼容性控制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