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189A - 자화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189A
KR20200011189A KR1020180085997A KR20180085997A KR20200011189A KR 20200011189 A KR20200011189 A KR 20200011189A KR 1020180085997 A KR1020180085997 A KR 1020180085997A KR 20180085997 A KR20180085997 A KR 20180085997A KR 20200011189 A KR20200011189 A KR 2020001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low path
case
permanent magnet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404B1 (ko
Inventor
이상무
박대호
Original Assignee
이상무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무, 박대호 filed Critical 이상무
Priority to KR102018008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404B1/ko
Priority to US16/253,565 priority patent/US20200031693A1/en
Priority to CN201910087872.9A priority patent/CN109851007A/zh
Publication of KR2020001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2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2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al field, special shape or gene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화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석부의 영구자석 배열을 임의대로 바꿀 수 있는 자석케이스를 구비하여,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배열을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물의 이온화 및 석회질 분해 정도를 달리하여 사용목적에 알맞은 자화수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자석케이스가 이 자석케이스를 수용하고 있는 외부케이스 및 어댑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는 자화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화수 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magnetized water}
본 발명은 자화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석부의 영구자석 배열을 임의대로 바꿀 수 있는 자석케이스를 구비하여,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배열을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물의 이온화 및 석회질 분해 정도를 달리하여 사용목적에 알맞은 자화수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자석케이스가 이 자석케이스를 수용하고 있는 외부케이스 및 어댑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는 자화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화수 제조장치는 자석을 배관에 설치하고, 물이 자석을 통과하게 하여 자력에 의해 물분자 극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물을 자화하여 사용하였다.
일례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37393(등록일 2007.11.22;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은 원형의 각 영구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연속배열하고, 척력이 작용하는 상기 영구자석의 사이에는 철판제의 스페이서를 개입시킨 후, 상기 영구자석과 스페이서의 중앙에 길다란 볼트를 끼워넣어 고정한 자화수 제조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상기 자화수 제조장치는 물의 분자구조를 자기작용을 통해 물의 표면장력을 작게 변화시켜 물속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성분이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력세기가 12,000 가우스(GAUSS) 내지 13,000 가우스인 영구자석을 서로 척력배치하고, 척력배치 된 각 영구자석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자장의 세기와 자석밀도를 크게 해서 물을 통과시켜 순환수의 표면장력이 적은 자화육각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10-0938441(등록일 2010.01.15; 자화처리기) 및 국내 공개특허 10-2010-0034585(공개일 2010.04.01; 자력봉 및 그를 사용하는 자화수기)에서도 영구자석의 척력배치를 이용하여 물분자를 자화시키는 자화수 처리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상기에서 소개된 3 건의 선행기술의 특징은 수납되는 모든 영구자석의 일렬배치가 모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영구자석의 극성배열이 동일한 구성으로만 배열될 경우, 영구자석의 다른 극성배열 및 배치에 따라 자력에 의한 자화수 처리성능이 달라지는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에 착안하여 상기와는 다르게 수납되는 영구자석의 일렬배치구조가 인력과 척력이 혼합되어 배치되는 구성도 이미 소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 10-1363629(등록일 2014.02.10; 산업용 자화수 처리장치) 및 10-1363632(등록일 2014.02.10;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결합형 자기 처리장치)는 일렬로 연속배치되는 영구자석의 극성배열을 인력배열과 척력배열을 혼합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의 미립화 및 활성화 효율을 더욱 극대화하는 자화수 처리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2건의 상기 선행기술은 영구자석을 수납한 자석케이스를 외부케이스와 어댑터의 수납공간에 수납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되, 상기 자석케이스를 수납하는 외부케이스와 어댑터의 수납공간이 상기 자석케이스와 일정공간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에 게르마늄 활성탄을 채워넣어 상기 수납공간에 자석케이스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게르마늄 활성탄으로부터 음이온이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그 구성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외부케이스와 어댑터의 수납공간에 자석케이스를 수납하고 게르마늄 활성탄을 주입하여 고정시킨 이후에는 고정된 자석케이스를 수납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37393(등록일 2007.11.22) 국내 등록실용신안 10-0938441(등록일 2010.01.15) 국내 공개특허 10-2010-0034585(공개일 2010.04.01) 국내 등록특허 10-1363629(등록일 2014.02.10) 국내 등록특허 10-1363632(등록일 2014.02.10)
상기 선행기술들로부터 도출된 결과 및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실험결과, 물은 영구자석의 인력배열과 척력배열에 따라 이온화 정도와 석회질 분해능력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그러한 상이함이란, 영구자석의 인력배열이 많을 경우 물의 석회질 분해능력이 향상되고, 영구자석의 척력배열이 많을 경우에는 이온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영구자석의 인력배열과 척력배열을 조절할 수 있다면, 용도에 알맞은 자화수를 맞춤으로 생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선행기술에서는 영구자석의 배열을 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대로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 배열구성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게 하여, 목적에 따라 물의 이온화 또는 석회질 분해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자화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렇게 영구자석의 배열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구자석이 수납되는 자석케이스가 이 자석케이스를 수납하는 외부케이스 및 어댑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수납되어야 하므로, 외부케이스 및 어댑터로부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자석케이스를 구비한 자화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유로를 사이로 대향 배치되는 수납부의 구성을 수평선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열함으로써, 동일 체적 내에서 상기 수납부 간의 간격을 좁혀 자화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다수개의 유로를 통해 순간 자화용량을 높여 많은 양의 물을 자화할 수 있는 자화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자화수 제조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를 사이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유로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상기 수납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마감캡을 갖는 자석케이스; 상기 각 수납부에 일렬로 연속배열 수납되는 다수개의 영구자석으로, 상기 영구자석은 각 수납부의 대향방향으로 수납부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열되되, 상기 영구자석의 일렬 연속배열 중 척력배열이 적어도 1번 이상 배열되는 자석부; 상기 영구자석의 각 수납부 일렬 연속배열 중 인력이 작용하는 배열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의 길이방향 바깥 둘레면을 커버하는 차폐철판; 상기 자석케이스를 수납하는 관통체인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되는 관통체인 어댑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케이스에 2개 이상 구비되는 상기 유로는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에서 일방향으로만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되는 일방향선상에서 각 유로를 사이로 상기 수납부가 서로 대향 배치되며, 일방향선상의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를 상기 차폐철판으로 마감하는 것을 하나의 조(組)로 조합시켜, 상기 하나의 조가 수평선상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케이스의 길이방향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상기 수납부의 바깥 둘레면을 개방단으로 형성하여, 이 개방단을 통해 상기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배열을 임의대로 변경하고, 상기 개방단은 상기 차폐철판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부는 상기 각 수납부에 일렬 연속배열되는 6개의 영구자석이되, 일렬 연속배열의 양단배열이 각각 척력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부는 상기 각 수납부에 일렬 연속배열되는 4∼6개의 영구자석이되, 상기 영구자석과 동일크기로 상기 수납부에 영구자석이 6개 미만 수납될 경우 영구자석의 빈자리를 대체하여 수납되는 채움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부가 수납되도록 길이방향 수납공간의 양단에 구비되는 지지단 및 상기 지지단을 3면에서 연결지지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교체슬라이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석부를 수납한 상기 교체슬라이더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케이스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에서 일방향으로 유로가 2개 이상 구비되는 상기 몸체는, 상기 유로의 절반인 하프유로가 형성된 대향면에 상면이 개방단 또는 폐쇄단인 수납부가 구비된 마감몸체; 및 상기 마감몸체의 하프유로에 대응하는 하프유로가 수납부를 사이로 양측에 대향 배치되어 구비된 연결몸체; 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몸체의 양쪽 하프유로에 상기 연결몸체 또는 마감몸체의 하프유로를 연결 결합시키되, 연결 결합된 몸체의 양단은 마감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석부가 삽입되는 자석케이스의 수납부 중 바깥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수납부는 바깥 둘레면 부분이 개방단을 형성함으로 인해, 임의대로 영구자석의 배열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유로에 포위되는 수납부의 영구자석 배열은 수납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합된 마감캡을 분리하여 영구자석을 수납하거나 또는 마감캡을 분리한 후, 교체슬라이더에 영구자석을 목적에 맞게 수납하여 수납부 단부를 통해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 영구자석의 배열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수납부의 영구자석은 배열구성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목적에 따라 물의 이온화 또는 석회질 분해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유로를 사이로 대향 배치되는 수납부의 구성을 수평선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열함으로써, 수납부 간의 간격을 좁혀 동일 체적대비 자화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개의 유로를 통해 자화용량을 높여 많은 양의 물을 자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제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 유로 및 차폐철판의 배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로가 2개 이상 구비되는 자석케이스의 세트(set)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의 배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자화수 제조장치는 자석부(40), 스페이서(50), 차폐철판(60)을 포함하는 구성이 자석케이스(30)에 결합된 후, 관통체로 서로 나사결합하는 외부케이스(10) 및 어댑터(20)의 결합체 안쪽인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관통 공간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자석케이스(30)는 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F)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F)를 사이로 수납부(32)가 서로 대향 배치되며,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유로(F)에 대응하는 관통공(34)이 형성된 마감캡(33)이 상기 수납부(32)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하되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다. 여기서 개폐 가능한 결합이란 도 1의 끼움결합 또는 도 2의 나사결합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32)는 상기 자석케이스(3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에서 유로(F)를 사이로 유로(F)의 양쪽에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수납부(32)와 유로(F)는 일방향의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수납부(32)는 유로(F)와의 동일선상 배치에서 동일선상의 양단면이 개방단(35) 또는 폐쇄단(35')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상태인 개방단(35)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부(40)는 영구자석(41)으로, 상기 유로(F)를 사이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각 수납부(32)에 일렬로 연속배열되어 수납된다. 여기서 유로(F)를 사이에 두고 있는 양쪽 수납부(32) 간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부(40)를 배열하되, 각 수납부(32)에 일렬 연속배열된 영구자석(41)의 일렬 연속배열 중 적어도 척력배열이 1번 이상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각 수납부(32)에 수납되는 상기 영구자석(41)의 일렬 연속배열 중 인력이 작용하는 영구자석(41)의 배열 사이에는 스페이서(50)가 삽입된다. 통상적으로 일렬 연속배열되는 영구자석(41) 간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자력이 약해지는 것을 감안하여 바람직한 상기 스페이서(50)의 두께는 1.0mm ∼ 5.0mm 이다.
상기 자석부(40) 및 스페이서(50)는 모두 상기 자석케이스(30)의 수납부(32)에 수납되는 것으로, 다음 2가지 방법을 이용해 수납한다. 첫번째, 상기 자석케이스(30)의 몸체(31)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바람직하게 개방단(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개방단(35)을 통해 자석부(40) 및 스페이서(50)를 수납한다. 두번째, 상기 자석케이스(30)의 몸체(31) 길이방향 양단에는 마감캡(33)이 수납부(32)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몸체(31) 양단에 결합된 마감캡(33) 중 어느 한쪽(및/또는 양쪽) 마감캡(33)을 몸체(31)로부터 분리하면, 수납부(32)의 길이방향 한쪽 단(및/또는 양쪽 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수납부(32)의 길이방향 한쪽 단을 통해 자석부(40) 및 스페이서(50)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2가지 수납방법 중 상황에 따라 적합한 수납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자석부(40) 및 스페이서(50)를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수납부(32)에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다.
상기 자석부(40) 및 스페이서(50)를 상기 수납부(32)에서 꺼낼 경우에는 먼저, 개방단(35)을 통해서는 일괄 또는 개별적으로 자석부(40) 및/또는 스페이서(50)를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몸체(31) 양단에 결합된 마감캡(33)을 이용할 경우에는, 몸체(31) 양단에서 마감캡(33)을 모두 제거한 후 몸체(31)의 길이방향 한쪽 단에서 다른쪽 단을 향해 힘을 가해 밀면, 자석부(40) 및 스페이서(50)를 일괄적으로 몸체(31)의 다른쪽 단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차폐철판(60)은 상기 수납부(32)에 개방단(35)이 형성될 경우 이 개방단(35)을 폐쇄한다. 이 차폐철판(60)은 도체로, 상기 수납부(32)에 수납되는 영구자석(41)의 자력으로 인해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자석부(40)의 자력만으로도 수납부(32)의 개방단(35)에 결합된다. 상기 차폐철판(60)은 자력부(40)와 접촉하는 면은 도체로, 반대쪽 면은 비도체로 하는 이중구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본 발명 자화수 제조장치를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는 관통체로, 일단 또는 양단에 어댑터(20)가 나사결합된다. 도 1의 a 및 b와 같이 어댑터(20)가 일단에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케이스(10)는 관통체인 일단의 단부 안쪽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부(11), 상기 나사산부(11)에서 타측단부에 근접하게 안쪽 둘레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지지단(12), 및 관통체의 타단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단(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양단에 어댑터(2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구성 중 돌출지지단(12) 및 접속단(13)은 후술할 상기 어댑터(20)의 내향지지단(22) 및 나선접속단(2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로 대체될 수 있다.
관통체인 상기 어댑터(20)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나선결합부(21), 이 나선결합부(21)의 단부에서 내향하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단턱으로 형성되는 내향지지단(22), 상기 나선결합부(21)로부터 확장된 직경을 가져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일단면에 지지되는 확장지지테(23), 및 일단에 형성되는 나선접속단(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접속단(13)과 상기 어댑터(20)의 나선접속단(24)에는 접속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마감캡(33)의 바깥단은 단부가 축소되어 돌출형성되는 돌출테(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테(36)는 자석케이스(30)가 외부케이스(10) 및 어댑터(20)의 결합시 관통공간에 결합될 때, 외부케이스(10)의 수용부에 형성된 돌출지지단(12)과 어댑터(20)의 내향지지단(22)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자석케이스(30)가 관통공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마감캡(33)의 돌출테(36)가 접촉하는 상기 돌출지지단(12) 및 내향지지단(22)의 사이에는 밀폐수단(80)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수밀력을 보장한다. 여기서 밀폐수단(80)은 밀페링(도 1 참조) 또는 밀폐패드(도 2 참조)이다. 밀폐수단(80)이 도 2와 같이 밀폐패드(80)로 구비되어 상기 자석케이스(30)의 마감캡(33)과 몸체(31) 사이에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유로(F) 및 마감캡(33)의 관통공(34)과의 연장선상에 관통창(81)이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도 3(A)는 유로(F)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수납부(32) 및 차폐철판(60)의 기본배치 구성으로 유로(F)가 1개인 경우이고, 도 3(B) 내지 도 3(D)는 일방향선상으로 유로(F)가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이에 따른 수납부(32) 및 차폐철판(60)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으로 유로(F)가 1개 설치된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유로(F)를 사이로 상기 수납부(32)가 서로 대향 배치되며, 일방향선상의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32)의 개방단(35)에는 차폐철판(60)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이 한 조(組)를 이루고, 하나의 조(組)가 수평선상으로 2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3(A)와 같은 차폐철판(60)-수납부(32)-유로(F)-수납부(32)-차폐철판(60)인 하나의 조(組) 구성에서 상기 유로(F)가 몸체(31)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으로 일방향선상에 2개 구비될 경우에는 하나의 조(組)의 구성이 도 3(B)와 같은 하나의 조(組)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조(組)가 변형될 경우라 하더라도 몸체(31)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 일방향선상에 유로(F)와 수납부(32)가 배치되되, 일방향선상의 양단에 배치되는 수납부(32)의 개방단(35)에 차폐철판(60)이 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일선상의 일렬 구성인 하나의 조(組)가 수평선상으로 2개 이상 배열된 것이 도 3(C) 및 도 3(D)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 유로(F)가 상기 자석케이스(30) 상에 일방향선상으로 2개 이상 설치될 경우, 각각의 유로(F)를 중심으로 수납부(32)가 서로 대향되도록 각 유로(F)별로 수납부(32)가 중복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로(F)와 유로(F) 사이에는 하나의 수납부(32)만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2개의 유로(F)를 중심으로 '수납부(32)-유로(F)-수납부(32)-수납부(32)-유로(F)-수납부(32)'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3(B)와 같이 '수납부(32)-유로(F)-수납부(32)-유로(F)-수납부(32)'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자석케이스(30)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작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32)와 유로(F) 사이에는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이 격벽(37)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A)와 같이 영구자석(41)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단턱(38)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32) 중 일방향선상에서 양단에 배치된 수납부(32)에는 바람직하게 개방단(3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폐철판(60)을 분리한 후 수납된 자석부(40)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이, 상기 수납부(32)가 유로(F)에 포위된 상태일 경우에도 몸체(31)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된 마감캡(33)을 분리한 후 자석부(40)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이,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에서 일방향상으로 상기 유로(F)가 2개 이상 구비되는 몸체(31)는 마감몸체(31a)와 연결몸체(31b)의 세트 조합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조(組)에 2개 이상의 유로(F)가 형성되는 여러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몸체(31)의 마감몸체(31a)와 연결몸체(31b)의 구성은 도 4를 통해서도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마감몸체(31a)는 하부에 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F)가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상으로 볼 때, 일단부에는 절반이 남겨지도록 절단된 형태의 하프유로(hF)가 형성되고, 상기 하프유로(hF)의 대향면에 해당하는 타단부에는 상면이 개방단(35) 또는 폐쇄단(35')인 수납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31b)는 상기 마감몸체(31a)의 하프유로(hF)에 대응하는 하프유로(hF)가 수납부(32)를 사이로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연결몸체(31b)의 양쪽 하프유로(hF)에 각각 마감몸체(31a)를 연결하여 결합하면, 도 3(B)에 같은 구성이 된다. 그리고 도 3(B)의 구성을 하나의 조(組)로 하는 구성을 수평방향으로 하나 더 배치하여 결합하면, 도 3(C)의 구성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몸체(31b) 및 마감몸체(31a) 그리고 각 조(組)의 결합시에는 공지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31b)의 양쪽에 상기 마감몸체(31a)를 결합한 구성의 조(組)인 도 3(C)의 사이에, 상기 연결몸체(31b)를 연속으로 3개 연결한 후 양단의 연결몸체(31b)에 각각 마감몸체(31a)를 연결한 또 하나의 조(組)를 삽입한 후, 각각의 조(組)를 하나로 연결하여 결합하면 도 3(D)의 구성이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은 상기 몸체(31)를 마감몸체(31a) 및 연결몸체(31b)로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다양하게 연결함으로써, 몸체(31)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 일방향상으로 2개 이상의 유로(F)가 형성되는 하나의 조(組)의 구성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마감몸체(31a) 및 연결몸체(31b)를 필요에 따라 적합하도록 구성한 후 이러한 구성 및/또는 다른 구성을 수평선상으로 배열 결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 규격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배관 규격별로 자석케이스(30)를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 역시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납부(32)로부터 자석부(40)의 교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교체슬라이더(7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교체슬라이더(70)는 자석부(40)를 이 교체슬라이더(70)에 미리 수납한 후 이것을 통으로 상기 수납부(32)에 삽입하거나 또는 통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자석부(40)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수납공간(71)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된 지지단(72)을 3면에서 연결지지하는 지지바(73)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교체슬라이더(70)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공간(71)의 일면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됨으로써, 개방된 일면을 통해 자석부(40)를 용이하게 수납공간(71)에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자석부(40)는 양측 지지단(72)을 연결하는 지지바(73)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자석부(40)가 끼워 넣어진 상기 교체슬라이더(70)는 교체슬라이더(70)의 일측단을 상기 마감캡(33)이 개방된 수납부(32)의 일측단에 걸친 후 교체슬라이더(70)의 타측단을 밀어준다. 그러면 교체슬라이더(70)의 일측단이 수납부(32)의 타측단에 결합된 마감캡(33)에 접촉될 때까지 밀려 들어가 교체슬라이더(70)가 수납부(32)에 완전히 수납된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자석케이스(30)로부터 자석부(4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 상기 자석부(40) 또한 이 자석부(40)에 수납되는 영구자석(41)의 배열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5는 자석부(40)의 여러 가지 배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상용화된 배관의 크기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용화된 배관의 크기 내에서 본 발명 자화수 제조장치가 실시되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자석케이스(30)의 크기가 제한됨은 물론, 수납부(32)에 수납되는 자석부(40)의 크기와 개수에도 제한이 따른다.
그리하여 도 5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자석부(40)는 상기 각 수납부(32)의 일렬 연속배열 중 척력배열이 적어도 1번 이상 배열되는 4∼6개의 영구자석(4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41)과 동일크기로 상기 수납부(32)에 영구자석(41)이 6개 미만 수납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41)의 빈자리를 대체하여 비도체인 채움체(42)가 수납될 수도 있다(도 2a 참조). 여기서, 상기 채움체(42)가 영구자석(41)이 빠진 자리를 대체하여 하나의 수납부(32)에 수납되는 경우, 이 하나의 수납부(32)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수납부(32)에도 상기 하나의 수납부(32)에 수납된 채움체(42)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채움체(42)가 수납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자석부(40)의 여러 가지 배열 중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수납부(32)에 6개의 영구자석(41)이 일렬 연속배열되되, 이 일렬 연속배열의 양단부분에 배치되는 각각 2개의 영구자석(41) 배열이 모두 척력으로 배열되고, 이 척력배열의 사이에 오는 나머지 2개의 영구자석(41)은 양단부의 각 척력배열에 대해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것이다. 영구자석(41)이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수납부(32)의 일단부 척력배열과 타단부 척력배열은 당연하게도 서로 다른 극의 척력배열이 된다.
다시 말해, 유로(F)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영구자석(41)을 상하로 수납함에 있어 영구자석(41)의 배열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물의 이온화 정도를 높이거나 또는 물에 녹아있는 석회질의 분해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배열로 취사선택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물의 석회질 분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구자석(41)의 일렬 연속배열 중 척력배열보다 인력배열이 많아지도록 구성하고, 물의 이온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구자석(41)의 일렬 연속배열 중 인력배열보다 척력배열이 많아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일례로, 도 5(A)와 같이 상부열에 배치된 영구자석(41)의 유로(F)를 향한 일렬 연속배열을 기준으로 N극+스페이서+S극+S극+스페이서+N극의 배열일 경우, 인력과 척력배열이 유사하여 물의 이온화 능력 및 석회질 분해 능력도 유사한 정도가 된다.
도 5(B)와 같이 상부열에 배치된 영구자석(41)의 유로(F)를 향한 일렬 연속배열을 기준으로 N극+N극+스페이서+S극+S극의 배열일 경우, 척력작용이 우세하여 물의 이온화 능력이 극대화 된다.
도 5(C)와 같이 상부열에 배치된 영구자석(41)의 유로(F)를 향한 일렬 연속배열을 기준으로 N극+N극+스페이서+S극+스페이서+N극+N극의 경우, 도 5(B)와 마찬가지로 척력배열이 우세한 관계로 물의 이온화 능력이 극대화 된다.
도 5(D)와 같이 상부열에 배치된 영구자석(41)의 유로(F)를 향한 일렬 연속배열을 기준으로 N극+N극+스페이서+S극+스페이서+N극+스페이서+S극+S극의 경우, 인력과 척력배열이 3:2로 배열되어 물의 이온화 능력 및 석회질 분해 능력이 모두 최대치가 된다.
F: 유로 10: 외부케이스
11: 나사산부 12: 돌출지지단
13: 접속단 20: 어댑터
21: 나선결합부 22: 내향지지단
23: 확장지지테 24: 나선접속단
30: 자석케이스 31: 몸체
31a: 마감몸체 31b: 연결몸체
32: 수납부 33: 마감캡
34: 관통공 35: 개방단
35': 폐쇄단 36: 돌출테
37: 격벽 38: 안착단턱
40: 자석부 41: 영구자석
42: 채움체 50: 스페이서
60: 차폐철판 70: 교체슬라이더
71: 수납공간 72: 지지단
73: 지지바 80: 밀폐수단

Claims (7)

  1. 관통체인 외부케이스(1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결합하는 관통체인 어탭터(20);
    상기 외부케이스(10)와 어댑터(20)의 관통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F)를 사이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수납부(32)가 구비된 몸체(31) 및 상기 유로(F)에 대응하는 관통공(34)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상기 수납부(32)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마감캡(33)을 갖는 자석케이스(30);
    상기 각 수납부(32)에 일렬로 연속배열 수납되는 다수개의 영구자석(41)으로, 상기 영구자석(41)은 각 수납부(32)의 대향 방향으로 수납부(32)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열되되, 상기 영구자석(41)의 일렬 연속배열 중 척력배열이 적어도 1번 이상 배열되는 자석부(40);
    상기 영구자석(41)의 각 수납부(32) 일렬 연속배열 중 인력이 작용하는 배열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50);
    상기 수납부(32)에 수납된 상기 영구자석(41)의 자력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32)의 길이방향 바깥 둘레면을 커버하는 차폐철판(60); 으로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자석케이스(30) 및 마감캡(33)을 통해 상기 영구자석(41)의 인력 및 척력배열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케이스(30)에 2개 이상 구비되는 상기 유로(F)는 몸체(31)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에서 일방향으로만 형성되고, 상기 유로(F)가 형성되는 일방향선상에서 각 유로(F)를 사이로 상기 수납부(32)가 서로 대향 배치되며, 일방향선상의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32)를 상기 차폐철판(60)으로 마감하는 것을 하나의 조(組)로 조합시켜, 상기 하나의 조가 수평선상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케이스(30)의 길이방향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상기 수납부(32)의 바깥 둘레면을 개방단(35)으로 형성하여, 이 개방단(35)을 통해 상기 영구자석(41)의 인력 및 척력배열을 임의대로 변경하고, 상기 개방단(35)은 상기 차폐철판(60)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40)는 상기 각 수납부(32)에 일렬 연속배열되는 6개의 영구자석(41)이되, 일렬 연속배열의 양단배열이 각각 척력배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40)는 상기 각 수납부(32)에 일렬 연속배열되는 4∼6개의 영구자석(41)이되, 상기 영구자석(41)과 동일크기로 상기 수납부(32)에 영구자석(41)이 6개 미만 수납될 경우 영구자석(41)의 빈자리를 대체하여 수납되는 채움체(4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40)가 수납되도록 길이방향 수납공간(71)의 양단에 구비되는 지지단(72) 및 상기 지지단(72)을 3면에서 연결지지하는 지지바(73)로 구성되는 교체슬라이더(7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석부(40)를 상기 수납공간(71)에 수납한 상기 교체슬라이더(70)를 상기 수납부(32)에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케이스(3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상에서 일방향으로 유로(F)가 2개 이상 구비되는 상기 몸체(31)는, 상기 유로(F)의 절반인 하프유로(hF)가 형성된 대향면의 바깥면이 개방단(35) 또는 폐쇄단(35')인 수납부(32)가 구비된 마감몸체(31a); 및 상기 마감몸체(31a)의 하프유로(hF)에 대응하는 하프유로(hF)가 수납부(32)를 사이로 양측에 대향 배치되어 구비된 연결몸체(31b); 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몸체(31b)의 양쪽 하프유로(hF)에 상기 연결몸체(31b) 또는 마감몸체(31a)의 하프유로(hF)를 연결 결합시켜 몸체(31)를 형성하되, 연결 결합된 몸체(31)의 일방향 양단은 마감몸체(3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제조장치.
KR1020180085997A 2018-07-24 2018-07-24 자화수 제조장치 KR102082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97A KR102082404B1 (ko) 2018-07-24 2018-07-24 자화수 제조장치
US16/253,565 US20200031693A1 (en) 2018-07-24 2019-01-22 Device for manufacturing magnetized water
CN201910087872.9A CN109851007A (zh) 2018-07-24 2019-01-29 磁化水制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97A KR102082404B1 (ko) 2018-07-24 2018-07-24 자화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89A true KR20200011189A (ko) 2020-02-03
KR102082404B1 KR102082404B1 (ko) 2020-02-27

Family

ID=6689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97A KR102082404B1 (ko) 2018-07-24 2018-07-24 자화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31693A1 (ko)
KR (1) KR102082404B1 (ko)
CN (1) CN109851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545B1 (ko) * 2021-10-19 2022-10-14 주식회사 엠이플로우텍 자화기포수 생성기
KR102504034B1 (ko) * 2022-03-11 2023-02-27 고화석 자화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658B1 (ko) * 2019-10-10 2020-07-28 오케이 주식회사 자화수 생성장치
KR102256660B1 (ko) 2020-06-12 2021-05-26 주식회사 포유어셀 특고자성 전해수 자화수기 모듈, 특고자성 전해수 자화수기 모듈이 적용된 샤워노즐 및 필터형 특고자성 전해수 자화수기 모듈
KR102493953B1 (ko) 2021-02-25 2023-01-31 주식회사 포유어셀 분리 결합형 특고자성 자화수기 모듈
FR3139565A1 (fr) 2022-09-08 2024-03-15 marco MUKA MFUMU Dispositif de surdensification magnétique contre les ondes électromagnétiques par surdensification des boissons magnétisées
KR102659824B1 (ko) 2023-03-31 2024-04-22 김수현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622A (ko) * 2005-02-28 2006-09-01 최준환 자기 활수 장치
KR200437393Y1 (ko) 2007-02-02 2007-11-29 김진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
KR100938441B1 (ko) 2008-01-09 2010-01-22 이주철 자화처리기
KR20100034585A (ko) 2008-09-24 2010-04-01 황봉식 자력봉 및 그를 사용하는 자화수기
KR20120045186A (ko) * 2010-10-29 2012-05-09 김환홍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KR101363629B1 (ko) 2011-06-08 2014-03-20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산업용 자화수 처리장치
KR101363632B1 (ko) 2011-06-08 2014-03-20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결합형 자기 처리장치
KR101369013B1 (ko) * 2011-06-08 2014-03-21 (주)토경엔터프라이즈 배관 부식방지 및 스케일 제거용 자화처리장치
KR20180055108A (ko) * 2016-11-16 2018-05-25 임윤 자화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479A (en) * 1977-07-19 1979-03-27 Brown Merritt J Magnetic water conditioner
US7604748B2 (en) * 2005-10-20 2009-10-20 Eclipse Magnetics Limited Magnetic filter
KR101081266B1 (ko) * 2010-07-27 2011-11-08 허성열 자석모듈이 구비된 유니버셜 어댑터
KR20120110043A (ko) * 2011-03-28 2012-10-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화수 공급용 호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622A (ko) * 2005-02-28 2006-09-01 최준환 자기 활수 장치
KR200437393Y1 (ko) 2007-02-02 2007-11-29 김진호 자화기를 이용한 자화육각수 제조장치
KR100938441B1 (ko) 2008-01-09 2010-01-22 이주철 자화처리기
KR20100034585A (ko) 2008-09-24 2010-04-01 황봉식 자력봉 및 그를 사용하는 자화수기
KR20120045186A (ko) * 2010-10-29 2012-05-09 김환홍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KR101363629B1 (ko) 2011-06-08 2014-03-20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산업용 자화수 처리장치
KR101363632B1 (ko) 2011-06-08 2014-03-20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결합형 자기 처리장치
KR101369013B1 (ko) * 2011-06-08 2014-03-21 (주)토경엔터프라이즈 배관 부식방지 및 스케일 제거용 자화처리장치
KR20180055108A (ko) * 2016-11-16 2018-05-25 임윤 자화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545B1 (ko) * 2021-10-19 2022-10-14 주식회사 엠이플로우텍 자화기포수 생성기
KR102504034B1 (ko) * 2022-03-11 2023-02-27 고화석 자화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404B1 (ko) 2020-02-27
CN109851007A (zh) 2019-06-07
US20200031693A1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404B1 (ko) 자화수 제조장치
US7718059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magnetized water
US4265746A (en)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50126974A1 (en) Water purifier having magnetic field generation
KR200476726Y1 (ko) 자화 이온수기
US20140008275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integrated with water meter using magnet
KR20110018517A (ko) 자성체를 이용한 휴대용 물병
KR20130143387A (ko) 자화수 처리장치
CN109071281A (zh) 用于水的磁处理的分配器
KR20180055108A (ko) 자화수 제조장치
KR100742541B1 (ko) 자기 공명 에너지 장치
KR101940809B1 (ko) 클러스터 분화형 물 살균장치
KR20170115779A (ko) 정수용 항균 캡슐
CA2692680C (en) Magnetic fue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659824B1 (ko)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CN214905707U (zh) 高强磁化杯
KR20160133726A (ko) 자화수 제조장치
KR200403487Y1 (ko) 자화 육각수 제조장치
JPS63296888A (ja) 磁石構造体
KR102226829B1 (ko) 수관 관통형 자화수기
KR20170123163A (ko) 배관의 녹 및 스케일 방지장치
US6426000B1 (en) Filter cartridge magnetic attachment
US20060102544A1 (en) Fluid magnetization device
JP4551655B2 (ja) 磁化水器
KR200445671Y1 (ko) 자화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