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07B1 -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07B1
KR102503807B1 KR1020220100479A KR20220100479A KR102503807B1 KR 102503807 B1 KR102503807 B1 KR 102503807B1 KR 1020220100479 A KR1020220100479 A KR 1020220100479A KR 20220100479 A KR20220100479 A KR 20220100479A KR 102503807 B1 KR102503807 B1 KR 10250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vehicl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희석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주)우보재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보재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보재난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0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The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90); and a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economic losses.

Description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침수도로, 세월교, 둔치 주차장 및 기차 진입로 등의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진입로를 통행하려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차량 진입로와 교차되도록 시설된 기차 진입로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차량 진입로를 통과하려는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차량의 진입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차단수단들(차단막, 차단 플레이트 등)이 강풍이나 차량의 추돌 사고시에 차량의 파손과 상기 차단수단들의 파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계절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게 구조를 구성하여 작동 오류에 따른 차량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한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a structure that blocks the entry of vehicles trying to pass through flooded roads such as flooded roads, Sewol Bridges, dockside parking lots and train access roads, and more specifically, zone Vehicles that are installed on access roads such as low-lying flooded roads and Sewol bridges installed at low elevations, and train access roads installed to intersect vehicle access roads, automatically operat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flooding of the road (entrance road) due to rain to pass through the vehicle access road Prevents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prevents the blocking means (blocking film, blocking plate, etc.) configured to block the entry of the vehicle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in the event of a strong wind or a vehicle collision, and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ehicle accidents due to operational errors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hat is not affected by seasonal weather and operates smoothly in advance .

일반적으로 도로는, 땅 위의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하는 길을 두 개 이상으로 서로 연결시켜 통행을 하도록 사용되는 길들을 말하며, 크게 차량만이 이동할 수 있는 자동차 전용도로(고속도로, 고속국도)와 사람과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일반도로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로들 중에서 낮은지대(저지대)에 시설되는 도로는 다량의 비, 폭우(暴雨)가 내리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로가 침수되기도 한다. 이러한 저지대의 침수도로는 과다한 수위로 인해 도로의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이 진입을 차단하여 차량을 우회시키도록 해야하며, 침수가 우려되는 취약도로들의 챠량이 진입하는 진입로의 양 끝에 차량진입 차단 장치(구조물)를 설치하여 비상 상황시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있다.In general, roads refer to roads used for passage by connecting two or more roads on which people or vehicles move on the ground. It is divided into general roads where vehicles can move. Among these roads, the water level rises when a large amount of rain or heavy rain falls on roads installed in low areas (lowlands), and the roads are flooded accordingly. These lowland flooded roads lose their function due to excessive water levels, so vehicles must be blocked from entering to bypass vehicles, and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s at both ends of the access roads where vehicles on vulnerable roads that are concerned about flooding enter ( structure) is installed to block the entry of vehicles in an emergency situation.

기존의 차량진입 차단 장치 설비들은, 도로에서 침수가 발생할 때 관리자나 경찰 등의 관계자들에 의하여 수동으로 차단 장치를 동작시키는 형태로 운용되어 침수 우려 취약도로가 많은 지역에서는 차단 장치가 설치된 수량만큼 인력이 투입되어 재난 상황 발생 시에 인력,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인명피해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Existing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s are operated in the form of manually operating the blocking devices by managers or police officials when flooding occurs on the road, and in areas with many vulnerable roads due to flooding concerns, manpower equal to the number of installed blocking devic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ituation, problems such as manpower and cost increase occur, and consequently, problems such as loss of life occur.

이에 따라, 지면에 시설되는 수직프레임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는 강성(强性)의 차단판이 도로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조의 간이 설치 차량진입 차단 장치나, 차량의 진입로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차단본체와 상기 차단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차단본체의 상부 측면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본체에서 길이를 가지는 막대(bar) 형상의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주차 차단기와 유사한 구조의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a simple installation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igid barrier plate having a length perpendicular to a vertical frame installed on the ground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road, or a length perpendicular to the vehicle's access road An installed blocking body,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blocking body, and a shaft fix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motor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body, and a rod having a length in the blocking body to block the entry of a vehicle. Devices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a conventional parking barrier consisting of a bar-shaped blocking plate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중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35481호(명칭 :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고정되며, 상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측부에 제1고정부재가 결합된 브라켓; 상기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관절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차단바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관절부 및 차단바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축;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피동축에 전달하는 관절부; 상기피동축에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상측에 제2고정부재가 결합된 회전체;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를 관통하며 결합된 가이드바;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가 기재되어 있다.As on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having such a structure, ther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5481 (nam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blocking bar for vehicles), and as known in the Publication, it is installed and fixed inside the case, A bracket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first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ide portion; a drive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and the other side fixedly coupled to the blocking bar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joint portion and the blocking bar; A joint part coupled to a motor,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n shaft; A rotating body fixedly coupled to the driven shaft and integrally rotated, and a second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ide; a guide bar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guide bar to contract and expan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그리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76088호(명칭 : 차량 차단기)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동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며, 선단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차단봉과 연결되는 구동축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을 관통한 구동축의 기단에 설치된 크랭크 암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가 기재되어 있다.An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6088 (name: vehicle circuit breaker), as known in the publication, a frame installed with a motor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driving bevel gear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I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driven bevel gear that engages and rotates, and is connected to a drive shaft whose tip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bar and a crank arm installed at the base of the drive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rame to rotate the drive shaft. A vehicl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uffer unit for absorbing the impact according to the has been described.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88771호(명칭 : 차량 진입 차단 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주대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회동 구동되는 차량 진입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수평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동하는 제 1 플레이트와, 별도의 연결 모듈에 의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단에 연결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 케이스;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 케이스; 및 양단이 상기 제 1 결합 케이스 및 제 2 결합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 케이스 및 제 2 결합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연결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탄성 이동 경로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제한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케이스와 제 2 결합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수평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 1 링크 플레이트; 상기 제 1 링크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연결핀;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결합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플레이트 및 제 2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핀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88771 (name: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 as known in the public notice, a blocking plate is coupled to a separate support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In the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 in which the blocking plate is pivotally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unit, the blocking plate includes a first plat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and rotating by the driving unit, and a separate connection module.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and the connection module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econd plate can elastically move from the first plate by an external force. A first coupling case connected to a plate, and the connection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a second coupling case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plate is detachably coupled; And both ends include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case and the second coupling case,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case and the second coupling case are elastically supported and connec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connection module comprises the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link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case and the second coupling case so that the elastic movement path of the second plate is restri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plate, wherein the horizontal link has one end A first link plat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case; a connecting pin coupl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link plat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cas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n, wherein the first link plate and the second link plate are relative to each other about the connection pin. A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s described.

한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16386호(명칭 : 선택적 차량 진입 허용을 위한 장애물 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 바닥에 설치되고 기다란 홈(232)을 갖는 베이스 부재(20); 및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또는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형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홈 밖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홈 내에 눕혀져 숨겨지는 장애물(40)을 포함하는 선택적 차량 진입 허용을 위한 장애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6386 (name: obstacle device for selectively allowing vehicle entry), as known in the publication, a base member 20 installed on the road and having a long groove 232 ); And an obstacle 40 that transform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or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but is erected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groove in the first state and is laid down and hidden in the groove in the second state. An obstacle device for allowing selective vehicle entry is disclosed.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35481호(2013.11.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5481 (2013.11.15.)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76088호(2016.06.3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6088 (2016.06.3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88771호(2012.08.14.)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88771 (2012.08.14.)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16386호(2020.10.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6386 (2020.10.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 제안된 장치들은, 차량의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도록 된 차단판에 차량이 충돌하여 차단판 또는 차량이 변형,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ly proposed device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the blocking plate or the vehicle is deformed or damag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plate designed to block direct access of the vehicle.

즉, 기존의 차단판의 형상 및 구조가 시각적으로 인지효과가 현저히 떨어지어 차량의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알아차리기 어려워 차량 진입로에 대하여 차단장치의 차단판이 진입로를 직접적으로 막는 진입 차단작동중임에도 차량이 정지하지 못하고 돌진하여 차단판을 파손하면서 통행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진입 통제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었다.That is,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existing blocking plate has a significantly reduced visual recognition effect, making it difficult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immediately notice i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rance control effect was insufficient because there were frequent cases of passing while damaging the barrier plate by rushing without being able to do s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 장치의 차량진입 차단 동작시에 차량 진입로에서 진입중인 차량의 직접적인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것으로, 차량과 차단 동작중인 차단 장치의 차단수단이 서로 충돌하더라도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irect damage to a vehicle entering a vehicle access road during a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of a blocking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a low-lying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to ensure safety by minimizing damage to a vehicle even if blocking means of a blocking device during a blocking operation collid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진입의 차단동작시에 시각적 인지성을 향상시키어 진입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진입 차단중임을 인식하여 충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flooded road to ensure safety by preventing a collision accident by improving visual recognition during a blocking operation of vehicle entry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entering is more easily recognized that the entry is being block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a low-lying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무단진입에 따른 차단 장치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유지보수에 대한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to improve economic feasibility of maintenance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blocking device due to unauthorized entry of vehicles. is in provid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둔치 주차장 및 기차 진입로를 포함하는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도로(진입로)의 침수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을 관제하는 각 지역 단위의 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각각의 현재상태와 수위측정수단들로부터의 수위측정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집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차량 진입로와 교차되도록 시설된 기차 진입로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 및 상기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차단구조물 관제센터와 함께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 유관기관 서버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flooded area including low-lying flooded roads and Sewol Bridges, dockside parking lots and train access roads installed in low-lying areas to prevent flooding of roads (entrances). It consists of a server in each region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access barrier structures (#1 to #N) that ar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he current state of each vehicle access barrier structure and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area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control centers that collec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installed on access roads such as low-lying flooded roads and Sewol bridges installed in low-lying areas, and train access roads installed to cross vehicle access road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and a plurality of 1st to Nth area water level measuring means, a plurality of 1st to Nth area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s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for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Provides a lowland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managed in conjunction with a related agency server and a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

여기서 유관기관 서버는 행안부 서버 및 기상청 서버나 수자원 공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lated agency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a server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a server of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진입로)의 침수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을 관제하는 각 지역 단위의 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에 대한 자동경보발령 시나리오가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관제하는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에서 작성되되, 복수의 경보 단계별 경보발령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에서는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에 대한 경보발령 장비 제어가 설정되되, 예경보방송장비,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 및 제어 가능 장비에 대하여 상기 경보 단계별로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의 장비 제어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은 수위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수위측정 데이터에 따라 경보발령조건 도달여부를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경보발령 조건에 도달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별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로 경보가 발령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발령된 경보에 따라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 각각은 단계별 경보 장비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상기 전광판,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지정동작이 자동제어되는 단계; 및 각각의 단계별 경보 발령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방법을 제공한다.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erver in each region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that ar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flood emergency situation occurs on the road (access road), and the vehicle Creating an automatic alarm issuance scenario for an access blocking structure at a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that controls 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and setting a plurality of warning step-by-step alarm issuance conditions; In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alarm issuing equipment control for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is set. Setting equipment control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each alarm step;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monitors whether a warning issuance condition is reach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preset warning issuance conditions are reached, and alarms in a plurality of preset stages for each determination result. is issued;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according to the warning issued by the plurality of preset stages is the electric display board, broadcast speaker module, warning light module, text electronic display board, and entry in preset stag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equipment for each stage. Automatically controlling one or more designated operations for a blocker and an SMS recipient; and completing each step-by-step warning issuance operation (S250).

그리고 지정동작이 자동제어되는 단계는, 예경보 방송장비의 경보멘트 발령, 문자전광판의 경보문구 표출, 진입차단기의 경보 차단 동작, SMS 수신자에 대한 경보 문구 발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signated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ssuing an alarm message from the forecasting and warning broadcasting equipment, displaying an alarm phrase on a text message board, blocking an alarm by an access blocker, and sending an alert text to an SMS receiv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진입로)의 침수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을 관제하는 각 지역 단위의 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에 대한 자동경보발령 시나리오가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관제하는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에서 작성되되, 복수의 경보 단계별 경보발령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에서는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에 대한 경보발령 장비 제어가 설정되되, 예경보방송장비,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 및 제어 가능 장비에 대하여 상기 경보 단계별로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의 장비 제어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은 수위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수위측정 데이터에 따라 경보발령조건 도달여부를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경보발령 조건에 도달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별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로 경보가 발령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발령된 경보에 따라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 각각은 단계별 경보 장비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상기 전광판,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지정동작이 자동제어되는 단계; 및 각각의 단계별 경보 발령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rver in each region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that ar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road (access road) flood emergency occurs, and the vehicle Creating an automatic alarm issuance scenario for an access blocking structure at a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that controls 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and setting a plurality of warning step-by-step alarm issuance conditions; In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alarm issuing equipment control for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is set. Setting equipment control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each alarm step;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monitors whether a warning issuance condition is reach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preset warning issuance conditions are reached, and alarms in a plurality of preset stages for each determination result. is issued;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according to the warning issued by the plurality of preset stages is the electric display board, broadcast speaker module, warning light module, text electronic display board, and entry in preset stag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equipment for each stage. Automatically controlling one or more designated operations for a blocker and an SMS recipient; and completing each step-by-step warning issuance opera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forecasting and warning method for a low-lying flooded waterway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owland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침수가 발생된 도로(지역)에 진입하는 차량과 차단구조물의 충돌이 발생할 때 그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방지되어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First, when a collision between a vehicle entering a flooded road (region) and a blocking structure occurs, the damage is minimized and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having the effect of reducing economic loss can be efficiently used.

둘째, 빛의 조사량이 떨어지는 상황에 대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진입 차단동작에 대한 인식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품질이 증대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Second, to provide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in which the quality of use is increased by enabl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further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ion decreases.

셋째, 전국 각 지역에 설치되는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에 대하여 현장의 정보뿐 아니라 관련기관의 정보를 이용하여 저지대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Third,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manag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for low-lying flooded roads by using information from related organizations as well as on-site information 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for flooded roads installed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발령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의 차량진입 차단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의 차량진입 개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구성하는 수동개폐부재 및 간접조명수단을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구성하는 차단수단의 다른 배치구성 예를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운동을 통한 차단수단의 차량진입 차단 및 개방동작을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구성하는 커튼롤부재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의 전기적 제어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의 전기적 통신관계를 보인 개략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warning system for a low-lying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water forecast and warning system server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orecast and warning scenario for a lowland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issuance of an alarm according to a forecast and warning scenario for a low-lying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illustration show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ate of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illustration showing a vehicle entry opening state of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illustration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indirect lighting means constitut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rrangement example of blocking means constitut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1 to 1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and open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means through 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constitut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curtain roll member constitut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5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the electrical control relationship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the electrical communication relationship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a flooded ro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oded waterway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server shown in FIG. 1 It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들(#1 ~ #N), 통신망(200),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와 행안부, 기상청, 수자원 공사 등의 유관기관 서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owland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a plurality 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to Nth area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90 (#1 to #N), a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areas.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 400 and a related agency server 500 such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여기서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은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을 관제하는 각 지역(시, 도, 구, 군 등) 단위의 서버로써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의 현재상태와 수위측정수단(90)들로부터의 수위측정 데이터를 통신망(200)을 통해 수집한다. 참고로,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각각은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4와 도 5 내지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기본적으로는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둔치주차장, 차량 진입로와 교차되도록 시설된 기차 진입로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차량 진입로를 통과하려는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control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1) in each region (city, province, district, county, etc.) As a unit server,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1 and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90 are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For reference, each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3 to 4 and 5 to 16 to be described later, but basically, low-lying submerged roads and Sewol bridges, dock parking lots, vehicle access roads and It is installed in an access road such as a train access road equipped to cross, and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flooding of a road (entrance road) due to rain to prevent entry of a vehicle trying to pass through the vehicle access road.

이때, 하나의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는 설정된 구역에 따른 복수의 지역(시, 도, 군 단위 등)들 각각에서 복수의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들을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들은 각각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며, 이러한 관리자들은 각각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를 통해 필요한 사항(주기적 점검, 이상 발생 점검 등)에 대한 지시를 수령하게 된다. At this time, on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manages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in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city, province, county units, etc.) according to the set area. Each of thes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is managed by a manager set in advance, and each of these managers provides information about necessary items (periodic inspection, abnormal occurrence inspection, etc.) through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and 620, respectively. receive instructions.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들은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차량 진입로와 교차되도록 시설된 기차 진입로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수위를 측정한다.The plurality of 1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re installed in lowland flooded roads and Sewol bridges installed in low areas, train access roads installed to intersect vehicle access roads, etc. It measures the water level so that i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flooding.

통신망(200)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와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와 기상청, 수자원 공사 등의 유관기관 서버(500)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간 통신을 지원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composed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includes a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a plurality of 1st to Nth area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and a plurality of first to th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 400 in N region, the server 500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and 620.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는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를 대비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에 대하여 복수의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와 함께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 유관기관 서버(500)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와 연계하여 관리한다.The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ing structures for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1)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looding of a road (access road) due to rain. Along with the control center 10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s 400, related agency servers 500, and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 600, 610, 620) and managed.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는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필요한 경우 해당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이 설치된 지역의 경찰서와 소방서로 비상 상황 발생을 전파하며,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에 대한 이상 발생 시 협조를 요청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1st to Nth regional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s 400, if necessar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looding of a road (entrance) due to rain occurs,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1)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lice station and fire station in the installed area, and cooperation is request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1).

행안부, 기상청, 수자원 공사 등의 유관기관 서버(500)는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비소식이나 댐 개방 등의 정보를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에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복수의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 중 해당 지역의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로 전송한다.The server 500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rain news or dam opening to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s ( 300),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and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and 620 in the corresponding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그리고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서버(300)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31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정보 수집부(32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이상정보 분석/통지부(330), 수위정보 수집/분석부(340), 댐방류정보 수집/분류부(35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종합분석 운용부(360), 데이터베이스(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2, an embodiment of the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serve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and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bnormal information analysis / notification unit ( 330), a water level information collection/analysis unit 340, a dam discharge information collection/classification unit 350,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operation unit 360 of a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a database 370, and a control unit 380. .

통신부(31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들,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와 기상청, 수자원 공사 등의 유관기관 서버(500)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과 통신망(200)을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police stations/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communicates with the fire station server 400, the server 500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and 62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정보 수집부(32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을 통해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들의 운용정보(현재상태, 이상 발생 등)를 수집한다.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current state, abnormal occurrence, etc.)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collect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이상정보 분석/통지부(33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을 통해 수집한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들의 운용정보(현재상태, 이상 발생 등) 수집결과에서 이상상황 발생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해당 차단 구조물을 관리하는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로 통지한다. 이러한 이상상황은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을 구성하는 구성품들(차단수단(3), 구동수단(4), 상황표시수단(5)(전광판(51), 방송스피커모듈(52), 경광등모듈(53)), 제어수단(61), 전원공급부(62), 통신수단(63), 조도센서모듈(64), 수동개폐부재(7) 및 간접조명수단(8))과 감시카메라모듈(80)과 수위측정수단(90)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분석하고 통지한다.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bnormal information analysis / notification unit 330 is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collect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current state, abnormality)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Occurrence, etc.)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ituation is analyzed from the collection result, and the analysis result is notified to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 (600, 610, 620) that manages the corresponding blocking structure. This abnormal situation is caused by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blocking means (3), driving means (4), situation display means (5) (electronic display board 51, broadcast speaker module 52, warning light module) (53)), control means 61, power supply unit 62, communication means 63, illuminance sensor module 64, manual opening/closing member 7 and indirect lighting means 8) and monitoring camera module 80 ) and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re analyzed and notified according to a preset cycle.

수위정보 수집/분석부(340)는 수위측정수단(90)의 수위측정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수위 이내인지 위험수위인지 등을 분석한다.The water level information collection/analysis unit 340 collects water level measurement result data of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nd analyzes whether the water level is within a preset water level or a dangerous level.

댐방류정보 수집/분류부(350)는 수자원 공사 서버를 통해 댐들의 방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해당 지역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별로 분류한다.The dam discharge information collection/classification unit 350 collects discharge information of dams through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server, and classifies it for each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n the corresponding area.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종합분석 운용부(36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들 및 유관기관 서버(50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이상상황 발생이나 미리 설정돈 주의 경보 상황 등에 따라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예를 들어 기상청으로부터의 호우, 장마 정보, 댐방류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mprehensive analysis operation unit 360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1st to Nth area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nd the related agency server 500 to determine if a preset abnormal situation occurs or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 610 , and 620 according to a pre-set money alert condition. At this time, for example, heavy rain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ainy season information, and dam discharge information are included.

데이터베이스(370)는 지역별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 정보 저장부와, 지역별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담당자(관리자)정보 저장부. 지역별 수위측정수단 수집정보 저장부. 지역별 댐 방류정보 저장부 및 지역별 재난관련 서버/담당자 정보(기상청, 수자원공사,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련자 정보(스마트폰 번호 등)) 등이 저장된다. 그에 따라 통신부(310)를 통해 수집된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정보,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이상정보, 수위정보, 댐방류정보 등을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지역별 재난관련 서버/담당자 정보에 따라 해당 담당자(관리자)에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 database 370 includes a regional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regional vehicle access barrier structure manager (manager) information storage unit.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coll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each region. The dam discharge information storage unit by region and disaster-related server/person in charge information by region (related person information (smartphone number, etc.) such as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ater Resources Corporation, police station, and fire station) are stored. Accordingly,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bnormal information, water level information, dam discharge information, etc.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re stored, and if necessary, the corresponding person in charge (manager) ) to transmit information.

제어부(380)는 통신부(31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정보 수집부(32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이상정보 분석/통지부(330), 수위정보 수집/분석부(340), 댐방류정보 수집/분류부(35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종합분석 운용부(360) 및 데이터베이스(37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8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bnormal information analysis/notification unit 330, a water level information collection/analysis unit 340, and a dam discharge information collection /Controls the classification unit 350, the comprehensive analysis operation unit 360 and the database 370 of the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한편, 자동경보발령을 위한 기준 데이터는,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data for automatic alarm issuance is

관측자료로는, 수위 관측데이터, 강우 관측데이터, 침수 관측데이터(침수감지센서, 수위레벨센서 등)이 있고,Observation data includes water level observation data, rainfall observation data, and inundation observation data (submersion detection sensor, water level sensor, etc.),

공공자료로는, 기상예보, 특보 등 기상청 발표자료 등이 있는데. Public data include weather forecasts, special reports, and other announcements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관측자료와 공공자료를 기준으로 조건이 충족되면 경보를 발령하도록 설정한다.An alarm is set to trigger when conditions are met based on observational data and public dat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발령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warning scenario for a lowland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chart to explain the issuance of warnings according to the forecast and warning scenarios for flooded low-lying waterways.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와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발령은 각각의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경보발령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S100). 우선 경보발령조건을 설정한다(S110). 이러한 경보발령조건은 경보 단계(경보 1단계 내지 경보 n 단계)별(주의 주행, 주행 금지 등)로 설정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is issued according to the forecast and warning scenario of a low-lying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nd the forecasting and warning scenario of a low-lying flooded roa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each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As it is performed in, as shown in FIG. 3, the low-lying submerg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cenario creates an automatic warning issuance scenario (S100). First, an alarm issuing condition is set (S110). These warning issuance conditions are set for each warning stage (warning stage 1 to warning stage n) (cautionary driving, driving prohibited, etc.).

이러한 경보발령조건은, 수위측정수단(90)으로부터 측정된 수위측정값(S111), 강수측정값(S112), 기상특보(S113) 및 그 외 활용가능한 자료(S114) 등을 통해 설정한다. 이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1)이 설치된 지역이나 위치 설치 조건 등에 따라 설정된다.These warning issuance conditions are set through the water level measurement value (S111)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90, the precipitation measurement value (S112), the weather warning (S113), and other usable data (S114). This is set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s installed or the location and installation conditions.

이어 경보발령 장비 제어를 설정한다(S120). 이러한 경보발령 장비 제어 설정 역시 경보 단계(경보 1단계 내지 경보 n 단계)별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경보 방송장비(전광판(51), 방송스피커 모듈(52)을 통한 미리 입력된 자동안내 방송, 경광등 모듈(53)) 선택(S121), 문자전광판 선택(S122), 진입차단기 선택(S123), SMS 수신자 선택(S124), 그외 제어 가능 장비(S125) 등에 대하여 선택되도록 설정한다.Subsequently, the alarm issuing equipment control is set (S120). These alarm issuing equipment control settings can also be set for each alarm stage (alarm stage 1 to alarm stage n), and forecasting and warning broadcasting equipment (electronic display board 51, automatic announcement broadcasting pre-entered through the broadcasting speaker module 52, warning lights, etc.) Module 53) is set to be selected for selection (S121), text message board selection (S122), entry blocker selection (S123), SMS recipient selection (S124), and other controllable equipment (S125).

그 다음 추가 시나리오 작성이 없다면(S130), 경보발령 시나리오 작성이 완료된다(S140). 이러한 시나리오는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들)(100) 각각에서 각각의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에 맞춰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if there is no additional scenario creation (S130), alerting scenario creation is completed (S140). It is preferable that these scenarios are individually set according to each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n each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

그리고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발령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100)에서는 수위측정수단(90)에서 측정된 수위측정 데이터에 따라 경보발령조건 도달여부를 감시한다(S200).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침수도로 에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된 유관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집된 정보(호우, 장마 정보, 댐방류정보 등에 의해 경보 발령 조건 도달 여부를 감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alarm is issued according to the forecast and warning scenario for the low-lying flooded road us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based on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in each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Accordingly, whether or not the alarm issuance condition is reached is monitored (S200). Of cours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for issuing an alarm is reached by information (heavy rain, rainy season information, dam discharge information, etc.) collected from the relevant agency server 500 provided by the flooded roa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이러한 도달여부 감시에 따라 경보 1 단계 내지 경보 n 단계에 도달했는지 판단하고(S210~S230), 판단결과에 따라 1단계 내지 n 단계 경보를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에서 발령한다(S211 ~ S231).According to this arrival monitor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to nth level of warning has been reached (S210 to S230), and the first to nth level alarms are issued from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211 to S231) .

그리고 각각의 경보 발령 단계(S211 ~ S231)에 따라 단계별 경보 장비 동작이 제어하고(S240), 경보 발령 동작을 완료하며(S250), 계속해서 경보발령조건 도달여부를 감시한다(S200).In addition, step-by-step alarm equipment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each alarm issuance step (S211 to S231) (S240), the alarm issuance operation is completed (S250), and whether the alarm issuance condition is reached is continuously monitored (S200).

참고로, 경보 장비 동작의 예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로에 시설된 감시카메라모듈(80)을 통해 실시간으로 침수된 정도를 전광판(51)에 표시하여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측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침수된 정도의 위험성을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후술되는 상황표시수단(5)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에게 특정문구과 이미지를 표시하여 진입로(10)로 주행하는 차량에게 침수도로의 침수가 발생한 정도를 전광판(51)을 통해 표시하거나, 침수가 발생한 지역(도로)에 설치된 수위측정수단(90)의 수위측정데이터를 통해 차량진입 차단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차량의 운전자가 전광판(51)으로 침수 지역의 현황이나 차량의 우회 이동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이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 5 내지 도 1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larm equip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gree of flooding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51 in real time through the monitoring camera module 80 installed on the road to block vehicle entry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anger of flooding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to the driver of a vehicle traveling toward the structure (1), and driving on the access road (10) by displaying specific phrases and image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situation display means (5) to be described later. The degree of flooding in the flooded road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51, or the vehicle entry is blocked through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of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installed in the area (road) where the flooding occurred. The driver of the display board 51 can visually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flooded area or the detour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6 to be described later.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주로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에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가 필요한 곳에 시설되어 도로에 대한 차량진입의 차단 및 개방을 통제하며, 특히, 저지대의 침수도로, 하천이 흐르는 세월교 등의 침수 우려가 높은 도로의 진입로(10)에 시설되어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할 시에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5 to 16 are views show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a flooded road used in a lowland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flooded roads is installed whe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ntry of vehicles on the roads mainly driven by cars, and controls the blocking and opening of vehicle entry to the roads. In particular, flooding in low-lying areas It is installed on the access road 10 of a road with a high risk of flooding, such as a road or Sewol Bridge where a river flows, and can be suitably applied to control the entry of a vehic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looding occurs.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진입로(10)의 양측면 바닥에 대하여 2개 1조를 가지면서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圓筒:cylinder)' 형상의 수직프레임(2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된 2개 1조로 연결배치되는 수평프레임(22)들을 포함하는 차단몸체(2)와; 진입로(10)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된 차단수단(3)과; 상기 차단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진입로(10)의 차량진입 차단시에 정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로 상기 차단수단(3)을 이동시키고 차량진입 개방시에 상기 차단수단(3)을 평면상 양측면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4)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상황표시수단(5)과; 별도의 통신망(200)과 전기적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수단(63)을 포함한다.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ylinder' installed vertically while forming a gap while having two sets of two with respect to the floor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10. )'-shaped vertical frames 21 and a blocking body 2 including horizontal frames 22 connected in a set of two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a blocking means (3) configured to block entry of a vehicle traveling on the access road (10); It is provided in the blocking body 2 and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62, and when the vehicle entry of the access road 10 is blocked, the blocking body 2 Driving means (4) for moving the blocking means (3)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and moving the blocking means (3) to both sides of a plane when the vehicle is opened; a situation display means (5)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and capable of displaying road condition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63 enabling electrical data communication with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200.

즉, 진입로(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 사이에 진입로(10)가 배치되며 차량이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직프레임(21)사이를 관통하면서 진입하여 주행하게 되며, 차량진입을 차단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상기 차단몸체(2)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수단(4)이 상기 차단수단(3)을 평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 사이의 진입로(10)로 이동시키어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입로(10)의 진입 차단을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access road 1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10, and the vehicle enters while penetrating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of the blocking body 2 driving, and when a situation arises in which vehicle entry must be blocked, the driving means (4) provided in the blocking body (2) moves the blocking means (3) on a plane to the vertical frame (21) of the blocking body (2). ) to the access road 10 between them, so that the driver of the driving vehicle can recognize that the access road 10 is blocked.

아울러, 상기 상황표시수단(5)을 통해서 차단된 진입로 뒤의 침수된 도로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침수된 정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어 도로의 위험성을 직관적으로 인지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situation of the flooded road behind the blocked access road is displayed through the situation display means 5 to visually show the degree of flooding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reby intuitively recognizing the danger of the road.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에게 침수도로 진입의 위험한 정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lert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the degree of danger of entering the flooded road.

상기에서 구동수단은, 평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2개 1조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에 배치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몸체(2)의 중앙측 방향의 표면이 개구된 한 쌍의 구동하우징(41)들과; 평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2개 1조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를 관통하면서 상기 구동하우징(41)의 개구된 표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결합되는 구동연결하우징(42)과; 상기 구동하우징(41)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는 구동모터(43)와; 상기 구동모터(43)의 모터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43)의 토크값을 변속시키도록 된 변속기(44)와; 상기 변속기(44)의 회전축과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3)의 작동시에 정역회전운동을 하도록 된 구동부재(46)와; 평면상 상기 구동하우징(41)들과 상기 구동연결하우징(42)의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22084049317-pat00001
' 형상의 순환경로를 가지도록 된 형상을 가지고 다수 개의 상기 차단수단(3)이 일렬로 고정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재(46)의 정역회전운동시에 연결배치된 상기 차단수단(3)을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가이드부재(45)를 포함한다.In the above, the driving means is disposed on the two vertical frames 21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2 on a plane and has a frame structur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pair of drive housings 41 having open surfaces in the center direction; A drive connection housing (42) arranged and coupled to connect open surfaces of the drive housing (41) while penetrating between the two vertical frames (21)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2) on a plane. )class; a driving motor 43 fixed inside the driving housing 41 and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a transmission 44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ing motor 43 and configured to shift a torque value of the driving motor 43; a driving member 46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transmission 44 and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hen the driving motor 43 ope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rive housings 41 and the drive connection housing 42 on a plane, '
Figure 112022084049317-pat00001
' has a shape to have a circular path, and a plurality of the blocking means (3) are fixedly arranged in a line, and when the drive member (46)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e connected blocking means (3) is moved. It includes a driving guide member 45 so as to be.

즉, 차량진입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 시에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43)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작동되면 상기 구동부재(46)가 정역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가이드부재(45)의 '

Figure 112022084049317-pat00002
' 형상의 순환경로를 따라 '└>' 방향의 형태와 '<┐'방향의 형태에 대한 움직임을 가지면서 상기 차단수단(3)이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a situation in which vehicle entry must be blocked occurs and the driving motor 43 is operated to rotat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he driving member 46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drive guide member ( 45)'
Figure 112022084049317-pat00002
The blocking means (3) moves along the circular path of the 'shape' while having movement for the '└>' direction and the '<┐' direction.

아울러, 상기 차단수단(3)이 상기 구동연결하우징(42)에 위치될 때 상기 구동모터(43)가 작동정지될 경우 진입로(10)에 대한 차량진입 차단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구동하우징(41)에 위치될 때 상기 구동모터(43)가 작동정지될 경우 진입로(10)에 대한 차량진입 개방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motor 43 is stopped when the blocking means 3 is located in the driving connection housing 42, a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for the access road 10 is performed, and the driving housing ( 41), when the driving motor 43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ehicle entry opening operation for the access road 10.

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4)의 상기 구동모터(43)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가이드부재(45)의 경로를 따라 상기 차단수단(3)이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되어 단방향으로만 회전하여도 상기 차단몸체(2)를 관통하는 진입로(10)에 대하여 차량진입 차단동작과 개방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3 of the driving means 4, the blocking means 3 moves and circulates along the path of the driving guide member 45, even if it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ccess road 10 penetrating the blocking body 2,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and an opening operation.

상기에서 구동수단(4)은, 한 쌍의 상기 구동하우징(41)의 내부에 각각 상기 구동모터(43)와 상기 변속기(44)와 상기 구동부재(46)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driving means 4, the driving motor 43, the transmission 44, and the driving member 46 may be disposed inside the pair of driving housings 41, respectively.

즉, 평면상 좌우측에서 상기 구동부재(46)의 정역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차단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각 상기 구동가이드부재(45)를 따라 순환이동하는 상기 차단수단의 이동에 대한 상기 구동모터(43)들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구동모터(43)중의 하나가 고장이 발생하여도 다른 한 쪽의 상기 구동모터(43)의 작동을 유지되게 할 수 있다.That is, it is configured to move the blocking means while perform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ember 46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ne, and the driving for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means circulating along the driving guide member 45, respectively. The overload of the motors 43 can be reduced, and even if one of the pair of drive motors 43 fails, the operation of the other drive motor 43 can be maintained.

이에 따라, 차단 장치의 고장에 대한 유지보수를 진행하기 전까지 상기 구동수단(4)의 작동에 의한 상기 차단수단(3)의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means 3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4 until maintenance for the failure of the blocking device is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usability.

상기에서 차단몸체(2)를 구성하는 상기 수직프레임(21)과 상기 수평프레임(22)의 결합 구조는, '갠트리(gantry)'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vertical frame 21 and the horizontal frame 22 constituting the blocking body 2 above may be made of a 'gantry' structure.

즉,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갠트리(gantry)' 구조로 결합하여 상기 차단몸체(2)에 설치된 상기 차단수단(3)과 상기 구동수단(4)과 상기 상황표시수단(5)들이 비, 강풍(바람)과 같은 기상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되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blocking means (3), the driving means (4), and the status display means (5) installed in the blocking body (2) by being combined in a structurally stable 'gantry' structure are rain, strong wind ( It can be installed and maintained stably even in weather conditions such as wind).

이에 따라, 구조물의 안정성과 상기 차단몸체(2)를 관통하여 통행하는 차량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and the safety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body 2 are improv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에서, 상기 차단수단(3)은, 상기 구동가이드부재(45)에 고정배치되며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상부차단부재(31)와;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하단부와 연결고정되고, 상기 상부차단부재(31)보다 가볍고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상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원주(圓周:원의 둘레)보다도 더 작은 원주(圓周:원의 둘레)를 가지면서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하부차단부재(32)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means 3 is fixedly disposed on the driving guide member 45 and has a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rope ( rope) 'shaped upper blocking member 31 and;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lighter and softer than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and has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circumference of a circle)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n cross section. It may be made of a lower blocking member 32 having a 'rope'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having (圓周: circle circumference).

즉, 상기 상부차단부재(31)가 상기 하부차단부재(32)보다도 더 무거운(가볍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어 상기 차단수단(3)의 차단동작 시에 진입로(10)를 통행하는 차량 중에서 상기 상부차단부재(31)와 충돌하면서 통과하는 높은 높이의 차량(화물차)과 상기 하부차단부재(32)만 충돌하면서 통과하는 낮은 높이의 차량(승용차)을 구별하여 차량과 상기 차단수단(3)을 충돌시키게 되며, 바람의 영향에 따라 유동되는 상기 차단수단(3)의 상기 상부차단부재(31)를 무거운 재질로 하여 바람의 영향을 덜 받도록 구성하고 상기 차단수단(3)이 고정되는 상기 구동가이드부재(45)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상기 하부차단부재(32)를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여 진입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에게 타격에 따른 손상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heavier (not lighter) than the lower blocking member 32, and among vehicles passing the access road 10 during the block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means 3, the upper por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a high-height vehicle (lorry) passing while colliding with the blocking member 31 and a low-height vehicle (passenger car) passing while colliding only with the lower blocking member 32,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means 3.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of the blocking means 3, which flow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wind, is made of a heavy material to be less affected by the wind, and the driving guide member to which the blocking means 3 is fixed By making the lower blocking member 32 relatively far from (45) made of a soft material, damage to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access road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차량의 종류에 따른 상기 차단수단(3)과의 충돌을 지정할 수 있어 차량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강풍과 같은 바람의 영향에 따라 유동되는 상기 차단수단(3)에 의한 차량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collision with the blocking means (3)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thereby minimizing vehicle damage, and reducing vehicle damage caused by the blocking means (3) flowing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wind such as strong win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상기 구동가이드부재에 고정배치된 다수 개의 상기 차단수단(3)들에는, 상기 상부차단부재(31)들과 상기 하부차단부재(32)들에 대하여 진입로(10)로 들어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표면에 고정부착되고 '직사각형' 형상의 '면(綿)'으로 이루어지는 커튼롤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lurality of blocking means (3) fixedly disposed on the drive guide member,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and the lower blocking member (32) are placed on a surface colliding with a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10). It may further include a curtain roll member 33 fixedly attached and made of a 'face' of a 'rectangular' shape.

즉, 상기 차단수단(3)에 의해 차량진입 차단동작시에 진입로(10)측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입 차단동작중인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blocking means 3, the driver of the vehicle traveling toward the access road 10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entry blocking operation is in progress.

이에 따라, 차단동작에 대한 차량의 운전자의 시각적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iver's visual perception of the blocking operation.

상기에서 차단수단(3)은, 상기 구동가이드부재(45)에 고정배치된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3M(미터)로 가질 수 있으며, 진입로(10) 지면으로 부터 높이가 1.5M(미터)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blocking means 3 may have a length of 3M (meter)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fixed to the driving guide member 45, and a height of 1.5M (meter) from the ground of the access road 10. It can be arranged to fall.

즉, 사람에게는 진입 차단동작중인 것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수 있게 하되 통행은 방해받지 않으며, 차량에게는 전방의 시야가 차단되도록 위치되어 차단효과를 높이게 됨에 따라 충돌로 인한 피해를 피해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people can be alerted to the entry blocking operation, but traffic is not hindered, and vehicles are positioned so that the front view is blocked to increase the blocking effect, so that they can avoid damage caused by collision. there is.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에서, 상기 상황표시수단(5)은,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평프레임(22)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특정문구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침수가 발생한 도로에 설치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가 구비된 수위측정수단(90)의 수위측정데이터를 상기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63)으로 전기적 데이터통신하여 전달받아서 진입로(10)로 주행하는 차량에게 침수도로의 침수가 발생한 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전광판(51)을 포함한다.In 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e status display means 5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22 of the blocking body 2 and controls the control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eans 61, is configured to display specific phrases and image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is equipped with a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a flooded road to measure the water level. An electric display board (51) capable of displaying the degree of flooding in a flooded road to a vehicle traveling on the access road (10) by receiving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through electric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63)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cludes

즉, 침수가 발생한 지역(도로)에 설치된 상기 수위측정수단(90)의 수위측정데이터를 통해 차량진입 차단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전광판(51)으로 침수 지역의 현황이나 차량의 우회 이동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of the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installed in the flooded area (road),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r of the vehicle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flooded area or the vehicle detour through the electronic signboard 51. You can visually check the movement path.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가 해당 침수도로의 주행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성이 증대된다.Accordingly, usability is increased by providing data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determine driving on the corresponding flooded road.

상기에서 전광판(51)은, 침수가 발생한 침수도로에 시설되어 침수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감시카메라모듈(80)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통신망(200)을 거치어 상기 통신수단(63)으로 전달받아 표시하도록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51 transmits the video data of the monitoring camera module 80 installed in the flooded road where the flooding occurred so that the flooded situa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o the communication means 63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t can be passed on and displayed.

즉, 침수가 발생한 침수도로에 시설된 상기 감시카메라모듈(80)을 통해 실시간으로 침수된 정도를 상기 전광판(51)에 표시하여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측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침수된 정도의 위험성을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degree of flooding in real time through the surveillance camera module 80 installed in the flooded road is displayed on the electric signboard 51 to the side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nger of flooding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to the driver of the driving vehicle.

상기에서 감시카메라모듈(80)은, 현장에 시설되어 고화질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구조체'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surveillance camera module 80 may be configured as a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structure' including a high-definition camera installed in the field, and its configuration and structure are among conventionally known technologie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selected by the user are appropriately applied.

상기에서 상황표시수단(5)은, 상기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통신수단(63)과 전기적 통신을 하며 침수상황을 관리하는 관제센터(10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전달받아 진입로(10)로 향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방송을 진행할 수 있는 방송스피커모듈(52)과; 차량의 운전자에게 긴급히 경고를 불빛을 통해 알리도록 된 경광등모듈(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ituation display means 5 communicates electrically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63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receives voice data from the control center 100 that manages the flooding situation and heads toward the access road 10. a broadcasting speaker module 52 capable of broadcasting a warning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 warning light module 53 configured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of an urgent warning through light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상기 관제센터(100)에서 경고방송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받아 상기 방송스피커모듈(52)을 통해 주위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상기 경광등모듈(53)을 통해 경고의 불빛을 점멸하여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게 되어 실시간 상황에 대한 경고 기능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center 100 can receive voice data for warning broadcasting and inform the drivers of surrounding vehicles audibly through the broadcasting speaker module 52, and the warning light through the warning light module 53. It is possible to inform visually by blinking, so the workability of the warning function for real-time situations is further improved.

상기에서 통신망(200)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인터넷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be composed of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selected by the user among conventionally known technologies are suitably applied.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에서, 상기 구동수단(4)은, 상기 차단수단(3)을 무전원으로 수동 개방 및 차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된 수동개폐부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eans 4 is manual to operate the manual opening and blocking of the blocking means 3 without power.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7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상기 구동수단(4)의 상기 구동모터(43)의 자동 차단동작이 불가능한 상황일 때, 관리자 또는 경찰 등의 관계자가 수동으로 차량진입의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utomatic blocking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3 of the driving means 4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is impossible, a manager or a person concerned such as the police manually blocks vehicle entry. action can be performed.

이에 따라, 고장에 의한 자동 차단동작 수행이 불가능한 비상상황일 시에도 차단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자동 차단동작에 대한 유지보수가 완료되기 전에도 차량진입 차단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기능의 안정성이 향상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locking operation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automatic blocking operation due to a failure, so that the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before the maintenance for the automatic block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function.

상기에서 수동개폐부재(7)는, '래치기어(Ratchet-gear) 구조체'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manual opening/closing member 7 may be made of a 'ratchet-gear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selected by the user among conventionally known technologies are suitably preferably appli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상기 구동수단(4)의 내부에 설치되며 진입로(10)에 대하여 빛의 조사량이 떨어지는 상황을 감지하는 조도센서모듈(64)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차단수단(3)으로 간접적인 조명을 조사하도록 된 간접조명수단(8)을 더 포함한다.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used in the lowland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side the driving means 4 and the access road 10 ), when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module 64 that detects a situation in which the amount of light irradiation decreases, it is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to irradiate indirect lighting with the blocking means 3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means (8).

즉, 야간과 같이 빛의 조사량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의 운전자의 인지성이 저하될 때 상기 조도센서모듈(64)이 신호를 발생시키어 상기 간접조명수단(8)을 작동시키면 상기 차단수단(3)에 빛이 조사되어 진입로(10)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단수단(3)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driver's perception of the vehicle is reduced due to a situation in which the amount of light irradiation decreases, such as at night, when the illuminance sensor module 64 generates a signal to operate the indirect lighting means 8, the blocking means ( 3) is irradiated with light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driving on the access road 10 can recognize the blocking means 3.

이에 따라, 차량진입의 차단동작에 대한 기능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blocking operation of vehicle entry.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지형상 주간에도 빛의 조사량이 적어 상기 차단수단(3)에 대한 차량의 운전자의 인식이 떨어짐이 발생되는 도로에 시설되는 상황일 때, 주위 지형의 색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색상(예컨대, '보색:補色')으로 도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ion is small even during the daytime due to the topography, so the driver's awareness of the blocking means 3 decreases. When installed on a road to be installed, it may be painted in a relatively visually conspicuous color (eg, 'complementary color: 補色') with respect to the color of the surrounding terrain.

이에 따라, 차량진입의 차단동작에 대한 기능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blocking operation of vehicle entry.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차량진입 차단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구동수단(4)을 작동해서 상기 차단수단(3)을 이동시키어 차량진입의 차단기능 동작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drive the driving means 4 at regular time interv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when a vehicle entry blocking situation does not occur. It may include performing a self-diagnosis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entry blocking function operation is normally operated by moving the blocking means 3 by operating the .

즉,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의 차량진입 차단동작의 정상작동여부를 일정 시간 단위(예컨대, 1일 1회)로 확인하고 자가진단의 정상동작여부를 상기 통신수단(63)을 통해 상기 통신망(200)을 거치어 상기 관제센터(100)로 전송하여 상기 관제센터(100)로 알리도록 하여 고장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ry blocking operation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rmally operated is checked in a certain time unit (eg, once a day), and whether or not the self-diagnosis is normally operating is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63,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so that the control center 100 is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 failure can be detected.

이에 따라, 상황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고장이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상기 관제센터(100)에서 확인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어 고장이 지속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 failure occurs by periodically checking the situation, the control center 100 can immediately check and perform maintenance, thereby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ailure continu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침수도로를 위한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침수가 발생한 침수도로에 대하여 차량이 진입할 때 상기 차단수단(3)과 차량의 충돌에 의한 파손과 같은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access blocking structure 1 for the floode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amaged such as damag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blocking means 3 and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flooded road. It is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t is to reduce to a minimum.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10 : 진입로
2 : 차단몸체 21 : 수직프레임
22 : 수평프레임 3 : 차단수단
31 : 상부차단부재 32 : 하부차단부재
33 : 커튼롤부재
4 : 구동수단 41 : 구동하우징
42 : 구동연결하우징 43 : 구동모터
44 : 변속기 45 : 구동가이드부재
46 : 구동부재 5 : 상황표시수단
51 : 전광판 52 : 방송스피커모듈
53 : 경광등모듈 61 : 제어수단
62 : 전원공급부 63 : 통신수단
64 : 조도센서모듈 7 : 수동개폐부재
8 : 간접조명수단
80 : 감시카메라모듈 90 : 수위측정수단
100 :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들)
200 : 통신망
300 :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
400 : 경찰서/소방서 서버 500 : 유관기관 서버
600, 610, 620 :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
1: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0: access road
2: blocking body 21: vertical frame
22: horizontal frame 3: blocking means
31: upper blocking member 32: lower blocking member
33: curtain roll member
4: driving means 41: driving housing
42: drive connection housing 43: drive motor
44: transmission 45: driving guide member
46: drive member 5: situation display means
51: electronic display board 52: broadcast speaker module
53: warning light module 61: control means
62: power supply unit 63: communication means
64: illuminance sensor module 7: manual opening and closing member
8: indirect lighting means
80: surveillance camera module 90: water level measuring means
100: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control center (s)
200: communication network
300: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400: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 500: Related agency server
600, 610, 620: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

Claims (5)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둔치 주차장 및 기차 진입로를 포함하는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도로(진입로)의 침수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을 관제하는 각 지역 단위의 서버로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각각의 현재상태와 수위측정수단(90)들로부터의 수위측정 데이터를 통신망(200)을 통해 수집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
지대가 낮은 곳에 시설되는 저지대 침수도로 및 세월교, 둔치 주차장 및 기차 진입로를 포함하는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우천으로 인한 도로(진입로)의 침수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 및
상기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와 함께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 행안부 서버, 기상청 서버 및 수자원 공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관기관 서버(500)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1)은, 진입로(10)의 양측면 바닥에 대하여 2개 1조를 가지면서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圓筒:cylinder)' 형상의 수직프레임(2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된 2개 1조로 연결배치되는 수평프레임(22)들을 포함하는 차단몸체(2)와, 진입로(10)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된 차단수단(3)과, 상기 차단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진입로(10)의 차량진입 차단시에 정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로 상기 차단수단(3)을 이동시키고 차량진입 개방시에 상기 차단수단(3)을 평면상 양측면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4)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상황표시수단(5) 및 상기통신망(200)과 전기적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수단(6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수단(3)은,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상부차단부재(31)와;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하단부와 연결고정되고, 상기 상부차단부재(31)보다 가볍고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상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원주(圓周:원의 둘레)보다도 더 작은 원주(圓周:원의 둘레)를 가지면서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하부차단부재(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상기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들,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경찰서/소방서 서버(400)와 기상청 서버, 수자원 공사 서버를 포함하는 유관기관 서버(500) 및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과 통신망(200)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310)와,
복수의 상기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을 통해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들의 현재상태와 이상 발생을 포함하는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정보 수집부(320)와,
복수의 상기 제1 내지 제N지역 차량진입 차단구조물 관제센터(100)들을 통해 수집한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들의 운용정보 수집결과에서 이상상황 발생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해당 차단 구조물을 관리하는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로 통지하는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이상정보 분석/통지부(330)와,
복수의 상기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의 수위측정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수위 이내인지 위험수위인지를 분석하는 수위정보 수집/분석부(340)와,
상기 수자원 공사 서버를 통해 댐들의 방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해당 지역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별로 분류하는 댐방류정보 수집/분류부(350)와,
복수의 제1 내지 제N지역 수위측정수단(90)들 및 유관기관 서버(50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이상상황 발생이나 미리 설정돈 주의 경보 상황에 따라 차단 구조물 관리자 단말기(600, 610, 62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종합분석 운용부(360)와,
지역별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 정보 저장부, 지역별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담당자정보 저장부, 지역별 수위측정수단 수집정보 저장부, 지역별 댐 방류정보 저장부 및 지역별 재난관련 서버/담당자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70)와,
상기 통신부(31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운용정보 수집부(32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이상정보 분석/통지부(330), 수위정보 수집/분석부(340), 댐방류정보 수집/분류부(350), 차량진입차단 구조물 종합분석 운용부(360) 및 데이터베이스(370)를 제어하는 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s (installed on access roads in areas where flooding occurs, including low-lying flooded roads and Sewol Bridges, dockside parking lots, and train access roads installed in low-lying areas and automatically operat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flooding of roads (entrances) ( The current state of each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and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90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to the server of each region that controls #1 to #N)(1).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vehicle access barrier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to collect;
It is installed in low-lying flooded roads and access roads in flooded areas, including Sewol Bridge, dockside parking lots and train access roads installed in low-lying areas, so that they can automatically operate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flooding of roads (entrances) due to rain.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for measuring water levels; an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1), a plurality of first to Nth area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a plurality of first Managed in conjunction with the related agency server 500 and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620, including the Nth regional police station / fire station server 400,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serv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s a vertical frame 21 of a 'cylinder' shape installed vertically while forming a gap while having two sets with respect to the floor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10 and a blocking body 2 including two horizontal frames 22 connected in a pair to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and the entry of a vehicle running on the access road 10 It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blocking means (3) to block the blocking means (3) and the control means (61) provided in the blocking body (2)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62), and when blocking vehicle entry into the access road (10).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blocking means (3)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of the blocking body (2) on the front side and moving the blocking means (3) to both sides of the plane when the vehicle is opened ( 4), condition display means 5 that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and is capable of displaying the road condition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communication that enables electric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Consisting of means 63,
The blocking means 3 includes an upper blocking member 31 of a 'rope' shape having a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lighter and softer than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and has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circumference of a circle)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n cross section. It is made of a lower blocking member 32 in the shape of a 'rope' having a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having (圓周: circle circumference),
The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management server 300,
A plurality of the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police station/fire station servers 400 ) and the related agency server 500 including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and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server and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and 6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 communication unit 310 that communicates,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 320) and,
Analyz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 situations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results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e first to Nth regio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s 100, and managing the corresponding blocking structure with the analysis results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bnormal information analysis/notification unit 330 for notifying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s 600, 610, and 620 to
A water level information collection/analysis unit 340 that collects water level measurement result data of the plurality of fir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nd analyzes whether the water level is within a preset water level or a dangerous water level;
A dam discharge information collection / classification unit 350 that collects discharge information of dams through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server and classifies it for each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n the corresponding area;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1st to Nth region water level measuring means 90 and the related agency server 500, the blocking structure manager terminal is se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preset abnormal situation or a preset warning warning situation. (600, 610, 620)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operation unit 360 for transmit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Database (3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10,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bnormal information analysis / notification unit 330, water level information collection / analysis unit 340, dam discharge information collection / classification unit ( 350),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mprehensive analysis operation unit 360 and a control unit 380 that controls the database 370.
삭제delete 각각 진입로(10)의 양측면 바닥에 대하여 2개 1조를 가지면서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圓筒:cylinder)' 형상의 수직프레임(2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된 2개 1조로 연결배치되는 수평프레임(22)들을 포함하는 차단몸체(2)와, 진입로(10)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된 차단수단(3)과, 상기 차단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진입로(10)의 차량진입 차단시에 정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로 상기 차단수단(3)을 이동시키고 차량진입 개방시에 상기 차단수단(3)을 평면상 양측면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4)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상황표시수단(5) 및 통신망(200)과 전기적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수단(6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로(진입로)의 침수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을 관제하는 각 지역 단위의 서버인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100)에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에 대한 자동경보발령 시나리오가 작성되되(S100), 복수의 경보 단계별 경보발령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110);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100)에서는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에 대한 경보발령 장비 제어가 설정되되, 예경보방송장비,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 및 제어 가능 장비에 대하여 상기 경보 단계별로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의 장비 제어가 설정되는 단계(S120);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은 수위측정수단(90)에서 측정된 수위측정 데이터에 따라 경보발령조건 도달여부를 감시(S200)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경보발령 조건에 도달했는지 판단하고(S210~S230), 판단결과(S210~S230)별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로 경보가 발령되는 단계(S211 ~ S231);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발령된 경보에 따라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1) 각각은 단계별 경보 장비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상기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지정동작이 자동제어되는 단계(S240); 및
각각의 단계별 경보 발령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정동작이 자동제어되는 단계(S240)는, 예경보 방송장비의 경보멘트 발령, 문자전광판의 경보문구 표출, 진입차단기의 경보 차단 동작, SMS 수신자에 대한 경보 문구 발송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수단(3)은,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상부차단부재(31)와;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하단부와 연결고정되고, 상기 상부차단부재(31)보다 가볍고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상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원주(圓周:원의 둘레)보다도 더 작은 원주(圓周:원의 둘레)를 가지면서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하부차단부재(32)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방법.
Vertical frames 21 in a 'cylindrical' shape installed vertically while forming a gap while having two pairs on the floor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10, and the vertical frames 21 A blocking body (2) including two horizontal frames (22) connected in a pair to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m, and a blocking means (3) to block the entry of a vehicle traveling on the access road (10) And, it is provided in the blocking body 2 and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62, and when blocking the vehicle entry of the access road 10, the blocking body 2 from the front Driving means (4) for moving the blocking means (3)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and moving the blocking means (3) to both sides on a plane when the vehicle is opened, and the control means (61) )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tuation display means 5 capable of displaying the road condition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eans 63 enabling electric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vehicle access barrier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which is a server in each region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access barrier structures (#1 to #N) (1) that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flood emergency occurs on the road (entrance), An automatic alarm issuance scenario for th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s prepared (S100), and a step of setting alarm issuance conditions for a plurality of alarm stages (S110);
In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100, alarm issuing equipment control for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is set, and warning broadcasting equipment, broadcasting speaker module, warning light module, text electronic display board, entry barrier, SMS receiver and A step of setting equipment control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for each step of the alarm with respect to the controllable equipment (S120);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1 monitors whether or not the warning issuance condition is reach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90 (S200), and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step-by-step warning issuance conditions have been reached (S210). ~ S230), step of issuing an alarm in a plurality of steps preset for each determination result (S210 ~ S230) (S211 ~ S231);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1)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preset alarms issued in stages is configu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equipment in stages, the broadcast speaker module, the warning light module, the character electric signboard, automatically controlling one or more designated operations for the access blocker and the SMS receiver (S240); and
Completing each step-by-step alert issuing operation (S250); and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signated operation (S240) includes issuing an alarm message from the forecasting and warning broadcasting equipment, displaying an alarm message on a text message board, blocking an alarm by an access blocker, and sending an alarm message to an SMS receiver,
The blocking means 3 includes an upper blocking member 31 of a 'rope' shape having a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lighter and softer than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and has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circumference of a circle)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n cross section. A low-lying flooded road forecasting and warning method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wer blocking member 32 in the shape of a 'rope' having a (circle circumference) and having a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삭제delete 각각 진입로(10)의 양측면 바닥에 대하여 2개 1조를 가지면서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圓筒:cylinder)' 형상의 수직프레임(2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된 2개 1조로 연결배치되는 수평프레임(22)들을 포함하는 차단몸체(2)와, 진입로(10)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된 차단수단(3)과, 상기 차단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진입로(10)의 차량진입 차단시에 정면상 상기 차단몸체(2)의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로 상기 차단수단(3)을 이동시키고 차량진입 개방시에 상기 차단수단(3)을 평면상 양측면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수단(4)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작동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상황표시수단(5) 및 통신망(200)과 전기적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신수단(6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로(진입로)의 침수비상 상황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을 관제하는 각 지역 단위의 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에 대한 자동경보발령 시나리오가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을 관제하는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에서 작성되되, 복수의 경보 단계별 경보발령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진입 차단 구조물 관제센터에서는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에 대한 경보발령 장비 제어가 설정되되, 예경보방송장비,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 및 제어 가능 장비에 대하여 상기 경보 단계별로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의 장비 제어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차량진입차단 구조물은 수위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수위측정 데이터에 따라 경보발령조건 도달여부를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경보발령 조건에 도달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별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로 경보가 발령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단계별 발령된 경보에 따라 복수의 차량진입차단 구조물(#1 내지 #N) 각각은 단계별 경보 장비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상기 방송스피커 모듈, 경광등 모듈, 문자전광판, 진입차단기, SMS 수신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지정동작이 자동제어되는 단계; 및
각각의 단계별 경보 발령 동작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수단(3)은,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상부차단부재(31)와;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하단부와 연결고정되고, 상기 상부차단부재(31)보다 가볍고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단면상 상기 상부차단부재(31)의 원주(圓周:원의 둘레)보다도 더 작은 원주(圓周:원의 둘레)를 가지면서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로프(rope)' 형상의 하부차단부재(32)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Vertical frames 21 in a 'cylindrical' shape installed vertically while forming a gap while having two pairs on the floor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10, and the vertical frames 21 A blocking body (2) including two horizontal frames (22) connected in a pair to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m, and a blocking means (3) to block the entry of a vehicle traveling on the access road (10) And, it is provided in the blocking body 2 and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61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62, and when blocking the vehicle entry of the access road 10, the blocking body 2 from the front Driving means (4) for moving the blocking means (3)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1) and moving the blocking means (3) to both sides on a plane when the vehicle is opened, and the control means (61) )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tuation display means 5 capable of displaying the road condition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eans 63 enabling electric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t consists of a server in each region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s (#1 to #N) that ar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flood emergency occurs on the road (entrance), and the automatic alarm issuance scenario for the vehicle entry barrier structure is described above. Creat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that controls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setting a plurality of alert step-by-step alert conditions;
In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ntrol center, alarm issuing equipment control for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is set. Setting equipment control of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each alarm step;
The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monitors whether a warning issuance condition is reach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ans,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preset warning issuance conditions are reached, and alarms in a plurality of preset stages for each determination result. is issued;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s (#1 to #N)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preset step-by-step alarms issu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tep-by-step warning equipment operation is the broadcast speaker module, warning light module, text electronic display board, entry blocker, automatically controlling one or more designated operations for SMS recipients; and
It is made including; completing each step-by-step alert issuing operation,
The blocking means 3 includes an upper blocking member 31 of a 'rope' shape having a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lighter and softer than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and has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circumference of a circle) of the upper blocking member 31 in cross section. Implementation of a forecasting and warning method with a low-lying submerged waterway using a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lower blocking member 32 in the form of a 'rope' having a (circumference of a circle) and having a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s are recorded.
KR1020220100479A 2022-08-11 2022-08-11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KR102503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479A KR102503807B1 (en) 2022-08-11 2022-08-11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479A KR102503807B1 (en) 2022-08-11 2022-08-11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807B1 true KR102503807B1 (en) 2023-02-24

Family

ID=8533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479A KR102503807B1 (en) 2022-08-11 2022-08-11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8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86B1 (en)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grave roadway of entry prevention
KR102648255B1 (en) * 2023-05-31 2024-03-15 주식회사 에이치피시스템 The vehicle access blocking device and road block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716489B1 (en) * 2024-03-20 2024-10-17 대한민국 Alarming and blocking device of flooded underpass having barrier composed of flexible materia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317A (en)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유신테크 Risk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KR20120088771A (en) 2009-12-10 2012-08-08 아조 디지털 에스피.제트.오.오. Method for controlling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and supply system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KR101335481B1 (en) 2012-04-24 2013-11-29 주식회사 위트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blocking bar
KR20160076088A (en) 2014-12-22 2016-06-30 이기곤 Crossing gate for vehicles
KR20200101026A (en) * 2019-02-19 2020-08-27 김진용 parking control system with disaster related message output function
KR20200116386A (en) 2019-04-01 2020-10-12 최예인 Obstacle equipments for permitting selective entry of vehicles
KR20220053370A (en)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Parking managemnet system for enhancing safety of immers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317A (en)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유신테크 Risk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KR20120088771A (en) 2009-12-10 2012-08-08 아조 디지털 에스피.제트.오.오. Method for controlling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and supply system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KR101335481B1 (en) 2012-04-24 2013-11-29 주식회사 위트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blocking bar
KR20160076088A (en) 2014-12-22 2016-06-30 이기곤 Crossing gate for vehicles
KR20200101026A (en) * 2019-02-19 2020-08-27 김진용 parking control system with disaster related message output function
KR20200116386A (en) 2019-04-01 2020-10-12 최예인 Obstacle equipments for permitting selective entry of vehicles
KR20220053370A (en)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Parking managemnet system for enhancing safety of immers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86B1 (en)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grave roadway of entry prevention
KR102648255B1 (en) * 2023-05-31 2024-03-15 주식회사 에이치피시스템 The vehicle access blocking device and road block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716489B1 (en) * 2024-03-20 2024-10-17 대한민국 Alarming and blocking device of flooded underpass having barrier composed of flexible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807B1 (en) Low-lying flood roa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US20080169939A1 (en) Early warning control system for vehicular crossing safety
KR100755207B1 (en) Roadside disaster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20110084176A1 (en) Railroad crossing
CN201570108U (en) System for monitoring intrusion of foreign bodies
CN103366412A (en) Vehicle-mounted road traffic automobile violation correcting black box
CN104637321A (en) Freeway incid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9208995B (en) Intelligent traffic rod and intelligent road system
KR102615686B1 (e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grave roadway of entry prevention
KR1027400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safety of tunnel
CN102431579A (en) Intellig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railway crossing
CN110807911A (en) Internet of things perception traffic 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2648255B1 (en) The vehicle access blocking device and road block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1630273U (en) Intelligent image recognition device for railway environment
CN114973713A (en) An intelligent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al entry for highway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projects
CN112002104A (en) A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highway guardrails
CN114241809A (en) Intelligent life safe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7901950A (en) Path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CN211237114U (en) Intelligent traffic guidance system
KR102492493B1 (e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flooded roads
CN116390299A (en) Smart city traffic street lamp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Bruyelle Railway accident prevention and infrastructure protection
KR102246833B1 (en) Vehicle Congestion and Road Situation Notification System
CN117894187A (en) Highway intellectual detection system early warning system
CN117622275A (en) Railway crossing safet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