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674B1 -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674B1
KR102503674B1 KR1020200170459A KR20200170459A KR102503674B1 KR 102503674 B1 KR102503674 B1 KR 102503674B1 KR 1020200170459 A KR1020200170459 A KR 1020200170459A KR 20200170459 A KR20200170459 A KR 20200170459A KR 102503674 B1 KR102503674 B1 KR 10250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id
oxygen
oxyge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037A (ko
Inventor
백충국
김성모
Original Assignee
캠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아이티(주) filed Critical 캠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20017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6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pressing in moulds or between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11Pe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2Na2CO3·3H2O2; KO2; Ca(OH)2; CaCO3; 및 수용성 산을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OXYGEN GENER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다양한 오염가스,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가스의 농도가 증가하면 각종 병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이산화탄소 등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원인물질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하여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이고, 외출이 감소함에 따라 실내에서 공기 오염을 저감하고,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액체 산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고압의 봄베에 보관되므로 위험성이 있어 일반인의 사용이 어렵다. Na2O2, KO2 또는 CaO2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고체산소 등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이 개발된 바 있으나, 산소발생량이 너무 적거나, 산소발생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과도하게 빠르게 산소발생 반응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수분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필연적으로 공기 중의 수분과의 접촉이 필요하여 표면에서만 산소가 발생하고, 이들의 잔류물이 층을 형성하여 조성물의 내부 성분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이론적인 발생량 대비 소량의 산소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학적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펠릿화 등의 성형이 필요한데, 종래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분말 형태를 가지므로 펠릿화에 추가적인 바인더가 필요하였으나, 이러한 바인더는 산소발생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장기간 일정한 속도로 많은 양의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2Na2CO3·3H2O2; KO2; Ca(OH)2; CaCO3; 및 수용성 산을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Ca(OH)2 및 CaCO3의 함량 총합은 50~200중량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산의 함량은 10~50중량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산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하이드록시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이미노디숙신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하이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육메타인산나트륨, 시트르산, 글루콘산, 옥살산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10~5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pH 10~12의 용액에서 2Na2CO3·3H2O2 및 KO2를 혼합하는 단계; (b) Ca(OH)2 및 CaCO3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c) 수용성 산을 투입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가압성형하여 고체상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2Na2CO3·3H2O2 및 KO2 100중량부; Ca(OH)2 및 CaCO3 50~200중량부; 및 수용성 산 10~50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가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은 50~100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장기간 일정한 속도로 많은 양의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산소발생 및 공기정화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
산소발생제 조성물
일 측면에 따른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2Na2CO3·3H2O2; KO2; Ca(OH)2; CaCO3; 및 수용성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산소발생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2Na2CO3·3H2O2 및 KO2를 동시에 포함하여 장기간 많은 양의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하기 반응식에 따라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
(1) 2Na2CO3·3H2O2 → 3H2O2 + 4Na+ + 2CO3 2-
(2) 2H2O2 → 2H2O + O2
(3) 4KO2 + 2H2O → 4K+ + 4OH- + 3O2
상기 2Na2CO3·3H2O2는 산소와 H2O를 생성하고, 상기 KO2는 H2O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쇄반응을 통해 별도의 수분 공급 없이도 지속적인 산소 발생이 가능하므로, 조성물의 외측 표면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수분 접촉이 어려운 조성물 내부에서도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2Na2CO3·3H2O2는 Na2CO3와 H2O2의 부가물(adduct)로, 일종의 무수 과산화수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KO2는 이산화탄소, 수분과 반응하여 분해되고, 그 결과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KO2는 반응성이 강하여 물 등에 접촉 시 과산화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급격한 산화 반응이 발생하여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2Na2CO3·3H2O2와 KO2를 단순 혼합하여 사용 시 폭발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에서 2Na2CO3·3H2O2와 KO2는 각각 1 : 0.3~1.8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KO2의 중량비는, 예를 들어,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2Na2CO3·3H2O2와 KO2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전술한 연쇄반응이 불충분하게 수행되어 산소발생량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Ca(OH)2 및 CaCO3를 안정제로 포함하여 상기 KO2가 급격하게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Ca(OH)2 및 CaCO3는 일종의 강염기 조건을 형성하고, 상기 KO2의 급격한 산화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Ca(OH)2 및 CaCO3의 함량 총합은 50~200중량부, 예를 들어, 50중량부, 60중량부, 70중량부, 80중량부, 90중량부, 100중량부, 110중량부, 120중량부, 130중량부, 140중량부, 150중량부, 160중량부, 170중량부, 180중량부, 190중량부, 20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Ca(OH)2 및 CaCO3의 함량 총합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안정제로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단위중량 당 산소발생량이 불충분하게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에서 Ca(OH)2와 CaCO3는 각각 1 : 0.3~1.8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aCO3의 중량비는, 예를 들어,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Ca(OH)2 및 CaCO3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안정제로서의 효과가 저하되거나, 펠릿화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함과 동시에 OH- 이온을 형성하므로, 반응 진행에 따라 염기성 조건이 조성되어 산소발생 반응이 저해됨에 따라 산소발생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수용성 산을 포함하면 pH를 조절함으로써 산소발생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산은 고체 상태로 첨가되어 산-염기 중화 반응을 수행하지 않고, 산소발생 반응에 따라 물이 형성되면 이에 용해되어 염기를 중화시키며 산소발생 반응을 유도하여 물의 제거 및 산소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산의 함량은 10~50중량부, 예를 들어, 10중량부, 15중량부, 20중량부, 25중량부, 30중량부, 35중량부, 40중량부, 45중량부, 5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수용성 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산소발생 반응 속도가 저하되거나, 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산소발생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산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하이드록시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이미노디숙신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하이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육메타인산나트륨, 시트르산, 글루콘산, 옥살산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50~100중량부, 예를 들어, 50중량부, 60중량부, 70중량부, 80중량부, 90중량부, 10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은 전술한 안정제로서의 효과를 적은 중량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단위중량당 산소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이 균질하게 혼합된 덩어리 내지 반죽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이 비균질하게 혼합되면 전술한 효과가 구현되지 않아 산소발생 반응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일련의 연쇄반응을 통해 수분을 생성하고, 제거하며 추가적인 바인더 없이도 덩어리 내지 반죽의 형태를 형성하므로, 펠릿 형태로 가압성형될 수 있다.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pH 10~12의 용액에서 2Na2CO3·3H2O2 및 KO2를 혼합하는 단계; (b) Ca(OH)2 및 CaCO3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c) 수용성 산을 투입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사용된 각각의 성분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a) 단계는 2Na2CO3·3H2O2와 KO2 간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강염기 조건 하에서 혼합하는 것으로, 소량의 용액 하에서 혼합함으로써 균질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액은 2Na2CO3·3H2O2 및 KO2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KO2 중 일부가 용매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킴에 따라 용액이 감소하고, 혼합물은 일종의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슬러리에 안정제인 Ca(OH)2 및 CaCO3를 첨가 및 혼합하는 것으로, 용액을 감소시키는 KO2의 반응이 더욱 억제될 수 있고, 상기 슬러리는 반죽처럼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형질로 인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별도의 바인더 없이 가압성형만으로 펠릿화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반죽과 같은 혼합물에 수용성 산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반응이 안정화되어 일정한 속도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d)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가압성형하여 고체상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고체상 펠렛의 제조 시 상기 용액을 상대적으로 많이 첨가하여 반죽 형태를 더 오래 유지시키면 가압성형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각 단계에서는 2Na2CO3·3H2O2 및 KO2 100중량부; Ca(OH)2 및 CaCO3 50~200중량부; 및 수용성 산 10~50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고, 이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안정제가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은 50~100중량부, 예를 들어, 50중량부, 60중량부, 70중량부, 80중량부, 90중량부, 10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로 투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명세서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명세서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1
pH 10~12인 Na2CO3 수용액 20중량부에 2Na2CO3·3H2O2 50중량부 및 KO2 3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Ca(OH)2 50중량부 및 CaCO3 50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25중량부를 혼합 건조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pH 10~12인 Na2CO3 수용액 20중량부에 2Na2CO3·3H2O2 30중량부 및 KO2 5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Ca(OH)2 50중량부 및 CaCO3 50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시트르산 25중량부를 혼합 건조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pH 10~12인 Na2CO3 수용액 30중량부에 2Na2CO3·3H2O2 20중량부 및 KO2 5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Ca(OH)2 50중량부 및 CaCO3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시트르산 25중량부를 혼합 건조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pH 10~12인 Na2CO3 수용액 25중량부에 2Na2CO3·3H2O2 25중량부 및 KO2 5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Ca(OH)2 100중량부 및 CaCO3 50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시트르산 25중량부를 혼합 건조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pH 10~12인 Na2CO3 수용액 20중량부에 2Na2CO3·3H2O2 40중량부 및 KO2 4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테트라알킬암모늄염 25중량부, Ca(OH)2 50중량부 및 CaCO3 50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25중량부를 혼합 건조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pH 10~12인 Na2CO3 수용액 20중량부에 2Na2CO3·3H2O2 50중량부 및 KO2 3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테트라알킬암모늄염 25중량부, Ca(OH)2 50중량부 및 CaCO3 75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25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압성형하여 산소발생제 펠릿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물에 2Na2CO3·3H2O2 및 KO2를 투입하였으나, 급격하게 반응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pH 10~12인 Na2CO3 수용액 20중량부에 2Na2CO3·3H2O2 30중량부 및 KO2 50중량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상기 슬러리에 Ca(OH)2 10중량부 및 CaCO3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투입하였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100중량부를 혼합 건조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밀폐된 상자에 투입하고,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초기 산소 농도는 0, 초기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농도와 최종 산소 농도를 100으로 설정하여 시간에 따른 생성량/제거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초기 반응 시간이 지난 후 산소는 일정한 속도로 발생하였고, 그와 비슷한 시기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감소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산소발생 특성을 비교하여 순위를 내었다. 숫자가 낮을수록 산소발생량이 많거나, 산소발생시간이 긴 것을 의미한다.
구분 산소발생량 순위 산소발생시간 순위
실시예 1 5 6
실시예 2 1 5
실시예 3 4 3
실시예 4 2 4
실시예 5 3 2
실시예 6 6 1
비교예 2 7 7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2Na2CO3·3H2O2 대비 KO2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산소발생량이 증가하였고, CaCO3 또는 Ca(OH)2는 산소발생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특히,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은 이러한 안정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별도의 바인더 첨가 없이 펠릿화가 가능하였다.
비교예 2는 안정제가 불충분하고, 수용성 산이 과도하게 많아 제조 중에 산소발생 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산소발생량과 산소발생시간이 모두 열등하였다.
전술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2Na2CO3·3H2O2, KO2, Ca(OH)2, CaCO3 및 수용성 산을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로서,
    상기 2Na2CO3·3H2O2 및 KO2의 중량비는 1 : 0.3~1.8이고,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Ca(OH)2 및 CaCO3의 함량 총합은 50~200중량부이고,
    상기 수용성 산의 함량은 10~50중량부인, 산소발생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산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하이드록시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이미노디숙신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하이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 헥사메틸렌디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육메타인산나트륨, 시트르산, 글루콘산, 옥살산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산소발생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50~100중량부 더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6. (a) pH 10~12의 용액에서 2Na2CO3·3H2O2 및 KO2를 1 : 0.3~1.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b) Ca(OH)2 및 CaCO3를 포함하는 안정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c) 수용성 산을 투입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Na2CO3·3H2O2 및 KO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Ca(OH)2 및 CaCO3는 50~200중량부 및 상기 수용성 산은 10~50중량부가 투입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가압성형하여 고체상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가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더 포함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은 50~100중량부 투입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70459A 2020-12-08 2020-12-08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59A KR102503674B1 (ko) 2020-12-08 2020-12-08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59A KR102503674B1 (ko) 2020-12-08 2020-12-08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37A KR20220081037A (ko) 2022-06-15
KR102503674B1 true KR102503674B1 (ko) 2023-02-28

Family

ID=8198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59A KR102503674B1 (ko) 2020-12-08 2020-12-08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847B1 (ko) 2022-08-04 2022-12-02 이기영 활성탄을 포함하는 수질개선용 성형체
KR102593347B1 (ko) * 2022-12-09 2023-10-23 장현실 친환경 초미립 산소워터 분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31665A1 (en) * 2018-07-30 2020-01-30 Diehl Aviation Gilching Gmbh Oxygen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xygen production rate of an oxygen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94B1 (ko) * 1994-05-02 1997-01-21 주식회사 호시코 코리아 정제형(tablet)산소발생제
KR101089867B1 (ko) * 2008-05-18 2011-12-05 (주)고체산소테크 산소발생, 살균 기능이 있는 기저귀 및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KR101130446B1 (ko) * 2009-09-28 2012-04-12 (주)고체산소테크 산소발생 및 살균 기능이 있는 산소기저귀 및 산소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CN105050948B (zh) * 2013-03-25 2017-08-22 达泰豪化学工业株式会社 固体产氧组合物
KR20180085334A (ko) * 2017-01-18 2018-07-26 김문배 산소발생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31665A1 (en) * 2018-07-30 2020-01-30 Diehl Aviation Gilching Gmbh Oxygen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xygen production rate of an oxygen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37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674B1 (ko)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36031A (ja) オゾン酸化によるセメント材の製造方法
CN1406208A (zh) 用于生产高转化率的二氧化氯溶液的块状体
US4025609A (en) Process for preparing stable sodium percarbonate
KR101865882B1 (ko) 건식 중화법에 의해 폐황산으로부터 석고를 제조하는 방법
JP2021523971A (ja) 炭鉱の噴霧による粉塵低減用の増潤剤及び調製方法
KR102114840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비료의 제조방법
KR100198902B1 (ko) d,l- 주석산을 함유하는 기체 발생제 조성물
CN1222470C (zh) 耐热膨胀石墨板材及其生产方法
CN108441276A (zh) 一种用于煤炭加速燃烧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US7833385B2 (en) Processes of making monohydrate form of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and processes of making paper using same
CN100579897C (zh) 一种用于生产中的稳定的二氧化氯组合物预混液及其制法
US3792152A (en) Stabilized phosphate and dentifric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4190635A (en) Processes for preparing sodium percarbonate
US3749678A (en) Rate stabilizers for chemical oxygen generators
JPH06172764A (ja) 低石炭化度炭の改質法及びこれを用いた石炭・水混合物の製造方法
JPS6059280B2 (ja) 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CN102030694A (zh) 一种橡胶硫化促进剂一硫化四异丁基秋兰姆的制备方法
RU252347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воров полисульфида кальция
Hardesty et al. Spontaneous Development of Heat in Mixed Fertilizers
KR20090067858A (ko) 산화철 슬러지의 고온 강도 부여 방법
SU878553A1 (ru) Абразивна масса
CN116098816A (zh) 一种氟化防龋泡沫的制作方法
EP0332685A1 (fr) Agglomeres de chlorate de sodium
JPS6042206A (ja) 安定化された過炭酸ナトリウム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