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55B1 - 카 스토퍼 - Google Patents

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55B1
KR102503355B1 KR1020210193091A KR20210193091A KR102503355B1 KR 102503355 B1 KR102503355 B1 KR 102503355B1 KR 1020210193091 A KR1020210193091 A KR 1020210193091A KR 20210193091 A KR20210193091 A KR 20210193091A KR 102503355 B1 KR102503355 B1 KR 10250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upling
car stopper
insertion spac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완희
홍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와트
Priority to KR102021019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는 주차공간 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도하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착탈되는, 카 스토퍼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 스토퍼{Car Stopper}
본 발명은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공간의 내측 후방 지면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도할 수 있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나 공항 등과 같은 대형 주차장에서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주차구역마다 주차된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여 주차 가능한 차량수를 시각적 정보로 안내해주고 있다.
이와 같이 주차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서 각 주차구역의 상부에 설치하는 초음파 센서나 바닥면에 설치하는 지자기 센서 등을 장착하거나 카메라를 장착하여 검지하였으나, 센서나 카메라는 물론 이들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해야만 하며, 이로 인한 작업시간과 비용증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키면서도 차량의 주차 대수를 정확히 파악하여 주차 여유공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주차감지수단에 대한 해결책이 꾸준히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706 B1호에서는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장비를 구비한 카스토퍼의 특성 상, 배터리를 교체 할 경우, 주차스토퍼 전체를 분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탈이 가능하여 배터리의 교체가 보다 용이한 카 스토퍼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는 주차공간 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도하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착탈되는, 카 스토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에 의하면 착탈이 가능한 카 스토퍼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카 스토퍼에 의하면 착탈에 의해 발생되는 간극으로의 침수 또는 누수의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 및 카 스토퍼가 주차 공간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및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및 배터리케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및 배터리케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Car Stopper)는 주차공간 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도하는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착탈되는, 카 스토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부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어 주차된 차량을 감지하여 주차된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정보를 중앙서버로 송신하는 센싱모듈; 및 상기 센싱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탑재되는 배터리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본체부; 상기 베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삽입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연장부; 및
상기 상기 베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싱모듈이 삽입되며, 상기 제1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3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터리케이스는, 일부가 상기 제1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는, 카 스토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앵커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는 결합본체부; 및 상기 결합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결합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연장부의 길이 차인 제1 길이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연장부의 길이인 제2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카 스토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터리케이스는, 내부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상기 케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일면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케이스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상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카 스토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은,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삽입공 및
상기 제1 삽입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공 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공의 면적은, 상기 제2 삽입공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본체부는, 일측이 상기 제2 삽입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삽입공과 연통되는 배출공을 더 구비하는, 카 스토퍼 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 및 카 스토퍼가 주차 공간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및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및 배터리케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및 배터리케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구성하는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스토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x방향은 카 스토퍼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y 방향은 카 스토퍼의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카 스토퍼(10)는 주차공간(S9)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 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도할 수 있으며, 소정의 위치라 함은 일례로, 주차공간(S9)의 내측 후방 지면 상부를 의미한다.
상기 카스토퍼(10)는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내부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00) 및 베이스부(10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슬라이딩 돌출부(121)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200)는 슬라이딩 돌출부(121)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미 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200)는 슬라이딩 돌출부(121) 및 슬라이딩 홈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와 착탈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부(100) 및 상기 결합부(200) 각각은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과 결합되는 앵커(T)에 의해 지면(G)과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인출되는 것은 관리자에 의해 상기 결합부(200)에 결합된 앵커(T)를 제거하는 것이 먼저 수행되어야 하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결합부(200)가 결합될 경우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접착제 등으로 패킹(Packing)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 스토퍼(10)는 상기 베이스부(100) 내의 소정의 공간에 탑재되는 센싱모듈(400)을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모듈(400)은 지자기 센서(미 도시)를 포함하여, 주차된 차량에 의해 주차공간(S9)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주차공간(S9) 내의 차량의 주차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센싱모듈(400)은 또한, 제어부(미 도시) 및 통신부(미 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통신부가 중앙 서버(20)로 주차공간 (S9)내의 차량의 주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중앙 서버(20)는 주차된 차량의 차주가 구비한 스마트 기기(P1)와 통신할 수 있으며 차주는 스마트 기기(P1)를 통해 주차 공간 예약, 주차 요금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시스템(1)으로 구현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자기 센서는 공지된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공지된 무선 통신인 WI-FI, LORA등을 이용하여 구현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카 스토퍼(10)는 상기 센싱모듈(40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가 탑재되는 배터리케이스(30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배터리케이스(3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S1)을 형성하는 베이스본체부(110), 상기 베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삽입공간(S2)과 연통되며, 상기 결합부(2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S2)을 형성하는 베이스연장부(120) 및 상기 베이스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삽입공간(S1)과 연통되며 상기 센서모듈(400)이 삽입되는 제3 삽입공간(S3)을 형성하는 베이스연결부(130)를 더 구비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베이스부(100)는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연장부(120)에 의해 상기 결합부(200)가 결합되는 상기 제2 삽입공간(S2)을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연장부(120)는 슬라이딩돌출부(121)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결합부(200)의 결합을 매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연장부(12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본체부(110)는 상기 베터리케이스(3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S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제1 삽입공간(S2)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는, 차량이 주차될 시, 차량의 바퀴와 카 스토퍼(10)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케이스(300)가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에 억지 끼움 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300)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 시키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부(110)가 차량의 바퀴와 카 스토퍼(10)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최대로 흡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연결부(130)는 내부에 제3 삽입공간(S3)을 형성하며 상기 센서모듈(400)이 상기 제3 삽입공간(S3)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측면에 상기 배터리(B)의 접지부가 노출되어 상기 센서 모듈(400)과 접촉하도록 하는 삽입구(S4)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B)가 상기 센서모듈(400)로의 전원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상기 제1 삽입공간(S1)으로 삽입 될 경우, 상기 배터리케이스(300)의 일부가 상기 제1 삽입공간(S1)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삽입공간(S2)으로 돌출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배터리케이스(300)의 일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S1)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삽입공간(S2)으로 돌출되어, 관리자가 배터리(B)를 교체할 경우, 상기 제2 삽입공간(S2)으로 돌출된 부분을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를 보다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터리케이스(300)의 일부는 상기 제1 삽입공간(S1)에 억지 끼움되어 인출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케이스(300)의 나머지 일부를 상기 제2 삽입공간(S2)으로 돌출시켜, 관리자가 배터리(B)를 교체할 경우, 나머지 일부를 파지하여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를 보다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200)는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앵커(T)가 삽입되는 삽입공(S5)을 형성하는 결합본체부(210) 및 상기 결합본체부(21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삽입공간(S2)으로 삽입되는 결합연장부(2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연장부(220)는 상기 베이스연결부(120)가 구비한 슬라이딩 돌출부(121)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미 도시)을 더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200)가 상기 제2 삽입공간(S2)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된다.
여기서, 도 3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와 상기 베이스연장부(120)의 길이 차인 제1 길이(H1)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연장부(220)의 길이인 제2 길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관리자가 배터리(B)를 교체 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상기 결합부(200)를 인출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200)로 외력을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상기 배터리케이스(300)가 상기 결합연장부(220)와 접촉한다면, 상기 결합연장부(220)와 상기 배터리케이스(300)간의 물리적, 화학적 결합에 의해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결합부(20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인출할 경우, 상기 배터리케이스(300) 또한 상기 결합부(200)와 동시에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와 상기 베이스연장부(120)의 길이 차인 제1 길이(H1)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연장부(220)의 길이인 제2 길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도 3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와 상기 베이스연장부(120)의 길이 차인 제1 길이(H1)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연장부(220)의 길이인 제2 길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상기 결합부(200)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배터리(B)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면에 배터리(B)의 접지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삽입구(S4)를 형성하는 케이스본체부(310) 및 상기 케이스본체부(310)로부터 연장되되 일면이 상기 케이스본체부(3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케이스연장부(32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 스토퍼(10)는 일체형이 아닌 베이스부(100)와 결합부(200)가 분리되는 착탈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베이스부(100)와 결합부(200)의 결합 때문에 간극이 발생하므로 실외에 설치된 경우, 장마철 또는 비가 많이 오는 경우, 카 스토퍼(10) 내부로의 침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상기 케이스본체부(3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케이스연장부(320)를 구비하여, 카 스토퍼(10) 내부로 침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케이스연장부(320)의 경사면을 따라 물이 배출되도록 설계되어, 배터리(B) 및 센서모듈(400)로의 침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침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의 길이(L1)은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상면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만약, 도 5의 (b)와 같이 베이스본체부(110)의 길이(L1)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상면의 길이(L2)가 동일하게 형성된다면, 카 스토퍼(10) 내부로 침투된 물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연장부(32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될 수 있으나, 나머지 일부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와 상기 케이스연장부(310)의 상면을 따라 침투된 물이 이동 될 것이다.
이러한 모세관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110)의 길이(L1)는 상기 케이스본체부(310)의 상면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나아가, 침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케이스(30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터리케이스(300)가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 배터리(B)로 침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케이스(300) 자체의 부식도 방지함과 더하여, 열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배터리(B)의 사용에 의한 발열을 상기 베이스본체부(110)로 전달하여 침투된 물에 열을 공급하여, 침투된 물을 기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지면(G)을 결속 하는 앵커(미 도시)는 상기 카 스토퍼(10)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폭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공간(S1) 및 상기 제2 삽입공간(S2)과 이격되어 삽입된다.
한편, 상기 결합본체부(210)는 지면과 높이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앵커(T) 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다.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공은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삽입공(S5) 및 상기 제1 삽입공(S5)과 높이 방향으로 연통되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공(S5)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공(S6)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공(S6)의 면적(단면적을 의미함)은 상기 제1 삽입공(S5)의 면적(단면적을 의미함)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삽입공(S5)의 면적이 앵커 또는 체결부재만 삽입될 정도로 최소화 되어 형성됨으로써, 장마철, 상기 제1 삽입공(S5)으로부터 카 스토퍼(10) 내로 침투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삽입공(S6)의 면적이 상기 제1 삽입공(S5)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카 스토퍼(10)내로 침투된 물에 대해서는 보다 신속히 지면(G)내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베이스부(100) 및 결합부(200)와 각각 높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지면과 결속시키는 앵커 또한,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속 후, 실리콘 또는 접착제 등으로 방수를 위한 패킹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본체부(210)는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일측이 상기 제2 삽입공간(S2)과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삽입공(S6)과 연통되는 배출공(S7)을 더 구비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a)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장마철,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결합부(200)사이의 간극으로 침투한 물은 상기 케이스연장부(32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연장부(32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 물이 상기 배출공(S7)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공(S7)은 타측에 상기 제2 삽입공(S6)과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공(S7)을 따라 이동되는 물은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삽입공(S6)을 통해 지면(G) 내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공(S6)의 면적은 상기 제1 삽입공(S5)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 배출공(S7)을 따라 이동된 물 또한 지면(G) 내로 보다 신속하게 배출된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결합본체부(210)는 상기 제2 삽입공(S6)과 길이 방향으로 연통된 배출부(S8)를 더 구비하여, 카 스토퍼(10)내로 침투된 물을 보다 신속하게 배출하게 된다.
이는, 상기 카 스토퍼(10)가 일체형이 아닌 배터리(B) 교환에 용이한 분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침수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카 스토퍼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본체부, 120: 베이스연장부, 130: 베이스연결부
200: 결합부
210: 결합본체부, 220: 결합연장부
300: 배터리케이스
310: 케이스본체부, 320: 케이스연장부
400: 센서모듈
B: 배터리
S1: 제1 삽입공간, S2: 제2 삽입공간, S3: 제3 삽입공간

Claims (5)

  1. 주차공간 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도하는 카 스토퍼에 있어서,
    내부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착탈되며,
    상기 카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부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어 주차된 차량을 감지하여 주차된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정보를 중앙서버로 송신하는 센싱모듈; 및
    상기 센싱모듈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탑재되는 배터리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본체부;
    상기 베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삽입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싱모듈이 삽입되며, 상기 제1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3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일부가 상기 제1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 돌출되는,
    카 스토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앵커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는 결합본체부; 및
    상기 결합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결합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연장부의 길이 차인 제1 길이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연장부의 길이인 제2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카 스토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내부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상기 케이스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일면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케이스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본체부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상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카 스토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삽입공 및
    상기 제1 삽입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공 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삽입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삽입공의 면적은,
    상기 제2 삽입공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본체부는,
    일측이 상기 제2 삽입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삽입공과 연통되는 배출공을 더 구비하는,
    카 스토퍼.

KR1020210193091A 2021-12-30 2021-12-30 카 스토퍼 KR10250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91A KR102503355B1 (ko) 2021-12-30 2021-12-30 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91A KR102503355B1 (ko) 2021-12-30 2021-12-30 카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355B1 true KR102503355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091A KR102503355B1 (ko) 2021-12-30 2021-12-30 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3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21Y1 (ko) * 2001-07-03 2001-11-16 이해동 주차장용 스톱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21Y1 (ko) * 2001-07-03 2001-11-16 이해동 주차장용 스톱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0963B (zh) 压力传感器组件以及用于装配压力传感器组件的方法
KR102503355B1 (ko) 카 스토퍼
EP1312683A3 (en) Micro-electrical detector on-chip
CN102914800A (zh) 趋近和/或接触检测装置、相关方法和车辆门把手
CN108648464A (zh) 一种停车场拥堵预警方法、装置和系统
KR102317317B1 (ko) 훈련된 궤적에 따른 현재 차량의 자율 주차 방법
CN103358994B (zh) 一种汽车前视摄像系统
BR0314805A (pt) Sistema para detectar mudança de nivelamento em veìculos
CN109789849A (zh) 车辆上对移动式访问装置进行定位确定的设备
US9924028B2 (en) Tamper resistant system for creating zones and manipulating computing devices
JP2008137640A (ja) 自転車自動格納システム、前記システムのための自転車、及び前記システムのためのロックステーション
CN202548922U (zh) 基于二维空间的etc车道交易系统
KR101682702B1 (ko) 9축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CN213546659U (zh) 一种工业互联网信息检测装置
US9953525B2 (en) Approach detection device
JP5476973B2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
RU2733104C2 (ru)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поверхности тела валка
EP1860605A4 (en) ELECTRONIC MONEY SYSTE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DEVICE
EP3983283A1 (en) Three-dimensional monitoring system for kingpin on fifth wheel
KR20170108228A (ko) 압력센서
CN107757506A (zh) 一种倒车雷达的安装结构
JP2012034562A (ja) 自動車の電池システムとその充電装置および方法
CN205365826U (zh) 一种摩托车或电动自行车上的座垫锁和控制系统
KR20090104299A (ko) 차량용 블랙박스
ES2879406T3 (es) Dispositivo sensor móvil para un vehículo articulado, disposición de dispositivos sensores móviles en un semirremolque, método para adquirir información para un vehículo articulado, dispositivo central y tractor de semirremol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