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56B1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3056B1 KR102503056B1 KR1020200157571A KR20200157571A KR102503056B1 KR 102503056 B1 KR102503056 B1 KR 102503056B1 KR 1020200157571 A KR1020200157571 A KR 1020200157571A KR 20200157571 A KR20200157571 A KR 20200157571A KR 102503056 B1 KR102503056 B1 KR 102503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battery pack
- battery
- short
- communication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 H04B5/0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등의 장치 및 그 배터리팩 간의 통신 그리고 이를 통한 배터리팩의 제어 및 관리 작용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 및 배터리팩 간의 통신 및 제어/관리를 위해 여러 통신케이블과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따른 생산비용 상승, 잦은 이상 및 고장 발생, 배터리팩 교환 시 방향성으로 인한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 여러 난점이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팩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팩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 수신 및 상기 배터리팩 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의 외부 전송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제1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배터리팩이 탑재되는 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및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각각 통신하도록 상기 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등의 장치 및 그 배터리팩 간의 통신 그리고 이를 통한 배터리팩의 제어 및 관리 작용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 및 배터리팩 간의 통신 및 제어/관리를 위해 여러 통신케이블과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따른 생산비용 상승, 잦은 이상 및 고장 발생, 배터리팩 교환 시 방향성으로 인한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 여러 난점이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화석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고출력 배터리 팩을 얻기 위해 복수의 단위 이차전지 셀(cell)을 직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다시 말해 복수의 단위 이차전지 셀(이하 “배터리 셀”이라 함)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듈’ 및 ‘팩’의 형태를 거쳐 전기 자동차에 탑재하게 된다. 즉, 상기 셀, 모듈, 팩은 배터리를 모으는 단위로 생각하면 되며, 배터리 셀을 여러 개 묶어서 배터리 모듈을 만들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여러 개 묶어서 배터리 팩(이하 ‘배터리팩’으로 기재함)을 만든다. 이때, 여러 개의 배터리 모듈을 묶고, 여기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냉각장치 등을 추가하여 배터리팩을 구성한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에는 최종적으로 배터리가 배터리팩의 형태로 장착된다.
상기 BMS는 전압과 전류, 온도 등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 및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터리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BMS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해당 전기 자동차가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 교체 시기를 예측하며, 배터리의 이상 상황을 사전에 발견하여 자동차 사고가 억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은 크게 고정형 및 교환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고정형의 경우 통상 플러그인(plug-in)을 통해 배터리팩에 전력을 충전하므로, 충전 시간 동안의 비교적 긴 대기 시간이 요구되면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동시에 충전시설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긴 대시 시간에 따른 경제성 저하가 초래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해서 최근에는 사전에 충전한 배터리팩을 전기 자동차의 방전된 배터리팩과 교환하는 방식의 교환형 배터리팩의 사용이 늘고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들을 통해 제동, 가속, 조향, 충전 등의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이러한 ECU들 간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써,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들이 적용하고 있는 차량 내부 통신 기술이다. 부연 설명하면, ECU들은 CAN 통신 버스에 연결되고,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통신한다. 즉, 데이터를 전송코자 하는 ECU가 CAN 데이터 규격에 수신 ECU의 ID 및 전송코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CAN 버스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면, CAN 버스에 연결된 모든 ECU가 이를 수신하고, CAN 데이터 규격에 포함된 수신 ECU의 ID에 해당되는 ECU만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및 해당 ECU 간의 전자적 제어 및 이를 위한 통신 역시 CAN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배터리팩 및 ECU 간의 통신케이블 및 커넥터의 사용 개수 증가와 그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생산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배터리팩 및 ECU 간 전자적 제어 및 통신 구성에서의 잦은 이상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팩 및 ECU를 연결하는 통신케이블 및 커넥터의 개수가 증가되는 만큼 그 방수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었다.
또한, 교환형 배터리팩을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팩 및 ECU 간의 커넥터를 통한 접속을 위해 배터리팩이 소정의 방향성을 가지면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교환 작업이 비교적 번거롭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 등의 장치 및 그 배터리팩 간의 통신 그리고 이를 통한 배터리팩의 제어 및 관리 작용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 및 배터리팩 간의 통신 및 제어/관리를 위해 여러 통신케이블과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따른 생산비용 상승, 잦은 이상 및 고장 발생, 배터리팩 교환 시 방향성으로 인한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 여러 난점이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팩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팩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 수신 및 상기 배터리팩 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의 외부 전송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제1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배터리팩이 탑재되는 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및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각각 통신하도록 상기 장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무선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은 상기 배터리팩의 탑재를 위해 상기 장치에 장착되는 배터리 크래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제어모듈은 상기 ECU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배터리팩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상기 배터리팩 관리용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등의 장치 및 그 배터리팩 간의 통신 그리고 이를 통한 배터리팩의 제어 및 관리 작용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 및 배터리팩 간의 통신 및 제어/관리를 위해 여러 통신케이블과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따른 생산비용 상승, 잦은 이상 및 고장 발생, 배터리팩 교환 시 방향성으로 인한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 여러 난점이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NFC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초기 인증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교환형 배터리팩을 충전소에서 교환 장착 시 그 작업 과정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팩 및 이를 통해 전원 공급 및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전기 자동차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자동차 이외에도 배터리팩을 통해 전원 공급 및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동성을 갖는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은 제1 무선통신 모듈(100),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무선통신 모듈(100)은 배터리팩(10)에 설치되며, 배터리팩(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 수신 및 배터리팩(10) 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의 외부 전송 기능을 가진다. 이때, 제1 무선통신 모듈(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한다.
제2 무선통신 모듈(200)은 상술한 배터리팩(10)이 탑재되는 장치(20)에 설치되며, 배터리팩(10)의 제1 무선통신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무선통신 모듈(200)은 배터리팩(10)이 탑재되는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되어 배터리팩(10)의 제1 무선통신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한다.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상술한 장치(20)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2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200)과 각각 통신하도록 장치(20)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되어 해당 전기 자동차의 ECU(2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200)과 각각 통신한다.
그리고 제1 무선통신 모듈(100) 및 제2 무선통신 모듈(2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배터리팩(10) 및 장치(20)의 ECU(21) 간 통신 및 이를 통한 배터리팩(10) 제어 및 관리 작용이 제1 무선통신 모듈(100),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배터리 제어모듈(300)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전기 자동차에서 배터리팩 및 차량 ECU 간의 통신을 위해 여러 개의 통신케이블 및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따른 생산비용 상승, 잦은 이상 및 고장 발생, 배터리팩 교환 시 방향성으로 인한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의 여러 난점이 방지 내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무선통신 모듈(100) 및 제2 무선통신 모듈(20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NFC 기반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초기 인증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교환형 배터리팩을 충전소에서 교환 장착 시 그 작업 과정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제1 무선통신 모듈(100),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을 포함하며,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의 설치 구조 그리고 제1 무선통신 모듈(1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의 각 통신 방식 등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써,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1 무선통신 모듈(100),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의 부호는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먼저,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배터리팩(10)의 탑재를 위해 장치(20)에 장착되는 배터리 크래들(400)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장치(20)의 ECU(21)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한다.
또한, 제1 무선통신 모듈(100)은 배터리팩(10)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11)로부터 배터리팩(10) 관리용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장치(20)가 전기 자동차인 것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제2 무선통신 모듈(200) 및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크래들(400)에 설치되며,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전기 자동차의 ECU(21)와 CAN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또한, 제1 무선통신 모듈(100)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크래들(400)에 탑재되는 배터리팩(10)의 BMS(11)로부터 해당 배터리팩(10)에 대한 관리용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배터리팩(10)의 BMS(11)를 통한 해당 배터리팩(10)의 여러 상태 정보가 배터리팩(10)의 제1 무선통신 모듈(100) 및 배터리 크래들(400)의 제2 무선통신 모듈(2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배터리 크래들(400)의 배터리 제어모듈(300)에 전송되고, 배터리 제어모듈(300)은 이렇게 전송되는 배터리팩(10)의 여러 상태 정보들을 장치(20) 내 ECU(21)에 CAN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ECU(21)를 통해 출력되는 배터리팩(10)에 대한 여러 제어신호가 배터리 제어모듈(300)에 CAN 통신을 통해 전송되고, 이렇게 배터리 제어모듈(300)에 전송된 제어신호가 배터리 크래들(400)의 제2 무선통신 모듈(200)을 통해 배터리팩(10)의 제1 무선통신 모듈(1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며, 제1 무선통신 모듈(100)은 수신한 제어신호를 배터리팩(10)의 BMS(11)에 전송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의 작용은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추가 설명하면,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이 배터리 크래들에 설치됨에 따라, 배터리팩이 배터리 크래들에 탑재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무선통신 모듈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이 장치 내에서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배터리 크래들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배터리 제어모듈이 이러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토대로 장치 내의 ECU와 CAN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을 장치 내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하거나,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의 고정 설치를 위해 장치 내에 별도의 프레임 등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2는 배터리팩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장치의 여러 부분으로 분배하는 전원분배장치(PDU: Power Distribution Unit)를 예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배터리팩 11 : BMS
20 : 장치 21 : ECU
22 : PDU 100 : 제1 무선통신 모듈
200 : 제2 무선통신 모듈 300 : 배터리 제어모듈
400 : 배터리 크래들
20 : 장치 21 : ECU
22 : PDU 100 : 제1 무선통신 모듈
200 : 제2 무선통신 모듈 300 : 배터리 제어모듈
400 : 배터리 크래들
Claims (5)
- 배터리팩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팩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 수신 및 상기 배터리팩 관리를 위한 데이터들의 외부 전송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제1 무선통신 모듈;
상기 배터리팩이 탑재되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및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각각 통신하도록 상기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는 배터리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통한 배터리팩 상태 정보가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무선통신 모듈 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 제어모듈에 전송되고, 상기 배터리 제어모듈은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팩의 상기 배터리팩 상태 정보들을 상기 전기 자동차의 ECU에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의 ECU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배터리팩에 대한 제어신호가 상기 배터리 제어모듈에 CAN 통신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배터리 제어모듈에 전송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수신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배터리팩의 BMS에 전송되고,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의 상기 전기 자동차 내에서의 외부 노출 최소화를 위해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 제어모듈은 상기 배터리팩의 탑재를 위해 상기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크래들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크래들에 설치된 상기 배터리 제어모듈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ECU와 CAN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제2 무선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배터리팩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상기 배터리팩 관리용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571A KR102503056B1 (ko) | 2020-11-23 | 2020-11-23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571A KR102503056B1 (ko) | 2020-11-23 | 2020-11-23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0719A KR20220070719A (ko) | 2022-05-31 |
KR102503056B1 true KR102503056B1 (ko) | 2023-02-23 |
Family
ID=8177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7571A KR102503056B1 (ko) | 2020-11-23 | 2020-11-23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05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75855A (ja) | 2013-03-08 | 2014-09-22 |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方法 |
KR101668288B1 (ko) | 2015-03-19 | 2016-10-24 | 세방전지(주)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차용 배터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101834851B1 (ko) | 2016-03-28 | 2018-03-06 | 주식회사 비긴스 |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전기차 관리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552B1 (ko) | 2011-05-31 | 2017-03-22 | 한국전력공사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57899B1 (ko) | 2015-06-03 | 2016-09-30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Rf 에너지 하비스팅에 기반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rf 에너지 하비스팅에 기반한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
KR20180047896A (ko) | 2016-11-01 | 2018-05-1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전기차량 구동용 외장 배터리 팩 및 이의 사용방법 |
KR102399604B1 (ko) * | 2017-08-28 | 2022-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
KR102183605B1 (ko) * | 2019-01-31 | 2020-11-27 | 주식회사 오토스원 | 모듈형 배터리 팩 포터블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이를 이용한 모듈형 배터리 팩 충전 스테이션 |
-
2020
- 2020-11-23 KR KR1020200157571A patent/KR1025030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75855A (ja) | 2013-03-08 | 2014-09-22 |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方法 |
KR101668288B1 (ko) | 2015-03-19 | 2016-10-24 | 세방전지(주)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차용 배터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101834851B1 (ko) | 2016-03-28 | 2018-03-06 | 주식회사 비긴스 |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전기차 관리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0719A (ko) | 202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30117B2 (en) | Vehicle charging,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 |
CN101098030B (zh) | 优化电动/混合动力车辆电网充电的系统和方法 | |
EP2058163B1 (en) |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 |
US8558505B2 (en) | Sharing charging system | |
CN106849237B (zh) | 柔性充电控制系统及方法、柔性充电系统 | |
JP2014117975A (ja) | 車載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 |
US9346366B2 (en) | Charge/discharge system | |
US11186184B2 (en) |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and charging system | |
EP2883739B1 (en) | Electric vehicle | |
EP4075632A1 (en) | Electricity storage device, vehicle, electricity storage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EP3582360B1 (en) | Storage battery management system, mobile body, storage battery, and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 |
CN112087050A (zh) | 紧急用电力供给系统、紧急用电力供给方法及存储介质 | |
KR101403303B1 (ko) | 전기자동차의 can 버스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can 통신 보안 방법 | |
CN112670606A (zh) | 电池包及电动汽车 | |
US10974612B2 (en) | Use of two DC/DC controllers in the power electronics system of a charging station or electricity charging station | |
KR102503056B1 (ko)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 |
US11661029B2 (en) | Authentication betwe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battery host platform | |
KR20220122902A (ko) | 차량 배터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CN219041415U (zh) |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车载电池系统 | |
US20210261013A1 (en) |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and external power supply method | |
CN102884672B (zh) | 以一个字节描述调温要求 | |
KR102080293B1 (ko) | 분리 및 위치 추적이 가능한 배터리 팩 | |
CN112659925A (zh) | 分箱换电系统及电动汽车 | |
CN214267406U (zh) | 电池管理系统控制系统及车辆 | |
WO2024210080A1 (ja) | バッテリ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