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35B1 -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35B1
KR102503035B1 KR1020220080219A KR20220080219A KR102503035B1 KR 102503035 B1 KR102503035 B1 KR 102503035B1 KR 1020220080219 A KR1020220080219 A KR 1020220080219A KR 20220080219 A KR20220080219 A KR 20220080219A KR 102503035 B1 KR102503035 B1 KR 10250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ail
guide rail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호
Original Assignee
장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호 filed Critical 장영호
Priority to KR102022008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6Rotary buildings; Buildings with rotary units, e.g.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부의 일측에 원형의 회동레일부가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의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므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회동레일부가 회동 완료되면 회동방지부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의 내측에 삽입부재를 끼워 고정하므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Rail system for moving dwelling house}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레일부의 일측에 회동레일부가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의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므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회동레일부가 회동 완료되면 회동방지부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의 내측에 삽입부재를 끼워 고정하므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산업발달 및 주 5일 근무와 함께 레저문화의 다양함 그리고 웰빙으로 인한 야외활동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주택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운반에 의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등의 장점으로 인한 여가용 주택 및 간이 주택용으로 이동식 주택이 이용되고 있다.
이동식주택은 주택 본체와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은 수개의 건축용 빔을 용접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서, 주택본체의 저부에 위치하여 주택본체의 변형을 방지하므로써 본래형체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택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 역할을 동시에 하는 일반주택의 기초공사에 해당된다.
이러한 이동식 주택은 제작하는데 쉽고 신속하면서도 이동식으로 주택 설치 장소에 설치할 때에 간단하고 빠른 시공으로 이동식 주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423호(2009. 06. 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레일부의 일측에 원형의 회동레일부가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의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므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레일부가 회동 완료되면 회동방지부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의 내측에 삽입부재를 끼워 고정하므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은, 본체(10)와 베이스 프레임(2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바퀴(30)가 구성되는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지면 상에 두개의 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이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100);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일측에 원형으로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이 이동하게 되며, 고정레일(220)에 안착된 회동부재(230)가 회전하면서 이동식 주택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레일부(200)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레일부(20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00) 일측의 지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원형의 설치홈(210); 상기 설치홈(210)의 수직벽을 따라 고정되는 고정레일(220); 상기 고정레일(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레일을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230); 상기 회동부재(230)의 상부에 가이드레일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동안내레일(240)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230)는, 상기 고정레일(220)의 상부에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231); 상기 상부프레임(231)에 거미줄 형상으로 고정되어 강성을 높이는 보강부재(232); 상기 상부프레임(231)과 보강부재(232)가 만나는 위치의 하부에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동롤러가 회전하면서 회동부재(23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33); 상기 회동수단(233) 전방의 상부프레임(231)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레일(220)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34)가 포함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34)는, 상기 상부프레임(231)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대(234a); 상기 고정대(234a)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레일(220)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234b)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234b)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어 계단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고정레일(220)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고정레일(22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도록 외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부재와 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각 공정별로 구간을 설정하는 공정구획부(300); 상기 이동식 주택의 베이스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이동식 주택의 각 공정구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00); 상기 이동식 주택의 본체(10) 일측면에 장착되어 감지센서(400)로부터 공정구간이 감지되면 해당 공정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공정표시부(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회동레일부(200)의 회동 완료시, 상기 회동레일부(20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동방지부(600)는, 상기 회동레일부(200) 주변의 지면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610); 상기 고정브라켓(6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레일부(200)의 회동안내레일(240)을 고정하는 회동방지부재(620);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공(630); 상기 회동방지부재(6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회동안내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재(6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회전시에는 회동방지부재(620)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240)에서 벗어나게 하고,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회전이 완료되면 축(621)을 중심으로 회동방지부재(620)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240)과 동일선상이 위치시킨 후, 상기 회동방지부재(620)를 회동안내레일(240) 측으로 가압하여 삽입부재(640)가 회동안내레일(240)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레일부의 일측에 원형의 회동레일부가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의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므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레일부의 회동이 완료되면 회동방지부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의 내측에 삽입부재를 끼워 고정하므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의 가이드레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의 회동레일부를 나타낸 ㄷ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정을 공정표부에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회동부의 회동안내레일에 회동방지부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회동방지부가 회동안내레일에서 벗어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이물질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의 가이드레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의 회동레일부를 나타낸 ㄷ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은, 본체(10)와 베이스 프레임(2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바퀴(30)가 구성되는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지면 상에 두개의 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이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100);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일측에 원형으로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이 이동하게 되며, 고정레일(220)에 안착된 회동부재(230)가 회전하면서 이동식 주택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레일부(2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주택은 공장 내부에서 각 공정별로 이동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식 주택은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 상에 형성되어 주택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식 주택의 하부에는 각각의 공정으로 이동하기 위한 바퀴(3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주택을 지탱하면서 각 공정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의 상부에 2개의 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상부에는 이동식 주택의 바퀴(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0)는 회동레일부(200)를 중심으로 90°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레일부(20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00)가 끝나는 일측에 원형으로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회동레일부(200)는 설치홈(210), 고정레일(220), 회동부재(230), 회동안내레일(240)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홈(210)은 가이드레일부(100) 일측의 지면에 원형을 이루면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레일(220)은 설치홈(210)의 수직벽을 따라 고정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230)는 상기 고정레일(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동롤러가 고정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230)는 고정레일(220)과 동일한 지름의 상부프레임(231)이 고정레일(220)과 일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31)에는 거미줄 형상으로 보강부재(232)가 형성되어 강성을 높임으로써 회동레일부(200)에 이동식 주택이 위치하더라도 회동부재(23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31)과 보강부재(232)가 만나는 위치의 하부에는 회동수단(233)이 고정된다.
상기 회동수단(233)은 모터와 회동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롤러는 고정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모터는 회동롤러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233) 전방의 상부프레임(231) 하부에는 이물질 제거부(234)가 장착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34)는 상부프레임(231)의 하부에 고정대(234a)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234a)의 하부에는 고정레일(220)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234b)가 고정된다.
상기 스크래퍼(234b)는 적어도 1개 이상 분리형성되며, 평면에서 볼때 계단식을 배열된다.
상기 스크래퍼(234b)는 이물질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스크래퍼(234b)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은 회동부재(230)의 상부프레임(231)과 보강부재(232)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부재와 부재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공정구획부(300)가 연속 고정된다.
상기 공정구획부(300)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며, 이동식 주택은 공정구획부(300)와 공정구획부(300) 사이의 가이드레일부(100)에 안착되어 각각의 공정에 해당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주택의 베이스 프레임(20)에는 감지센서(400)가 장착된다.
상기 감지센서(400)는 베이스프레임(20)에 수신부가 장착되고, 상기 수신부와 대응하는 공정구획부(300)에는 송신부가 장착되어 이동식 주택이 가이드레일부(100)를 따라 이동하여 공정구획부(300) 상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공정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이동식 주택의 본체(10) 일측면에는 공정표시부(500)가 장착된다.
상기 공정표시부(500)는 상기 감지센서(400)로부터 공정구간이 감지되면 해당 공정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해당 공정을 쉽게 인식할 뿐 아니라 해당 공정에 필요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회동레일부(200)의 회동 완료시, 상기 회동레일부(20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방지부(600)는, 고정브라켓(610), 회동방지부재(620), 장공(630), 삽입부재(6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610)은 회동레일부(200) 주변의 지면 상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회동방지부재(620)는 상기 고정브라켓(6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각형상의 단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장공(630)은 고정브라켓(6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회동방지부재(620)의 회전 및 수평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상기 삽입부재(640)는 가이드레일부(100) 방향의 회동방지부재(620)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재(640)는 회동방지부재(620)가 회동안내레일(240)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회전시에는, 상기 장공(630)을 통해 회동방지부재(620)를 회동안내레일(24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축(6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240)에서 벗어나게 한다.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회전이 완료되면, 축(621)을 중심으로 회동방지부재(620)를 회전시켜 상기 회동안내레일(240)과 회동방지부재(620)를 동일선상이 위치시킨 후, 상기 회동방지부재(620)를 회동안내레일(240) 측으로 이동하여 삽입부재(640)가 회동안내레일(240) 내부로 삽입되게 하면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이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식 주택이 흔들림 및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작업자는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가이드레일부
200: 회동레일부
300: 공정구획부
400: 감지센서
500: 공정표시부
600: 회동방지부

Claims (5)

  1. 본체(10)와 베이스 프레임(2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바퀴(30)가 구성되는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지면 상에 두개의 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이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100);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일측에 원형으로 설치되어 이동식 주택이 이동하게 되며, 고정레일(220)에 안착된 회동부재(230)가 회전하면서 이동식 주택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레일부(200);
    상기 가이드레일부(100)의 부재와 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각 공정별로 구간을 설정하는 공정구획부(300);
    상기 이동식 주택의 베이스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이동식 주택의 각 공정구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00);
    상기 이동식 주택의 본체(10) 일측면에 장착되어 감지센서(400)로부터 공정구간이 감지되면 해당 공정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공정표시부(500);
    상기 회동레일부(200)의 회동 완료시, 상기 회동레일부(20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레일부(20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00) 일측의 지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원형의 설치홈(210);
    상기 설치홈(210)의 수직벽을 따라 고정되는 고정레일(220);
    상기 고정레일(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레일을 따라 회동하는 회동부재(230);
    상기 회동부재(230)의 상부에 가이드레일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회동안내레일(240)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230)는,
    상기 고정레일(220)의 상부에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231);
    상기 상부프레임(231)에 거미줄 형상으로 고정되어 강성을 높이는 보강부재(232);
    상기 상부프레임(231)과 보강부재(232)가 만나는 위치의 하부에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동롤러가 회전하면서 회동부재(23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33);
    상기 회동수단(233) 전방의 상부프레임(231)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레일(220)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34)가 포함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34)는,
    상기 상부프레임(231)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대(234a);
    상기 고정대(234a)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레일(220)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234b)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234b)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어 계단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고정레일(220)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고정레일(22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도록 외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방지부(600)는,
    상기 회동레일부(200) 주변의 지면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610);
    상기 고정브라켓(6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레일부(200)의 회동안내레일(240)을 고정하는 회동방지부재(620);
    상기 고정브라켓(6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장공(630);
    상기 회동방지부재(6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회동안내레일(2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재(6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회전시에는 회동방지부재(620)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240)에서 벗어나게 하고, 상기 회동안내레일(240)의 회전이 완료되면 축(621)을 중심으로 회동방지부재(620)를 회전시켜 회동안내레일(240)과 동일선상이 위치시킨 후, 상기 회동방지부재(620)를 회동안내레일(240) 측으로 가압하여 삽입부재(640)가 회동안내레일(240)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80219A 2022-06-30 2022-06-30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KR10250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19A KR102503035B1 (ko) 2022-06-30 2022-06-30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19A KR102503035B1 (ko) 2022-06-30 2022-06-30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035B1 true KR102503035B1 (ko) 2023-02-23

Family

ID=8532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19A KR102503035B1 (ko) 2022-06-30 2022-06-30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0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807U (ko) * 1975-11-04 1977-05-07
JPH05183294A (ja) * 1991-12-27 1993-07-23 Hitachi Ltd 作業指示装置
JP2618531B2 (ja) * 1990-11-29 1997-06-1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住宅ユニット生産ライン
JPH10121401A (ja) * 1996-10-18 1998-05-12 Kito Corp 走行台車用軌道の分岐装置
KR200362098Y1 (ko) * 2004-06-16 2004-09-16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
KR100902423B1 (ko) 2009-03-16 2009-06-11 (주)두성특장차 이동식주택의 랜딩레그 설치구조
KR20110124043A (ko) * 2010-05-10 2011-11-16 김윤배 태양광 추적장치를 구비한 회전주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807U (ko) * 1975-11-04 1977-05-07
JP2618531B2 (ja) * 1990-11-29 1997-06-1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住宅ユニット生産ライン
JPH05183294A (ja) * 1991-12-27 1993-07-23 Hitachi Ltd 作業指示装置
JPH10121401A (ja) * 1996-10-18 1998-05-12 Kito Corp 走行台車用軌道の分岐装置
KR200362098Y1 (ko) * 2004-06-16 2004-09-16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
KR100902423B1 (ko) 2009-03-16 2009-06-11 (주)두성특장차 이동식주택의 랜딩레그 설치구조
KR20110124043A (ko) * 2010-05-10 2011-11-16 김윤배 태양광 추적장치를 구비한 회전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881B1 (ko) 특수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위치선정장치
KR102503035B1 (ko) 이동식 주택의 레일시스템
US20170073967A1 (en) Purlin construction and mounting system for flat roof structures
KR20150120791A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US4063714A (en) Fence formed from prefabricated sections
KR20140000842A (ko) 팬/틸트 볼 카메라
WO201800862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具
JP5915986B2 (ja) 太陽光パネルの支持構造体
KR102203177B1 (ko) 로드빔에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모빌랙
US10294670B1 (en) Architectural screen roof curbs
KR101960473B1 (ko) 실외기 지지장치
JP627720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設置用架台を構成するための部材
JP2019190070A (ja) 開口部建材
CN210772717U (zh) 用于空调室内机的安装组件
CN110360743B (zh) 用于空调室内机的安装组件
KR20230009924A (ko) 광전지 모듈용 지지부
CN112944116A (zh) 挂架及显示设备
KR102642706B1 (ko) 아두이노 수평유지장치를 이용한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패널
KR101652667B1 (ko)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JP6588129B2 (ja) パイプハウスおよびパイプハウスの補強方法
KR20190090440A (ko) 천장형 에어컨 필터 청소장치
KR102081895B1 (ko) 태양광발전 모듈의 다각 거치 장치
JP6887273B2 (ja) 改修用建材
JP715900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構造
KR20220104330A (ko)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