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883B1 -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883B1
KR102502883B1 KR1020220103211A KR20220103211A KR102502883B1 KR 102502883 B1 KR102502883 B1 KR 102502883B1 KR 1020220103211 A KR1020220103211 A KR 1020220103211A KR 20220103211 A KR20220103211 A KR 20220103211A KR 102502883 B1 KR102502883 B1 KR 10250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lid
packaging box
withdrawal preven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아
Original Assignee
박 진 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 진 아 filed Critical 박 진 아
Priority to KR102022010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 B65D5/722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having an alternating movement co-operating with incised or scored openings near the bottom-edges of the bodies of tubu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포장상자에 담겨진 제품을 인출하기 위해 뚜껑을 열면 뚜껑에서 연장된 인출방지날개가 함께 회동하여 일측은 인출되고, 타측은 정면편의 내주면에 간섭되어 뚜껑이 완전히 열리지 않도록 지지하여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을 닫으면 인출방지날개도 포장상자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편리하게 스틱류, 캡슐, 파우치 제품을 한개씩 꺼내고 다시 뚜겅을 닫아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Packing carton}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담겨진 제품을 인출하기 위해 뚜껑을 열면 뚜껑에서 연장된 인출방지날개가 함께 회동하여 일측은 인출되고, 타측은 정면편의 내주면에 간섭되어 뚜껑이 완전히 열리지 않도록 지지하여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뚜껑을 닫으면 인출방지날개도 포장상자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편리하게 스틱류 및 캡슐, 파우치 제품을 한개씩 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품을 삽입하여 밀봉한 다음 보관 및 판매하고, 사용자는 구입한 포장상자의 제품을 섭취하기 위해 포장상자 일측에 접착된 부위나 절취선이 형성된 뚜껑 일부를 절취하여 제품을 인출하고 다시 뚜껑을 닫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상자는 절취선을 통해 뚜껑 일부를 절취하여 제품을 인출한 후 다시 뚜껑을 회동하여 닫으려하면 뚜껑 일측은 배면에 연결되어 접었다 펼쳐지는 회동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절취선을 따라 절취된 부위는 완전히 닫혀지지않고 일정 각도 이상 벌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상자에서 절취선을 따라 일측이 절취되어 벌려진 뚜껑을 통해 내부에 담겨진 스틱류 제품이 한개이상 임의로 인출되어 쏟아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일회용 커피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20개 이내의 스틱타입의 일회용 커피를 포장상자에 담아서 포장한 상태에서 보관 및 진열하여 판매한 후 사용자가 포장상자에 담겨진 일회용 커피를 섭취하기 위해 절취선을 따라 뚜껑의 일부를 절취한 다음 뚜껑을 회동하면 입구가 개방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져 보관된 일회용 커피 한개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다른 일회용 커피가 함께 쓰러져 바닥으로 쏟아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상기와 같이 스틱 타입의 일회용 커피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한개 이상 외부로 쏟아지는 이유는 포장상자 본체와 뚜껑 사이에 형성된 입구 사이에 일회용 커피가 쏟아지지않도도 간섭하는 아무런 구조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포장상자에서 뚜껑을 절취하여 개방한 다음 다시 닫으려해도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보관중인 포장상자를 사용자가 부주의로 건들어 쓰러지면 내부에 담겨진 일회용 커피가 외부로 쏟아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 10 - 2020 - 0052015호 "포장상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틱류 및 캡슐, 파우치 제품을 담아서 포장한 포장상자의 뚜껑을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개방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스틱류 제품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뚜껑을 닫은 경우에는 닫힌상태를 유지하고 임의로 열리지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일렬로 형성된 제 1, 2, 3 측면편과 뚜껑을 사각형상으로 접고, 1, 2, 3 측면편의 상하부에 위치한 제 1, 2 상부편과 제 1, 2 바닥편과 상하부 보조편을 포개지게 접어서 접착하고, 상기 뚜껑의 일측과 포개져 접착되는 제 1 측면편에는 뚜껑을 절취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ㆍ하부에는 상ㆍ하부 회동날개가 위치하고, 상기 상부 회동날개에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고, 뚜껑의 측면에는 인출방지날개가 일체로 연장된 상태에서 포장상자 내부로 상ㆍ하부 회동날개와 인출방지날개가 삽입되게 포장한 다음 절취선을 따라 뜯어서 뚜껑을 회동하면 인출방지날개도 뚜껑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일측은 인출되고, 타측 끝단은 포장상자 내주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위치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지않도록 간섭하고, 뚜껑을 닫으면 인출방지날개도 삽입되어 뚜껑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포장상자는 스틱류 및 캡슐, 파우치 제품을 포장한 포장상자의 뚜껑을 절취선을 따라 일측을 뜯은 다음 개방하는 과정에서 뚜껑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인출방지날개 일부가 인출되어 개구부를 통해 스틱류 제품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의 상부에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위해 뚜껑 회동시 인출방지날개가 완전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방지날개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개구부에 위치한 제 1 측면편에 끼움 결합하여 뚜껑의 열린 상태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방지날개는 다양한 모양 및 크기로 축소 또는 변형이 가능하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포장상자는 스틱류 제품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상자를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 포장상자를 접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포장상자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포장상자에서 뚜껑을 일부 열어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포장상자에서 뚜껑과 인출방지날개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포장상자에서 인출방지날개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포장상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상자를 도시해 보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포장상자를 접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포장상자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포장상자(1)는 크게 제 1, 2, 3 측면편(2, 2', 2")과, 뚜껑(7), 인출방지날개(8), 상ㆍ하부 회동날개(6, 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측면편(2)은 상부에 제 1 상부편(9)과 하부에는 제 1 바닥편(3)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절취선(15)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절취선(15)을 따라 절취편(13)이 분리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 1 측면편(2)의 일측 단부와 일측이 연결된 제 2 측면편(2')은 상부에 상부 보조편(4)과 하부에 하부 보조편(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측면편(2)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제 3 측면편(2")은 상부에 제 2 상부편(4)과 하부에는 제 2 바닥편(3')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측면편(2")의 일측 단부가 연결된 뚜껑(7)은 상부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하는 상부 회동날개(6)와 상기 상부 회동날개(6)의 외주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측면편(2")의 하부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하는 하부 회동날개(6')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7)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되게 연장되어 절취편(15)에 포개져 접착되는 접착편(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편(14)의 일측 단부에는 인출방지날개(8)의 일측이 연결되고, 인출방지날개(8)의 타측 단부는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포장박스(1)는 내부에 제품을 담아서 포장하기 위하여 제 1, 2, 3 측면편(2, 2', 2")과 뚜껑(7)을 순차적으로 접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후 제 1, 2 상부편(9, 9'), 제 1, 2 바닥편(3, 3')과 상ㆍ하부 보조편(4, 5)을 포개어 접착하면, 상부 회동날개(6)는 제 1 상부편(9)의 저면에 위치하고, 하부 회동날개(6)는 제 1 바닥편(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방지날개(8)는 제 1 측면편(2)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한 다음 절취편(13)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접착편(14)에 접착하여 포장상자(1)를 밀폐한다.
상기 인출방지날개(8)는 호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형성하여 뚜껑(7) 회동시 발생하는 개구부 일부를 보호하고, 뚜껑(7)과 제 1 측면편(2)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인출방지날개(8)는 종이재질이기 때문에 뚜껑의 회동에 의해 열고 닫을때 탄성력이 부가되어 곡선형태를 유지하여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다.
상기 인출방지날개(8)의 상부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일부가 절개된 끼움홈(10)이 형성되어 제 1 측면편(2)에 끼움 결합하여 뚜껑(7)이 열린 상태를 고정한다.
또한, 끼움홈(10)은 일정간격으로 한개이상 배열하여 뚜껑의 열린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인출방지날개(8)는 다양한 모양 및 크기로 축소 또는 변형이 가능하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포장상자에서 뚜껑을 일부 열어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포장상자에서 인출방지날개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로서, 포장상자 (1) 내부에 담겨진 제품(12)을 섭취하기 위해 뚜껑(7)을 열기 위해서는 절취선(15)을 따라 절취선(15)을 뜯어서 절취편(13)을 분리한 후 뚜껑(7)을 회동하면, 뚜껑(7)의 회동각도에 따라 인출방지날개(8)의 일측이 인출되고, 타측은 제 1 측면편(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품(12)이 외부로 쏟아지않도록 보호하고, 뚜껑(7)을 닫으면 인출방지날개(8)가 원위치한다.
상기 인출방지날개(8)는 뚜껑(7)을 180°회동하여도 인출방지날개(8)의 타측 단부는 제 1측면편(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탄성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제품(12)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제품(12)을 한개씩 인출할 때 나머지 제품이 쏟아지는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제품(12)을 인출한 다음 뚜껑(7)을 닫으면 인출방지날개(8)는 제 1 측면편의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어 뚜껑(7)이 임의로 열리지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 포장상자에서 뚜껑과 인출방지날개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포장상자(1)는 뚜껑(7) 회동시 인출방지날개(8)가 완전 인출되지않도록 상부 회동날개(6)는 제 1 측면편(2)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부 회동날개(6)에 형성된 스토퍼(11)에 간섭되어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 포장상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포장상자(1) 내부에는 일회용 커피 믹스를 포함한 각종 스틱류 및 캡슐, 파우치 제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1: 포장상자 2, 2', 2":제 1, 2, 3 측면편
3, 3': 제 1, 2 바닥편 4: 상부 보조편
5: 하부 보조편 6, 6': 상ㆍ하부 회동날개
7: 뚜껑 8: 인출방지날개
9, 9': 제 1, 2 상부편 10: 끼움홈
11: 스토퍼 12: 제품
13: 절취편 14: 접착편
15: 절취선

Claims (3)

  1. 포장상자(1)에 있어서
    상부에는 제 1 상부편(9)과 하부에는 제 1 바닥편(3)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절취선(15)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절취선(15)을 따라 절취편(13)이 분리되는 제 1 측면편(2)과, 상기 제 1 측면편(2)의 일측 단부와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상부 보조편(4)과 하부에는 하부 보조편(5)이 형성된 제 2 측면편(2')과, 상기 제 2 측면편(2)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제 2 상부편(4)과 하부에는 제 2 바닥편(3')이 형성된 제 3 측면편(2")과, 상기 제 3 측면편(2")의 일측 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하는 상부 회동날개(6)와, 상기 상부 회동날개(6)의 외주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와, 하부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하는 하부 회동날개(6')와 타측 단부에는 돌출되게 연장되어 절취편(15)에 포개져 접착되는 접착편(14)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7)과, 상기 접착편(14)의 일측 단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길게 연장된 인출방지날개(8)로 구성한 다음, 제 1, 2, 3 측면편(2, 2', 2")과 뚜껑(7)을 순차적으로 접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후 제 1, 2 상부편(9, 9'), 제 1, 2 바닥편(3, 3')과 상ㆍ하부 보조편(4, 5)을 포개어 접착하면, 상부 회동날개(6)는 제 1 상부편(9)의 저면에 위치하고, 하부 회동날개(6)는 제 1 바닥편(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방지날개(8)는 제 1 측면편(2)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품(12)을 포장한 다음 절취선(15)을 따라 절취편(13)을 분리한 후 뚜껑(7)을 회동하면, 뚜껑(7)의 회동각도에 따라 인출방지날개(8)의 일측이 인출되고, 타측은 제 1 측면편(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품(12)이 외부로 쏟아지않도록 보호하고, 뚜껑(7)을 닫으면 인출방지날개(8)가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3211A 2022-08-18 2022-08-18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KR10250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11A KR102502883B1 (ko) 2022-08-18 2022-08-18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11A KR102502883B1 (ko) 2022-08-18 2022-08-18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883B1 true KR102502883B1 (ko) 2023-02-23

Family

ID=8532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211A KR102502883B1 (ko) 2022-08-18 2022-08-18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8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0757A (ja) * 2013-07-17 2015-0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KR20200052015A (ko) 2018-11-06 2020-05-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채널 코딩 방법
JP2021059352A (ja) * 2019-10-04 2021-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小出しカート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0757A (ja) * 2013-07-17 2015-0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KR20200052015A (ko) 2018-11-06 2020-05-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채널 코딩 방법
JP2021059352A (ja) * 2019-10-04 2021-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小出しカート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6279B2 (ja) 覆い蓋を有する内側包装容器を含むたばこ製品の包装容器
US2345486A (en) Receptacle
US7624860B2 (en) Rigid hinged-lid package for tobacco articles
US2284604A (en) Art of packing
US2339656A (en) Box
KR101172462B1 (ko) 경성 담뱃갑
CN113329954B (zh) 具有双铰接盖的用于抽吸物品的硬包装和制造该用于抽吸物品的硬包装的坯件
US2176912A (en) Tobacco container
US3823865A (en) Package for cigarette and the like
US2872097A (en) Reclosable containers
US2098818A (en) Sealed container
US2228181A (en) Carton and box opener
KR20070090817A (ko) 접착 힌지형 두껑을 구비한 흡연물품용 강성 포장용기
KR102502883B1 (ko)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제품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상자
US3438563A (en) Package with tear strip
US1866130A (en) Dispensing carton
JP6073904B2 (ja) ヒンジにより連結された蓋を備えるスライド開閉式タバコ物品包装体
PT2942311T (pt) Embalagem para artigos para fumar e/ou relacionados com tabaco
US2077046A (en) Carton
US2348140A (en) Container having a pouring spout
US1951204A (en) Carton
WO2003070602A1 (en) Package of tobacco items with a foldable bottom shell
EP2094573B1 (en) Pack for tobacco
RU121798U1 (ru) Комплект картонный для упаковки мороженого эскимо на палочке
US1221911A (en) Opening device for wrapped bo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