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90B1 -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 Google Patents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90B1
KR102502390B1 KR1020220028602A KR20220028602A KR102502390B1 KR 102502390 B1 KR102502390 B1 KR 102502390B1 KR 1020220028602 A KR1020220028602 A KR 1020220028602A KR 20220028602 A KR20220028602 A KR 20220028602A KR 102502390 B1 KR102502390 B1 KR 10250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unit
grinding
coffee pow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더블유굿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더블유굿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더블유굿즈
Priority to KR102022002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6Driving mechanisms; Coupling to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은 소정의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 하부의 가로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부의 세로부는 상하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수직형 벽체부; 상기 수직형 벽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관 케이싱; 및 상기 수직형 벽체부와 상기 외관 케이싱에 지지되는 한편, 커피 원두를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grinding)하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는, 커피 원두를 공급하는 커피 원두 공급부;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에 결합하되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기;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그라인딩 하우징;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와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 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 발생기의 동력을 매개로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게 작용하는 동력 전달유닛; 상기 동력 전달유닛을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유닛 커버; 및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형성되는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는 커피 미분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DRIVING GRINDER KIT}
본 발명은,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가 파이프(pipe) 형태로 내장되는 간단한 방식이라서 청소가 쉬울뿐더러 구조와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해서 제품의 가치 향상을 끌어낼 수 있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커피(coffee)를 다양하게 즐기는 사람이 늘었고, 이에 따라 커피 관련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여 그 시장 규모도 커졌으며, 소비자들의 입맛도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원두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커피 생두를 구워서 만든 커피 원두를 분쇄시키게 된다. 추출하는 방법(가령, 프렌치프레스냐, 핸드드립이냐, 더치커피냐, 모카포토냐, 에스프레소냐 등과 같은.)에 따라 분쇄하는 정도를 달리해야 하며, 이처럼 커피 원두를 분쇄, 즉 그라인딩하기 위해 그라인더가 사용된다.
그라인더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타입과 모터와 분쇄날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타입으로 대별된다.
도 1a은 간단해서 필요에 따라 커피원두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기계이고, 도 1b는 다소 복잡하지만 연속적으로 커피원두를 그라인딩할 수 있게끔 한 기계이다. 물론, 도 1a 및 도 1b 외의 다른 여러 그라인더 역시 개발되거나 개발 예정이다.
한편, 최근 원두의 그라인딩 성능도 중요하지만, 외관 역시 깔끔하면서도 수려애햐 하기 때문에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인데, 다만 현존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의 경우,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수단이나 구조가 복잡하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698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가 파이프(pipe) 형태로 내장되는 간단한 방식이라서 청소가 쉬울뿐더러 구조와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해서 제품의 가치 향상을 끌어낼 수 있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 하부의 가로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부의 세로부는 상하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수직형 벽체부; 상기 수직형 벽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관 케이싱; 및 상기 수직형 벽체부와 상기 외관 케이싱에 지지되는 한편, 커피 원두를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grinding)하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는, 커피 원두를 공급하는 커피 원두 공급부;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에 결합하되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기;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그라인딩 하우징;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와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 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 발생기의 동력을 매개로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게 작용하는 동력 전달유닛; 상기 동력 전달유닛을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유닛 커버; 및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형성되는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는 커피 미분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부는, 일단부는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동력 전달유닛 및 상기 유닛 커버를 통과해서 상기 외관 케이싱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통공으로 노출되는 파이프(pipe) 형태의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 및 상기 외관 케이싱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의 노출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부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부의 커넥터에 소정의 에어 펌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 펌프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와 상기 유닛 커버 사이에서 결합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라인딩이 완료된 커피 미분이 배출되는 커피 미분 배출부; 및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과 상기 커피 미분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의 샤프트(shaft)와 상기 외관 케이싱 내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에 구동 풀리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에 피동 풀리가 축 결합하며, 상기 타이밍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피동 풀리를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게 마련되며, 상기 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의 연결 구조가 장치의 중간 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가 파이프(pipe) 형태로 내장되는 간단한 방식이라서 청소가 쉬울뿐더러 구조와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해서 제품의 가치 향상을 끌어낼 수 있는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커피원두를 그라인딩하는 일반적인 기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와 베이스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에어 펌프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동력 전달유닛 영역의 확대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3의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와 베이스 영역의 상세도, 도 5는 에어 펌프의 적용 예시도, 도 6은 동력 전달유닛 영역의 확대 이미지, 도 7은 도 3의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100)은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가 파이프(pipe) 형태로 내장되는 간단한 방식이라서 청소가 쉬울뿐더러 구조와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해서 제품의 가치 향상을 끌어낼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100)은 소정의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지지되는 수직형 벽체부(111)와, 수직형 벽체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관 케이싱(113)과, 수직형 벽체부(111)와 외관 케이싱(113)에 지지되는 한편, 커피 원두를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grinding)하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소정의 설치면에 놓여 지지되는 부분이다. 예컨대, 식탁이나 싱크대 등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식탁이나 싱크대 등의 상면에 놓인 베이스(110)가 임의로 미끄러지지 않게 베이스(110)에는 고무 재질의 푸트(foot)가 결합할 수 있다.
수직형 벽체부(111)는 베이스(110)에 지지되는 구조물로서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수직형 벽체부(111)는 하부의 가로부(111a)가 베이스(110)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부의 세로부(111b)는 상하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외관 케이싱(113)은 수직형 벽체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싱이다. 외관 케이싱(113)의 상면 일측에 통공(114)이 형성된다.
한편,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는 수직형 벽체부(111)와 외관 케이싱(113)에 지지되는 한편, 커피 원두를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grinding)하는 일련의 기계 장치다.
이러한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는 커피 원두 공급부(130)와, 커피 원두 공급부(130)에 결합하되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기(132)와,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그라인딩 하우징(140)과, 커피 원두 공급부(130)와 그라인딩 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되되 동력 발생기(132)와 연결되며, 동력 발생기(132)의 동력을 매개로 그라인딩 하우징(140)에서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게 작용하는 동력 전달유닛(150)과, 동력 전달유닛(150)을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유닛 커버(160)와, 그라인딩 하우징(140)에서 형성되는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는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원두 공급부(130)는 커피 원두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커피 원두 공급부(130)와 유닛 커버(160)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연결해서 커버링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134)이 마련된다.
커피 원두 공급부(130)에 탑재되는 동력 발생기(132)는 예컨대 모터일 수 있으며, 그 하부, 즉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의 중심부에 갖춰지는 동력 전달유닛(150)과 연결되어 동력 전달유닛(150)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동력 전달유닛(150)으로 하여금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라인딩 하우징(140)은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그라인딩 하우징(140)은 통 구조물을 이룬다.
그라인딩 하우징(140)의 하부에는 그라인딩이 완료된 커피 미분이 배출되는 커피 미분 배출부(142)가 마련된다. 커피 미분 배출부(142)는 아래로 갈수록 뾰족한 깔때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라인딩 하우징(140)과 커피 미분 배출부(142) 사이에는 연결 하우징(144)이 마련된다. 연결 하우징(144)은 그라인딩 하우징(140)과 커피 미분 배출부(14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한다.
동력 전달유닛(15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커피 원두 공급부(130)와 그라인딩 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되되 일부가 그라인딩 하우징(140) 내에 배치되고 동력 발생기(132)와 연결되며, 동력 발생기(132)의 동력을 매개로 그라인딩 하우징(140)에서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게 작용한다. 따라서, 동력 전달유닛(150)에는 분쇄기 등이 갖춰진다.
동력 전달유닛(150)은 그라인딩 하우징(140)의 샤프트(148, shaft)와 외관 케이싱(113) 내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1)를 타이밍벨트(152)로 연결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를 위해, 모터(151)에 구동 풀리(153)가 연결되고 샤프트(148)에 피동 풀리(154)가 축 결합하며, 타이밍벨트(152)는 구동 풀리(153)와 피동 풀리(154)를 폐루프 형태로 연결한다.
특히, 이러한 연결 구조가 기존처럼 상단 혹은 하단 연결이 아닌 중간 부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로 커피 원두를 넣기가 좋다. 다시 말해, 커피 투입이 자유롭다. 또한, 그라인더를 기울이지 않아도 토출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종전처럼 상하부에 동력 전달수단이 위치한 구조적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처럼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를 깔끔하게 세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닛 커버(160)는 동력 전달유닛(150)을 부분적으로 커버링한다. 따라서, 동력 전달유닛(150)의 작용 시 미분이 비산되지 않는다.
한편,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는 그라인딩 하우징(140)에서 형성되는 커피 미분을 클리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는 일단부는 그라인딩 하우징(140) 내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동력 전달유닛(150) 및 유닛 커버(160)를 통과해서 외관 케이싱(11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통공(114)으로 노출되는 파이프(pipe) 형태의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171)와, 외관 케이싱(113)의 통공(114)으로 노출되는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171)의 노출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그림에는 커넥터(172) 없이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171)만 노출된 것으로 도시했지만, 도 4 및 도 5처럼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171)의 노출 단부에 커넥터(17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처럼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171)의 노출 단부에 커넥터(172)가 구비되면, 도 6처럼 커넥터(172)에 에어 펌프(195)만 연결해주면 그라인딩 하우징(140) 내부를 쉽고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는 간단하고 단순한 파이프(pipe) 형태의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171)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구성도 간편하거니와 외관도 깔끔해지고 간편하다.
이처럼 커넥터(172)가 형성된 것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커넥터(172)가 없는 타입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100)에는 제품의 컨트롤을 위한 수단으로서 입력부(190)와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
입력부(190)커피 미분 클리닝부(17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버튼 형태로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100)에 갖춰질 수도 있고, 혹은 리모컨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80)는 도 6처럼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의 커넥터(172)에 소정의 에어 펌프(195)가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부(19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19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의 커넥터(172)에 소정의 에어 펌프(195)가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부(19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195)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의 커넥터(172)에 소정의 에어 펌프(195)가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부(19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에어 펌프(195)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가 파이프(pipe) 형태로 내장되는 간단한 방식이라서 청소가 쉬울뿐더러 구조와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해서 제품의 가치 향상을 끌어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의 측면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에 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200) 역시, 소정의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110)와, 수직형 벽체부(111, 도 5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관 케이싱(113)과, 수직형 벽체부(111)와 외관 케이싱(113)에 지지되는 한편, 커피 원두를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grinding)하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성과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200)에는 위의 구성들 외에 오염 감지기(297)와 알림부(296)가 더 갖춰지며, 이들은 컨트롤러(280)에 의해 컨트롤된다.
오염 감지기(297)는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를 동작해야 하는지, 다시 말해 그라인딩 하우징(140)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의 형태로 그라인딩 하우징(140) 주변에 배치될 수 잇다.
알림부(296)는 그라인딩 하우징(140)의 오염도가 심해서 그라인딩 하우징(140)을 클리닝해야 한다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소리의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고 혹은 램프, 혹은 문구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280)는 오염 감지기(297)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알림부(296)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그라인딩 하우징(140)의 오염도가 심해서 그라인딩 하우징(140)을 클리닝해야 할 경우, 이러한 상태가 알림부(296)로 출력되게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정보를 보고 도 6처럼 에어 펌프(195)를 연결해서 클리닝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기 위한 커피 미분 클리닝부(170)가 파이프(pipe) 형태로 내장되는 간단한 방식이라서 청소가 쉬울뿐더러 구조와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해서 제품의 가치 향상을 끌어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110 : 베이스
111 : 수직형 벽체부 111a : 가로부
111b : 세로부 113 : 외관 케이싱
114 : 통공 120 :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
130 : 커피 원두 공급부 132 : 동력 발생기
134 : 상부 가이드 하우징 140 : 그라인딩 하우징
142 : 커피 미분 배출부 144 : 연결 하우징
150 : 동력 전달유닛 160 : 유닛 커버
170 : 커피 미분 클리닝부 171 :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
172 : 커넥터 180 : 컨트롤러
190 : 입력부 195 : 에어 펌프

Claims (5)

  1. 소정의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
    하부의 가로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부의 세로부는 상하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수직형 벽체부;
    상기 수직형 벽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관 케이싱; 및
    상기 수직형 벽체부와 상기 외관 케이싱에 지지되는 한편, 커피 원두를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grinding)하는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원두 그라인딩 어셈블리는,
    커피 원두를 공급하는 커피 원두 공급부;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에 결합하되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기;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그라인딩 하우징;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와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 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 발생기의 동력을 매개로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커피 원두가 커피 미분으로 그라인딩되게 작용하는 동력 전달유닛;
    상기 동력 전달유닛을 부분적으로 커버링하는 유닛 커버; 및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형성되는 커피 미분을 클리닝(cleaning)하는 커피 미분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부는,
    일단부는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동력 전달유닛 및 상기 유닛 커버를 통과해서 상기 외관 케이싱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통공으로 노출되는 파이프(pipe) 형태의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 및
    상기 외관 케이싱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 파이프의 노출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부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커피 미분 클리닝부의 커넥터에 소정의 에어 펌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 펌프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 공급부와 상기 유닛 커버 사이에서 결합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라인딩이 완료된 커피 미분이 배출되는 커피 미분 배출부; 및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과 상기 커피 미분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유닛은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의 샤프트(shaft)와 상기 외관 케이싱 내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에 구동 풀리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에 피동 풀리가 축 결합하며, 상기 타이밍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피동 풀리를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게 마련되며, 상기 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의 연결 구조가 장치의 중간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KR1020220028602A 2022-03-07 2022-03-07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KR10250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602A KR102502390B1 (ko) 2022-03-07 2022-03-07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602A KR102502390B1 (ko) 2022-03-07 2022-03-07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90B1 true KR102502390B1 (ko) 2023-02-23

Family

ID=8532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602A KR102502390B1 (ko) 2022-03-07 2022-03-07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6697A (ja) * 2011-09-05 2013-04-18 Toru Imai 破砕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WO2014096605A1 (fr) * 2012-12-21 2014-06-26 Seb Sa Dispositif pour moudre et nettoyer une zone de mouture, machine a café et procédé correspondant
KR101820018B1 (ko) * 2017-02-28 2018-03-02 훼스텍 주식회사 커피 추출 장치
JP2018089382A (ja) * 2016-11-25 2018-06-14 亨 今井 焙煎して破砕した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KR101939690B1 (ko) * 2018-10-08 2019-01-17 여인범 원두커피 그라인더
KR20200029181A (ko) * 2018-09-10 2020-03-18 박재찬 배전(焙 煎-roasting) 된 원두커피(coffee) 분쇄된 것에서 속껍질(chaff) 및 미분(微分)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6697A (ja) * 2011-09-05 2013-04-18 Toru Imai 破砕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WO2014096605A1 (fr) * 2012-12-21 2014-06-26 Seb Sa Dispositif pour moudre et nettoyer une zone de mouture, machine a café et procédé correspondant
JP2018089382A (ja) * 2016-11-25 2018-06-14 亨 今井 焙煎して破砕した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KR101820018B1 (ko) * 2017-02-28 2018-03-02 훼스텍 주식회사 커피 추출 장치
KR20200029181A (ko) * 2018-09-10 2020-03-18 박재찬 배전(焙 煎-roasting) 된 원두커피(coffee) 분쇄된 것에서 속껍질(chaff) 및 미분(微分) 제거 장치
KR101939690B1 (ko) * 2018-10-08 2019-01-17 여인범 원두커피 그라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6564B2 (ja) 粉砕研磨ユニット、当該ユニットを備える粉砕研磨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る豆乳機
US8256696B1 (en) Electrical food grinder with electronically adjustable grind settings and tooless disassembly
KR102502390B1 (ko)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킷
CN111358312A (zh) 一种烘焙研磨一体机
US20210315410A1 (en) Grinding device, coffee mak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nding device
CN108889389A (zh) 豆类磨粉机
CN108180371A (zh) 一种液晶显示屏保护支架
CN113040625B (zh) 料理机
CN209364394U (zh) 一种新型耐磨件打磨装置
US20130233176A1 (en) Coffee Maker Capable of Stopping Returning Steam
JP6635162B1 (ja) 飲料供給装置
CN206518466U (zh) 一种新型多功能咖啡机
KR20210026223A (ko) 블렌더
JP3345998B2 (ja) 穀類処理装置
CN216364805U (zh) 料理机
CN208757690U (zh) 豆类磨粉机
JPH114769A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US11812887B2 (en) Ground coffee distribu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212465773U (zh) 一种烘焙研磨一体机
CN216364813U (zh) 料理机
JP6696545B2 (ja) 飲料供給装置
KR101198373B1 (ko) 곡물 분쇄기
CN208598213U (zh) 食物料理机
JP2022106740A (ja) 発汗身体洗浄用ミスト発生装置を用いた個室型浴室
KR20230083500A (ko) 커피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