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123B1 -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123B1
KR102502123B1 KR1020200173036A KR20200173036A KR102502123B1 KR 102502123 B1 KR102502123 B1 KR 102502123B1 KR 1020200173036 A KR1020200173036 A KR 1020200173036A KR 20200173036 A KR20200173036 A KR 20200173036A KR 102502123 B1 KR102502123 B1 KR 10250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oarding
roller
driving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125A (ko
Inventor
김병권
Original Assignee
굿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굿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1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2Motion systems for aircraft sim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6Ambient or aircraft conditions simulated or indicated by instrument or alarm
    • G09B9/165Condition of cabin, cockpit or pilo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현실에 따라 탑승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탑승 장치와 탑승 장치를 지지하면서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시키는 다방향 회동 구동장치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탑승 장치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모듈을 구비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으로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탑승 장치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MOTION SIMULATOR SYSTEM}
본 발명은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이치엠디((Head-mounted display, HMD) 방식 등과 같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체감장치를 이용하여 비행기, 자동차, 선박, 기차 또는 각종 건설장비의 조종 등을 숙달시키거나, 게임 또는 영화 등에 대해서 현실감과 몰임감을 높일 수 있는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마치 실제 주변상황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 처럼 만들어 주는 사용자와 가상현실 컴퓨터 서버 간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말한다.
이러한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시뮬레이터 장치는 가상현실 컴퓨터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에이치엠디(Head-mounted display, HMD) 방식 및 의자 등과 같은 가상현실 체감장치에 의해 가상환경에 따른 동적변화를 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현실을 마치 현실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상현실의 시뮬레이터 장치는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의 조합에 의해 3차원 운동을 수행하는 데, 공간상에서 전후방향(Z축), 좌우방향(X축) 및 상하방향(Y축)으로의 직선운동과, X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롤링(Rolling), Y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피칭(Pitching) 및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요잉(Yawing) 회전운동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상현실의 시뮬레이터 장치는 비행기 조종 시뮬레이터나 자동차 운전 시뮬레이터 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차원으로 체감 할 수 있는 게임이나 극장용 시뮬레이터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790호(2005.09.07, 공고일)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차원 체감용 시뮬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 작동부(20), 상부 플레이트(30), 지지부(40) 및 모션 콘트롤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작동부(20)는 막대형의 작동축(21), 감속기(22), 작동 엔코더(23) 및 작동 모터(24)를 구비하는 것으로, 작동축(21)은 한 쪽이 감속기(22)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상부 지지대(31)에 결합되어 모션 콘트롤러(60)로부터 수신된 모션 데이터에 따라 작동 모터(24)가 작동되면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상 현실의 움직임을 구현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시뮬레이터의 작동축(21)은 4축/6축 등으로 게임용이나 극장용 시뮬레이터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가상현실의 움직임을 현실감 있게 체감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몰입감이 떨어진다.
종래기술의 시뮬레이터는 전기모터,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피스톤,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가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사용함에 따라 대형으로 제조하게 된다.
또한, 시뮬레이터의 액츄에이터는 구성부품이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고장의 우려가 높아 정기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많은 보수비용 또는 운전비용이 발생한다.
(실용신안 문헌 000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790호 (실용신안 문헌 000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6586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377594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98660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198255호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6072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25042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63486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면형상의 탑승 장치 또는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개의 다방향 구동부가 겹쳐서 구비된 다방향 회동모듈이 탑승 장치의 탑승하부 외측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탑승 장치에 대해서 정밀구동 또는 충격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션 시뮬렐이터 시스템은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되는 탑승구동 모듈(102)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의 내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탑승하여 안착할 수 있는 탑승 모듈(104)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상기 탑승 모듈(104)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조작 모듈(106)이 구비되는 탑승 장치(100); 및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을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와,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가 안착되고,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 모듈(208)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 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 모듈(208)을 안착시키고 지지하는 지지모듈(202)이 구비되는 구동지지 장치(200);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충격흡수 모듈(208)은,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에 접하고,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탄성수단(208a); 및 상기 제1 탄성수단(208a)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수단(208a)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 탄성수단(208b);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는, 상기 제1 탄성수단(208a)과 접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구동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모듈(204); 및 상기 구동모듈(204)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듈(204)의 구동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되는 다방향 회동모듈(206); 등이 구비되고, 상기 다방향 회동모듈(206)은 제1 베이스부(214) 둘레에 다수의 제1 롤러부(217)가 구비되는 제1 다방향 구동부(211); 제2 베이스부(216) 둘레에 다수의 제2 롤러부(219)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 장치(100)의 충격을 흡수하는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이 상기 제2 베이스부(216)에 구비되는 제2 다방향 구동부(213); 및 제3 베이스부(218) 둘레에 다수의 제3 롤러부가(221)가 구비되는 제3 다방향 구동부(215);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은, 상기 제2 롤러부(219)를 회동시키는 회전축(236); 상기 회전축(236)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롤러부(219)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238); 및 상기 롤러 지지부(238)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3 탄성수단(242)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토퍼(241)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안착 지지부(240); 등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216)는, 상기 제3 탄성수단(242)과 상기 탄성안착 지지부(240)가 삽입되어 승하되도록 하는 탄성삽입 지지수단(232)이 구비되는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230); 및 상기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230)를 감싸는 제1 충격흡수 베이스부(228)와 제3 충격흡수 베이스부(234);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롤러부(217) 내지 상기 제3 롤러부(221)는 일부가 겹치도록 제1 다방향 구동부(211) 내지 제3 다방향 구동부(215)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롤러부(217) 내지 상기 제3 롤러부(221) 중 하나는, 축공(243); 상기 축공(243)의 둘레에 형성되는 안착수단(244); 상기 안착수단(244)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수단(244)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248); 상기 안착수단(244)에는 기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수단(246); 및 상기 충격흡수 수단(246)의 경도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 수단(246) 또는 상기 회전수단(248)을 덮는 커버 수단(250);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로, 구면형상의 탑승 장치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다방향 회동모듈에 의해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 또는 유지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세 번째로, 3개의 다방향 구동부가 겹쳐서 형성된 다방향 회동모듈은 탑승 장치의 탑승하부 외측곡면의 밀착에 의한 압력에 의해서 곡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탑승하부 외측곡면과의 밀착력이 높아져 탑승 장치를 정밀 구동시킬 수 있다.
네 번째로, 다방향 회동모듈이 곡선 형태로 탑승하부 외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탑승 장치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진동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 가상현실에 대해서 현실감 또는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체감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지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보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방향 회동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다방향 구동부 및 제3 다방향 구동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제2 다방향 구동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보인 평면도
도 9는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제2 베이스 수단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는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제2 다방향 구동부의 충격 흡수 수단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분해 정면도
도 11은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제1 롤러부 내지 제3 롤러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가 탑승 장치의 탑승하부 외측면에 밀착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에 대응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되는 구면형상의 탑승 장치(100)및 탑승 장치(100)을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구동신호에 의해서 탑승 장치(100)을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시키는 구동지지 장치(200) 등을 구비한다.
먼저, 탑승 장치(100)는 구동지지 장치(200)의 구동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되는 구면형상의 탑승구동 모듈(102)과, 탑승구동 모듈(102)의 내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탑승하여 안착할 수 있는 탑승 모듈(104) 및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탑승 모듈(104)의 일측에 위치하고, 탑승구동 모듈(10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 모듈(106)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지지 장치(200)는 조작 모듈(106)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듈(204)과, 탑승구동 모듈(102)을 지지하고 일측에 연결된 구동모듈(204)의 구동에 따라 탑승구동 모듈(102)을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시키는 다방향 회동모듈(206)이 구비되는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와, 구동모듈(204)이 접하고 구동모듈(204)의 구동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다방향 회동모듈(206)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모듈(208) 및 충격흡수 모듈(208)을 안착시키고 충격흡수 모듈(208)로 인가되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모듈(202)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모듈(204) 또는 조작 모듈(106)은 유무선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동모듈(204)은 엔코더(encoder)가 구비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조작 모듈(106)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른 구동신호를 구동모듈(204)로 전송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시뮬레이터 서버(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의 다방향 회동모듈(206)은 탑승구동 모듈(102)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하고, 구동모듈(204)의 구동에 따라 탑승구동 모듈(102)을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시킨다.
이에 따라, 탑승구동 모듈(102)은 다방향 회동모듈(206)의 구동에 따라 공간상에서 전후방향(X축), 좌우방향(Y축) 및 상하방향(Z축)으로의 직선운동, X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롤링(Rolling), Y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피칭(Pitching) 및 Z축을 회전을 중심으로 하는 요잉(Yawing) 회전운동 등으로 구동되어 가상현실의 움직임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는 탑승구동 모듈(102)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될 수 있도록 3개 이상 예컨대 3각형 내지 6각형 모양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동지지 장치(200)도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가 3개 이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과 대응되게 3개 이상 예컨대, 3각형 내지 6각형 모양 등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방향 회동모듈(206)은 회전공(210)이 구비된 제1 베이스부(214) 둘레에 다수의 제1 롤러부(217)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1 다방향 구동부(211), 회전공(210)이 구비된 제2 베이스부(216) 둘레에 다수의 제2 롤러부(219)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2 방향 구동부(213) 및 회전공(210)이 구비된 제3 베이스부(218) 둘레에 다수의 제3 롤러부(221)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3 다방향 구동부(215)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다방향 구동부(211) 내지 제3 다방향 구동부(215)는 제1 롤러부(217) 내지 제3 롤러부(221)의 일부가 겹치도록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롤러부(217) 내지 제3 롤러부(221)의 일부가 겹치도록 구비됨에 따라 탑승구동 모듈(102) 구동시 제1 롤러부(217) 내지 제3 롤러부(221) 각각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된 단차가 메워져 단차로 인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 또는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방향 회동모듈(206)의 제2 다방향 구동부(213)는 탑승구동 모듈(102)을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시키는 제2 롤러부(219)와 연결되는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 및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의 충격을 흡수 지지하는 제2 베이스부(216) 등으로 구비된다.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은 제2 롤러부(219)가 회동될 수 있게 하는 회전축(236)과 연결되어 제2 롤러부(219)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238) 및 롤러 지지부(238)의 일측에 연결되고 탑승구동 모듈(102)의 탑승하부 외측면(103)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3 탄성수단(242)에서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241)가 구비된 탄성안착 지지부(240) 등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216)는 제3 탄성수단(242)과 탄성안착 지지부(240)가 삽입되어 탑승하부 외측면(103)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삽입 지지수단(232)을 구비하는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230)와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230)를 감싸는 제1 충격흡수 베이스부(228)와 제3 충격흡수 베이스부(234)로 이루어진다.
한편,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이 구비된 제2 다방향 구동부(213)는 제1 다방향 구동부(211)와 제3 다방향 구동부(215) 사이에 구비되어 탑승하부 외측면(103)에 밀착시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의 탄성안착 지지부(240)가 중심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다방향 구동부(213)의 제2 롤러부(219)는 제1 롤러부(217) 또는 제3 롤러부(221) 보다 중심축으로 이동하게 되어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다방향으로 회동 구동되는 탑승하부 외측면(103)의 밀착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제2 롤러부(219)에 인가되면 제2 롤러부(219)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서 제3 탄성수단(242)이 내부에 구비된 탄성삽입 지지수단(232)을 통해 탄성안착 지지부(240)가 중심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 탄성수단(242)은 탄성안착 지지부(240)의 스토퍼(241)에 의해 압축(A)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다방향 회동모듈(206)은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탑승하부 외측면(103)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어 탑승구동 모듈(102)을 정밀하게 구동시킬 수 있고, 탑승구동 모듈(102)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 또는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롤러부(219)에 탑승하부 외축면(103)이 밀착되지 않아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삽입 지지수단(232) 내부에 구비된 제3 탄성수단(242)이 이완(B) 된다.
그러면, 탄성안착 지지부(240)는 제3 탄성수단(242)이 이완에 따른 탄성력을 인가받는 스토퍼(241)에 의해서 중심축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롤러부(217), 제2 롤러부(219) 또는 제3 롤러부(221) 중 하나는 축공(243)과, 탑승구동 모듈(102)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수단(246)과, 축공(243)의 둘레로 충격흡수 수단(246)을 구비하는 안착수단(244)과, 안착수단(244)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제1 롤러부(217) 내지 제3 롤러부(221)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248) 및 충격흡수 수단(246) 또는 회전수단(248)을 덮는 커버 수단(250)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안착수단(244)의 상측의 높이는 회전수단(248)의 상측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고, 회전수단(248)에는 베어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 수단(246)은 공기 또는 가스 같은 기체가 될 수 있고, 커버 수단(250)의 경도보다 낮은 소재인 우렌탄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 수단(246)은 공기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가 채워진 파우치(pouch)가 될 수 도 있다.
커버 수단(250)은 외측에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패턴 또는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충격흡수 수단(246)의 경도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충격흡수 수단(246)이 외부로 배출 또는 노출 되지 않도록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부(217) 내지 제3 롤러부(221) 중 하나에 충격흡수 수단(246)을 형성함으로써, 탑승하부 외측면(103)의 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서 다방향 회동모듈(206)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탑승하부 외측면(103)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어 탑승구동 모듈(102)을 정밀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부(217) 내지 제3 롤러부(221) 중 하나에 충격흡수 수단(246)을 형성함으로써, 탑승구동 모듈(102), 제1 다방향 구동부(211) 내지 제3 다방향 구동부(215)에서 다방향으로 회동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 따른 소음 또는 진동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지지 장치(200)의 충격흡수 모듈(208)은 다방향 회동모듈(206)을 안착시키고 다방향 회동모듈(206)이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 탄성수단(208a) 및 제1 탄성수단(208a)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1 탄성수단(208a)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탄성수단(208b)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탄성수단(208a) 또는 제2 탄성수단(208b)은 판 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지지 장치(200)의 지지모듈(202)은 제1 지지부(202a)와 제2 지지부(202b) 등이 구비되고, 제1 지지부(202a)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제1 탄성수단(208a)의 일측이 고정된다.
제2 지지부(202b)는 제1 탄성수단(208a)의 일측이 상측에 고정된 제2 탄성수단(208b)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09) 및 제2 탄성수단(208b)의 타측이 연결되어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207)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탄성수단(208a)은 일측이 제1 지지부(202a)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 고정되고, 제1 탄성수단(208a)의 타측이 제2 탄성수단(208b)의 상측에 고정됨에 따라 소정의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수단(208a)의 소정의 각도는 구면형상의 탑승구동 모듈(102)의 압력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각도(예컨대 직각)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도는 탑승구동 모듈(102)의 외측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압력방향과 제1 탄성수단(208a) 간 이루어지는 각도 이다.
제1 탄성수단(208a)이 소정의 각도로 구비됨에 따라 탑승구동 모듈(102)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제1 탄성수단(208a) 또는 제2 탄성수단(208b)에서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100 : 탑승 장치
102 : 탑승구동 모듈 103 : 탑승하부 외측면
104 : 탑승 모듈 106 : 조작 모듈
200 : 구동지지 장치 202 : 지지모듈
202a : 제1 지지부 202b : 제2 지지부
204 : 구동모듈 205 :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
206 : 다방향 회동모듈 207 : 가이드 수단
208 : 충격흡수 모듈 208a : 제1 탄성수단
208b : 제2 탄성수단 209 : 고정수단
210 : 회전공 211 : 제1 다방향 구동부
213 : 제2 다방향 구동부 214 : 제1 베이스부
215 : 제3 다방향 구동부 216 : 제2 베이스부
217 : 제1 롤러부 218 : 제3 베이스부
219 : 제2 롤러부 221 : 제3 롤러부
228 : 제1 충격흡수 베이스부 230 :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
232 : 탄성삽입 지지수단 234 : 제3 충격흡수 베이스부
236 : 회전축 238 : 롤러 지지부
239 : 롤러 충격흡수 수단 240 : 탄성안착 지지부
241 : 스토퍼 242 : 제3 탄성수단
243 : 축공 244 : 안착수단
246 : 충격흡수 수단 248 : 회전수단
250 : 커버 수단

Claims (5)

  1.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되는 탑승구동 모듈(102)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의 내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탑승하여 안착할 수 있는 탑승 모듈(104)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상기 탑승 모듈(104)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조작 모듈(106)이 구비되는 탑승 장치(100); 및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와,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가 안착되고,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 모듈(208)과,
    상기 탑승구동 모듈(102) 또는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 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흡수 모듈(208)을 안착시키고 지지하는 지지모듈(202)이 구비되는 구동지지 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구동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모듈(204); 및
    상기 구동모듈(204)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듈(204)의 구동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구동 되는 다방향 회동모듈(206);이 구비되고,
    상기 다방향 회동모듈(206)은
    제1 베이스부(214) 둘레에 다수의 제1 롤러부(217)가 구비되는 제1 다방향 구동부(211);
    제2 베이스부(216) 둘레에 다수의 제2 롤러부(219)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 장치(100)의 충격을 흡수하는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이 상기 제2 베이스부(216)에 구비되는 제2 다방향 구동부(213); 및
    제3 베이스부(218) 둘레에 다수의 제3 롤러부가(221)가 구비되는 제3 다방향 구동부(215);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충격흡수 수단(239)은,
    상기 제2 롤러부(219)를 회동시키는 회전축(236);
    상기 회전축(236)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롤러부(219)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238); 및
    상기 롤러 지지부(238)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3 탄성수단(242)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토퍼(241)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안착 지지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베이스부(216)는,
    상기 제3 탄성수단(242)과 상기 탄성안착 지지부(240)가 삽입되어 승하되도록 하는 탄성삽입 지지수단(232)이 구비되는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230); 및
    상기 제2 충격흡수 베이스부(230)를 감싸는 제1 충격흡수 베이스부(228)와 제3 충격흡수 베이스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모듈(208)은,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에 접하고, 상기 다방향 회동구동 장치(205)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탄성수단(208a); 및
    상기 제1 탄성수단(208a)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수단(208a)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 탄성수단(20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217) 내지 상기 제3 롤러부(221)는
    일부가 겹치도록 제1 다방향 구동부(211) 내지 제3 다방향 구동부(215)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롤러부(217) 내지 상기 제3 롤러부(221) 중 하나는,
    축공(243);
    상기 축공(243)의 둘레에 형성되는 안착수단(244);
    상기 안착수단(244)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수단(244)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248);
    상기 안착수단(244)에는 기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수단(246); 및
    상기 충격흡수 수단(246)의 경도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 수단(246) 또는 상기 회전수단(248)을 덮는 커버 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KR1020200173036A 2020-12-11 2020-12-11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KR10250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36A KR102502123B1 (ko) 2020-12-11 2020-12-11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36A KR102502123B1 (ko) 2020-12-11 2020-12-11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125A KR20220083125A (ko) 2022-06-20
KR102502123B1 true KR102502123B1 (ko) 2023-02-23

Family

ID=8224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036A KR102502123B1 (ko) 2020-12-11 2020-12-11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1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03282A (zh) * 2018-05-21 2020-01-16 成光科技股份有限公司 全向輪
US20200327819A1 (en) * 2019-04-12 2020-10-15 Curtis D. Platt Immersive multimodal motion simulator
CN112071160A (zh) 2020-09-17 2020-12-11 南京睿辰欣创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Vr模拟驾驶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729A (ko) 1997-12-31 1999-07-26 전주범 가상현실 체험 시뮬레이터의 요잉 모션 증대장치
KR200394790Y1 (ko) 2005-05-04 2005-09-07 신동호 3차원 체감용 시뮬레이터
KR200436586Y1 (ko) 2007-06-04 2007-09-07 신동호 게임용 시뮬레이터
KR100986602B1 (ko) 2010-02-24 2010-10-11 유경옥 시뮬레이터 모션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198255B1 (ko)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101250429B1 (ko) 2012-08-28 2013-04-08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101377594B1 (ko) 2013-02-20 2014-03-25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101634860B1 (ko) 2014-05-22 2016-06-29 (주)트윈테크 다자유도 시뮬레이터 구동장치
KR20160031773A (ko) * 2014-09-15 2016-03-23 리 조나단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03282A (zh) * 2018-05-21 2020-01-16 成光科技股份有限公司 全向輪
US20200327819A1 (en) * 2019-04-12 2020-10-15 Curtis D. Platt Immersive multimodal motion simulator
CN112071160A (zh) 2020-09-17 2020-12-11 南京睿辰欣创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Vr模拟驾驶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125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9411B2 (en) Applied layout in virtual motion-acceleration spherical simulator
US20150030999A1 (en) Motion simulator
US10410536B2 (en) Apparatus to simulate driving a land vehicle
CN101842822B (zh) 运动平台视频游戏赛车及飞行模拟器
JP6386178B2 (ja) 起動可能な運動台座システム
KR20180092489A (ko) 다자유도 모션플랫폼
EP3329242B1 (en) Apparatus to simulate driving a land vehicle
EP3344352B1 (en) Motion platform
KR101241531B1 (ko) 4자유도 시뮬레이터
KR20180133117A (ko) 6자유도 운동 및 360도 무한회전이 가능한 모션 플랫폼
JP2009116294A (ja) 体感型運動シミュレーター用運動板
KR20120093885A (ko) 햅틱 피드백에 의해 특정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방법, 및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WO2014114409A1 (en) Driving simulator
KR102502123B1 (ko)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JP2020042256A (ja) 飛行運動をシミュレートするための小型の可搬式モ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
EP0997176A2 (en) Robotised virtual reality motion simulator-II
EP3563915A1 (en) Motion simulating device
KR102532870B1 (ko) 운동 시뮬레이션 시스템
EP0997175A1 (en) Robotised virtual reality motion simulator
KR20200070548A (ko) 다중체험이 가능한 가상현실 인터랙션 모듈시스템
US20220254268A1 (en) Motion system
KR102144903B1 (ko) 탑승물 교체형 가상 현실 체험 시뮬레이터
KR102182450B1 (ko) 그네의자를 이용한 모션 시뮬레이터
CN113573788A (zh) 运动模拟装置
JP2022531568A (ja) 運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