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803B1 - 기능성 제빙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803B1
KR102501803B1 KR1020210049212A KR20210049212A KR102501803B1 KR 102501803 B1 KR102501803 B1 KR 102501803B1 KR 1020210049212 A KR1020210049212 A KR 1020210049212A KR 20210049212 A KR20210049212 A KR 20210049212A KR 102501803 B1 KR102501803 B1 KR 10250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aw water
making
modu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218A (ko
Inventor
손재구
윤정근
이정연
김철진
이근학
Original Assignee
(주) 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타 filed Critical (주) 에타
Priority to KR102021004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 및 부피가 작아 이동성 및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 중 지속적인 살균에 의해 깨끗한 원수 및 얼음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각얼음이나 가루얼음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능성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빙공간과 비제빙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제빙공간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라인과, 상기 원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공간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처리하는 필터부를 가지는 원수공급모듈; 상기 제빙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냉기에 의해 제빙하는 제빙모듈; 상기 제빙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이 저장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얼음받이부; 상기 얼음받이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에서 제빙된 각얼음이 취출될 시, 제빙되지 못하고 남은 원수를 저장하기 위한 원수저장부; 및 상기 얼음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트레이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분쇄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을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는 분쇄모듈;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제빙기{FUNCTIONAL IC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능성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크기 및 부피가 작아 이동성 및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 중 지속적인 살균에 의해 오랜시간 깨끗한 원수 및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각얼음이나 가루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이라 함은 얼음을 제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암모니아를 기화시켜 빼앗기는 기화열을 이용한다.
최근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에 구비되는 제빙기는 트레이에 담겨진 제빙수에 침지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침지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즉, 압축기 및 응축기을 거친 저온 저압의 냉매를 제빙라인을 따라 순환시키고, 제빙라인과 연결된 증발기의 일부를 트레이에 담긴 제빙수에 침지시켜 얼음을 결빙시킨다.
한편, 최근 아웃도어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더운 여름철에도 외부에서 손쉽게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이동성과 휴대성이 용이한 제빙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에 구비되는 침지식 제빙장치를 휴대용 제빙기에 적용하기에는 기본적으로 제빙을 위한 제반시설이 내부에 구비되어 제빙기의 부피 및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빙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각얼음 뿐만 아니라 가루얼음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빙기에서 제빙된 각얼음을 손수 갈아서 가루얼음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에 있어 많은 불편함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용 제빙기는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에 구비되는 제빙기와 달리, 환경적인 문제로 원수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휴대용 제빙기는 외부 환경에서 오래시간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모듈 뿐만 아니라, 원수 및 얼음이 쉽게 오염되는 등 청결에도 많은 취약한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93054호 (2017.11.20.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크기 및 부피가 작아 이동성 및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 중 지속적인 살균에 의해 깨끗한 원수 및 얼음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각얼음이나 가루얼음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능성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는, 내부에 제빙공간과 비제빙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제빙공간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라인과, 상기 원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공간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처리하는 필터부를 가지는 원수공급모듈; 상기 제빙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냉기에 의해 제빙하는 제빙모듈; 상기 제빙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이 저장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얼음받이부; 상기 얼음받이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에서 제빙된 각얼음이 취출될 시, 제빙되지 못하고 남은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부; 상기 얼음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분쇄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을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는 분쇄모듈;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케이스의 커버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모듈은, 상기 얼음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며, 바닥의 일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제1통과홀과, 바닥의 나머지 다른 부분에 각얼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제2통과홀을 가지는 외통과, 상기 제2통과홀 상에 설치되며, 각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날과, 상기 제빙모듈에서 취출되는 각얼음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통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비회전 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얼음을 상기 제1통과홀에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고, 회전 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얼음을 상기 분쇄날 측으로 가압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을 상기 제2통과홀로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분쇄구동부와,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통과홀과 상응하는 크기의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를 가지며, 상기 제1통과홀을 개폐하는 조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얼음받이부 및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받이부 및 상기 조절판이 결합된 정위치 상태에서만 상기 분쇄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모듈은,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를 회수하기 위한 원수회수라인과, 상기 원수공급라인 및 상기 원수회수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와, 상기 원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를 가압하여 상기 제빙모듈 측으로 공급하는 원수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라인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유입포트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원수의 용량이 부족할 시,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원수공급라인 및 상기 원수회수라인을 차단시키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하여 외부에서 원수를 추가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공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제빙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를 살균하기 위한 제1살균램프와, 상기 제빙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 상기 분쇄모듈 및 상기 얼음받이부에 존재하는 얼음을 살균하기 위한 제2살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얼음의 이동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되, 회전 시 각얼음이 상기 분쇄날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가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모듈은,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기어림과, 상기 케이스의 중앙격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외통을 관통하여 상기 기어림과 기어 결합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분쇄구동부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타단부와 기어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원수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내부에 채워지는 트레이와,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트레이에 채워진 원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빙관의 표면에서 제빙된 각얼음을 상기 제빙관에서 탈빙한 후, 상기 트레이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빙된 각얼음과 제빙되지 못하고 남은 원수가 상기 트레이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 및 부피가 작은 소형화를 통하여 이동성 및 이동성을 만족하면서도 분쇄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각얼음이나 가루얼음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에 사용되는 원수를 순환 및 재공급하여, 한정된 원수로 효율적인 제빙이 가능하며, 공급 및 순환되는 원수 및 얼음 뿐만 아니라 내부 제빙모듈을 지속적으로 살균하여 깨끗한 원수 및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케이스 및 원수공급모듈을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제빙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얼음받이부 및 분쇄모듈을 나타낸 부분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쇄모듈을 나타낸 분리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쇄모듈의 내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쇄모듈의 외통 및 조절판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모듈을 이용한 가루얼음 또는 각얼음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케이스 및 원수공급모듈을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는 케이스(100), 원수공급모듈(200), 제빙모듈(300), 얼음받이부(400), 원수저장부(600) 및 분쇄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기능성 제빙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서로 분할되는 제빙공간(100A) 및 비제빙공간(100B)을 가질 수 있다.
제빙공간(100A)은 제빙 및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제빙기를 구성하는 일부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빙공간(100A)에는 제빙모듈(300)의 트레이(310) 및 제빙관(320:증발기)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얼음받이부(400), 분쇄모듈(500) 및 원수저장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비제빙공간(100B)은 제빙공간(100A)과 분리되는 공간으로, 제빙기를 구성하는 다른 나머지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제빙공간(100B)에는 원수공급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제빙모듈(300)의 일부 구성요소인 압축기(301) 및 응축기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함체부(11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부(110)는 내부에 제빙공간(100A) 및 비제빙공간(100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함체부(110)는 중공 구조의 이중벽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적어도 제빙공간(100A)은 이중벽체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공간(100A) 내부의 냉열은 외부로 쉽게 전달되지 못하고 장시간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함체부(110)의 일측면에는 제빙공간(100A)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13)를 통하여 얼음받이부(400)가 함체부(110)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되면서 제빙공간(100A)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함체부(110)는 타측면에는 비제빙공간(100B)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측면도어(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도어(114)를 개방한 상태에서 비제빙공간(100B)에 설치된 필터부(250)에 대한 결합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함체부(110)에는 제빙공간(100A) 및 비제빙공간(100B)을 분할하는 중앙격벽(111)을 가질 수 있다. 중앙격벽(111) 역시 제빙공간(100A)의 냉열을 보호하도록 중공 구조의 이중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30)는 함체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빙공간(100A) 및 비제빙공간(100B)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에는 제어부(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31)에는 제빙기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제빙기의 작동상태를 조절 및 설정하기 위한 버튼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 및 버튼조작부로는 터치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1)의 표시부로는 전원상태, 온도상태, 원수용량, 얼음용량, 작동모드 등이 표시될 수 있고, 버튼조작부로는 전원버튼, 제빙버튼, 분쇄버튼, 살균버튼, 세척버튼, 및 원수설정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버튼은 각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원수공급모듈(200) 및 제빙모듈(300)을 제어하는 작동버튼일 수 있고, 분쇄버튼은 각얼음을 분쇄하여 가루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분쇄모듈(500)을 제어하는 작동버튼일 수 있다. 그리고 살균버튼은 제빙공간(100A)의 살균을 위한 살균램프(171,172)를 제어하는 작동버튼일 수 있고, 세척버튼은 제빙기의 내부 세척을 위하여 원수공급모듈(200) 및 원수저장부(600)를 제어하는 작동버튼일 수 있다. 또한 원수설정버튼은 제빙에 사용되는 원수를 처리하기 위해 원수공급모듈(200)의 필터부(250)를 제어하는 작동버튼일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에는 상부도어(1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도어(13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빙공간(100A) 내부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상부도어(13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빙공간(100A)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할 수도 있다.
원수공급모듈(200)은 비제빙공간(100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빙공간(100A)으로 제빙에 필요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원수공급모듈(200)은 원수공급라인(210)을 가질 수 있으며, 원수공급라인(210)의 공급구(211)는 케이스(100)의 중앙격벽(111)을 관통하여 제빙모듈(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모듈(300)은 제빙공간(1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수공급모듈(200)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냉기에 의해 제빙하고, 제빙된 각얼음을 제빙공간(100A)의 하부방향으로 취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제빙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를 추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모듈(300)은 트레이(310) 및 제빙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310)는 제빙공간(10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수공급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또한 트레이(310)는 케이스(100)에 회전축(311) 결합되어 케이스(100)에 대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빙관(320)은 냉매사이클의 증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트레이(310)에 채워진 원수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빙모듈(300)은 냉매사이클로서, 압축기(301) 및 응축기를 더 가질 수 있다. 즉, 압축기(301) 및 응축기을 거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제빙라인을 따라 순환될 수 있고, 제빙라인과 연결된 제빙관(320:증발기)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그러면 트레이(310)에 채워진 원수에 침지된 제빙관(320)의 표면에 얼음이 결빙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모듈(300)은 응축기를 바이패스하여 압축기(301) 및 제빙관(320)을 직접 연결하는 탈빙라인을 더 가질 수 있는데, 제빙관(320)의 표면에 얼음이 생성된 후 압축기(30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핫가스)를 제빙관(320) 측으로 공급함에 따라 제빙관(320)으로부터 얼음이 탈빙될 수 있다.
이렇게 탈빙된 각얼음은 트레이(310)에 낙하하게 되고, 트레이(310)에 낙하된 각얼음은 트레이(3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빙모듈(300)로부터 취출되어 제빙공간(100A)의 하부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러한 제빙모듈(300)에서 각얼음이 취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a)에서와 같이, 원수공급모듈(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가 트레이(310)에 채워지면, 제빙관(320)의 일부가 잠기게 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빙관(320)의 표면이 결빙되어 각얼음(1a)이 생성된다.
이후, 압축기(30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핫가스)를 제빙관(320) 측으로 공급함에 따라 제빙관(320)으로부터 각얼음(1a)이 탈빙된다.
이후, 도 4 (b)에서와 같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트레이(310)를 일방향(D1)으로 회전시키면, 제빙되지 못한 잉여 원수가 트레이(310)에서 쏟아지고, 쏟아진 잉여 원수는 중앙격벽(111)에 형성된 배수채널(116)을 따라 제빙공간(100A)의 하부로 배수되어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다.
이후, 도 4 (c)에서와 같이,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트레이(310)를 반대방향(D2)으로 회전시키면, 트레이(310)의 단부에 결합된 슈트(312)가 중앙격벽(111)에 형성된 지지턱(115)에 지지되면서 세워지게 되고, 슈트(312)의 상면에 놓인 각얼음(1a)이 밀려나면서 트레이(310)로부터 취출되어 제빙공간(100A)의 하부로 낙하하여 분쇄모듈(500)에 공급될 수 있다.
얼음받이부(400)는 제빙공간(10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빙모듈(300)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받이부(400)는 케이스(100)의 개구부(113)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제빙공간(10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100)의 개구부(113)에서 슬라이드 분리되어 제빙공간(100A)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100)로부터 얼음받이부(400)를 분리하여 제빙된 얼음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수저장부(600)는 얼음받이부(4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빙모듈(300)에서 제빙된 각얼음이 취출될 시, 제빙모듈(300)에서 제빙되지 못하고 각얼음과 함께 취출되는 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원수저장부(600)는 케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얼음받이부(400)가 안착되는 제빙공간(100A)의 바닥면을 함몰되게 형성한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는 원수공급모듈(200)을 통하여 제빙을 위해 재공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원수공급모듈(200)은 원수공급라인(210), 원수회수라인(220), 밸브(230) 및 원수공급부(240)를 가질 수 있다.
원수공급라인(210)은 비제빙공간(100B)에서 제빙공간(100A)에 설치된 제빙모듈(300)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으며, 트레이(310)에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원수공급라인(210)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유입포트(213)를 더 가질 수 있다. 유입포트(213)에 연결되는 외부 원수 공급배관을 통하여 외부에서 원수를 직접 공급받을 수도 있다.
원수회수라인(220)은 비제빙공간(100B)에서 제빙공간(100A)에 설치된 원수저장부(600)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으며,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원수회수라인(220)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포트(223)를 더 가질 수 있다. 배출포트(223)를 통하여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원수저장부(600)의 원수를 모두 배출한 상태에서 원수저장부(600)를 세척할 수 있다.
밸브(230)는 원수공급라인(210) 및 원수회수라인(2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230)로는 삼방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원수공급부(240)는 원수공급라인(2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수회수라인(220)을 통하여 회수되는 원수저장부(600)의 원수를 가압하여, 원수공급라인(210)을 통하여 제빙모듈(300) 측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제빙모듈(300)에서 제빙에 사용되고 남은 원수는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되고, 원수공급부(240)의 작동 시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는 원수회수라인(220), 밸브(230) 및 원수공급라인(210)을 거쳐 제빙모듈(300)로 재차 공급되면서 순환될 수 있다.
한편, 원수공급모듈(200)은 원수량측정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원수량측정부는 원수저장부(6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되는 원수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반복된 제빙 과정을 거치면서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되는 원수의 용량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의 부족으로 제빙이 불가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31)는 표시창을 통하여 원수 용량의 부족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의 용량이 부족할 시 유입포트(213)를 통하여 외부에서 원수를 추가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즉, 밸브(230)를 제어하여 원수공급라인(210) 및 원수회수라인(220)을 차단시키고, 유입포트(213)에 외부의 원수 공급배관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원수공급부(240)를 작동함으로써 외부의 원수를 제빙모듈(300)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의 원수를 제빙모듈(300)에 직접 공급하면, 제빙모듈(300)에서 제빙되지 못하고 남은 원수가 원수저장부(600)에 다시 저장될 수 있고, 이처럼 원수저장부(600)에 충분한 용량의 원수가 저장되면, 다시 밸브(230)를 제어하여 원수공급라인(210) 및 원수회수라인(220)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외부의 원수 공급 없이 원수저장부(600)의 원수를 순환시키면서 제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수공급모듈(200)은 필터부(250)를 더 가질 수 있다.
필터부(250)는 원수공급라인(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빙모듈(300) 측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부(250)는 이온수기용 복합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이온수기용 복합필터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물을 정수할 수 있고, 필터링된 물을 재차 전기 분해하여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온수기용 복합필터는 제어부(131)의 원수설정버튼에 의해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으며, 원수설정버튼에 의한 작동모드에 따라 제빙모듈(300)에 공급되는 원수는 알칼리수, 정수 및 산성수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필터부(250)는 정수필터, 알카리수필터 및 산성수필터 등 복수 개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개의 필터는 원수공급라인(210) 상에 병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원수공급라인(210)을 따라 이송되는 원수는 제어부(131)의 원수설정버튼의 조작에 따라 정수필터, 알카리수필터 및 산성수필터 중 하나의 필터를 경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수나 알카리수 혹은 산성수를 제빙모듈(3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는 살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램프는 제1살균램프(710) 및 제2살균램프(720)를 가질 수 있다.
제1살균램프(710)는 제빙공간(10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를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살균램프(710)를 통하여 원수저장부(600) 및 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원수가 살균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에 사용된 원수는 원수공급모듈(200)을 통하여 계속해서 순환되면서 제빙에 사용될 수 있다.
제2살균램프(720)는 제빙공간(1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빙모듈(300), 분쇄모듈(500) 및 얼음받이부(400)에 존재하는 얼음을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살균램프(720)를 통하여 제빙모듈(300), 분쇄모듈(500) 및 얼음받이부(400) 뿐만 아니라, 제빙모듈(300), 분쇄모듈(500) 및 얼음받이부(400)에 존재하는 원수 및 얼음을 효과적으로 살균시켜 사용자에게 깨끗한 얼음을 지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의 얼음받이부 및 분쇄모듈을 나타낸 부분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쇄모듈을 나타낸 분리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분쇄모듈의 내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분쇄모듈의 외통 및 조절판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분쇄모듈(500)은 얼음받이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빙모듈(300)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통과시켜 얼음받이부(400)에 공급하거나, 제빙모듈(300)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분쇄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을 얼음받이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모듈(500)은 지지대(510), 외통(520), 분쇄날(530), 내통(540), 분쇄구동부(550) 및 조절판(56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510)는 얼음받이부(4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510)는 외통(520) 및 내통(540)을 지지할 수 있다.
외통(520)은 지지대(510)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통(520)은 바닥 중심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축지지부(5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축지지부(521)는 내통(5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통(520)은 축지지부(521)를 제외한 바닥에 제1통과홀(522) 및 제2통과홀(5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과홀(522)은 외통(520)의 바닥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각얼음이 통과하여 하부에 얼음받이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통과홀(523)은 외통(520)의 바닥의 나머지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통과홀(523)에는 분쇄날(530)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날(530)에 의해 분쇄된 가루얼음은 제2통과홀(523)을 통과하여 하부에 얼음받이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통과홀(523)은 각얼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분쇄날(530)은 제2통과홀(52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각얼음을 분쇄하여 가루얼음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분쇄날(530)은 가루얼음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분쇄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통(540)은 외통(520)의 내부에 삽입된 채 외통(5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통(540)은 제빙모듈(300)에서 취출되어 낙하하는 각얼음이 수용되는 수용공간(54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통(540)은 중심부에 축지지부(521)와 결합되는 회전지지부(543)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지지부(543)가 축지지부(5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통(540)과 외통(520)은 동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통(540)은 경사가압대(544)를 더 가질 수 있다. 경사가압대(544)는 수용공간(541)에 구비되며, 하부방향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가압대(544)는 수용공간(541)에 수용되는 각얼음의 이동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회전 시에는 수용공간(541)에 수용된 각얼음을 분쇄날(53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내통(540)은 비회전 시 수용공간(541)에 수용되는 각얼음의 이동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여, 외통(520)의 제1통과홀(522)을 통과하여 얼음받이부(400) 측으로 각얼음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내통(540)은 회전 시 수용공간(541)에 수용되는 각얼음의 이동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여, 제2통과홀(523)에 장착된 분쇄날(530)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분쇄날(530)을 통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은 제2통과홀(523)으로 통과하여 얼음받이부(4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분쇄구동부(550)를 내통(5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쇄구동부(550)는 제빙공간(100A)과 분리된 비제빙공간(100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조절판(560)은 지지대(510)의 하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통과홀(522)와 상응하는 크기의 개폐부(561)와, 개폐부(56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56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절판(560)은 지지대(510)에 슬라이드 결합됨에 따라 제1통과홀(522)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분쇄모듈(500)은 기어림(571), 연결기어(572) 및 구동기어(573)를 더 가질 수 있다.
기어림(571)은 외면에 기어가 형성되며, 내통(540)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기어(572)는 케이스(100)의 중앙격벽(111)을 관통하게 배치된 채 중앙격벽(111)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어(572)는 중앙격벽(111)을 중심으로 일단부는 제빙공간(100A)에 배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비제빙공간(100B)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공간(100A)에 배치되는 연결기어(572)의 일단부는 외통(520)의 관통홀(520a)을 관통하여 기어림(571)과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어로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기어(573)는 분쇄구동부(550)의 출력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중앙격벽(111)을 중심으로 비제빙공간(100B)에 배치되는 연결기어(572)의 타단부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구동부(5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구동기어(573), 연결기어(572) 및 기어림(571)을 거쳐 외통(5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모듈을 이용한 각얼음 또는 가루얼음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분쇄모듈(5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 (a)에서와 같이, 제빙모듈(300)에서 취출된 각얼음(1a)은 분쇄모듈(500)의 내통(540)의 수용공간(541)에 수용된다. 이때 분쇄구동부(550)의 미 작동 시 내통(540)이 수용공간(541)으로 낙하한 각얼음(1a)은 경사가압대(544)를 따라 내통(540)의 하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될 수 있고, 지지대(510)로부터 조절판(560)이 개방되면 각얼음(1a)은 제1통과홀(522)을 통과하여 낙하한 후 얼음받이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9 (b)에서와 같이, 각얼음(1a)이 분쇄모듈(500)의 수용공간(541)에 수용된 상태에서, 분쇄구동부(550)를 작동시키면, 내통(540)의 수용공간(541)으로 낙하한 각얼음(1a)은 내통(54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경사가압대(544)를 따라 내통(540)의 하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조절판(560)에 의해 제1통과홀(522)이 닫혀 있으면, 각얼음(1a)은 경사가압대(544)에 의해 수용공간(541) 내에서 회전하면서 하부방향으로 가압된다. 결국 각얼음(1a)은 분쇄날(530)에 부딪히면서 분쇄되어 가루얼음(1b)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가루얼음(1b)은 제2통과홀(523)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한 후 얼음받이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분쇄모듈(500)은 작동여부에 따라 각얼음(1a) 또는 가루얼음(1b)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제빙기는 얼음받이부(400) 또는 조절판(56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7)는 케이스(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빙공간(100A)에 얼음받이부(400)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거나, 조절판(560)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빙공간(100A)에 얼음받이부(400)가 존재하지 않을 시, 사용자가 분쇄모듈(500)을 작동하더라도 분쇄모듈(500)은 미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31)를 표시창을 통하여 얼음받이부(400)의 장착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절판(56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분쇄모듈(500)을 작동하더라도 분쇄모듈(500)은 미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31)를 표시창을 통하여 조절판(560)의 개폐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결국, 얼음받이부(400) 및 조절판(560)이 결합된 정위치 상태에서만 분쇄모듈(500)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제빙기의 오동작과 가루얼음이 낭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케이스
200: 원수공급모듈
300: 제빙모듈
400: 얼음받이부
500: 분쇄모듈
600: 원수저장부

Claims (8)

  1. 내부에 제빙공간과 비제빙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제빙공간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라인과, 상기 원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공간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처리하는 필터부를 가지는 원수공급모듈;
    상기 제빙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냉기에 의해 제빙하는 제빙모듈;
    상기 제빙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얼음이 저장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얼음받이부;
    상기 얼음받이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에서 제빙된 각얼음이 취출될 시, 제빙되지 못하고 남은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저장부;
    상기 얼음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거나, 상기 제빙모듈로부터 취출되는 각얼음을 분쇄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을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는 분쇄모듈;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케이스의 커버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모듈은,
    상기 얼음받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며, 바닥의 일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제1통과홀과, 바닥의 나머지 다른 부분에 각얼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관통 형성되는 제2통과홀을 가지는 외통과,
    상기 제2통과홀 상에 설치되며, 각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날과,
    상기 제빙모듈에서 취출되는 각얼음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통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비회전 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얼음을 상기 제1통과홀에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고, 회전 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얼음을 상기 분쇄날 측으로 가압하여 분쇄된 가루얼음을 상기 제2통과홀로 통과시켜 상기 얼음받이부에 공급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분쇄구동부와,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통과홀과 상응하는 크기의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를 가지며, 상기 제1통과홀을 개폐하는 조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얼음받이부 및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받이부 및 상기 조절판이 결합된 정위치 상태에서만 상기 분쇄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모듈은,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를 회수하기 위한 원수회수라인과,
    상기 원수공급라인 및 상기 원수회수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와,
    상기 원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를 가압하여 상기 제빙모듈 측으로 공급하는 원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라인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유입포트를 가지고,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원수의 용량이 부족할 시,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원수공급라인 및 상기 원수회수라인을 차단시키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하여 외부에서 원수를 추가 공급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공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제빙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를 살균하기 위한 제1살균램프와,
    상기 제빙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모듈, 상기 분쇄모듈 및 상기 얼음받이부에 존재하는 얼음을 살균하기 위한 제2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얼음의 이동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되, 회전 시 각얼음이 상기 분쇄날 측으로 가압되도록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모듈은,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기어림과,
    상기 케이스의 중앙격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외통을 관통하여 상기 기어림과 기어 결합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분쇄구동부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타단부와 기어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원수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내부에 채워지는 트레이와,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트레이에 채워진 원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제빙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빙관의 표면에서 제빙된 각얼음을 상기 제빙관에서 탈빙한 후, 상기 트레이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빙된 각얼음과 제빙되지 못하고 남은 원수가 상기 트레이로부터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제빙기.
KR1020210049212A 2021-04-15 2021-04-15 기능성 제빙기 KR10250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12A KR102501803B1 (ko) 2021-04-15 2021-04-15 기능성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12A KR102501803B1 (ko) 2021-04-15 2021-04-15 기능성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18A KR20220143218A (ko) 2022-10-25
KR102501803B1 true KR102501803B1 (ko) 2023-02-22

Family

ID=8380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12A KR102501803B1 (ko) 2021-04-15 2021-04-15 기능성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59B1 (ko) * 2014-08-05 2015-09-09 (주)포시즌냉각기 가루얼음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146A (ko) * 2004-09-22 2006-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루얼음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96404B1 (ko) * 2013-03-25 202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00272A (ko) * 2015-06-23 2017-01-02 박창우 얼음 제조용 먹는물 공급장치
KR101793054B1 (ko) 2016-01-30 2017-11-20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가루얼음 제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59B1 (ko) * 2014-08-05 2015-09-09 (주)포시즌냉각기 가루얼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18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1675A1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JP2004191045A (ja) 製氷機
CN107532837A (zh) 具有用以维持清洁冷凝器的反向冷凝器风扇电动机的制冰机
KR101793054B1 (ko) 가루얼음 제빙기
CN103868318A (zh) 冰箱
CN107702397A (zh) 一种自动出冰块碎冰制冰机
JP2011141090A (ja) 製氷機
KR101398608B1 (ko)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
KR102501803B1 (ko) 기능성 제빙기
CN105890263A (zh) 电冰箱
CN105890253A (zh) 电冰箱
KR20200136381A (ko) 빙수 공급 시스템 및 빙수 공급 방법
KR20130046099A (ko) 얼음정수기
CN210373840U (zh) 一种茶包车间中央空调系统
CN204105736U (zh) 一种小型多功能制冰机
KR20170000272A (ko) 얼음 제조용 먹는물 공급장치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101276315B1 (ko) 얼음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기능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장치
CN2387482Y (zh) 制冰机的翻板机构
CN113286975A (zh) 具有制冰组件的冷藏器具
KR20000032977A (ko) 냉장고의 얼음 공급장치
CN219995607U (zh) 一种家用小型制冰机
CN220624486U (zh) 一种饮品机用制冰机及其售卖机
CN2495958Y (zh) 全自动制冰刨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