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957B1 -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957B1
KR102500957B1 KR1020210072487A KR20210072487A KR102500957B1 KR 102500957 B1 KR102500957 B1 KR 102500957B1 KR 1020210072487 A KR1020210072487 A KR 1020210072487A KR 20210072487 A KR20210072487 A KR 20210072487A KR 102500957 B1 KR102500957 B1 KR 10250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oot
composition
herbal medicine
garg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139A (ko
Inventor
김철한
Original Assignee
김철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한 filed Critical 김철한
Priority to KR102021007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완화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약재와 담금주를 이용한 염증완화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에 있어서, 골담초 추출물, 독활 추출물, 산사나무뿌리 추출물, 단풍마 추출물, 까마귀쪽나무뿌리 추출물, 아그배나무뿌리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담금주를 포함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Herbal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for garg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염증완화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약재와 담금주를 이용한 염증완화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염증 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가글제 등은 자극적이고, 삼켜지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삼켰을 경우 위해가 적고 자극성을 완화하는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소개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5924호 '생약재를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유지에 박하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하여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및 구취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464호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은 구강 및 치아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해죽순(海竹荀; Nypa fruticans Wurmb)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해죽순 발효 추출액에 추가적으로 세신 에탄올 추출액과 솔잎 열수 추출액, 쇠비름 열수 추출액, 유백피 열수 추출액, 삼백초 발효 추출액 및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들의 조성물은 염증예방 효과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5924호 '생약재를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공고일자 2015년03월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464호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공고일자 2019년12월23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약재를 이용하면서도 양호한 염증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에 있어서, 골담초 추출물, 독활 추출물, 산사나무뿌리 추출물, 단풍마 추출물, 까마귀쪽나무뿌리 추출물, 아그배나무뿌리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담금주를 포함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약재를 이용하면서도 양호한 염증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가글시 구강 내의 염증, 악취 등을 완화시키며 나아가 비염 등의 완화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에 있어서, 골담초 추출물, 독활 추출물, 산사나무뿌리 추출물, 단풍마 추출물, 까마귀쪽나무뿌리 추출물, 아그배나무뿌리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담금주를 포함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골담초(Caragana sinica)는 관상용으로 흔히 정원에 심으며, 어린 꽃을 식용으로 먹는다. 꽃을 튀김으로 조리해도 좋으며, 녹차를 마실 때 이 꽃 한두 송이를 띄우면 정취가 있다. 뿌리인 ‘골담근(骨擔根)’은 말려서 약용인 생약으로 쓴다. 골담근은 중국에서는 금작근 외에도 백심·양작화·판삼·토황기·야황기로 불리고 있는데, 알코올 추출물은 혈압강하 효과가 있고 진통·통맥(痛脈)의 효능이 있어, 고혈압·타박상·신경통·이명(耳鳴)을 다스린다. 골담초의 꽃인 ‘금작화(金雀花)’는 자음(滋陰)·화혈(和血)·건비(健脾)의 효능이 있다고 하는데, 1일 15~30g을 물에 달여 복용하거나 외용한다. 민약으로는 꽃을 따서 술에 담갔다가 6개월 이상 지난 뒤 조석으로 조금씩 마시면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 진통과 활혈(活血) 등에 효능이 있어, 신경통·통풍·기침·고혈압·대하증에 사용하며, 각기병과 습진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뿌리는 술에 담가 신경통약으로 이용한다.
독활 또는 멧두릅(영어: Aralia cordata, Aralia continentalis)은 두릅나뭇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는데, 동물실험에서 진통·진정 작용과 혈관확장작용,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쓰고 맵다. 근육통이나 마비에 많이 쓰이는데, 특히 목 주위의 근육이나 허리·척추·무릎의 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하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에 적용된다. 그리고 두통이 심하여 머리가 조이는 듯이 아프고 어지러우며, 혀에는 백태가 끼는 감기증상에 효과가 있다.강활(羌活)에 비하여 해열·발한 작용이 약하고 완만하므로 강활과 합해서 쓰면 신경통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독활은 체내의 수분을 배설하는 효능이 강활보다 강하다.중풍의 반신불수와 피부의 소양증에도 널리 쓰이는데, 성질이 온화하므로 한여름에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약재로,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중풍의 반신불수에 쓰이는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과 안면신경마비에 쓰이는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이 있다.
산사나무 또는 아가위나무(문화어: 찔광이)는 산사나무속의 식물로 학명은 Crataegus pinnatifida for. pinnatifida이다. 산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이다. 식용·공업용·관상용·약용으로 쓴다. 열매를 약으로 쓰며 생약명은 산사자(山査子), 산사육(山査肉)이다. 소화제로 쓰고, 동상·요통 등에도 쓴다. 늙은 닭을 삶을 때 산사나무 열매 몇 알을 넣으면 연해지고, 생선을 먹다가 중독되었을 때 해독제로 이용된다고 물류상감지에 기록되어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뿌리를 적용한다.
위령선(Clematis florida)은 으아리(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햇볕에 말린 것이다. 위령선(威靈仙)에서 ‘위(威)’는 그 성능이 맹렬(猛烈)하다는 의미이고 ‘영선(靈仙)’은 그 효능이 신령(神靈)하다는 뜻이다. 찬 기운으로 생긴 증상을 없애고 수분 대사를 좋게 해 주며[祛風除濕], 기혈 소통을 좋게 해서 진통시키는[通絡止痛] 등의 효과가 있다. 여러 가지 풍증을 치료하고 오장의 기(氣)를 잘 통하게 하며 뱃속이 차서 체한 것, 가슴에 담수(痰水)가 있는 것, 몸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방광 기능을 좋게 하며,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것, 상한 것 등을 치료한다. 장기간 먹으면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고 학질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허리나 생식기 부위, 다리, 무릎이 아픈 것, 적취, 냉으로 뱃속이 여러 해 동안 아픈 것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바 있다.
단풍마(丹楓-)는 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Dioscorea quinqueloba이다. 덩굴성 초본 식물이며 국화마, 천산룡이라고도 한다. 뿌리에 여러 종류의 사포닌과 녹말, 지방성분들이 포함되어있으며, 콜레스테롤 저감, 고혈압, 외혈관경화증, 혈액순환 개선, 호흡기질환 개선, 관절염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Juss)는 녹나무과 까마귀쪽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소교목이다.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항염활성 및 골대사 관련인자 억제 활성 등에 관한 효과가 알려진 바 있다. 상기 단풍마와 더불어 본원발명의 조성물에서 염증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Regel) Rehder)는 열구밥이라고도 하며 장미과 사과나무속에 속하는 나무이다. 열매를 소화불량 등의 개선을 위한 약재로 사용하나 본원발명에서는 뿌리를 적용한다.
본원발명의 조성물은 담금주를 이용한 추출을 적용함으로써 알코올을 함유하는 바, 복용자의 위나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위령선과 아그배나무의 뿌리가 위와 간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골담초 15~25w%, 독활 10~20w%, 산사나무뿌리 7~12w%, 단풍마 10~20w%, 까마귀쪽나무뿌리 15~25w%, 아그배나무뿌리 10~20w%, 위령선 2~5w%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담금주에 투입하는 단계(s200);
혼합물이 포함된 담금주의 10~20일 간의 숙성단계(s300);
혼합물이 포함된 담금주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단계(s400);
물을 첨가하는 희석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골담초 15~25w%, 독활 10~20w%, 산사나무뿌리 7~12w%, 단풍마 10~20w%, 까마귀쪽나무뿌리 15~25w%, 아그배나무뿌리 10~20w%, 위령선 2~5w%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에서는 각 재료를 1-2cm크기로 잘라 혼합하게 된다.
상기 혼합물을 담금주에 투입하는 단계(s200)에서의 담금주는 4-50도의 담금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이 포함된 담금주의 10~20일 간의 숙성단계(s300)에서는 상기 혼합물의 각 재료들에서 유효성분들이 추출되게 된다.
물을 첨가하는 희석단계(s500)에서 알콜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물을 첨가하며 첨가하는 물은 담금주의 중량의 2.5~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을 첨가한 후 추가적인 2-4개월의 추가숙성기간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Claims (2)

  1.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에 있어서,
    골담초 추출물, 독활 추출물, 산사나무뿌리 추출물, 단풍마 추출물, 까마귀쪽나무뿌리 추출물, 아그배나무뿌리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담금주를 포함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2.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골담초 15~25w%, 독활 10~20w%, 산사나무뿌리 7~12w%, 단풍마 10~20w%, 까마귀쪽나무뿌리 15~25w%, 아그배나무뿌리 10~20w%, 위령선 2~5w%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담금주에 투입하는 단계(s200);
    혼합물이 포함된 담금주의 10~20일 간의 숙성단계(s300);
    혼합물이 포함된 담금주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단계(s400);
    물을 첨가하는 희석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72487A 2021-06-04 2021-06-04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0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487A KR102500957B1 (ko) 2021-06-04 2021-06-04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487A KR102500957B1 (ko) 2021-06-04 2021-06-04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139A KR20220164139A (ko) 2022-12-13
KR102500957B1 true KR102500957B1 (ko) 2023-02-17

Family

ID=8443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487A KR102500957B1 (ko) 2021-06-04 2021-06-04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45B1 (ko) 2006-11-15 2008-05-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독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063556A (ja) 2009-09-18 2011-03-31 Gc Corp 口腔内細菌の共凝集阻害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口腔用組成物
CN105796992A (zh) 2016-05-31 2016-07-27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有效治疗口腔溃疡的口服液
KR102127337B1 (ko) 2020-04-06 2020-06-26 한재갑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263631A (zh) 2020-10-27 2021-01-26 李群营 治疗牙痛及口腔溃疡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10B1 (ko) * 2012-08-06 2014-07-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그배나무 가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5924B1 (ko) 2013-02-19 2015-03-25 청학에프엔씨 주식회사 생약재를 함유하는 가글용 식물성 유지 조성물
KR102058464B1 (ko) 2018-08-02 2019-12-23 (주)비에이치바이온텍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45B1 (ko) 2006-11-15 2008-05-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독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063556A (ja) 2009-09-18 2011-03-31 Gc Corp 口腔内細菌の共凝集阻害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口腔用組成物
CN105796992A (zh) 2016-05-31 2016-07-27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有效治疗口腔溃疡的口服液
KR102127337B1 (ko) 2020-04-06 2020-06-26 한재갑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263631A (zh) 2020-10-27 2021-01-26 李群营 治疗牙痛及口腔溃疡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BN 매일방송. 2016.04.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139A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wat et al. Fruit plant species mentioned in the Holy Qura’n and Ahadith and their ethno medicinal importanc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medicinal uses and health benefits of Indian traditional herbs Aegle marmelos
RU2451518C2 (ru) Травяной состав для заживления ран
Jain et al. Diverse application of Phoenix sylvestris: A potential herb
Tripathy et al. An updated review on traditional uses, taxonom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Origanum majorana
KR101052321B1 (ko) 무좀 치료 조성물
Charantimath et al. Herbal therapy in dentistry: a review
Osuntokun Efficacy,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of some major medicinal plants for human health
Muhammad Therapeutic flora in Holy Quran
Bhat et al. Amalaki: A review on functio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KR10075598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awat et al. Diversity of the medicinal plants of Almora district, Uttarakhand and their Ethno-medicinal use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Jana et al. Herbal Treatment To Skin Diseases: A Global Approach.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00957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llah et al. Calendula (Calendula officinalis) marigold as medicinal plant
Mariyam Roqaiya et al. A review on traditional uses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Mimusops elengi Linn.
KR20220164133A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2322B1 (ko) 무좀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Raghunathan An ethnomedicinal survey of medicinal plants utilized by folk people of the Thrissur forest circle, Kerala
KR20100093151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Hernandez et al. Meta-analysis of 10 herbs of Iowa for traditional, homeopathic and modern medicinal uses
Yadav et al. An updated review on Phytochemical constituent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Moringa oleifera Lam
Panda et al. Uses of Twak (Cinnamon) In Ayurveda with pharmacological evidence-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