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768B1 -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768B1
KR102500768B1 KR1020210050511A KR20210050511A KR102500768B1 KR 102500768 B1 KR102500768 B1 KR 102500768B1 KR 1020210050511 A KR1020210050511 A KR 1020210050511A KR 20210050511 A KR20210050511 A KR 20210050511A KR 102500768 B1 KR102500768 B1 KR 10250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ule
time point
view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436A (ko
Inventor
홍원식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5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7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76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radio receivers, loud-speakers or buz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에게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리어뷰 장치로서, 상기 시야각을 제공하는 리어뷰 모듈,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뷰 모듈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스피커를 이용해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포함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 및 모터 비구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시점까지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인터벌 이후의 제3 시점부터 제4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1 음량을 가지는 제1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인터벌 이후의 제5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는 제6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2 음량을 가지는 제2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인터벌은 상기 제2 인터벌보다 크고, 상기 제2 음량은 상기 제1 음량보다 크고, 상기 제4 시점은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2 시점 이전인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Rear-view device with sound module}
본 발명은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리어뷰 모듈을 구동함에 따라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음향 모듈을 통해 송출되는 소리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모터 및 음향 모듈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리어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웃사이드 미러나 CMS 장치와 같은 리어뷰 장치는 차량을 운행하는 탑승자에게 차량 측후방에 시야각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운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리어뷰 장치는 탑승자의 인풋이나 미리 저장된 상황에 따라 미러나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미러가 소정의 구동 매커니즘을 통해 폴딩 또는 언폴딩되거나 카메라가 격납 또는 인출되는 경우, 모터의 회전 소음과 같은 기계적 소음이 수반될 수 있다. 특히, 전기차량의 경우, 주행 소음이나 엔진 소음이 거의 없어서 탑승자와 주변 보행자에게 상기와 같은 기계적 소음이 보다 두드러지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전기차량은 주행 소음이 작아서 주변 보행자가 전기차량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전기차량이 주행할 때 임의적인 소음을 발생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음향 모듈을 리어뷰 장치에 배치하여 음향 모듈로부터 송출된 음향을 통해 모터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모터 소음 발생 시간과 음향 송출 시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모터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에게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리어뷰 장치로서, 차량 외부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에 연결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에 동력을 전달함-, 상기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체 및 상기 리어뷰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넥 -상기 연결넥은 상기 연결넥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함-,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되는 음향 모듈 - 상기 음향 모듈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뷰 모듈은 상기 연결넥에 의해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은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면은 상기 음향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장착 브라켓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외부로 송출하는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에게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리어뷰 장치로서, 상기 시야각을 제공하는 리어뷰 모듈,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뷰 모듈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스피커를 이용해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포함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 및 모터 비구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시점까지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인터벌 이후의 제3 시점부터 제4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1 음량을 가지는 제1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인터벌 이후의 제5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는 제6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2 음량을 가지는 제2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인터벌은 상기 제2 인터벌보다 크고, 상기 제2 음량은 상기 제1 음량보다 크고, 상기 제4 시점은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2 시점 이전인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넥에 배치되어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모듈을 통해 모터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소음 발생 시간과 음향 송출 시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성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듈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듈의 상세한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듈의 장착 시 홀, 제1 영역, 스피커 및 제2 부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구동 매커니즘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 제1 소리 및 제2 소리의 지속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시간에 따른 제1 소리 및 제2 소리의 음량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cut-off 기능을 포함하는 리어뷰 장치의 입력 신호, 제1 소리, 제2 소리의 타이밍도 및 시간에 따른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cut-off 기능에 대한 피드백 기능을 포함하는 리어뷰 장치의 입력 신호, 제1 소리 및 제2 소리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어부가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모터 구동 모드로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소리, 제2 소리 및 제3 소리의 음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에게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리어뷰 장치로서, 차량 외부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리어뷰 모듈, 상기 리어뷰 모듈에 연결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에 동력을 전달함-, 상기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체 및 상기 리어뷰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넥 -상기 연결넥은 상기 연결넥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함-,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되는 음향 모듈 - 상기 음향 모듈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뷰 모듈은 상기 연결넥에 의해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은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장착 브라켓의 타면은 상기 음향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장착 브라켓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외부로 송출하는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제1 영역 내에 형성되되, 상기 스피커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제1 영역의 최대 직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는 스피커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장착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차음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 부재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송출된 음향이 상기 스피커와 상기 장착 브라켓 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연결 넥의 외면에 배치되되, 차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은 상기 연결넥의 외면과 단차없이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연결 넥의 외면에 배치되되, 차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은 상기 연결넥의 외면과 소정의 틈을 사이에 두고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연결넥의 외면에 배치되되,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이 그라운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한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 넥의 하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연결 넥의 외면에 배치되되, 차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은 상기 연결넥의 외면과 소정의 틈을 사이에 두고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한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 넥의 하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면, 상기의 리어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에게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리어뷰 장치로서, 상기 시야각을 제공하는 리어뷰 모듈,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뷰 모듈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스피커를 이용해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포함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 및 모터 비구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시점까지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인터벌 이후의 제3 시점부터 제4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1 음량을 가지는 제1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인터벌 이후의 제5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는 제6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2 음량을 가지는 제2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인터벌은 상기 제2 인터벌보다 크고, 상기 제2 음량은 상기 제1 음량보다 크고, 상기 제4 시점은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2 시점 이전인 리어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시점 및 상기 제6 시점은 상기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2 시점이 상기 제4 시점으로부터 제3 인터벌 이후의 미리 결정된 시점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6 시점은 상기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4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되,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4 시점으로부터 제4 인터벌만큼 지연되고, 상기 제6 시점은 상기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소리는 최대 제4 음량을 가지고, 상기 제2 소리는 상기 제4 음량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이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로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음향 모듈은 평균적으로 제3 음량을 가지는 제3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음량은 상기 제2 음량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음량은 상기 제1 음량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계 속도는 30km/h이고, 상기 제3 음량은 56dB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이 상기 임계 속도보다 같거나 작은 속도로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을 변화시킨 경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2 소리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리어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1000)는 차량(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차량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리어뷰 미러, 리어뷰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룸 미러,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CMS(Camera Monitor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차량(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차량(10)의 도어 또는 차체 등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차량(10)에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를 장착하도록 미리 설계된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1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리어뷰 장치(1000)가 장착되기 위한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리어뷰 모듈은 소정의 구동 매커니즘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동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내부에 포함된 모터의 회전을 통해 상기 리어뷰 모듈을 폴딩하거나 언폴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모터의 회전을 통해 상기 리어뷰 모듈을 상기 차량(10) 내부에 격납하거나, 차량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동 매커니즘을 기초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 매커니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에서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회전 소음, 상기 구동 매커니즘에 수반되는 기계적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저장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는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차량(1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소정의 인풋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리어뷰 장치(1000) 또는 상기 차량(10)의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저장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소정의 인풋은 탑승자에 의해 인가되는 수동적인 인풋 및 특정 상황에 따라 인가되는 자동적인 인풋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저장된 소리는 미리 저장된 음악, 효과음, 음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구동 매커니즘 또는 음향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리어뷰 모듈(1100), 구동부(1200), 음향 모듈(140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차량 탑승자에게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뷰 모듈(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미러 모듈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및 반사면을 모두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구동 매커니즘을 기초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매커니즘은 상기 구동부(1200)가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이동시키기 위해 수반되는 기계적 매커니즘, 전자적 매커니즘, 컨트롤러의 알고리즘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매커니즘은 상기 제어부(15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한 구동부(1200)가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는 일련의 매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미리 정해진 동선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시야를 제공하도록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언폴딩시키거나,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모터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함에 따라 생성된 동력을 기초로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모터에 연결된 기어부를 통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0)에서 소음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회전에 따른 소음 및 상기 구동 매커니즘이 수행됨에 따른 기계적인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12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도 4)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소정의 재생 동작을 기초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모듈(1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 동작은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 수반되는 컨트롤러의 알고리즘 또는 전자적 매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동작은 상기 제어부(15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한 음향 모듈(1400)이 미리 정해진 소리를 출력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차량 외부로 미리 정해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은 음향 재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량의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차량은 상이한 종류의 소리를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1400)에서 상황에 따라 상이한 소리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차량 내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내부에 배치된 입력 장치를 통해 소정의 음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음향 모듈(1400)을 통해 상기 수신한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를 통해 탑승자로부터 소정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음성을 상기 음향 모듈(1400)을 통해 차량 외부로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비대면 통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차량 내부의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 또는 보행자 등과의 소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음향 모듈(14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구동부(1200) 및 상기 음향 모듈(1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1200)가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재생 동작을 기초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는 복수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차량의 메인 컨트롤러 또는 상기 리어뷰 장치(1000) 내부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상기 제어부(1500)의 동작은 상기 리어뷰 장치(1000) 또는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컨트롤러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 또는 상기 재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음향 모듈(1400) 및 상기 구동부(1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1200) 및 상기 음향 모듈(1400)에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는 복수의 모드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모드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부(12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음향 모듈(1300)로부터 송출되는 소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부(1200)를 동작시킬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된 소정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부(1200)에 포함된 모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 모드 및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지 않는 모터 비구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모터 구동 모드는 상기 구동부(1200)의 동작을 수반하고,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는 상기 구동부(1200)의 동작을 수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음향 모듈(1400) 및 상기 구동부(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부(1200) 및 상기 음향 모듈(1400)에 동시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0)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와이어는 분기되어 상기 구동부(1200) 및 상기 음향 모듈(14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의 종류, 상기 입력 신호 수신 객체의 종류,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세기 등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상기 구동부(1200) 및 상기 음향 모듈(14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 또는 상기 재생 동작이 완전히 수행될 때까지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0)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수행되는 구동 매커니즘 및 재생 동작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0)가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음향 모듈(1400)에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0)가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수행되는 재생 동작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리어뷰 모듈(1100), 구동부(1200), 및 음향 모듈(1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어뷰 장치(10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차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연결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를 차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 및 차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1300)는 미러 넥 등의 커넥팅 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리어뷰 부재(1110) 및 하우징(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뷰 부재(1110)는 차량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20)은 상기 리어뷰 부재(1110)를 부착하기 위한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미러 모듈로 설계된 경우, 상기 미러 모듈은 반사면으로 구성된 미러, 상기 미러를 부착시키기 위한 미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카메라 모듈로 설계된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부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제어 신호에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상기 구동부(120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기초로 언폴딩 되어 상기 차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거나, 폴딩되어 상기 차체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어뷰 모듈(1100)과 적어도 일부분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상기 연결부(1300)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300)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리어뷰 모듈(1100)과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0)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상기 구동부(1200)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지지하며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0)는 결합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31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 및 상기 연결부(1300)를 상기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310)는 상기 연결부(130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310)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이용해 상기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차체에는 상기 결합부(1310)가 장착될 수 있는 피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결합부(13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음향 모듈(14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음향 모듈(1400)의 일면이 상기 리어뷰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리어뷰 장치(10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연결부(13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을 통해 음향을 송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음향 모듈(1400)의 배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장치(10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상기 리어뷰 모듈(1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하우징(112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0)는 제어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구동 매커니즘을 통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이 리어뷰 미러로 구성된 경우,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연결될 수 있고,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0)는 모터(1210) 및 회전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12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1210)는 외부 전원에 의한 전류를 기초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1210)는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전류에 의해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회전에 의한 운동 에너지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터(121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의 구동에 따라 전류를 자체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도 11)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터(1210)는 생성된 동력을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상기 구동 매커니즘을 기초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은 상기 모터(1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모터(1210)의 동력을 상기 리어뷰 모듈(1100)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123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230)는 상기 모터(1210)의 회전을 기초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리어뷰 모듈(11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모터(1210)의 동력을 상기 회전부(1230)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1210) 및 상기 회전부(123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210)의 회전 동력을 상기 회전부(1230)에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1230)는 상기 리어뷰 모듈(1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는 동작에 따라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제어부가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구동부(1200)에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200)가 동작함으로써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121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모터(1210)는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1210)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듈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재생 동작을 통해 음향을 송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차량에 배치되어 음향을 상기 차량의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스피커(1410), 커넥터(1430), 스피커 케이스(1450), 방수 및 방음 부재(1460, 147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향 모듈(1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기능 및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스피커(1410)는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1410)는 떨림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을 송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피커(1410)는 미리 저장된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뷰 장치의 메모리 또는 상기 차량의 메모리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부는 상황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송출하도록 상기 스피커(14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스피커(1410)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1410)는 전류를 인가받아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1410)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스피커(1410)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430)는 상기 스피커로 연결되는 전기 부재 및 상기 제어부로 연결되는 전기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 부재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1430)는 전류가 흐르는 핀을 감싸는 소켓 형태로 구성되어, 다른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커넥터(1430)는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연결된 전기 부재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연장된 전기 부재를 소켓 형태로 결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스피커를 보호하기 위한 스피커 케이스(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는 상기 스피커(1410)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1410)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는 상기 연결부(1300)의 적어도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1410)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는 상기 커넥터(1430)를 상기 스피커에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홀(14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1451)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430)가 상기 제어부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는 상기 커넥터(143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4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1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커넥터(1430)는 상기 스피커(1410)가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에 장착될 때, 상기 관통홀(1451)을 통해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의 제조 공정에서 상기 커넥터(1430)를 상기 관통홀(1451)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에 수용되는 상기 스피커(1410)가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수분 유입을 방지하거나 음향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수분 또는 음향이 통할 수 있는 틈을 채우기 위한 방수 및 방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제1 부재(1460) 및 제2 부재(1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재(1460) 및 상기 제2 부재(1470)는 그로멧 또는 폼 테잎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부재(1460)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의 관통홀(145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재(1460)는 상기 관통홀(145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1451)을 통해 수분이 외부로부터 상기 스피커(14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재(1460)는 그로멧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로멧이 상기 관통홀(145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1451)의 빈 공간을 메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부재(1460)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1451)의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1451)을 통한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재(1460)가 상기 관통홀(1451)에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제1 부재(1460)는 상기 관통홀(1451)에 고정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부재(1460)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1451)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재(1460)는 상기 관통홀(145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1451)에 삽입되면서 상기 관통홀(1451)에 고정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부재(1460)가 상기 관통홀(145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1460)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1451)의 내경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재(1460)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홀(1451)에 삽입되어 조립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부재(1460)의 직경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부재(1460)가 상기 관통홀(1451) 내부의 공간을 채움으로써 상기 관통홀(1451)을 통한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송출된 음향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스피커(1410) 또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의 외부에 접촉되어 차음 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재(1470)는 탄성력을 지닌 폼테잎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2 부재(1460)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형 띠 형상에 의해 상기 제2 부재(1460)는 원형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송출된 소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띠 형상에 의해 상기 제2 부재(1460)는 원형의 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형의 띠에 의해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송출된 소리가 상기 리어뷰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의 띠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상기 스피커(14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분에 취약한 상기 스피커(141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1470)의 배치 위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도 6)에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듈의 상세한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연결부(13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연결부(1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1300) 외부로 음향을 송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은 비가 오더라도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기 어려운 위치이므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음향 모듈(1400)로의 수분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음향 모듈(140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의 일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타면은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와 서로 분리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이 상기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에 조립되어 상기 연결부(13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와 표면이 이어지도록 상기 연결부(1300)와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이 상기 연결부(1300)에 결합된 경우, 상기 장착 브라켓(1330) 및 상기 연결부(1300)는 단차없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1300)의 표면은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의 표면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0)의 표면 및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의 표면 사이의 높낮이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와 소정의 틈을 두고 이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이 상기 연결부(130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의 표면 및 상기 연결부(1300)의 표면은 소정의 틈을 사이에 두고 단차없이 이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 중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장착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연결부(13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상기 연결부(1300) 내부에 수용되어 장착되도록 설계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장착 브라켓(133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장착 브라켓(1330) 중 상기 차량 내부로 향하는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상기 스피커(1410)에서 음향이 송출되는 부분이 차량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133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음향 모듈(14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의 일면은 상기 음향 모듈(1400)에서 상기 장착 브라켓(1330)과 장착되는 부분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원 형상인 경우,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원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리브 구조(133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음향 모듈(1400)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음향 모듈(1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리브 구조(13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 구조(1337)는 상기 음향 모듈(1400)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상기 음향 모듈(140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음향 모듈(1400)의 진동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음향 모듈(1400)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상기 리브 구조(1337)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 구조(1337)는 상기 장착 브라켓(1330)에 장착되는 상기 음향 모듈의 스피커 케이스(1450) 원 형상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480)를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133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는 상기 장착 브라켓(133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480)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480)가 삽입되기 위한 제1 체결 구조(149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 브라켓(1330)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480)가 삽입되기 위한 제2 체결 구조(13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480)는 상기 제1 체결 구조(1490) 및 상기 제2 체결 구조(1335)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1330) 및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 구조(1490) 및 상기 제2 체결 구조(1335)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모듈(1400)과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은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 모듈(1400)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은 단일 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은 상기 장착 브라켓(1330)의 제1 영역(133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장착 브라켓(1330)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을 모두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홀이 사각 형상을 그리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사각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영역(1333)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홀이 원 형상을 그리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원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영역(133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단일 홀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단일 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장착 브라켓(1310) 상에서 상기 단일 홀이 형성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33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도 7)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1400)은 음향 유출 방지하기 위해 제2 부재(1470)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음향 모듈(1400) 및 상기 장착 브라켓(1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음향 모듈(1400)의 일면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상기 장착 브라켓(1330)과 상기 음향 모듈(1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장착 브라켓(1330)과 상기 음향 모듈(1400) 사이의 틈을 채워줄 수 있어서 상기 음향 모듈(140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상기 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리어뷰 장치의 기계적, 전자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음향이 유출되는 틈을 채워줌으로써 음향이 상기 틈 사이로 유출되어 리어뷰 장치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음향이 출력되는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출력되는 음향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이 출력되는 경로가 일정함에 따라 상기 음향 모듈(1400)에 공급되는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출력 음향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부재(1470)의 배치에 따라 음향이 유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기계적 및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2 부재(1470)은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송출된 음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재(1470)는 상기 스피커 케이스(1450)의 일면의 원주를 따라 원형 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2 부재(1470)의 최대 직경은 상기 스피커(1410)의 일면의 최대 직경 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모듈의 장착 시 홀, 제1 영역, 스피커 및 제2 부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홀(133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되는 제1 영역(1333)의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단일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단일홀 그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도 7과 같이 복수의 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복수의 홀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되는 영역을 대표하기 위해 도입된 가상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의 최외곽 지점들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1333)은 복수의 홀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 중 가장 외곽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이 모두 내접하도록 형성되는 형상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333)의 형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의 배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 중 외곽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이 그리는 형상을 기초로 상기 제1 영역(1333)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 중 외곽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1333)은 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33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고려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제1 영역(1333)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모두 포함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원점(O)으로부터 소정 거리(R) 이내에 제1 영역(1333)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모두 배치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1410)의 최대 직경과 상기 제1 영역(1333)의 상대적인 크기가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되는 상기 제1 영역(1333)은 최대 제1 직경(p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1333)은 형상에 무관하게 최대 상기 제1 직경(p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410)는 최대로, 상기 제1 직경(p1)보다 큰 제2 직경(p2)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1410)에서 음향이 송출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직경(p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직경(p2)은 상기 제1 직경(p1)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1410)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이 형성된 제1 영역(1333)의 최대 직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로 송출되는 음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1470)는 최대 제3 직경(p3)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1410) 및 상기 장착 브라켓(131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부재(1470)의 최외곽의 직경은 상기 제3 직경(p3)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직경(p3)은 상기 제1 직경(p1)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부재(1470)의 최대 직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제1 영역(1333)의 최대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또한, 상기 제2 부재(1470)의 내경은 상기 스피커(1410)의 최대 직경(p2)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피커(1410)가 상기 장착 브라켓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1470)가 압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부재(1470)의 내경이 상기 스피커(1410)의 최대 직경(p2)에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부재(1470)의 내경은 상기 스피커(1410)의 최대 직경(p2)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1470)의 내경은 상기 제1 영역(1333)의 최대 직경(p1)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피커(14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스피커(1410)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의 틈 사이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1331)을 통해 송출되기 위함일 수 있다.
도 7은 상기 장착 브라켓(1310)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게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단일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1333)이 상기 단일 홀과 일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제어부의 동작 모드에 따라 리어뷰 장치가 수행하는 구동 매커니즘 및 재생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구동부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및 상기 소음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음향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구동 매커니즘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때, 상기 모터 구동 모드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구동 모드는 상기 구동부를 동작 시켜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 구동 모드는 상기 구동부에 포함되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리어뷰 모듈을 폴딩 또는 언폴딩 시키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구동 매커니즘 뿐만 아니라 음향 모듈을 동작시키는 재생 동작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구동부 및 음향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는 리어뷰 모듈의 구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001). 이때, 상기 리어뷰 장치의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메인 제어기로부터 상기 구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는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리어뷰 모듈의 폴딩 또는 언폴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는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상기 리어뷰 모듈의 틸팅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어뷰 장치는 차량이 미리 저장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리어뷰 모듈의 구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어뷰 모듈의 폴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어뷰 모듈의 틸팅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에 대한 입력은 상기 리어뷰 장치의 구동부에 포함된 모터 구동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에 대한 입력은 상기 리어뷰 장치의 리어뷰 모듈을 폴딩 또는 언폴딩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에 포함된 모터를 동작시키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 및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0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어뷰 모듈의 구동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상기 입력 신호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동일한 시점에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부에서는 제1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S1003). 이때, 상기 제1 소리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이 수행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부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에 포함된 모터가 회전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소음 및 상기 리어뷰 모듈의 이동에 따른 기계적인 소음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소리가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은 제2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S1004). 이때, 상기 제2 소리는 상기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를 통해 상기 음향 모듈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스피커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2 소리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듈에 포함된 상기 스피커가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음향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소리를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받는 시간 동안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소리 및 상기 제2 소리의 크기 및 지속 시간의 관계를 시간도를 통해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 제1 소리 및 제2 소리의 지속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2100)의 전송 시간에 대한 타이밍도, 제1 소리(2200) 발생의 시간에 대한 타이밍도, 및 제2 소리(2300) 출력의 시간에 대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상기 입력 신호(2100)를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점(t1) 및 상기 제2 시점(t2)은 상기 제어부가 구동 매커니즘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에서는 제1 소리(2200)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에서는 제2 소리(230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소리(2300)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1 소리(2200)의 지속 시간 보다 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소음의 지속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리(2300)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1 소리(2200)의 시작 시점보다 이전 시점일 수 있고, 상기 제2 소리(23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제1 소리(2200)의 종료 시점보다 이후이거나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수신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제1 소리(2200)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2 소리(2300)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 신호(2100)가 최초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소리(2200) 및 상기 제2 소리(2300)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 사이에는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리(2200)는 제3 시점(t3)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2100)를 기초로 상기 제3 시점(t3)부터 상기 구동부의 모터가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3 시점(t3)부터 상기 제1 소리(2200)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시점(t3)은 상기 제1 시점(t1)으로부터 제1 인터벌(d1)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 신호(2100)가 최초로 전송되는 시점보다 소정 시간 딜레이된 시점에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입력 신호(2100)를 기초로 모터를 회전시킬 때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2100)를 상기 제1 시점(t1)에 최초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 상기 입력 신호(2100)가 도달하는 시간 지연 및 상기 입력 신호(2100)를 기초로 상기 모터가 회전을 시작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 지연에 의해 상기 제1 시점(t1)으로부터 제1 인터벌(d1) 이후인 상기 제3 시점(t3)에 상기 제1 소리(2200)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리(2300)는 제5 시점(t5)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2100)를 기초로 상기 음향 모듈이 상기 제5 시점(t5)부터 미리 정해진 상기 제2 소리(2300)를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5 시점(t5)부터 상기 제2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시점(t5)은 상기 제1 시점(t1)으로부터 제2 인터벌(d2)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입력 신호(2100)가 최초로 전송되는 시점보다 소정 시간 딜레이된 시점에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음향 모듈이 상기 입력 신호(2100)를 기초로 상기 제2 소리(2200)를 출력할 때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1 시점(t1)에 최초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음향 모듈에 상기 입력 신호가 도달하는 시간 지연 및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소리(2300)를 출력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 지연에 의해 상기 제1 시점(t1)으로부터 상기 제2 인터벌(d2) 이후인 상기 제5 시점(t5)에 상기 제2 소리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인터벌(d2)은 상기 제1 인터벌(d1)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2100) 전송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 소리(2300)가 상기 음향 모듈로부터 출력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지연은 상기 입력 신호(2100) 전송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소리(2200)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지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점(t1) 및 상기 제3 시점(t3) 사이의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시점(t1) 및 상기 제5 시점(t5) 사이의 시간 간격 보다 더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구동부 모터의 회전에 수반되는 기계적인 시간 지연 때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의 모터는 기계적인 구동을 수반하므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모터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보다 큰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음향 모듈은 기계적인 구동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인터벌(d2)은 상기 제1 인터벌(d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리(2200) 및 상기 제2 소리(23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전송 종료 시점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종료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에서는 상기 제1 소리(2200)의 발생이 종료될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2 소리(2300)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2100)에 따라,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의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 신호(2100) 시점에 대응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의 동작이 종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가 종료되는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제1 소리(2200) 및 제2 소리(2300)가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리(2200)는 제4 시점(t4)에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종료를 기초로 상기 제4 시점(t4)에 상기 구동부가 동작을 종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4 시점(t4)에 상기 제1 소리(2200)의 발생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시점(t4)은 상기 제2 시점(t2)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전송이 종료되는 상기 제2 시점(t2)에 상기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상기 제2 시점(t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제4 시점(t4)에 상기 제1 소리(2200)의 발생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리(2300)는 제6 시점(t6)에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종료를 기초로 상기 제6 시점(t6)에 상기 음향 모듈이 동작을 종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6 시점(t6)에 상기 제2 소리(2300)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시점(t6)은 상기 제2 시점(t2)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2100)의 전송이 종료되는 상기 제2 시점(t2)에 상기 음향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상기 제2 시점(t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제6 시점(t6)에 상기 제2 소리(2300)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시간에 따른 제1 소리 및 제2 소리의 음량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에서는 평균적으로 제1 음량(v1)을 가지는 상기 제1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소리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상기 제3 시점(t3)부터 상기 제4 시점(t4)까지 평균적으로 상기 제1 음량(v1)을 가지면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모듈은 평균적으로 제2 음량(v2)을 가지는 상기 제2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소리는 상기 음향 모듈이 동작하는 상기 제5 시점(t5)부터 상기 제6 시점(t6)까지 평균적으로 상기 제2 음량(v2)을 가지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음량(v2)은 상기 제1 음량(v1)보다 더 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보다 더 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음향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량의 탑승자 또는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듣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리의 최대 음량은 제3 음량(v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소리의 최소 음량은 제4 음량(v4)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음량(v4)는 상기 제3 음량(v3) 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음향 모듈은 음향이 송출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소음보다 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종료에 따라 구동부 및 음향 모듈의 동작이 종료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의 완료를 인지하여 상기 입력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라도 자체적으로 모터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의 모터 동작 종료 방식은 모터의 cut-off 기능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1은 cut-off 기능을 포함하는 리어뷰 장치의 입력 신호, 제1 소리, 제2 소리의 타이밍도 및 시간에 따른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구동부의 cut-off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기초로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류를 기초로 상기 리어뷰 모듈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는 제어부로부터 생성되는 입력 신호의 형태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입력 신호는 전기 신호 형태로 상기 구동부로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신호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구동부 내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상기 전류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모터가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 내에 흐르는 전류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부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 상기 구동부 내부에 흐르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가 회전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이 이동하는 중에는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매커니즘이 종료되어 상기 리어뷰 모듈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는 소정 시간동안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구동부의 cut-off 기능에 의해 상기 구동부 내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시점(t21)에 상기 입력 신호(2400)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점(t21)으로부터 제1 인터벌(d1) 이후인 제3 시점(t23)에 상기 구동부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부의 모터는 상기 제3 시점(t23)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 상기 구동부 내에 흐르는 전류는 순간적으로 극대값(Ip, peak value)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모터가 회전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내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인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매커니즘의 수행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리어뷰 모듈은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리어뷰 모듈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완료된 경우,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더 이상 모터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매커니즘이 완료된 경우, 완료 이후 소정 시간 뒤에 상기 구동부 내의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cut-off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특정 시점(t`)에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시점(t`)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수행되는 구동 매커니즘이 완료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시점(t`)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리어뷰 모듈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완료되는 시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 매커니즘이 수행되는 제3 시점(t23)부터 상기 특정 시점(t`)까지의 제1 시간(a1) 동안 상기 구동부 내에 흐르는 전류는 정상값(Is, steady value)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여 구동 매커니즘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저항의 변화가 없어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리어뷰 모듈의 이동 중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구동부 내에 흐르는 전류는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모듈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의 구동이 방해받는 경우, 상기 모터에 부하가 걸려 상기 전류가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시간(a1)은 구동 매커니즘이 수행될 때 마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모듈이 구동 매커니즘을 통해 이동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므로, 상기 제1 시간(a1)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의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간(a1)은 430ms~ 480ms의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정 시점(t`)으로부터 제2 시간(a2) 후인 제4 시점(t24)에 상기 구동부 내의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시간(a2) 동안 상기 구동부 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최대값(Imax, maximum value)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리어뷰 모듈이 이동하지 못함에 따라 구동부 내에 높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즉, 상기 구동부가 전류를 차단하는 cut-off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높은 전류가 수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간(a2)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시간(a2)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cut-off 동작을 수행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모듈의 구동 매커니즘이 완료된 후 미리 정해진 상기 제2 시간(a2) 뒤에 상기 구동부가 cut-off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간(a2)는 90ms~110ms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cut-off 기능을 탑재한 구동부가 상기 리어뷰 장치에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 및 상기 제2 소리의 관계를 타이밍도를 통해 설명한다.
입력 신호(2400)의 시작 시점(t21), 제1 소리(2500)의 시작 시점(t23) 및 제2 소리(2600)의 시작 시점(t25)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소리(25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입력 신호(2400)의 종료 시점과 관계없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cut-off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리어뷰 모듈의 구동 매커니즘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2400)가 계속해서 전송되더라도 모터의 회전을 종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소리(2500)의 발생이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리(2500)는 제4 시점(t24)에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시점(t24)은 상기 제2 시점(t22)으로부터 제3 인터벌(d3) 이전 시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 매커니즘이 상기 입력 신호(2400) 종료 시점 이전에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2500)는 상기 입력 신호 종료 시점 이전에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소리(26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입력 신호(2400)의 전송 종료 시점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리(2600)는 상기 제2 시점(t22)에 대응되는 제6 시점(t26)에 종료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6 시점(t26)은 상기 제4 시점(t24)으로부터 상기 제3 인터벌(d3)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소리(2600)의 종료 시점은 상기 제1 소리(2500)의 종료 시점 이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소리(2600)의 지속 시간이 상기 제1 소리(2500)의 지속 시간보다 더 길기 때문에 상기 리어뷰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상기 음향 모듈에서 송출되는 음향을 통해 커버할 수 있다.
도 12는 cut-off 기능에 대한 피드백 기능을 포함하는 리어뷰 장치의 입력 신호, 제1 소리 및 제2 소리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신호(2700)의 시작 시점(t31), 제1 소리(2800)의 시작 시점(t33) 및 제2 소리(2900)의 시작 시점(t35)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도 9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cut-off 기능에 대한 피드백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는 구동부의 cut-off 동작을 인지하여 입력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피드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드백 기능은 구동 매커니즘이 종료되어 상기 구동부가 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는 LIN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LIN 제어기는 상기 피드백 기능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cut-off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신호(2700)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전류 차단에 따른 제1 소리(2800)의 종료 시점을 기초로 상기 입력 신호의 종료 시점 및 상기 제2 소리(2900)의 종료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매커니즘이 완료되어 구동부가 제4 시점(t34)에 전류를 cut-off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2800)는 제4 시점(t34)에 종료될 수 있다. 이때, 리어뷰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기능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cut-off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2700)의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의 LIN 제어기는 상기 구동부의 cut-off를 인지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로의 입력 신호(2700) 전송을 종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신호(2700)의 전송을 종료하는데에는 시간 지연이 수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가 cut-off되어 상기 제1 소리(2800)가 종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2700)의 전송을 종료할 때까지는 시간 지연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신호(2700)의 전송은 상기 제4 시점(t34)으로부터 제4 인터벌(d4) 이후인 제2 시점(t32)에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2700)의 전송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제2 소리(2900)의 출력도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리(2900)는 상기 제2 시점(t32)에 대응되는 제6 시점(t36)에 종료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피드백 기능을 포함하는 리어뷰 장치 또한 상기 제2 소리(2900)의 지속시간이 상기 제1 소리(2800)의 지속시간 보다 더 길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소리(2800)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 소리(2900)의 종료 시점까지 소정의 시간 지연이 수반되므로 상기 제2 소리에 의해 상기 제1 소리가 커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가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리어뷰 모듈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킴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리어뷰 장치에 포함된 음향 모듈이 상기 소음이 탑승자 또는 보행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할 때의 음향 모듈의 동작 및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전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어부가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모터 구동 모드로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뷰 장치의 제어부는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005).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어뷰 모듈의 이동이 없는 일반 주행 상황에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는 상기 리어뷰 모듈의 구동 매커니즘이 수행되지 않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의 음향 모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음향을 송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가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소정의 재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소음이 점차 감소할 수 있어서 보행자가 상기 차량의 접근 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뷰 장치가 전기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보행자에게 상기 주행 차량의 접근을 인지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뷰 장치에 포함되는 음향 모듈은 소정의 음향을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의 동작 여부는 차량의 속도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리어뷰 장치가 배치된 차량이 속도가 소정의 임계 속도 이하로 주행 중인 경우,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 속도는 20km/h 내지 30km/h 범위의 속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 주위의 보행자가 상기 차량의 존재 여부를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리어뷰 장치는 상기 리어뷰 장치가 배치된 차량의 속도가 상기 임계 속도 이하인 경우, 음향 모듈을 통해 미리 저장된 음향을 송출하여 보행자에게 차량의 존재를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모듈에 소정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06). 이때, 상기 재생 동작은 상기 제어부가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할 때 수행되는 재생 동작과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진폭 및 주파수 등이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할 때와 상이한 입력 신호를 상기 음향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제3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S1007). 이때, 상기 제3 소리는 상기 제어부가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상기 음향 모듈에서 발생하는 제2 소리와 상이한 음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소리는 상기 제2 소리와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리어뷰 장치가 배치되는 차량의 메모리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향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구동 모드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리어뷰 장치가 배치된 차량의 존재를 주위에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가 전기차량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기차량은 상기 음향 모듈을 통해 상기 제3 소리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전기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량 주위의 보행자는 상기 전기차량의 주행 여부를 인지할 수 있어, 상기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뷰 장치의 제어부는 리어뷰 모듈의 구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008). 이때, 상기 구동에 대한 입력은 차량의 탑승자에 의한 인풋, 상기 차량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황에 따른 자동 인풋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리어뷰 장치의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구동부 및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09).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구동 매커니즘을 기초로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음향 모듈은 재생 동작을 기초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킴에 따라 모터로부터 제1 소리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은 제2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모터 구동 모드에 의한 동작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도 8 내지 도 12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소리, 제2 소리 및 제3 소리의 음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는 도 14의 시간에 따른 제1 소리, 제2 소리, 및 제3 소리의 음량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어뷰 장치의 제어부가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음향 모듈에서 재생되는 제3 소리는 평균적으로 제3 음량(V13)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전송하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평균적으로 상기 제3 음량(V13)을 가지는 제3 소리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음량(V13)은 소정의 임계 음량(Vth)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임계 음량(Vth)은 상기 리어뷰 장치가 배치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주위에 알리기 위한 최소 음량을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뷰 장치가 배치된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을 주위의 보행자가 인지하게 하기위해 상기 리어뷰 장치는 상기 임계 음량(Vth) 이상의 음량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 음량(Vth)는 60dB 내지 70dB의 음량 범위 중 선택된 임의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가 리어뷰 모듈의 구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여 리어뷰 장치의 구동부 및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서는 제1 소리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음향 모듈은 제2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소리는 평균적으로 제1 음량(V1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소리는 평균적으로 제2 음량(V1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음량(V11) 및 상기 제2 음량(V12)은 상기 제3 음량(V13)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소리 및 상기 제2 소리의 음량에 대한 상관 관계에 대한 내용은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를 통한 구동 매커니즘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동작 모드를 다시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어뷰 모듈의 폴딩 또는 언폴딩 동작이 종료되어 더 이상 상기 제1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동작하여 다시 상기 제3 소리를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리어뷰 장치
1100 리어뷰 모듈
1200 구동부
1300 연결부
1400 음향 모듈
1500 제어부

Claims (11)

  1. 탑승자에게 차량 외부에 대한 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해 차체에 장착되는 리어뷰 장치로서,
    상기 시야각을 제공하는 리어뷰 모듈;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어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어뷰 모듈에 연결되는 구동부; 및
    스피커를 이용해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포함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음향 모듈에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는 모터 구동 모드 및 모터 비구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시점까지 상기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인터벌 이후의 제3 시점부터 제4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1 음량을 가지는 제1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인터벌 이후의 제5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는 제6 시점까지 평균적으로 제2 음량을 가지는 제2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인터벌은 상기 제2 인터벌보다 크고,
    상기 제2 음량은 상기 제1 음량보다 크고,
    상기 제4 시점은 상기 제2 시점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2 시점 이전인
    리어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시점 및 상기 제6 시점은 상기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어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2 시점이 상기 제4 시점으로부터 제3 인터벌 이후의 미리 결정된 시점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6 시점은 상기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어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4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되,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4 시점으로부터 제4 인터벌만큼 지연되고,
    상기 제6 시점은 상기 제2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어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는 최대 제4 음량을 가지고,
    상기 제2 소리는 상기 제4 음량보다 큰
    리어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임계 속도 이하의 속도로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비구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음향 모듈은 평균적으로 제3 음량을 가지는 제3 소리를 출력하는
    리어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음량은 상기 제2 음량 보다 작은
    리어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음량은 상기 제1 음량 보다 작은
    리어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속도는 30km/h이고, 상기 제3 음량은 56dB 이상인
    리어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임계 속도보다 같거나 작은 속도로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 구동 모드로 동작을 변화시킨 경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제2 소리을 출력하는
    리어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어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10050511A 2021-04-19 2021-04-19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KR10250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11A KR102500768B1 (ko) 2021-04-19 2021-04-19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11A KR102500768B1 (ko) 2021-04-19 2021-04-19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36A KR20220144436A (ko) 2022-10-27
KR102500768B1 true KR102500768B1 (ko) 2023-02-17

Family

ID=838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11A KR102500768B1 (ko) 2021-04-19 2021-04-19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7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210A (ja) 2002-12-20 2004-07-15 Murakami Corp アウターミラー
JP2005075005A (ja) 2003-08-29 2005-03-24 Fujitsu Ten Ltd 水滴除去装置
JP2013060180A (ja) 2011-09-15 2013-04-04 Ichikoh Ind Ltd 車両用装飾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173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고음전용 스피커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210A (ja) 2002-12-20 2004-07-15 Murakami Corp アウターミラー
JP2005075005A (ja) 2003-08-29 2005-03-24 Fujitsu Ten Ltd 水滴除去装置
JP2013060180A (ja) 2011-09-15 2013-04-04 Ichikoh Ind Ltd 車両用装飾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36A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631B2 (en) Sound system with multiple speakers
JPH10201001A (ja) 電気自動車
JP2011031865A (ja) 自動車
US11617031B2 (en) Articulated vehicle speaker system
KR102500768B1 (ko)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JP2007261503A (ja) 車載カメラの取付ブラケット
KR102500767B1 (ko) 음향 모듈을 탑재한 리어뷰 장치
CN116724566A (zh) 与车辆头枕一起使用的模块化音频组件
US1187293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74848A (ja) 車両駆動用モータの配線接続構造
JP2005014793A (ja) 車両用スピーカ装置
JP2013091369A (ja) 車輌の存在報知システム
JP2003231441A (ja) アウタミラー及び車両用インターホン
JPH1159291A (ja) 車両における電装品への電力供給装置
JP2002172042A (ja) 補聴機能付きヘッドレス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カバー
JP2002114102A (ja) 車両用のドアミラー
KR20024997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폰 경보장치
JP2005289365A (ja) マイクロホン用の取付位置を備えた自動車
KR100330902B1 (ko) 자동차용 고음 재생스피커연결구조
US11514881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19600928U (zh) 一种车载显示装置
JPH10210122A (ja) 自動車電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アダプタ
JP3240878B2 (ja) 車両用電動式ミラー
KR0119239Y1 (ko) 차량 스피커의 각도 조정장치
JP4561078B2 (ja) 車両用エンターテイメ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