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248B1 -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 Google Patents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248B1
KR102500248B1 KR1020220099254A KR20220099254A KR102500248B1 KR 102500248 B1 KR102500248 B1 KR 102500248B1 KR 1020220099254 A KR1020220099254 A KR 1020220099254A KR 20220099254 A KR20220099254 A KR 20220099254A KR 102500248 B1 KR102500248 B1 KR 10250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main frame
pair
auxiliary frames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방
Original Assignee
보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구, 차수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상기 구조물에 맞게 제작된 철근망을 크레인에 매달아 굴착공에 투입하기 위한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로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 상면에 상기 연결축과 동심원을 이루는 각도조정링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정링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일단 상면에 하나 이상의 핀홀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각도를 조정한 후 상기 연결홀과 핀홀에 핀을 꽂아 구속되게 함으로써 상기 철근망의 형상에 맞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철근망을 매달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rebar net lift gauge}
본 발명은 수직구나 차수벽 등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에 관한 기술이다.
강이나 하천을 가로지르면서 각종 통신선이나 배관 등을 설치하기 위해 강이나 하천의 양안에 깊은 수직구를 시공한 후 두 수직구를 연결하도록 강이나 하천의 바닥을 굴착하게 된다. 즉, 수직구는 강의 양안을 연결하는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초기지가 되는 중요한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수직구는 대구경의 깊은 원형홀의 형태를 이루게 되며, 구조적 안정을 위해 굴착된 구멍에 원형을 이루는 길다란 벽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한편, 각종 건축물 시공시에 차수벽을 시공하게 되는데, 차수벽 역시 소정깊이로 콘크리트 벽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구나 차수벽은 상당한 깊게 시공되므로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굴착 후 철근망을 굴착공에 정확하게 삽입시켜야 한다. 하지만, 철근망은 그 길이가 매우 길뿐아니라 고중량인 관계로 크레인으로 제작된 철근망을 들어올려 이송 후 굴착공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철근망의 이동 중 철근망이 비틀리거나 하여 철근망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빈번했다.
한편, 수직구나 차수벽은 그 형상에 따라 철근망도 상응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일직선형으로 철근망이 제작될 수도 있고, 한번 또는 두번 이상 꺽인 형태의 철근망이 제작되어야 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철근망의 형상에 맞게 크레인과 철근망을 이어주는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에 따라 현장제작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는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5352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철근망에 대응할 수 있도록 범용적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는, 수직구, 차수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상기 구조물에 맞게 제작된 철근망을 크레인에 매달아 굴착공에 투입하기 위한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로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 상면에 상기 연결축과 동심원을 이루는 각도조정링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정링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일단 상면에 하나 이상의 핀홀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각도를 조정한 후 상기 연결홀과 핀홀에 핀을 꽂아 구속되게 함으로써 상기 철근망의 형상에 맞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철근망을 매달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프레임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상면에는 크레인에 연결하기 위한 크레인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축이 끼워져 서로 링크될 수 있도록 하는 링킹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상기 크레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는 하나의 메인프레임의 양단부에 하나씩의 보조프레임이 연결되되, 원하는 각도로 보조프레임을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직선형 철근망뿐 아니라 연속적으로 각을 이루는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철근망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하부측에서 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수직구의 단면도.
도 6은 수직구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 사용된 단위 철근망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하부측에서 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수직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수직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사용된 단위 철근망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는 수직구나 차수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어떠한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벽을 땅속 깊이 시공해야 하며, 구조물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는 철근망을 크레인에 매달아 굴착공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의 상단측에는 크레인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하며, 하단측에는 제작된 철근망(N)의 상단을 연결하되, 철근망(N)의 형상에 맞게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를 변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망(N)이 변형되지 않게 안전하게 들어올려 굴착공(H)에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는 하나의 메인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100)의 좌우 단부에 연결축(300)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보조프레임(200)이 연결된다. 즉 메인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좌우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200) 각각은 철근망(N)의 형상에 맞게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직선형의 철근망(N)은 물론이고 두 개 이상의 면을 갖는 꺽인 형상의 철근망을 매달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메인프레임(100)과 보조프레임(200)은 사각단면을 갖는 소정길이의 부재이면 충분하며, 특히 메인프레임(100)의 각 단부에 보조프레임(200)이 하나씩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연결축(300)에 의해 메인프레임(100)과 보조프레임(200)이 구속되면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00)의 좌우 단부 상면에 연결축(300)과 동심원을 이루는 각도조정링(40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며, 각도조정링(400)은 원형을 이루되 내부가 비어있는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각도조정링(400)에는 소정간격으로 상하로 개구되는 다수의 연결홀(410)이 형성된다. 즉, 각도조정링(400)은 연결축(300)과 동축상으로 배치되면서 일측단부는 메인프레임(100)의 단부 상면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보조프레임(200) 상면에 놓여지는 배치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각 보조프레임(200)의 일단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핀홀(2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연결축(300)을 기준으로 보조프레임(200)의 각도를 조정한 후 어느 하나의 연결홀(410)과 핀홀(210)을 일치시켜서 핀(420)을 꽂음으로써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보조프레임(200)의 연결각도를 조정 후 구속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일직선형 철근망,
Figure 112022083208931-pat00001
,
Figure 112022083208931-pat00002
,
Figure 112022083208931-pat00003
, 와 같은 네 종류의 철근망(N)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메인프레임(100)과 보조프레임(200)의 연결부위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메인프레임(100) 및 보조프레임(200) 자체의 길이도 가변되게 접철식 구조로 하는 경우 더욱 다양한 사이즈의 철근망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는 크레인과 철근망(N)을 매개하는 중간연결체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100)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20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브라켓(B)이 형성되며, 메인프레임(100)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200)의 상면에도 크레인연결 브라켓(CB)이 형성되도록 한다.
메인프레임(100) 및 보조프레임(200)의 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브라켓(B)에는 제작된 철근망(N)의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며, 크레인연결 브라켓(CB)에는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메인프레임(100)의 좌우 단부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200)의 일단부에는 연결축(300)을 이용하여 상호간 링크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링킹브라켓(RB)이 구비되게 한다. 메인프레임(100)과 보조프레임(200)에 마련되는 링킹브라켓(RB)을 상호 맞물리게 하여 연결축(300)을 꽂아 회동 가능한 연결구조가 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연결축(300)의 상단에도 크레인에 연결할 수 있는 크레인연결 브라켓(CB)이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크레인과의 연결포인트를 늘려서 보다 안정적으로 리프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과 같은 형상의 수직구를 시공하고자 할 때 원형으로 벽을 소정깊이까지 설치해야하며, 이를 위해 굴착 후 단위 철근망(N)을 굴착공에 집어넣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 철근망(N)은
Figure 112022083208931-pat00004
과 같은 형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단위 철근망을 굴착공(H)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길이가 길고 고중량인 철근망(N)을 크레인에 연결하여 들어올리되 철근망의 형상이 유지된 채 굴착공(H)에 삽입되게 해야 하고, 이를 위해 크레인과 철근망의 상단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본원의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가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G)는 다양한 현장여건에 따른 다양한 철근망(N)의 형상에 맞게 메인프레임(100)과 보조프레임(200)의 연결각도를 간단하게 조정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구나 차수벽 시공시 필요한 고중량의 철근망을 안정적으로 리프팅하여 굴착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G :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100 : 메인프레임
200 : 보조프레임 210 : 핀홀
300 : 연결축
400 : 각도조정링 410 : 연결홀
420 : 핀
N : 철근망
H : 굴착공
B : 연결브라켓
CB : 크레인연결 브라켓
RB : 링킹브라켓

Claims (4)

  1.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인 수직구 또는 차수벽을 시공할 때 상기 구조물에 맞게 제작된 철근망을 크레인에 매달아 굴착공에 투입하기 위한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로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 상면에 상기 연결축과 동심원을 이루는 각도조정링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정링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일단 상면에 하나 이상의 핀홀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각도를 조정한 후 상기 연결홀과 핀홀에 핀을 꽂아 구속되게 함으로써 상기 철근망의 형상에 맞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철근망을 매달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상면에는 크레인에 연결하기 위한 크레인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단부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축이 끼워져 서로 링크될 수 있도록 하는 링킹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상기 크레인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KR1020220099254A 2022-08-09 2022-08-09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KR102500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254A KR102500248B1 (ko) 2022-08-09 2022-08-09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254A KR102500248B1 (ko) 2022-08-09 2022-08-09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248B1 true KR102500248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254A KR102500248B1 (ko) 2022-08-09 2022-08-09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2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748A (ko) * 2011-04-25 2012-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터드 볼트 인양 지그
KR101457114B1 (ko) * 2014-05-19 2014-11-0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2115352B1 (ko) 2018-12-19 2020-05-27 엘티삼보 주식회사 선조립 철근망을 이용한 연속벽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748A (ko) * 2011-04-25 2012-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터드 볼트 인양 지그
KR101457114B1 (ko) * 2014-05-19 2014-11-06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2115352B1 (ko) 2018-12-19 2020-05-27 엘티삼보 주식회사 선조립 철근망을 이용한 연속벽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0550B1 (ja) 仮締切方法、仮締切構造
CN205296874U (zh) 桩柱一体化信息化施工监测定位装置
KR101094827B1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102500248B1 (ko) 철근망 리프트 게이지
CN204384761U (zh) 一种桥梁施工用塔吊桩基扶墙
US3693274A (en) Clam shell excavator
KR100290257B1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JP2018025046A (ja) 吊り下げ装置及び吊り下げ方法
JP2007113223A (ja) 懸垂式杭打機
JPH10152840A (ja) 山留支保工の施工方法
KR101032476B1 (ko) 강봉을 이용한 블럭식 암버럭 옹벽
KR102146073B1 (ko) 변단면 수직구 시공을 위한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JP2019019549A (ja) 擁壁用積ブロック
KR20120088929A (ko) 간이 흙막이 구조
JP6886356B2 (ja) 吊降装置、および間詰方法
CN207109828U (zh) 一种水利施工用支护装置
CN209040155U (zh) 一种水利工程挡土墙
CN210087342U (zh) 一种钢筋网构件、支护钢筋网和用于隧洞的支护钢筋网
KR102522826B1 (ko) 그리드와 강봉이 사용되며 다양한 설치가 가능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JP7225049B2 (ja) 芯材建込方法
KR20230147342A (ko) 흙막이 시공용 철근망 가이드장치
CN219078843U (zh) 一种钢筋笼吊装辅助装置
CN214611079U (zh) 一种混凝土生态砌块的吊装装置
KR100227537B1 (ko) 대형판 거푸집 및 동바리 현수식 역타설 거푸집 공법
CN217054421U (zh) 逆作桩基施工用定位调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