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14B1 -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14B1
KR102499814B1 KR1020200065395A KR20200065395A KR102499814B1 KR 102499814 B1 KR102499814 B1 KR 102499814B1 KR 1020200065395 A KR1020200065395 A KR 1020200065395A KR 20200065395 A KR20200065395 A KR 20200065395A KR 102499814 B1 KR102499814 B1 KR 10249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rack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und
b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733A (ko
Inventor
박소영
이재선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sychia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본 발명은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은 점진적으로 기억력이 감퇴되고 인지력이 상실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병이며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그 발병률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의 병리학적 특징 중 하나는 신경세포의 외부에 축적되는 노인성 반점(senile plaques)을 들 수 있는데 이 원인물질로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Aβ)를 들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Aβ)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에서 잘려져 나온 단백질 파편이고,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베타위치 APP 절단 효소 (β-site APP-cleaving enzyme: BACE1)이라 명명된 베타-시크리테이즈 (β-secretase)이다. 베타-시크리테이즈 (BACE1)에 의해 잘려진 APP는 90 kDa 내외의 sAPPβ라 불리는 N 말단 도메인 (N-terminal domain)과 CTFβ (C99)라 불리는 세포질 도메인 (cytoplasmic domain)으로 나눠지는데 이렇게 생성된 sAPPβ는 세포 밖으로 분비되고, C99는 다시 감마-시크리테이즈 (γ-secretase)에 의해 잘려 4 kDa의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된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대사로 인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가 다량 생성되어 뇌세포 독성을 일으키고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한다. 따라서 베타-시크리테이즈 (BACE1)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저해하므로 알츠하이머병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시판 중이거나 개발 중인 약물의 대부분은 알츠하이머 환자의 증상을 개선 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약물이며, 콜린성 신경계 가설에 근거하여 개발된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 (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인 타크린(tacrine),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갈란타민 (galantamine)과, NMDA-글루타메이트 (NMDA-glutamate) 수용체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메만틴 (memantine)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발병 초기에 일시적인 임상증상개선 효과에 그치는 것들이 대부분이고 부작용까지 나타나고 있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병 발명 원인에 근거한 근본적인 치료에 목표를 두고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끝에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베타-시크리테이즈 (β-secretase)의 활성을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9490호
본 발명은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은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 양상은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전은 베타-시크리테이즈의 발현 억제와 관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식용 가능한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부작용이나 세포 독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및 베타-시크리테이즈 발현에 미치는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a)는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내지 100 ug/mL농도로 처리 시 튜불린(tubulin), 베타-시크리테이즈에 의해 잘린 APP 단편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b)는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내지 100 ug/mL농도로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c)는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내지 100 ug/mL농도로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 5개 분획층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로 나타낸다(H: 헥산, D: 디클로로메탄, E: 에틸아세테이트, B: 부탄올, W: 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 5개 분획층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및 베타-시크리테이즈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H: 헥산, D: 디클로로메탄, E: 에틸아세테이트, B: 부탄올, W: 물). 도 3(a)는 상기 5개의 분획층을 각각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3(b)는 상기 5개의 분획층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3(c)는 상기 5개의 분획층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EA 층)으로부터 화합물 2 및 화합물 6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EA 층)으로부터 화합물 3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EA 층)으로부터 화합물 5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2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3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5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6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Astragalin), 화합물 3 (tiliroside), 화합물 5 (kaempferol), 및 화합물 6 (5-O-caffeoylshikimic acid)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5, 및 화합물 6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로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a)는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을 각각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b)는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3(c)는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5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a)는 화합물 5를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b)는 화합물 5를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4(c)는 화합물 5를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6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5(a)는 화합물 6을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b)는 화합물 6을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5(c)는 화합물 6을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전체가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틸리로시드(tiliroside), 캠퍼롤(kaempferol),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사리는 양치류(fern)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식용으로 사용되는데 익혀서, 혹은 날 것으로 소금에 절이거나 말려서 먹는다. 뿌리줄기는 곳곳에서 잎을 뻗는데 땅속으로 1m 정도 자란다. 잎자루는 연한 황토색이며 20~80cm 길이로 자라며 땅에 묻혀있는 부분은 털이 있고 갈색이다. 둥그스름한 삼각형의 잎은 3회 우상복엽으로 뒷면에는 약간의 털이 있다. 열편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작은 잎 조각은 갈라지지 않고 길게 자란다.
고사리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 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은 원료를 추출 용매와 접촉시켜 얻어지는 것으로서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리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상기 분리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여과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알코올, 또는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메탄올 추출의 경우 추출 후 잔류된 메탄올로 인해 독성이 야기될 우려가 있으며 프로판올의 경우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에탄올 보다 경제성이 떨어지며 용매 잔류시 에탄올 보다 식용으로 섭취하기에 부적당한 단점이 있다.
상기 추출용매 1 %(v/v) 내지 100 %(v/v)의 농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4℃내지 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은 12시간 내지 120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가 4℃보다 낮은 경우 추출이 잘 안 될 수 있으며, 150℃를 넘는 경우 추출물이 변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시간이 12시간보다 낮은 경우 유효성분이 일부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120시간을 넘길 경우 유효성분 이외의 불순물 성분이 함께 추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체 등을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추가로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사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사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탄올은 20 %(v/v) 내지 100 %(v/v)의 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 80 %(v/v)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사용하여 극성에 따라 분획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물,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은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질병의 발병이 서서히 시작하며 출생 후 오랜 기간 정상적인 기능을 하다가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일단 발병하면 사망 시까지 수년 또는 수십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병이 진행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본 명세서에서 퇴행성 뇌질환의 구체적인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Spinocer ebellar Atrophy),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프리드리히 보행실조(Friedrich`s Ataxia), 마차도-조셉 병(Machado-Joseph`s disease), 루이 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Dystonia), 또는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퇴행성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Spinocer ebellar Atrophy),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퇴행성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베타-아밀로이드 (β-amyloid)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베타-시크리테이즈 (β-secretase)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츠하이머병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의 비정상적인 대사로 인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다량 생성되어 뇌세포 독성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발명될 수 있다. 상기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에는 베타-시크리테이즈 효소가 관여할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Aβ)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에서 잘려져 나온 단백질 파편이다.
베타-시크리테이즈 (β-secretase)는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베타위치 APP 절단 효소 (β-site APP-cleaving enzyme: BACE1)이라 명명된다. 베타-시크리테이즈 (BACE1)에 의해 잘려진 APP 중 90 kDa 내외의 베타-시크리테이즈에 의해 잘린 APP 단편 (proteolytic fragment of APP by β-secretase: sAPPβ)라 불리는 N 말단 도메인 (N-terminal domain)이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α,β,γ-시크리테이즈에 의해 나눠진 APP의 N 말단 단백질들은 상등액으로 유리되며 C 말단 단백질들은 세포 내에 존재하게 된다.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APP-CHO 세포에 처리한 결과 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상등액으로 유리된 베타-아밀로이드(sAPPβ)가 양성대조군의 60%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단백질량을 측정한 결과도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양성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사리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activity-guided isolation 법으로 분리하여 얻은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틸리로시드(tiliroside), 캠퍼롤(kaempferol),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 처리 시 농도의존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베타-시크리테이즈의 단백질량 또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고사리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과 유효성분들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전은 베타-시크리테이즈의 발현 억제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된 제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 틸리로시드, 캠퍼롤,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을 0.01 내지 500 ug/mL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효성분은 1 내지 200 ug/mL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독성이 없거나 적은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된 염들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일 경우 염기 (base)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염기와 적당한 비활성 (inert)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마그네슘 또는 유기 아미노로 이루어진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 틸리로시드, 캠퍼롤,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전체 조성물 중량의 0.0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퇴행성뇌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틸리로시드(tiliroside), 캠퍼롤(kaempferol),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투여하여 대상체의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동물에 적용가능하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예방"은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 또는 재획득을 막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틸리로시드(tiliroside), 캠퍼롤(kaempferol),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 틸리로시드, 캠퍼롤,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틸리로시드(tiliroside), 캠퍼롤(kaempferol),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틸리로시드(tiliroside), 캠퍼롤(kaempferol), 또는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원료로서 고사리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알코올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분획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분획물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APP를 과발현하는 형질주입 세포주의 세포배양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을 과발현하는 형질주입 세포주로 APP-CHO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APP-CHO 세포주를 10% FBS가 함유된 RPMI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고, 배지는 3일마다 교환하였다.
실험예 1: 고사리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APP-CHO 세포에 대한 고사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MTT-based cytotoxicity assay를 시행하였다. 시험약물이 처리된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5 mg/ml 농도의 MTT 용액을 넣고 3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DMSO를 넣어 30분간 용해시킨 후 Emax 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고사리 추출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웨스턴블랏(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베타-시크리테이즈에 의해 잘린 APP 단편 (sAPPβ), 베타-시크리타제 수준(level)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60mm dish에 배양한 세포들에 고사리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PBS로 세척하고 trypsin을 넣어 3분간 배양한 다음 때어내어 EP튜브로 옮겼다. 1000 x g에서 원심분리를 통해 cell pellet을 만든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Lysis buffer 50μl를 넣었다. 30분 동안 -20℃에서 용해시켜 단백질을 추출한 후 SMART™ BCA kit(Intron, Kore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에 sample loading buffer를 넣고 100℃ 끓는 물에 10분 동안 끓인 후 사용할 때까지 -20℃에 보관 하였다. 7.5% gel 또는 15% Acrylamide gel로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한 후 PVDF membrane으로 옮겼다. PVDF membrane의 항체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blocking buffer (5% skin milk in PBS) 용액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Tween 20을 함유한 PBS 용액 (0.1% PBST)으로 15분간 3번 세척 후 각 검증 단백질에 대한 1차 항체를 첨가하여 4℃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사용한 1차 항체는 β-secretase antibody (1:1000, Abcam), sAPPβ antibody (1:1000, IBL 18957), tubulin antibody (1:10,000, Sigma Aldrich) 이다. PBST 용액으로 15분간 3번 세척한 다음 2차 항체 (5% skin milk in PBS)로 1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ECL-spray (Advanta, CA, USA)로 반응시킨 후 G:Box iChemiXT Imager (Syngene, Cambridge, UK) 상에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고사리 추출물의 제조 및 효과 측정
식용으로 사용하는 고사리 (5 kg)를 구입하여 분쇄기로 곱게 간 후 80% 에탄올로 3회 추출하였다 (EtOH, 40 L, 3회).
실험예 1 및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고사리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및 베타-시크리테이즈 발현에 미치는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a)는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내지 100 ug/mL농도로 처리 시 튜불린(tubulin), 베타-시크리테이즈에 의해 잘린 APP 단편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b)는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내지 100 ug/mL농도로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c)는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내지 100 ug/mL농도로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이,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은 100 ug/mL농도 까지 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20 내지 100 ug/mL의 농도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억제하였고, 베타-시크리테이즈의 발현양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2: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 및 효과 측정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 (1.5 kg)을 용매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헥산 (207.9 g), 디클로로메탄 (7.6 g), 에틸아세테이트 (28.7 g), 부탄올 (25.9 g), 그리고 물층을 확보하였다.
실험예 1 및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고사리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 5개 분획층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로 나타낸다(H: 헥산, D: 디클로로메탄, E: 에틸아세테이트, B: 부탄올, W: 물).
MTT assay를 통해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최고농도를 50 ug/mL로 설정하였으며, 이 농도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웨스턴블랏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 5개 분획층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및 베타-시크리테이즈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H: 헥산, D: 디클로로메탄, E: 에틸아세테이트, B: 부탄올, W: 물). 도 3(a)는 상기 5개의 분획층을 각각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3(b)는 상기 5개의 분획층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3(c)는 상기 5개의 분획층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3에서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및 베타-시크리테이즈 발현 감소 효과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3: 고사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유효성분의 분리
고사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다음의 유효성분을 분리하였다.
(1) 화합물 2 및 화합물 6의 분리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실리카겔을 고정상으로 사용하고 이동상으로 chloroform : MeOH = 5 : 1을 사용한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시행하였고 12개의 subfractions (PAL1~PAL12)를 얻었다. 이 중 활성이 좋은 PAL5를 Sephadex LH-20 (30% ACN)를 사용한 컬럼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한 결과 PAL5-11 (compound 2, 45.2 mg)와 PAL5-10 (compound 6, 18.0 mg)을 순물질로 확보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EA 층)으로부터 화합물 2 및 화합물 6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2) 화합물 3의 분리
위에서 얻은 subfraction 중 PAL4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한 결과 (이동상 chloroform : MeOH = 8 : 1) 9개의 subfractions (PAL4-1~PAL4-9)을 확보하였다. 이 중 PAL4-6 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 (이동상 n-hexane : ethyl acetate = 1 : 50)로 분리한 결과 9개의 subfractions (PAL4-6-1~PAL4-6-9)을 얻었다. 이 중 PAL4-6-8이 순물질로 확보되었다(compound 3, 71.0 m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EA 층)으로부터 화합물 3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3) 화합물 5의 분리
위에서 얻은 subfraction 중 PAL9을 Sephadex LH-20 (10% MeOH)을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라피법에 적용한 결과 11개의 subfractions (PAL9-1~PAL9-11)이 확보되었고, PAL9-9을 C18 (50% MeOH)을 고정상으로 한 컬럼크로마토드라피법에 적용한 결과 4개의 subfrations (PAL9-9-1~PAL9-9-4)가 분리되었다. 이 중 PAL9-9-3 (compound 5, 6.5 mg)가 순물질로 분리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EA 층)으로부터 화합물 5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실시예 4: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유효성분의 동정
고사리에 함유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유효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activity-guided isolation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3개의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활성이 있는 4개의 물질 (화합물 2, 3, 5, 6)에 대해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 유효성분들을 1H, 13C NMR과 MS 결과와 함께 참고문헌과의 data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조를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2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상기 결과, 화합물 2를 아스트라갈린(Astragalin)으로 동정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3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상기 결과, 화합물 3를 틸리로시드(tiliroside)으로 동정하였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5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상기 결과, 화합물 5를 캠퍼롤(kaempferol)로 동정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인 화합물 6의 H-, C-NMR을 나타낸다(좌: H-NMR, 우: C-NMR). 상기 결과, 화합물 6을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Astragalin), 화합물 3 (tiliroside), 화합물 5 (kaempferol), 및 화합물 6 (5-O-caffeoylshikimic acid)의 구조를 나타낸다.
실시예 5: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유효성분의 효과 측정
실험예 1 및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고사리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세포독성 여부 확인
MTT assay를 통해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5, 및 화합물 6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5, 및 화합물 6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로 나타낸다.
도 12에서와 같이, 화합물 2, 3, 5 및 6 모두 10 ug/mL 및 50 ug/mL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고사리에서 분리된 물질들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웨스턴블랏 실험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a)는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을 각각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b)는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3(c)는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을 각각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5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a)는 화합물 5를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b)는 화합물 5를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4(c)는 화합물 5를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사리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들인 화합물 6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5(a)는 화합물 6을 처리 시 튜불린, sAPPβ 및 베타-시크리테이즈에 대한 웨스턴블랏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b)는 화합물 6을 처리 시 측정된 sAPPβ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도 15(c)는 화합물 6을 처리 시 측정된 베타-시크리테이즈의 양을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다.
상기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4개의 물질 (화합물 2, 3, 5, 6)이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이는 베타-시크리타제 발현양 감소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원 (2019R1A2C1006214)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5-O-카페오일시킴산은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사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사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탄올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20 %(v/v) 내지 100 %(v/v)의 농도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 (β-amyloid)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베타-시크리테이즈 (β-secretase)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된 제제로 제형화된 것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것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3.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5-O-카페오일시킴산(5-O-caffeoylshikimic acid)의 화합물,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15. 삭제
  16. 삭제
KR1020200065395A 2020-05-29 2020-05-29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395A KR102499814B1 (ko) 2020-05-29 2020-05-29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395A KR102499814B1 (ko) 2020-05-29 2020-05-29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733A KR20210147733A (ko) 2021-12-07
KR102499814B1 true KR102499814B1 (ko) 2023-02-14

Family

ID=7886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395A KR102499814B1 (ko) 2020-05-29 2020-05-29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43B1 (ko) * 2016-11-25 2018-02-20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스트라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490B1 (ko) 2018-11-15 2020-03-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 및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43B1 (ko) * 2016-11-25 2018-02-20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스트라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733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88B1 (ko) 작약, 건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346148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canthoside b extracted from glasswort
KR102024188B1 (ko) 장수풍뎅이 유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1167589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499814B1 (ko) 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1771788B1 (ko) 신경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발효황금 천마복합액의 제조방법
Choi et al. Ameliorating effect of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on amyloid beta peptide-induced neuronal cell deficit
KR20200046772A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49129A (ko) 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261340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6158B1 (ko) 은시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092586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5915A (ko) 회향 추출물 또는 트랜스-아네톨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54149B1 (ko) 미역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49013B (zh) 黄水枝醇提物在制备治疗或保护、调节阿尔兹海默症疾病药物中的应用
KR20100002836A (ko) 뇌 신경 세포 보호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102123014B1 (ko) 참당귀 추출물 또는 참당귀 및 브로콜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123013B1 (ko) 참당귀 추출물 또는 참당귀 및 브로콜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75704B1 (ko) 복합버섯균사체를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개선용 조성물
KR101815573B1 (ko)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 Hook.)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29980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5903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0552995B1 (ko) 뇌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