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619B1 -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 Google Patents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619B1
KR102499619B1 KR1020210183068A KR20210183068A KR102499619B1 KR 102499619 B1 KR102499619 B1 KR 102499619B1 KR 1020210183068 A KR1020210183068 A KR 1020210183068A KR 20210183068 A KR20210183068 A KR 20210183068A KR 102499619 B1 KR102499619 B1 KR 10249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rushed
tiles
crushing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섭
염규홍
Original Assignee
신진섭
염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섭, 염규홍 filed Critical 신진섭
Priority to KR102021018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8Decorative panels for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된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가구를 장식한 인테리어 가구를 제조하기 위한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인테리어 가구에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으로서, 건축물용 마감타일을 타일파쇄기에 넣고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타일을 제조하는 타일 파쇄단계(S20), 상기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가구에 장식할 부분에 장식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 상기 장식홈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장식홈에 상기 파쇄타일의 날카로운 부분이 상기 장식홈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장식홈의 바닥에 상기 파쇄타일이 일부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설치하는 매립부재 설치단계, 상기 파쇄타일을 원하는 형태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상기 매립부재의 상면에 무늬를 도안하는 무늬 도안단계, 상기 무늬 도안단계에서 도안된 무늬의 형태로 상기 파쇄타일을 배치하는 타일 배치단계, 및 상기 타일 배치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파쇄타일이 상기 장식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부재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장식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쇄타일로 인한 새로운 미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파쇄타일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Manufacturing method of interior furniture using crushed tiles and interior furniture manufactured there of}
본 발명은 파쇄된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가구를 장식한 인테리어 가구를 제조하기 위한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대부분 실내에 설치되어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색상에 따른 차이를 두거나, 장식재로 장식한다.
장식재로 장식한 가구의 일례로는 자개장이 있으며, 자개장은 조개에 의해 가구를 장식함에 따라 새로운 미감을 부여할 수 있었다.
근래에는 인테리어적인 새로운 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자개 뿐만 아니라, 타일 등 다양한 재료로 인테리어 가구를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를 시도하고 있으며, 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일례는 종래에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7426호(2000.2.15.공고)의 "테이블"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테이블은 직립 설치된 다리부 위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구비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내부에 안착홈을 구현하는 가이드 턱과, 상기 안착홈 위에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가변적으로 배열 안착되는 모자이크 타일(MOSAIC TI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식사용 테이블 또는 응접용 테이블, 회의용 테이블, 사이드 테이블 등에 적용되는 테이블의 구성이 되는 플레이트의 내부에 안착홈이 구현되도록 그 외주연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가이드 턱을 돌출 성형하고, 이 가이드 턱에 의하여 구현된 안착홈 위에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가변적으로 배열 안착시킬 수 있는 모자이크 타일을 조합시켜 다양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새롭고 질리지 않으며 타일의 질감을 직접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테이블은 타일이 모자이크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정형화된 미감 밖에 줄 수 없어 새로운 미감을 부여하는 데 한계로 인해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가 하락되며, 폐 타일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환경오염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감타일을 파쇄한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가구를 제작함으로써, 불규칙적으로 파쇄된 파쇄타일에 의해 정형화된 형상을 벗어나 심미감을 향상시켜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폐 마감타일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일파쇄기에 의해 마감타일을 충격하여 파쇄하기 때문에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파쇄된 것과 같은 파쇄타일을 제조할 수 있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일파쇄기에 의해 마감타일을 파쇄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불규칙적인 형상의 파쇄타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트레이에 의해 파쇄타일을 크기 별로 선별하여 신속하게 장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일파쇄부에 선택작동부가 설치되어 선택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파쇄타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타일이 파쇄본체의 내부에서 파쇄되고, 완충패드가 설치되어 마감타일의 파쇄 시에 타일팁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동 랙에 바퀴가 설치되어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마감타일을 파쇄할 수 있는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인테리어 가구에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으로서, 건축물용 마감타일을 타일파쇄기에 넣고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타일을 제조하는 타일 파쇄단계(S20), 상기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가구에 장식할 부분에 장식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 상기 장식홈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장식홈에 상기 파쇄타일의 날카로운 부분이 상기 장식홈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장식홈의 바닥에 상기 파쇄타일이 일부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설치하는 매립부재 설치단계, 상기 파쇄타일을 원하는 형태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상기 매립부재의 상면에 무늬를 도안하는 무늬 도안단계, 상기 무늬 도안단계에서 도안된 무늬의 형태로 상기 파쇄타일을 배치하는 타일 배치단계, 및 상기 타일 배치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파쇄타일이 상기 장식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부재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장식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타일 배치단계는 상기 파쇄타일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립부재에 상기 파쇄타일이 일부 삽입되도록 상기 파쇄타일의 상부를 가압하는 타일 가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파쇄기는 이동이 가능한 바퀴가 설치된 이동식 랙, 상기 이동식 랙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일을 충격하는 형태로 상기 타일을 파쇄하는 타일파쇄부, 및 상기 이동식 랙에서 타일파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일파쇄부에서 파쇄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파쇄타일을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을 갖는 선별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파쇄부는 상기 마감타일을 충격하는 메인장식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메인파쇄플레이트, 상기 메인파쇄핀이 상기 타일을 탄성력에 의해 충격하도록 상기 파쇄플레이트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메인지지스프링, 및 상기 지지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상기 파쇄플레이트를 작동하는 메인작동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파쇄부는 상기 메인파쇄플레이트에서 파쇄되는 파쇄타일보다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하도록 상기 메인파쇄플레이트에 겹쳐지는 선택파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파쇄기는 상기 선별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상기 파쇄타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쇄타일을 받는 받침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트레이는 상기 선별트레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식 랙에 걸쳐지는 트레이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랙은 상기 파쇄타일의 크기별로 분류되도록 공극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상기 선별트레이가 공극의 크기 차례로 상기 트레이고리부가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트레이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패널을 파쇄한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가구를 장식함으로써, 정형화된 심미감을 탈피하여 불규칙적인 색다른 심미감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 마감타일을 재활용함으로써, 마감타일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일파쇄기에 의해 마감타일을 파쇄하여 파쇄타일을 제조함으로써, 파쇄타일이 자연스럽게 파쇄된 것과 같이 불규칙한 형태의 파쇄타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선별트레이에 의해 원하는 크기의 파쇄타일을 선별하여 파쇄타일의 배치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타일파쇄기에 선택파쇄부가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로 마감타일을 파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타일이 파쇄본체의 내부에서 파쇄되고 완충패드에 의해 충격이 완충되면서 타일팁이 비산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랙에 바퀴가 설치되어 원하는 장소로 타일파쇄기를 옮겨 용이하게 마감타일을 파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각 단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타일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타일파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타일파쇄기의 메인파쇄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타일파쇄기의 선택파쇄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마감타일(210)이 깨져 조각난 파쇄타일(210')을 이용하여 가구를 장식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으로서, 이전 가구를 리폼하거나, 새로이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인테리어 가구(200)는 도 7에 의자로만 도시되었지만, 탁자, 장식장, 서랍장, 옷장, 장롱, 화장대, 식탁 등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감타일(210)은 건축용 마감재로 사용되는 마감타일(210)일 수 있고, 마감타일(210)은 일면에 채색되어 색상을 갖거나, 특정한 무늬를 가질 수 있으며, 마감타일(210)은 폐기되는 폐 마감타일(210)을 재활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색상 분류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분류단계(S10)는 마감타일(210)을 유사한 색상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분류단계(S10)는 파란색 계열, 빨간색 계열, 노란색 계열 등 제작자가 원하는 형태의 색상계열 별로 마감타일(210)을 분류할 수 있다.
색상을 분류하지 않고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경우, 원하는 색상을 찾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색상 분류단계(S10)에서 마감타일(210)의 색상을 미리 분리함으로써, 추후 파쇄타일(210')에 의해 무늬를 형성할 때, 용이하게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늬는 특정 형상, 숫자, 문자 등의 무늬이거나, 불규칙적인 형태의 무늬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타일 파쇄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 파쇄단계(S20)는 한 장의 마감타일(210)을 원하는 크기로 파쇄할 수 있으며, 타일 파쇄단계(S20)는 마감타일(210)을 규칙적인 형상이 아니라 마감타일(210)에 충격을 가해 불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쇄하여 파쇄타일(210')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타일(210)이 규칙적으로 파쇄하여 무늬를 형성할 경우, 정형화된 무늬만가 형성되어 인테리어적인 심미감이 하락되지만, 마감타일(210)을 불규칙적으로 파쇄하여 무늬를 형성할 경우, 불규칙적인 형상에 의해 정형성을 탈피하여 인테리어적인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타일 파쇄단계(S20)는 색상 분류단계(S10)에서 분류된 색상 별로 마감타일(210)을 파쇄하여 추후 분류된 색상의 마감타일(210)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파쇄단계(S20)는 타일파쇄기(100)에서 원하는 크기로 파쇄될 수 있다.
타일파쇄기(100)는 마감타일(210)에 충격을 주어 마감타일(210)이 충격에 의해 깨지는 형태로 마감타일(210)을 불규칙적인 형상으로 파쇄하는 형태로 파쇄타일(210')을 제조할 수 있다.
타일파쇄기(100)는 이동식 랙(110), 타일파쇄부(120), 및 선별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랙(110)은 마감타일(210) 등을 운반하며 장소를 이동하며 마감타일(210)의 파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식 랙(110)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113)가 설치되고, 이동식 랙(110)은 사각의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식 랙(110)에는 마감타일(210)을 운반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층으로 구획되는 선반(111)이 설치될 수 있다.
타일파쇄부(120)는 마감타일(210)에 충격을 가해 마감타일(210)을 파쇄하는 형태로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파쇄된 것과 같이 불규칙적인 형상의 파쇄타일(210')을 제조할 수 있다.
타일파쇄부(120)는 이동식 랙(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일파쇄부(120)는 파쇄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쇄본체(121)는 마감타일(210)을 충격 시 파쇄된 마감타일(210)이 외부로 튀어 부상을 방지하도록 사각의 밀폐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쇄본체(121)의 일단에는 마감타일(210)을 파쇄본체(121)로 반입할 수 있는 반입구(123)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파쇄본체(121)의 타단에는 파쇄타일(210')이 반출되는 반출구(125)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출구(125)에는 반입구(123)로 반입된 마감타일(210)이 반출구(125)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출구(125)를 개폐하는 반출도어(127)가 설치될 수 있다.
파쇄본체(121)는 마감타일(210)을 파쇄한 후 반출도어(127)를 개방하면 자중에 의해 반출구(125)로 반출되도록 반입구(123)에서 반출구(125)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이동식 랙(110)에 설치될 수 있다.
타일파쇄부(120)는 비산방지패드(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비산방지패드(129)는 충격에 의해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때, 파쇄된 파쇄타일(210')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감타일(2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비산방지패드(129)는 파쇄본체(121)의 내부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발생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일파쇄부(120)는 메인파쇄플레이트(130), 메인지지스프링(135), 및 메인작동손잡이(13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파쇄플레이트(130)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쇄본체(1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파쇄플레이트(130)에서 마감타일(210)과 마주하는 면에는 마감타일(210)을 충격하여 파쇄하는 메인파쇄핀(131)이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지지스프링(135)은 메인파쇄플레이트(130)를 충격하는 충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인지지스프링(135)은 파쇄본체(121)의 내부에서 메인파쇄플레이트(13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중앙에는 메인작동손잡이(133)가 메인파쇄플레이트(13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작동손잡이(133)는 일단이 메인파쇄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타단은 파쇄본체(121)를 관통하여 파쇄본체(1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메인작동손잡이(133)는 파쇄본체(121)에서 외측으로 잡아 당길 경우, 메인지지스프링(135)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축적되고, 메인작동손잡이(133)를 잡아 당긴 상태에서 당김력을 해제하면, 메인지지스프링(135)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마감타일(210)을 충격하면서, 메인파쇄핀(131)이 마감타일(210)을 충격하면서 마감타일(210)이 파쇄되어 파쇄타일(210')이 제조될 수 있다.
타일파쇄부(120)는 파쇄될 마감타일(21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선택작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작동부(140)는 메인파쇄플레이트(130)에 의해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때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파쇄플레이트(130)로만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경우, 5개의 메인파쇄핀(131)에 의해서만 마감타일(210)을 충격하여 파쇄하지만, 선택작동부(140)에 의해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경우,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5개의 메인파쇄핀(131)에 더 해 5 개의 선택파쇄핀(142)이 함께 작동하여 총 10개의 파쇄핀에 의해 마감타일(210)을 충격함으로써, 메인파쇄플레이트(130)로만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때보다 선택작동부(140)에 의해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때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선택작동부(140)는 선택파쇄플레이트(141), 선택지지스프링(147), 및 선택작동손잡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파쇄플레이트(141)는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겹쳐질 수 있으며, 선택파쇄플레이트(141)에는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메인파쇄핀(13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공(143)이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메인파쇄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선택파쇄플레이트(141)에는 핀공(143)과 어긋난 위치에 마감타일(210)을 파쇄하기 위해 충격하는 선택파쇄핀(142)이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선택파쇄플레이트(141)와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겹쳐진 상태에서 핀공(143)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메인파쇄핀(131)과 선택파쇄플레이트(141)에서 돌출되는 선택파쇄핀(142)의 끝단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작동손잡이(145)는 선택파쇄플레이트(141)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작동손잡이(133)는 내부가 빈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작동손잡이(133)의 내부에 메인작동손잡이(1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선택작동손잡이(145)가 삽입될 수 있으며, 선택작동손잡이(145)의 끝단은 메인작동손잡이(133)를 관통하여 메인작동손잡이(133)보다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메인작동손잡이(133)의 끝단 둘레와 선택작동손잡이(145)의 끝단 둘레에는 용이하게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메인작동손잡이(133)와 선택작동손잡이(145)의 둘레보다 더 돌출되는 파지부가 플랜지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지지스프링(147)은 파쇄본체(121)에서 선택파쇄플레이트(141)를 마감타일(210)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선택파쇄플레이트(141)의 둘레가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둘레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메인파쇄플레이트(130)에서 돌출되는 둘레와 파쇄본체(121)의 사이에 선택지지스프링(147)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선택지지스프링(147)은 파쇄본체(121)에서 선택작동손잡이(145)를 통해 선택파쇄플레이트(141)를 당기면, 압축되고, 선택작동손잡이(145)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선택지지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선택파쇄플레이트(141)의 선택파쇄핀(143)이 마감타일(210)을 충격하여 파쇄타일(21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트레이(150)는 원하는 형태의 파쇄타일(210')을 걸러낼 수 있다.
선별트레이(150)는 이동식 랙(110)에서 타일파쇄부(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선별트레이(150)의 바닥은 걸러낼 크기의 파쇄타일(210')은 걸리고 나머지는 하부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크기의 공극을 갖는 공극망(151)이 설치될 수 있다.
선별트레이(150)의 둘레는 스커트부에 의해 둘러 싸여 선별트레이(150)에 걸러진 파쇄타일(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별트레이(150)는 타일파쇄부(120)에서 경사진 반출구(125)를 통해 반출되는 파쇄타일(210')이 슬라이딩 반출구(125)로 반출되는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연장되어 파쇄타일(210')이 슬라이딩 이동하며 공극망(151)을 지나는 경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선별트레이(150)는 공극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복수 개가 이동식 랙(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별트레이(150)는 이동식 랙(110)의 공극의 크기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복수 개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선별트레이(15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공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파쇄타일(210')의 크기 차례로 각 선별트레이(150)의 공극과 대응되는 크기의 파쇄타일(210') 별로 선별할 수 있다.
선별트레이(150)에서 이동식 랙(110)에 설치되는 끝단은 이동식 랙(110)에서 선별트레이(15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이동식 랙(110)에 걸쳐지는 트레이고리부(155)가 선별트레이(15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고리부(155)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개방된 하부를 통해 이동식 랙(110)에 걸쳐질 수 있으며, 이동식 랙(110)에는 트레이고리부(155)가 걸쳐지도록 트레이설치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설치부(115)는 트레이고리부(155)가 걸쳐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막대가 이동식 랙(110)의 양측에서 돌출되며 복수 개가 이동식 랙(110)의 상하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어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막대에 하나의 선별트레이(150)의 트레이고리부(155)가 각각 걸쳐지는 형태로 복수 개의 선별트레이(150)가 트레이설치부(115)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설치부(115)의 가장 하단에는 파쇄된 가장 작은 크기의 파쇄타일(210')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받치는 받침트레이(1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받침트레이(160)는 선별트레이(150)에서 공극망(151)이 부분이 막힌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타일파쇄기(100)는 진동발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발판(170)은 이동식 랙(110)에 전체적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받침트레이(160)에 진동이 전달됨으로써, 받침트레이(160)를 거치는 파쇄타일(210')의 선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진동발판(170)은 트레이설치부(115)의 받침트레이(160)의 위치보다 더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진동발판(170)의 끝단에는 트레이설치부(115)에 걸쳐지는 걸침고리부(171)가 형성되며, 걸침고리부(171)와 진동발판(170)의 사이에는 탄성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도록 스프링부(17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진동발판(170)은 트레이설치부(115)에 걸침고리부(171)를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발판(170)을 발로 밟아 가압한 후, 발을 순간적으로 때면, 스프링부(173)에 의해 발로 밟았던 진동발판(17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떠는 형태로 진동이 발생하여 이동식 랙(110)에 전체적으로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선별트레이(150)로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파쇄타일(210')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파쇄기(100)는 선택작동손잡이(145)를 이용하여 선택파쇄플레이트(141)를 파쇄본체(121)에서 들어 올린 상태에서 파쇄본체(121)의 반입구(123)로 타일을 반입한다.
이때, 선택작동손잡이(145)를 통해 선택파쇄플레이트(141)가 들려지면 선택파쇄플레이트(141)에 겹쳐진 메인파쇄플레이트(130)도 함께 파쇄본체(121)에서 들어 올려져서 마감타일(210)이 반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반입구(123)를 통해 파쇄본체(121)의 내부에 마감타일(210)이 반입되면, 선택작동손잡이(145)를 통해 선택파쇄플레이트(141)의 선택파쇄핀(142) 및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메인파쇄핀(131)이 마감타일(210)을 지지하도록 마감타일(210)에 안착시킨다.
마감타일(210)에 선택파쇄플레이트(141) 및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안착되면, 마감타일(210)을 분쇄할 크기에 따라 선택작동손잡이(145) 또는 메인작동손잡이(133)를 파쇄본체(121)의 외측으로 당긴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작동손잡이(133)를 외측으로 당기면, 선택파쇄플레이트(141)의 상부에 위치하는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선택파쇄플레이트(141)에서 이격되며 메인지지스프링(135)이 압축되고, 메인작동손잡이(133)의 외측으로 당겼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메인지지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마감타일(21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파쇄프레이트(130)이 선택파쇄플레이트(141)의 핀공(143)을 통해 삽입되면서, 마감타일(210)을 충격하여 마감타일(210)을 파쇄한다.
이때, 메인작동손잡이(133)를 외측으로 당기면, 선택파쇄플레이트(141)는 선택지지스프링(147)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선택파쇄핀(142)이 마감타일(210)을 지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메인파쇄플레이트(130)만 선택파쇄플레이트(141)에 대해 마감타일(210)에서 이격된다.
다른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작동손잡이(145)를 외측으로 당기면, 선택파쇄플레이트(141)가 마감타일(210)에서 이격되면서, 선택파쇄플레이트(141)와 함께 메인파쇄플레이트(130)도 함께 마감타일(210)에서 이격되고, 선택지지스프링(147) 및 메인지지스프링(135)이 함께 압축되며, 선택작동손잡이(145)의 외측으로 당겼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압축된 선택지지스프링(147) 및 메인지지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선택파쇄플레이트(141)와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겹쳐진 상태로 선택파쇄핀(142) 및 메인파쇄핀(131)이 마감타일(210)을 충격하여 메인작동손잡이(133)를 이용할 때보다 더 많은 파쇄핀이 충격하여 더 작은 크기로 마감타일(210)을 파쇄한다.
이때, 마감타일(210)에 메인파쇄핀(131) 및 선택파쇄핀(142)이 충격할 때, 마감타일(210)이 비산방지패드(129)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충격력을 비산방지패드(129)가 분산시켜 마감타일(210)이 파쇄됨에 따라 발생하는 타일팁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파쇄타일(210')을 원하는 량만큼 선택작동손잡이(145) 또는 메인작동손잡이(133)를 당겼다 놓는 형태로 반복적으로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수 있다.
한편, 파쇄타일(210')이 제조되면, 반출도어(127)를 개방하여 반출구(125)를 개방하고, 반출구(125)가 개방되면, 파쇄본체(121)의 경사에 의해 파쇄타일(210')이 반출구(125)로 반출되면서, 선별트레이(150)으로 진입한다.
선별트레이(150)로 진입하는 파쇄타일(210')은 선별트레이(150)의 공극에 따라 공극보다 큰 파쇄타일(210')은 그 선별트레이(150)에 그대로 걸려지고, 공극보다 작은 파쇄타일(210')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선별트레이(150)으로 떨어지며 선별트레이(150) 마다 공극의 크기에 따라 파쇄타일(210')을 크기 별로 분류하고 가장 마지막에는 받침트레이(160)가 설치되어 파쇄타일(210')의 가장 작은 타일팁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진동발판(170)을 가압한 뒤 순간적으로 발을 때는 형태로 진동발판(170)이 스프링부(173)에 의해 흔들리면서 이동식 랙(110)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파쇄타일(210')이 선별트레이(150)를 용이하게 지나면서 선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홈 형성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홈 형성단계(S30)는 인테리어 가구(200)에서 파쇄타일(210')을 장식할 부분에 파쇄타일(210')이 매립될 수 있도록 장식홈(201)을 형성할 수 있다.
장식홈(201)은 인테리어 가구(200)의 일부분 예컨대, 도어, 상판, 다리, 측판 등의 부분 또는 인테리어 가구(200)에 전체적으로 파쇄타일(210')로 장식할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장식홈(201)은 파쇄타일(210')로 장식할 부분을 파내거나, 장식홈(201)의 둘레를 따라 측벽을 세우는 형태로 장식홈(201)을 형성할 수 있다.
장식홈(201)은 파쇄타일(210')이 완전히 매립될 수 있는 깊이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매립부재 설치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매립부재 설치단계(S40)는 장식홈(201)의 바닥에 파쇄타일(210')의 바닥부분 또는 끝단이 바닥부분에 매립될 수 있도록 매립부재(180)를 설치할 수 있다.
매립부재(180)는 접착제, 석고, 지점토, 또는 경화되어 굳어지는 에폭시 등 상온에서 액상 또는 겔상 또는 반죽상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상온에서 경화되는 재료이거나,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다가 자외선을 조사하면 경화되는 UV 경화성 또는 열을 가하면 경화되는 열경화성 재료일 수 있다.
여기서, 매립부재(180)는 장식홈(201)의 바닥이 상대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파쇄타일(210')을 무늬형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쉽게 유동될 수 있기 대문에 파쇄타일(2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파쇄타일(210')이 세워져 장식홈(201)에 안착될 때, 파쇄타일(210')의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끝단이 매립부재(180)에 매립됨으로써, 파쇄타일(210')의 돌출로 인한 찔림 등의 의한 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매립부재(180)는 미리 설정된 두께로 장식홈(20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무늬 도안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늬 도안단계(S50)는 장식홈(201)에 안착된 매립부재(180)의 상면에 파쇄타일(210')에 의한 무늬를 형성하도록 원하는 형태의 무늬를 도안할 수 있다.
무늬 도안단계(S50)는 매립부재(180)의 상면에 미리 설정된 도안대로 무늬를 그리거나, 무늬가 프린트된 프린트지를 매립부재(18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무늬를 도안할 수 있다.
여기서, 무늬 도안단계(S50)는 매립부재(180)에 따라 무늬가 도안된 프린트지를 매립부재(180)에 설치하거나, 매립부재(180)에 도료 또는 홈을 형성할 수 있는 도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도안을 그릴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타일 배치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타일 배치단계(S60)는 무늬 도안단계(S50)에서 도안된 무늬에 따라 파쇄타일(210')을 배치할 수 있다.
타일 배치단계(S60)는 색상별로 파쇄된 파쇄타일(210')을 무늬를 따라 마감타일(210)에 색상 또는 무늬가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마치 모자이크의 형태로 배차할 수 있다.
이때, 타일배치단계는 색상에 따라 무늬의 형태로 배치할 뿐만 아니라, 파쇄타일(210')의 선별된 크기에 따라 무늬의 위치 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파쇄타일(210')을 배치할 수 있으며, 파쇄타일(210')은 둘레가 불규칙한 파쇄타일(210')의 사이 간극이 최소화되도록 파쇄타일(210')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타일 배치단계(S60)는 타일 가압단계(S61)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 가압단계(S61)는 타일 배치단계(S60)에서 장식홈(201)에 배치된 파쇄타일(210')의 상면이 균일하거나,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파쇄타일(210')을 가압할 수 있다.
타일 가압단계(S61)는 바닥이 평편한 가압판을 통해 장식홈(201)에 안착된 파쇄타일(210')을 상부에서 가압할 뿐만 아니라, 가압되는 파쇄타일(210')의 바닥면이 매립부재(180)에 매립되어 이탈을 최소화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장식 마감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마감단계(S70)는 타일 배치단계(S60)에서 배치된 파쇄타일(210')을 그대로 고착되도록 마감부재(190)로 마감할 수 있다.
장식 마감단계(S70)는 장식홈(201)에 배치된 파쇄타일(210')의 상부에 마감부재(190)를 도포하거나,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형태로 마감할 수 있으며, 마감부재(190)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경화 후에 무늬형태로 배치된 파쇄타일(210')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다.
마감부재(190)는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경화되는 상온 경화제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UV 경화제 또는 열을 가하면 경화되는 열경화제 또는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은 타일을 색상 또는 무늬 별로 분류한 후, 타일파쇄기(100)에 반입하여 원하는 크기로 타일을 파쇄한다.
타일파쇄기(100)는 이동식 랙(110)의 상부에 타일을 파쇄하는 타일파쇄부(120)가 설치되며, 타일파쇄부(120)는 마감타일(210)을 충격하는 메인파쇄핀(131)이 형성된 메인파쇄플레이트(130)가 메인지지스프링(135)에 의해 지지되며,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선택파쇄플레이트(141)가 위치하고, 선택파쇄플레이트(141)는 선택지지스프링(147)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메인파쇄플레이트(130)의 중앙에는 메인작동손잡이(133)가 위치하며, 메인작동손잡이(133)의 내부에는 선택파쇄플레이의 선택작동손잡이(145)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식 랙(110)에서 반출구(125)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타일파쇄부(120)에 의해 파쇄된 파쇄타일(210')을 크기 별로 선별할 수 있는 선별트레이(150)가 설치되며, 선별트레이(150)는 원하는 크기 별로 파쇄타일(210')을 선별하도록 서로 다른 공극을 갖는 선별트레이(150)가 공극이 큰 순서대로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 개가 트레이설치부(115)에 선별트레이(150)의 트레이고리부(155)가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타일파쇄기(100)는 파쇄본체(121)의 반입구(123)에 마감타일(210)을 반입한 후에 마감타일(210)을 파쇄할 크기에 따라 선택파쇄손잡이 또는 메인작동손잡이(133)를 당겨 메인지지스프링(135) 또는 선택지지스프링(147)을 압축시키고, 압축된 상태에서 당김력을 해제하면, 메인파쇄플레이트(130) 또는 메인파쇄플레이트(130)와 선택파쇄플레이트(141)가 함께 마감타일(2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메인파쇄핀(131) 또는 선택파쇄핀(142)이 마감타일(210)에 충돌하면서, 파쇄되어 파쇄타일(210')이 제조된다.
그리고, 파쇄된 파쇄타일(210')은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선별트레이(150)를 통해 각 선별트레이(150)의 공극에 따라 파쇄타일(210')이 선별된다.
한편, 파쇄타일(210')이 선별되면, 인테리어가구에 파쇄타일(210')을 장식할 부분에 장식홈(201)을 형성하고, 장식홈(201)에는 파쇄타일(210')의 바닥부분을 매립할 매립부재(180)를 설치한다.
그리고, 매립부재(180)의 상면에 형성할 무늬에 따라 도안을 형성한 뒤 도안에 맞춰 파쇄타일(210')을 배치한다.
파쇄타일(210')이 배치되면, 파쇄타일(210')을 배치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 마감부재(190)를 도포하거나,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형태로 파쇄타일(210')을 마감하여 인테리어 가구(200)의 제조를 완료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200)는 파쇄타일(210')에 의해 장식된 인테리어 가구(200)는 기존의 타일의 규칙적인 형태로 탈피하여 불규칙적으로 파쇄된 파쇄타일(210')에 의해 무늬를 형성하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더 자연스러운 미감과 단조로움을 탈피한 고급스러운 미감을 제공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인테리어 가구(200)의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200)는 파쇄타일(210')을 무늬형태로 배치하여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심미감을 부여하여 구매자로 하여금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 마감타일(210)을 이용하여 장식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일파쇄기(100)를 이용하여 마감타일(210)을 충격하는 형태로 파쇄하여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파쇄된 형태의 파쇄타일(210')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트레이(150)에서 원하는 크기의 파쇄타일(210')을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파쇄타일(210')로 무늬를 형성할 때 용이하게 배치하여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타일파쇄기(100)에 선별작동부가 설치되어 원하는 크기의 파쇄타일(210')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본체(121)에 파쇄타일(210')을 반입하여 파쇄하고, 비산방지패드(129)가 설치되어 파쇄타일(210')을 파쇄 시 타일팁이 비산되어 작업자가 다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일파쇄기(100)가 이동식 랙에 설치되어 다양한 장소로 타일파쇄기(100)를 운반하여 타일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타일파쇄기 110: 이동식 랙
111: 선반 113: 바퀴
115: 트레이설치부 120: 타일파쇄부,
121: 파쇄본체 123: 반입구
125: 반출구 127: 반출도어
129: 비산방지패드 130: 메인파쇄플레이트
131: 메인파쇄핀 133: 메인작동손잡이
135: 메인지지스프링 140: 선택작동부
141: 선택파쇄플레이트 142: 선택파쇄핀
143: 핀공 145: 선택작동손잡이
147: 선택지지스프링 150: 선별트레이
151: 공극망 153: 경사부
155: 트레이고리부 160: 받침트레이
170: 진동발판 171: 걸침고리부
173: 스프링부 180: 매립부재
190: 마감부재 200: 인테리어 가구
201: 장식홈 210: 마감타일
210': 파쇄타일

Claims (8)

  1. 인테리어 가구에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으로서,
    건축물용 마감타일을 타일파쇄기에 넣고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타일을 제조하는 타일 파쇄단계,
    상기 파쇄타일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가구에 장식할 부분에 장식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
    상기 장식홈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장식홈에 상기 파쇄타일의 날카로운 부분이 상기 장식홈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장식홈의 바닥에 상기 파쇄타일이 일부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설치하는 매립부재 설치단계,
    상기 파쇄타일을 원하는 형태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상기 매립부재의 상면에 무늬를 도안하는 무늬 도안단계,
    상기 무늬 도안단계에서 도안된 무늬의 형태로 상기 파쇄타일을 배치하는 타일 배치단계, 및
    상기 타일 배치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파쇄타일이 상기 장식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부재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장식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배치단계는
    상기 파쇄타일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매립부재에 상기 파쇄타일이 일부 삽입되도록 상기 파쇄타일의 상부를 가압하는 타일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파쇄기는
    이동이 가능한 바퀴가 설치된 이동식 랙,
    상기 이동식 랙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일을 충격하는 형태로 상기 타일을 파쇄하는 타일파쇄부, 및
    상기 이동식 랙에서 타일파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일파쇄부에서 파쇄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파쇄타일을 걸러내는 공극을 갖는 선별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파쇄부는
    상기 마감타일을 충격하는 메인파쇄핀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메인파쇄플레이트,
    상기 메인파쇄핀이 상기 타일을 탄성력에 의해 충격하도록 상기 파쇄플레이트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메인지지스프링, 및
    상기 지지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상기 파쇄플레이트를 작동하는 메인작동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파쇄부는
    상기 메인파쇄플레이트에서 파쇄되는 파쇄타일보다 더 작은 크기로 선택하여 파쇄하는 선택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파쇄기는
    상기 선별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상기 파쇄타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쇄타일을 받는 받침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트레이는
    상기 선별트레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식 랙에 걸쳐지는 트레이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랙은
    상기 파쇄타일의 크기별로 분류되도록 공극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상기 선별트레이가 공극의 크기 차례로 상기 트레이고리부가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트레이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기재된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KR1020210183068A 2021-12-20 2021-12-20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KR10249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068A KR102499619B1 (ko) 2021-12-20 2021-12-20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068A KR102499619B1 (ko) 2021-12-20 2021-12-20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19B1 true KR102499619B1 (ko) 2023-02-14

Family

ID=8522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068A KR102499619B1 (ko) 2021-12-20 2021-12-20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6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688A (en) * 1987-08-25 1989-02-28 Inax Corp Production of mosaic decorative board
JPH06173408A (ja) * 1992-09-18 1994-06-21 Takayama Seito Kk タイル素体の製造方法並びに該タイル素体を用いてなるユニットタイル
KR200167426Y1 (ko) * 1999-08-06 2000-02-15 김금 테이블
JP3076063U (ja) * 2000-09-01 2001-03-16 株式会社カワケン タイル装飾板
KR100353614B1 (ko) * 2000-08-18 2002-09-27 최완희 모자이크용 크랙 아트 타일의 제조방법
KR20090046595A (ko) * 2007-11-06 2009-05-11 김장회 가구무늬 형성방법
CN212595903U (zh) * 2020-05-25 2021-02-26 四川三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瓷砖回收粗碎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688A (en) * 1987-08-25 1989-02-28 Inax Corp Production of mosaic decorative board
JPH06173408A (ja) * 1992-09-18 1994-06-21 Takayama Seito Kk タイル素体の製造方法並びに該タイル素体を用いてなるユニットタイル
KR200167426Y1 (ko) * 1999-08-06 2000-02-15 김금 테이블
KR100353614B1 (ko) * 2000-08-18 2002-09-27 최완희 모자이크용 크랙 아트 타일의 제조방법
JP3076063U (ja) * 2000-09-01 2001-03-16 株式会社カワケン タイル装飾板
KR20090046595A (ko) * 2007-11-06 2009-05-11 김장회 가구무늬 형성방법
CN212595903U (zh) * 2020-05-25 2021-02-26 四川三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瓷砖回收粗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7825B2 (en) Apparatus for forming blanks from fibrous material
EP32406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ngineered stone
KR100717111B1 (ko) 불규칙한 색상을 갖는 블록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050114616A (ko) 콘크리트 블록과 그 제조 방법
KR102499619B1 (ko) 파쇄타일을 이용한 인테리어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가구
US6159401A (en) Cementitious products
US2230778A (en) Apparatus for making tiles from plastic materials
KR20150116576A (ko) 야광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CN210062077U (zh) 形成人造石纹理的设备及生产线
US100357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quartz slab
CN205928972U (zh) 一种琉璃瓦压制模具
KR10045307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소품
US118839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ngineered stone slabs with variable width veins
KR102535863B1 (ko) 석재 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석재 장식품
JP3523219B6 (ja) 床仕上げ材の接合構造
KR102347229B1 (ko) 고무칩을 이용한 고무 테라조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테라조 타일
KR101763925B1 (ko) 석재 고정용 앵글 금형 장치
KR100601158B1 (ko) 인조 진주용 비드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3526303B6 (ja) 床仕上げ材の接合構造
JP2004202535A (ja) 空き缶潰し機
KR20150099941A (ko) 건축용 패널 제조장치
KR100532539B1 (ko) 폐지를 이용한 장식용품의 제조방법 및 그 장식용품
KR200368120Y1 (ko) 건축물용 장식석재구조
KR20020030846A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 및 외곽 절단 프레스 금형구조
KR200351752Y1 (ko) 인조 진주용 비드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