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86B1 -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 Google Patents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86B1
KR102499486B1 KR1020220111072A KR20220111072A KR102499486B1 KR 102499486 B1 KR102499486 B1 KR 102499486B1 KR 1020220111072 A KR1020220111072 A KR 1020220111072A KR 20220111072 A KR20220111072 A KR 20220111072A KR 102499486 B1 KR102499486 B1 KR 10249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balloon
pattern
weigh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잎
Original Assignee
김솔잎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솔잎 filed Critical 김솔잎
Priority to KR102022011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04B14/062Microsilica, e.g. colloïdal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에 관한 것으로서, 클레이 재료를 이용하여 풍선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의 장식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풍선을 이용한 파티 분위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토, 물풀,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클레이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을 실시하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와;(ST 1) 상기 반죽된 클레이 재료를 짤주머니(10)에 투입하는 짤주머니 투입단계와;(ST 2) 상기 짤주머니(10)를 압출하여 평면상에 클레이 문양(30)을 형성시키는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와;(ST 3') 상기 형성된 클레이 문양(30)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ST 4')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클레이 문양(30)을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20) 표면에 부착시키는 풍선 부착단계;(ST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Clay decorative balloon manufacturing method and clay decorative balloon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클레이 장식 풍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레이 반죽 재료를 풍선 표면에 장식하여 다양한 풍선 외관을 나타냄과 함께 실내 장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레이(Clay)아트는 다양한 색상의 점토재료를 이용하여 완구나 장난감 또는 장식물 등 다양한 형상 및 모양의 모형물 또는 학습용 교구를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돌잔치나 결혼식, 회갑연 등의 축하 자리에는 저 비용으로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풍선 장식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풍선 장식은 단순히 색상을 달리하는 풍선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중에 떠있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 장식 효과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12732호(2013.02.05.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337475호(2021.12.06.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풍선 장식에 클레이 아트 기술을 조합하여 입체적인 클레이 아트 효과를 나타내고,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함과 함께 실내 장식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작방법은, 점토, 물풀,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클레이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을 실시하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된 클레이 재료를 짤주머니에 투입하는 짤주머니 투입단계와; 상기 짤주머니를 이용하여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 표면에 문양을 형성시키는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와; 상기 형성된 클레이 문양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작방법은, 점토, 물풀,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클레이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을 실시하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된 클레이 재료를 짤주머니에 투입하는 짤주머니 투입단계와; 상기 짤주머니를 이용하여 평면상에 일정 문양을 형성시키는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와; 상기 형성된 클레이 문양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클레이 문양을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 표면에 부착시키는 풍선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클레이 재료를 이용하여 풍선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의 장식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어 파티 분위기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짤주머니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클레이 장식을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짤주머니를 이용하여 풍선에 클레이 장식 문양 형성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클레이 장식이 형성된 풍선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레이 장식이 형성된 풍선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과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클레이 장식 제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클레이 장식의 풍선 부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선 표면에 점착 스프레이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선 표면의 코팅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클레이 장식 풍선 실물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ST 1)
본 실시 예에서는 경량형의 클레이 점토 50~80중량%, 물풀 및 공업용풀 20~40중량%, 실리콘 겔 5~20중량%의 비율로 혼합 후 반죽하여 부드러운 크림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짤주머니 투입단계>(ST 2)
상기 일정 비율로 혼합 및 반죽이 이루어진 클레이 재료를 짤주머니(10)에 투입한다.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ST 3)
이후,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20)을 준비한 후, 도 2 및 도 3에서와같이 풍선(20) 표면에 짤주머니(10)를 압출하여 하트, 꽃, 동물모양 등과 같은 다양한 모양의 장식용 클레이 문양(30)을 형성시키게 된다.
<건조단계>(ST 4)
상기 형성된 클레이 문양(30)을 건조시키게 되면 클레이 문양(30)이 풍선(20) 표면에 접착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의 클레이 장식이 이루어진 풍선이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발명의 클레이 장식 풍선은,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 있게 되어 장식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특히, 기존에 풍선에 부착하는 조화나 장식품들은 그 무게로 인해 풍선이 잘 뜨지 않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의 클레이 문양(30)은 경량형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풍선의 부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이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클레이 재료를 이용하여 풍선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의 장식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게되어 파티 분위기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짤주머니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클레이 장식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ST 3')에서는 클레이 재료 반죽이 투입된 짤주머니(10)를 압출하여 평면상에 클레이 문양(30)을 형성시키고, 이후 건조단계(ST 4')를 수행한 후, 건조가 이루어진 클레이 문양(30)을 도 7에서와 같이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20) 표면에 부착시키는 풍선 부착단계(ST 5')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풍선 부착단계(ST 5')에서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ST 1)에서 반죽된 반죽 재료를 별도로 남겨두었다가 클레이 문양(30) 배면에 도포하여 풍선(20) 표면에 접착을 위한 접착제로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ST 1)에서는 이산화규소 및 아염소산 성분이 추가로 혼합되되, 클레이 점토 55~75중량%, 물풀 및 공업용풀 10~30중량%, 실리콘 겔 5~15중량%, 이산화규소 1~10중량%, 아염소산 1~5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클레이 재료에 이산화규소가 첨가되면 반죽 과정에서 기포 발생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클레이 문양(30)의 성형 품질 및 유동성이 향상되게 되고, 아염소산은 반죽 후 보관 과정에서 재료의 변질 및 변색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된다.
또한, 평면상에 먼저 클레이 문양(30)을 압출 성형한 후 별도로 풍선(20)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클레이 문양(30)의 성형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반죽재료를 접착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반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풍선 표면의 수축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풍선 부착단계(ST 5')에서는 클레이 문양(30)의 부착이 이루어질 풍선(20) 표면에 점착액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도포하여 점착 코팅층(21)을 박막으로 형성시킨 후 클레이 문양(30)의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점착액은 폴리솔베이트 1~10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5~20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10~30중량%, 실리콘수지 20~40중량%,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10~30중량%,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5~25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착 코팅층(21)을 풍선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 또는 붓 등을 이용한 도포 방식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풍선(20)의 표면 광택성 및 내구성이 향상됨과 함께 점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점착액에는 폴리솔베이트 및 에틸 아세테이트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풍선(20)의 광택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되며, 부틸렌 글라이콜 및 실리콘수지는 점착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는 실리콘수지의 촉매 기능을 통한 접착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는 점착액의 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점착 코팅층(21)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풍선(20)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쉽게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클레이 재료에는 물감이나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짤주머니 20 : 풍선
30 : 클레이 문양

Claims (6)

  1. 점토, 물풀,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클레이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을 실시하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와;(ST 1)
    상기 반죽된 클레이 재료를 짤주머니(10)에 투입하는 짤주머니 투입단계와;(ST 2)
    상기 짤주머니(10)를 압출하여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20) 표면에 클레이 문양(30)을 형성시키는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와;(ST 3)
    상기 형성된 클레이 문양(30)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T 4)
    를 포함하며,
    상기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ST 1)에서는 이산화규소 및 아염소산 성분이 추가로 혼합되되, 점토 55~75중량%, 물풀 10~30중량%, 실리콘 겔 5~15중량%, 이산화규소 1~10중량%, 아염소산 1~5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2. 점토, 물풀, 실리콘 겔을 포함하는 클레이 재료를 혼합하여 반죽을 실시하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와;(ST 1)
    상기 반죽된 클레이 재료를 짤주머니(10)에 투입하는 짤주머니 투입단계와;(ST 2)
    상기 짤주머니(10)를 압출하여 평면상에 클레이 문양(30)을 형성시키는 클레이 문양 형성단계와;(ST 3')
    상기 형성된 클레이 문양(30)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ST 4')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클레이 문양(30)을 헬륨가스가 주입된 풍선(20) 표면에 부착시키는 풍선 부착단계;(ST 5')
    를 포함하며,
    상기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ST 1)에서는 이산화규소 및 아염소산 성분이 추가로 혼합되되, 점토 55~75중량%, 물풀 10~30중량%, 실리콘 겔 5~15중량%, 이산화규소 1~10중량%, 아염소산 1~5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풍선 부착단계(ST 5')에서는 클레이 재료 반죽단계(ST 1)에서 반죽된 반죽 재료를 클레이 문양(30) 배면에 도포하여 풍선(20) 표면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풍선 부착단계(ST 5')에서는 클레이 문양(30)의 부착이 이루어질 풍선(20) 표면에 점착액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도포하여 점착 코팅층(21)을 박막으로 형성시킨 후 클레이 문양(30)의 부착이 이루어지되, 상기 점착액은 폴리솔베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 글라이콜, 실리콘수지,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풍선 표면에 클레이 장식 문양이 입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레이 장식 풍선.
KR1020220111072A 2022-09-02 2022-09-02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KR10249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072A KR102499486B1 (ko) 2022-09-02 2022-09-02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072A KR102499486B1 (ko) 2022-09-02 2022-09-02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486B1 true KR102499486B1 (ko) 2023-02-17

Family

ID=8532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072A KR102499486B1 (ko) 2022-09-02 2022-09-02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48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1727A1 (en) * 1997-08-29 1999-03-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int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2001198365A (ja) * 1999-11-08 2001-07-24 Transworld Information:Kk 外表面に水性インキで印刷可能な薄膜を形成させた合成樹脂フィルム製風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78940A1 (en) * 2001-04-20 2002-12-05 Kitchin Jonathan P. Ink jet transfer printing process
KR100846200B1 (ko) * 2007-02-05 2008-07-14 정재훈 점토 또는 종이죽으로 표면처리된 플라스틱 표면가공품 및이 플라스틱 표면가공품의 제조방법
JP2011000859A (ja) * 2009-06-22 2011-01-06 Sharp Kagaku Kogyo Kk 湿気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装飾品と立体装飾方法
KR20130012732A (ko) 2011-07-26 2013-02-05 황혜성 클레이 점토를 이용한 모형케익 및 그 제작방법
EP3178534A1 (en) * 2015-12-09 2017-06-14 Ballon Service Renes V.O.F. Kit for providing a colorable balloon
KR102337475B1 (ko) 2019-12-13 2021-12-09 김현주 색상 조합형 클레이 교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1727A1 (en) * 1997-08-29 1999-03-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int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2001198365A (ja) * 1999-11-08 2001-07-24 Transworld Information:Kk 外表面に水性インキで印刷可能な薄膜を形成させた合成樹脂フィルム製風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78940A1 (en) * 2001-04-20 2002-12-05 Kitchin Jonathan P. Ink jet transfer printing process
KR100846200B1 (ko) * 2007-02-05 2008-07-14 정재훈 점토 또는 종이죽으로 표면처리된 플라스틱 표면가공품 및이 플라스틱 표면가공품의 제조방법
JP2011000859A (ja) * 2009-06-22 2011-01-06 Sharp Kagaku Kogyo Kk 湿気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装飾品と立体装飾方法
KR20130012732A (ko) 2011-07-26 2013-02-05 황혜성 클레이 점토를 이용한 모형케익 및 그 제작방법
EP3178534A1 (en) * 2015-12-09 2017-06-14 Ballon Service Renes V.O.F. Kit for providing a colorable balloon
KR102337475B1 (ko) 2019-12-13 2021-12-09 김현주 색상 조합형 클레이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486B1 (ko) 클레이 장식 풍선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클레이 장식 풍선
US20130253103A1 (en) Toy putty material compositions
CN201021053Y (zh) 一种镶金工艺字画
US5044957A (en) Set of devices for fabricating colored plastic pictures or products and method of fabricating colored plastic pictures or products with use thereof
KR20110040942A (ko) 래커 패턴의 제조방법, 그것을 사용하여 형성된 래커 패턴 및 래커 패턴의 전시방법
CN1515431A (zh) 一种在基材上制作彩画的方法
KR100454548B1 (ko) 손톱 장식용 인조석 및 그 제작방법
KR20190020413A (ko) 레진을 이용한 다층구조 제조공법
CN101502353A (zh) 一种嵌入式彩画仿水晶手镯的制作工艺
CN1579813A (zh) 仿化石效果装饰板材制品及其制作方法
CN103223814B (zh) 纸粘土工艺国画及其制作方法
CN101941352B (zh) 一种制作具有奇幻图案漆画的方法
CN208280514U (zh) 金色水晶板及装饰板
CN1962285A (zh) Pvc金属涂层画、涂层配料及其制作工艺
CN104589898A (zh) 三维立体仿真油画的制作方法
CN204282721U (zh) 复合微晶石瓷砖
CN211390799U (zh) 一种带有硬性支撑及浇注保护层的装饰体
US744209A (en) Decor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044198B2 (ja) レジンアート造形体の製造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カラーリキッド
JP2001180196A (ja) 装飾工芸品とそれに使用する基材
CN103786513A (zh) 一种玉米皮装饰画的加工方法
KR100858164B1 (ko) 장식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0941142U (zh) 一种岩彩砂画
KR200383399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CN201472023U (zh) 一种可更换背景的漆线雕工艺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