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45B1 -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45B1
KR102499445B1 KR1020210032725A KR20210032725A KR102499445B1 KR 102499445 B1 KR102499445 B1 KR 102499445B1 KR 1020210032725 A KR1020210032725 A KR 1020210032725A KR 20210032725 A KR20210032725 A KR 20210032725A KR 102499445 B1 KR102499445 B1 KR 10249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exhaust duct
inner sleeve
flame
fireproof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646A (ko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고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고재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ublication of KR2022012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62C2/242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배기덕트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화염 및 유독성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에 있어서, 덕트가 삽입되고, 화염 및 화열에 의한 열에 반응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전재(2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간을 갖는 내부슬리브(100); 상기 내부 슬리브(100)에 의해 내측이 지지되되,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내화충전재(200);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부슬리브(300); 상기 내부슬리브(100);에 결합되어,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떠받치는 회전부재(400); 상기 내부슬리브(100)와 상기 회전부재(400)의 사이에 연결되어, 화염 및 화열에 의해 끊어지면서 회전부재(400)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퓨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Interfloor exhaust duct connection us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수직방향으로 시공되는 수직 배기 덕트의 층간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화염 및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는 공조시스템의 일환으로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가 설치되며, 이러한 배기덕트에는 실내외를 순환하는 공기의 양을 필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댐퍼가 설치된다.
배기덕트는 실내외의 환기의 측면에서는 매우 유용한 시설이지만,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평상 시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폐쇄상태로 전환하여 화염과 연기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하는 방화 댐퍼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건축물의 덕트에 장착되어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덕트에 있어서, 덕트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프레임을 가로 질러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샤프트 상에 각각 고정되어 프레임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샤프트들의 일측 끝단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 링크부재들과, 상기 수평 링크부재들을 모두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수평 링크부재들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단일 수직링크를 포함한 연결 링크; 상기 다수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 작동으로 회전축을 통해서 이에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및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중 최하단의 블레이드를 프레임 하부 모서리에 연결시키고, 103℃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으로 탈락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의 회전을 허용하여 댐퍼를 닫아주도록 된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을 포함하여 화재시에만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이 용융 탈락하고, 블레이드의 닫힘 상태를 외부에 설치된 연결 링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비상시에는 핸들부의 레버 조작을 통하여 닫힘 상태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댐퍼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화재 발생 시 블레이드만으로 댐퍼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단순히 칸막이 형태로 통로를 차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블레이들 간에 발생된 틈새와 댐퍼와 덕트 사이의 틈새를 통해 화염 및 유독성 연기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2177351호, 제 10-2201372호에는 열에 반응하여 팽창하는 것으로 층과 층 사이의 공간을 메꾸어 열화가 다른 층으로 번지지 못하도록 하는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덕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2177351호의 경우, 관 본체의 내부에 메쉬망이 설치된 구조로 인하여 평상 시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흐름이 방해되기 때문에 배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2201372호의 경우, 열에 반응하여 팽창된 내화충전재가 관 하부로 탈락되는 사용 안정성과 장착 신뢰성이 높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3204호(2013.07.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7351호(2020.11.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1372호(2021.01.05. 등록)
본 발명은 평상시 배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지되되, 화염발생 시, 팽창된 내화충전재가 관 하부로 떨어지거나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안전성과 장착 신뢰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본 발명은 층간 배기덕트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화염 및 유독성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에 있어서, 덕트가 삽입되고, 화염 및 화열에 의한 열에 반응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전재(2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간을 갖는 내부슬리브(100); 상기 내부 슬리브(100)에 의해 내측이 지지되되,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내화충전재(200);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부슬리브(300); 상기 내부슬리브(100);에 결합되어,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떠받치는 회전부재(400); 상기 내부슬리브(100)와 상기 회전부재(400)의 사이에 연결되어, 화염 및 화열에 의해 끊어지면서 회전부재(400)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퓨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슬리브(300)의 양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슬리브(10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슬리브(300)는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턱(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되, 관통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지지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400)는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10) 중 일부의 지지대에 결합하는 회전판(410);과 상기 회전판(410)을 일부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리벳(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부의 지지대는 상기 회전판(410)의 회전각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방지턱(11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퓨즈부(500)는 일측이 상기 회전판(410)과 연결된 회전판 고정퓨즈(510)와 상기 회전판 고정퓨즈(510)의 타측과 결합하되, 내부슬리브(100)의 내측과 연결된 내부슬리브 고정퓨즈(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평상시 배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지하되, 화염발생 시, 회전부재가 낙하하여,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팽창된 내화충전재가 관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회전부재 위에 적층되어, 관내의 공간을 밀폐시켜 화염과 연기가 배기관을 따라 위아래의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과 천정을 이루는 층간콘크리트 시공 전에 거푸집에 미리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정시킨 본 슬리브 양단의 상하부에서 배기덕트를 삽입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와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의 단면도를 나타내되, 내부슬리브와 외부슬리브의 결합된 모습의 확대도와 고정퓨즈부에 의해 내부슬리브와 회전부재가 연결된 모습의 확대도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건물 내 층간에 설치되어, 위아래 배기덕트가 결합된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화재발생시 화염에 의한 열에 반응하여, 내화충전재가 관통공간을 통해 팽창되되, 회전부재에 의해 덕트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층간 배기덕트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화염 및 유독성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에 있어서, 덕트가 삽입되고, 화염 및 화열에 의한 열에 반응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전재(2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간을 갖는 내부슬리브(100); 상기 내부 슬리브(100)에 의해 내측이 지지되되,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내화충전재(200);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부슬리브(300); 상기 내부슬리브(100);에 결합되어,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떠받치는 회전부재(400); 상기 내부슬리브(100)와 상기 회전부재(400)의 사이에 연결되어, 화염 및 화열에 의해 끊어지면서 회전부재(400)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퓨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슬리브(300)의 양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슬리브(10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외부슬리브(300)와 내부슬리브(1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슬리브가 상측과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양단은 외측으로 절걱되어, 내화충전재(200)가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120)은 상층과 하층에 설치되는 덕트(20)의 일단 또는 타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구조로 지지하여, 상기 덕트(20)의 상하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덕트(2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슬리브 내부에서 안정적이고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외부슬리브(300)는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턱(3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턱(310)은 상기 외부턱(310)은 외측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 걸리는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슬리브(10)가 층간콘크리트(C)에 단단히 고정 설치되어 덕트의 하중 등에 의해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덕트(20), 내부슬리브(100) 및 외부슬리브(300)의 결합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덕트(20)는 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의) 돌출부(21)와 슬리브(10) 양단이 만나는 부분의 틈새에는 실리콘 등으로 채워 간편하게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되, 관통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지지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10)는 회전부재 결합 지지대(111)와 중앙 지지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10)는 내화충전재(200)의 내측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10)는 화재 시 내화충전재(200)가 상기 관통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팽창된 내화충전재(200)에 의해 배기덕트의 내부가 신속하게 차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00)는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10) 중 일부의 지지대에 결합하는 회전판(410);과 상기 회전판(410)을 일부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리벳(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일부의 지지대는 회전부재 결합 지지대(111)에 해당되며, 상기 회전 부재 결합 지지대(111)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부재(1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재 체결홀(11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부의 지지대는 상기 회전판(410)의 회전각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방지턱(11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시 고정퓨즈부(500)가 고온에 녹아 회전판(410)이 중력에 의해 회전될 때, 회전방지턱(111a)에 의해 직각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회전판(410)이 서로 충돌 없이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퓨즈부(500)는 일측이 회전판(410)과 연결된 회전판 고정퓨즈(510)와 상기 회전판 고정퓨즈(510)의 타측과 결합하되, 내부슬리브(100)의 내측과 연결된 내부슬리브 고정퓨즈(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퓨즈부(500)는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범위에서만 용융되어 끊어지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온도 이하에서는 회전판 고정퓨즈(510)와 내부슬리브 고정퓨즈(5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회전판(410)이 내부슬리브(100)에 수평 내장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 고정퓨즈(510)와 내부슬리브 고정퓨즈(520)가 용융에 의해 결속이 해제되어, 회전판(410)이 회전 낙하됨으로써, 수직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410)은 앞서 언급되었듯이, 회전방지턱(410)에 의해 직각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호 충돌 없이 안정적으로 회적낙하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발생시 회전판(410)이 회전 낙하하여, 팽창된 내화충전재(2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팽창된 내화충전재가 덕트(20) 내지 관의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회전판(410)위에 적층되어, 덕트(20) 내지 관 내부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평상시 배기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지하되, 화염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배기관을 따라 위아래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10)는 덕트 내부에 내화충전재가 설치되지 않아, 수리가 필요할 경우, 덕트 전체를 교환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는 덕트의 연결부에 설치가능하도록 제조되어,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만 해체하여,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간편하게 제거 및 회수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 내지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화충전재(20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경우, 화염에 의한 열에 반응하여 팽창될 수 있게 되며, 인계 난연제 및 보조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비할로겐계 난연시스템으로 가장 주목 받고 있다. 적용되고 있는 인함유 화합물로는 적인과 포스파젠, 인산에스테르 계열의 화합물 등이 있다.
적인은 가공 중 유독물질로 알려진 포스핀(PH3)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표면 처리한 것이 사용되며, 색상문제로 인하여 나일론과 PBT수지를 이용한 내장 부품에 한정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인계 난연제는 인산에스테르(phosphates)화합물이다. 화학구조가 안정적이고 가소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어, 난연수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성과 내후성이 양호하다.
상기 보조 난연제는 난연성의 주기능과 더불어 내화충전재(200)의 강도 및 점도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삼산화안티몬, 붕산아연, 몰리브덴 화합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난연제가 삼산화안티몬 5~20중량%, 10~30μ의 입경을 갖는 붕산아연 5~20중량%, 몰리브덴 화합물 10~2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0~3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15~30중량%로 구성될 경우, 난연성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붕산아연의 경우, X선 회절(Cu-kα)에서 면 지수 (020), (101) 및 (200)의 회절 피크로부터 구한 결정자(crystallite) 크기가 40.0 nm 이상이고, 원자 흡광법으로 측정한 나트륨 성분의 함유량이 100 ppm 이하이며,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측정시 개개의 입자가 독립적인 마름모형 육면체이고, 각 입자의 한 변의 길이가 0.3 내지 7.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이용할 경우, 나트륨 성분이 현저하게 저감되어, 분산성이 우수하고, 보조 난연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아, 난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의 경우, 실리카, 알루미늄,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화물이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의 표면에 10~400nm의 두께로 코팅된 것을 이용하여, 더욱 개선된 물성, 내열성 및 난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실리카, 알루미늄, 지르코니아가 각각 1:0.5:1 중량비로 혼합된 산화물이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의 표면에 10~400nm의 두께로 코팅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난연제의 첨가로 인해 난연제의 대량 배합의 필요성을 낮출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난연제 중 붕산아연은 연기 발생을 억제하는 특성인 억연성을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난연제의 함량이 적으면 난연성 상승 효과와 억연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함량이 높으면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기계적 특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의 제조방법은 a) 외측으로 양단이 절곡되고,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관통공간이 형성된 내화슬리브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에 내화충전재의 내측을 지지시키는 단계; c) 외부슬리브로 상기 내화충전재의 외측을 지지시킨 후, 상기 외부슬리브의 양단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은 용접 내지 접착제의 사용 등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a)는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는 상기 외부슬리브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내부슬리브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한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100: 내부슬리브
110: 복수개의 지지대
111: 회전부재 결합 지지대
111a: 회전방지턱
111b: 회전부재 체결홀
112: 중앙지지대
120: 돌출턱
200: 내화충전재
300: 외부슬리브
310: 외부턱
400: 회전부재
500: 고정퓨즈부
510: 회전판 고정퓨즈
520: 내부슬리브 고정퓨즈
S: 관통공간
20: 배기덕트
21: 돌출부
C: 층간콘크리트

Claims (9)

  1. 층간 배기덕트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화염 및 유독성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에 있어서,
    덕트가 삽입되고, 화염 및 화열에 의한 열에 반응하여 팽창하는 내화충전재(2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간을 갖는 내부슬리브(100);
    상기 내부 슬리브(100)에 의해 내측이 지지되되,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내화충전재(200);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부슬리브(300);
    상기 내부슬리브(100);에 결합되어, 팽창된 내화충전재를 떠받치는 회전부재(400);
    상기 내부슬리브(100)와 상기 회전부재(400)의 사이에 연결되어, 화염 및 화열에 의해 끊어지면서 회전부재(400)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퓨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리브(300)의 양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슬리브(10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슬리브(300)는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턱(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슬리브(100);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되, 관통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복수개의 지지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00)는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10) 중 일부의 지지대에 결합하는 회전판(410);과 상기 회전판(410)을 일부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리벳(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지지대는 상기 회전판(410)의 회전각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방지턱(11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퓨즈부(500)는 일측이 상기 회전판(410)과 연결된 회전판 고정퓨즈(510)와 상기 회전판 고정퓨즈(510)의 타측과 결합하되, 내부슬리브(100)의 내측과 연결된 내부슬리브 고정퓨즈(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9. 삭제
KR1020210032725A 2021-03-05 2021-03-12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9552 2021-03-05
KR1020210029552 2021-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46A KR20220125646A (ko) 2022-09-14
KR102499445B1 true KR102499445B1 (ko) 2023-02-14

Family

ID=8327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725A KR102499445B1 (ko) 2021-03-05 2021-03-12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4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47B1 (ko) * 2013-06-05 2014-02-12 (주)영진에스피산업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KR101514834B1 (ko) * 2013-09-17 2015-04-27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204B1 (ko) 2011-09-05 2013-07-0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방화용 댐퍼
KR102177351B1 (ko) 2020-04-07 2020-11-11 ㈜세이프코리아 내화 충진망을 갖는 방화댐퍼
KR102201372B1 (ko) 2020-06-11 2021-01-11 (주)세이프코리아 입상덕트 또는 에어덕트 또는 사각덕트용 내화 슬리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47B1 (ko) * 2013-06-05 2014-02-12 (주)영진에스피산업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KR101514834B1 (ko) * 2013-09-17 2015-04-27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46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2045B (zh) 用于飞行器机身的防火隔板
CA2787642C (en) Means for firestopping a curtain wall construction
US7427147B2 (en) Lighting assemblies
KR102499445B1 (ko)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CN209781772U (zh) 一种防火止回阀
JP2008138476A (ja) 換気装置付き玄関扉ならびに換気パネル
US20060109612A1 (en) Mounting assembly with intumescent layer for downlighters
JP2000144956A (ja) 中高層共同住宅の換気構造
JP6140434B2 (ja) サッシ
JPH0497761A (ja) 建物開口部の自動防炎構造
KR102296040B1 (ko) 불연마감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건축물의 화재안전보강시공방법
JP2022132397A (ja) 開口部建材
KR20220001850U (ko) 비연속 내화충전재 일체형 방화덕트 시스템
CN210135282U (zh) 一种具有锁紧机构的防火止回阀
KR102588766B1 (ko) 내화충전재 보관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163B1 (ko) 배기덕트용 방화 댐퍼
KR102557838B1 (ko)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00163A (ko) 차열 성능이 향상된 덕트용 방화댐퍼
JP6112844B2 (ja) サッシ
KR100399105B1 (ko) 통기성 커튼월의 창호부와 인접한 외벽판부의방화구획설치구조
JP2011236728A (ja) 通風機能付防火扉。
KR102347169B1 (ko) 내화 채움재가 내장된 페놀덕트용 사각 슬리브
DE10158042C1 (de) Gehäuse aus feuerhemmendem Material
CN209705363U (zh) 一种防火阀
US20230142841A1 (en) Meltable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