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79B1 -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79B1
KR102498879B1 KR1020220081730A KR20220081730A KR102498879B1 KR 102498879 B1 KR102498879 B1 KR 102498879B1 KR 1020220081730 A KR1020220081730 A KR 1020220081730A KR 20220081730 A KR20220081730 A KR 20220081730A KR 102498879 B1 KR102498879 B1 KR 10249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information
manager
wash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1Control mechanis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형성가능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보내 유지 관리토록 하기 위한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ICT and augmented reality-based water supply network maintenance system using smart pig}
본 발명은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형성가능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보내 유지 관리토록 하기 위한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을 설치한 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수관 내면에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이 퇴적하거나 상수관 내면이 산화되면서 녹 등이 생성되어 스케일(scale)층이 형성된다.
상수관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스케일층이 형성되면 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수압을 떨어드리고, 부패한 스케일층으로부터 역으로 물속으로 녹아드는 불순물에 의해 수질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수관은 주기적으로 내벽에 퇴적 또는 부착된 스케일, 슬러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
세척 작업의 일 예로는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피그를 상수관에 투입하고 피그를 상수관의 내부에서 이 동시키면서 피그와 상수관의 내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수관의 내벽에 퇴적된 이물질을 박리시켜 상수관의 내부를 세척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피그를 이용하여 상수관을 세척하는 방식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751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방식은 단순히 한 개의 피그를 상수관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면서 이물질을 제거 하므로, 상수관의 내벽에 퇴적된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피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방식은 세척 전에 상수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피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방식은 세척 후에 상수관 내부의 세척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상수관 세척 방법으로는 고압질소를 상수관에 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고압질소 공법은 신속한 세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량의 질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안전성 문제와 상수관 내부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수관망 세척 및 그의 유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90833 (2017.07.18)호 "가이드커넥터와 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장치(Guide connector and using that water pipe cleaning device)"는 동일한 형상의 두 개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내부에 액체가 이동되는 통로로 구비된 제1,제2커넥터(50)와, 상기 두 개의 제1,제2커넥터(50)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액체가 이동되는 통로가 구비된 중앙커넥터(6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2커넥터(50)는 제1,제2커넥터몸체(52)와, 상기 제1,제2커넥터몸체(52)의 일측에 액체가 유입되는 제1,제2커넥터출입구(51)와, 상기 제1,제2커넥터몸체(52)의 다른 일측에 4개로 분기된 제1,제2커넥터파이프연결부(53)와, 상기 4개로 분기된 제1,제2커넥터파이프연결부(53)에 각각 설치된 제1,제2커넥터밸브(54)로 구성된 구조이고, 상기 중앙커넥터(60)는 중앙커넥터몸체(62)와, 상기 중앙커넥터몸체(62)의 중앙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된 4개의 중앙커넥터파이프좌,우측연결부(61,63)로 구성된 가이드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1-0061684(2021.05.13)호 "상수관로 세척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로 세척방법(Water pipe washing device and water pipe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은 물때가 생성된 노후 상수관로 내부에 고온고압의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물때의 대류열전달과 강력한 난류 유동에 의해 물때의 수분을 신속히 증발로 급속 건조가 이루어지고, 건조로 인해 물때 표면이 수축됨에 따라 물때의 탈리를 유도하며, 건조된 물때에 수분이 공급되면 팽창하면서 부풀어 오르는 팽윤작용에 의해 물때가 상수관로 내벽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상수관로의 세척이 용이하고, 또한 시공 및 세척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에어베어링을 적용한 초고속 회전 터보팬으로 고온고압의 공기를 생산하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하여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상수관로 세척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로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37278 (2007.04.17)호 "상수관로 세척수 정화장치(Disposal Unit of Cleaning Water in Water Distribution System)"는 상수관로 세척 시 발생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Fe, Mn, Al 등)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출수를 사이클론에 통과시켜 입자상 물질을 응축 제거하되 이에서 나아가, 사이클론의 내실(2) 중앙에 절두원추 형상의 유도관(conical vane; 4)을 결합함으로서 입자상물질의 응집(coagulation) 효과를 향상시켜 배출수의 높은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32373(2007.04.02)호 "상수관로 복합세척 방법(Sequential pipeline cleaning Method in Water Distribution System)"은 상수관로의 정기적 유지관리를 위한 복합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수관로 조사 및 기록과 세척 준비단계, 굴착단계, 관 절단 및 제거단계, 피그런처 및 리시버 설치단계, 폴리피그 장착단계, 1차 폴리피그 세척단계, 내벽스케일 을 부식 연질화하기위한 산성세척제 투입단계 및 2차 폴리피그 세척단계, 부식억제제 및 염소 투입단계, 세척수 처리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세척수처리단계에 부직포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후처리단계를 부가하여 세척수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상세히 관찰하고 유지 관리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고, 특히 ICT 및 AR 기술에 기반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90833 (2017.07.18)호 "가이드커넥터와 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장치(Guide connector and using that water pipe clean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1-0061684(2021.05.13)호 "상수관로 세척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로 세척방법(Water pipe washing device and water pipe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37278 (2007.04.17)호 "상수관로 세척수 정화장치(Disposal Unit of Cleaning Water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32373(2007.04.02)호 "상수관로 복합세척 방법(Sequential pipeline cleaning Method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형성가능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보내 유지 관리토록 하기 위한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은,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94)를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및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로 보내 유지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관리하면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관리자 등록 모듈(320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자 등록 모듈(320a)은,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세척을 수행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 그리고 세척을 수행한 각 카테고리별 상수관의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및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자 등록 모듈(320a)은, 카테고리 정보,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하나의 상수관 단위 정보로 생성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관 단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상수관 단위 정보"를 단위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 피그(40)에는 수질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은,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보내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 중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 중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중 제어장치부(53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 중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검 피그(9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검 피그(9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에 의한 상수관 세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은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형성가능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보내 유지 관리토록 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네트워크(200),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 중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관리자 등록 모듈(320a),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 및 재세척 제공 모듈(320c)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등록 모듈(320a)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관리하면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 등록 모듈(320a)은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세척을 수행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 그리고 세척을 수행한 각 카테고리별 상수관의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및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 저장하되, 카테고리 정보,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하나의 상수관 단위 정보로 생성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관 단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상수관 단위 정보"를 단위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척 피그(40)에는 수질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다른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관리하면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로부터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 운영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현재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부착된 GPS 모듈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현재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위치 정보와 현재까지의 이동 방향 정보를 활용하여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가 세척하려는 상수관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400) 상의 전자 지도에서의 접근한 상수관에 대한 상수관 카테고리(도로, 주택, 공공시설 용 등)를 추출하거나,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에 대한 이동 제어 명령에 포함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추출된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상수관 단위 정보"를 모두 추출한 뒤, 추출된 상수관 단위 정보 상의 세척 전후 형상 중 세척 후 형상과 현재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촬영된 영상 비교를 통해 유사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개수와 비례하는 우순 순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정보가 동일한 경우, 매칭되는 균열 간의 위치의 유사도를 가중치로 연산하여, 가중치가 높은 것을 최종 우선 순위 정보로 상수관 단위 정보를 추출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상수관 단위 정보에서 기존 촬영을 수행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회원 ID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현재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활용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로그인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세척을 수행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 그리고 세척을 수행한 각 카테고리별 상수관의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및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 저장하되, 카테고리 정보,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하나의 상수관 단위 정보로 생성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관 단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고, 이전의 동일한 상수관에 대한 상수관 단위 정보를 히스토리 정보로 시간의 흐름 순으로 저장할 수 있다.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다음 번의 세척을 위한 주기가 도래한 경우, 위관리자 모바일 정보(5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상수관(3)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해당하는 회원 ID 중 상수관(3)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관리자 모바일 정보(500)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회원 ID가 복수개가 있는 경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균열에 따른 세척이 요구되는 상수관(3)에 대한 목적 위치로 도달한 시점부터 세척에 대한 완료 신호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가 가장 짧은 회원 ID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추출된 회원 ID에 해당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대해서 상수관의 세척을 위해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가 이동한 목적 위치 정보로의 이동 명령을 전송하도로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서, 기존에 유사한 상수관에 대해서 능숙한 경험을 갖춘 유지 세척을 위한 관리자가 균열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세척 제공 모듈(320c)은 세척이 완료된 이후, 세척된 상수관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질의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 이상으로의 악화가 발생한 경우, 세척을 수행한 관리자 ID에 대한 수질 악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수관(3)에도 수질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재세척 제공 모듈(320c)은 미리 설정된 수질 악화 정보의 횟수를 초과한 관리자 ID를 추출한 뒤,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에 의한 균열에 대한 세척을 위한 관리자 ID 추출시 배제할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 중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중 제어장치부(53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카메라(94)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부(530), 저장부(540), 송수신장치부(550), 입출력부(560), 그리고 위치정보 수신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수신부(580)는 GPS 수신장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부(530)는 정보 수집 모듈(531), 이동 제어 모듈(532), 탐지 모듈(533), 촬영 모듈(533), 오버랩 모듈(535), 적산 모듈(53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모듈(531)은 입출력부(5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송수신장치부(550)를 통해 수신된 목적 위치 정보를 저장부(540) 상에 저장한 뒤, 위치정보 수신부(580)를 통해 수신되는 GPS 위치 정보에 따라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 위치 정보로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이동장치부에 대한 제어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 수집 모듈(531)은 입출력부(5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송수신장치부(550)를 통해 수신된 대상 상수관 이미지를 저장부(540) 상에 목적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동 제어 모듈(532)은 GPS 위치 정보가 목적 위치 정보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94)에 대한 제어를 통해 촬영을 수행한 뒤, 촬영된 영상과 입출력부(5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송수신장치부(550)를 통해 수신된 대상 상수관 이미지에 대한 영상 비교를 통해 대상 상수관에 대한 촬영 위치로 이동하도록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이동장치부에 대한 제어를 통해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촬영 모듈(533)은 실시간 탐지된 좌표에 대해서 Ultra High Definition 기반의 카메라(94)와 연결된 카메라 구동부(120a)에 대한 팬/필트/요잉을 통한 촬영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세척 전후의 상수관에 대한 고화질 이미지 영상을 획득한 뒤, 고화질 이미지 영상을 저장부(540) 상에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중 제어장치부(530)의 기능을 설명하면, 제어장치부(53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된 AR(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상수관 세척 앱 아이콘에 대한 관리자의 선택에 따른 실행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하나의 상수관에 대한 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한 뒤, 식별 ID에 해당하는 목적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부(530)는 상수관 단위 정보, 그리고 히스토리 정보에 대해서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상수관 단위 정보에 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한 뒤, 저장부(540) 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부(530)는 상수관 단위 정보"에 대한 카메라(94)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과, 동영상에서 각 포인트 좌표에 대한 촬영된 이미지 영상에 해당하는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의 집합을 기재한 오버랩 AR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함으로써,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오버랩 AR 정보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의 영상 비교를 통해 매칭시 매칭되는 시점에서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상에 오버랩 AR 정보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의 포인트 좌표의 매칭되는 픽셀에 대해서 포인트 좌표 동기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트 좌표 동기화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이미지 영상에 포인트 좌표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터치스크린 상으로 제공됨으로써,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는 포인트 좌표를 중심으로 상수관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척에 대한 완료 신호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시 완료 신호 입력 시점에서 제어장치부(53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서 제공된 이미지 영상과 오버랩된 포인트 정보 상에서의 각 포인트 좌표 상의 세척 완료 여부를 분석하고 세척 완료에 대한 최종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제공함으로써, 각 균열에 대한 세척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해 세척된 균열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 중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는 제 1 T형 플랜지관(10), 제 2 T형 플랜지관(20), 세척 피그 조립체(30),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 제 1 감김 장치(70), 및 제 2 감김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T형 플랜지관(10)은 세척할 상수관(3)의 일단 부근에 설치된다. 제 1 T형 플랜지관(10)은 지면(5)을 굴착하여 상수관(3)을 노출시킨 후, 상수관(3)의 일부를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1 T형 플랜지관(10)을 설치하기 전에 세척할 부분의 상수관(3)의 일단은 인접한 곳에 설치된 제 1 제수변을 이용하여 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제 1 T형 플랜지관(10)은 머리부(11)의 양단은 절단된 상수관(3)에 연결하고, 다리부(12)는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제 1 T형 플랜지관(10)은 머리부(11)의 지름은 상수관(3)의 지름과 동일하고, 다리부(12)의 지름은 상수관(3)의 지름보다 큰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머리부(11)의 일단에는 물이 흐르는 것을 개폐하는 제 1 밸브(13)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밸브(13)를 개방하면, 제 1 T형 플랜지관(10)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고, 제 1 밸브(13)를 닫으면, 제 1 T형 플랜지관(10)을 통해 물이 흐르지 않는다.
제 2 T형 플랜지관(20)은 제 1 T형 플랜지관(1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수관(3)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 2 T형 플랜지관(20)은 제 1 T형 플랜지관(10)에서 상수관(3)을 따라 약 1Km 정도 거리가 떨어진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T형 플랜지관(20)은 지면(5)을 굴착하여 상수관(3)을 노출시킨 후, 상수관(3)의 일부를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2 T형 플랜지관(20)을 설치하기 전에 세척할 부분의 상수관(3)의 타단은 인접한 곳에 설치된 제 2제수변을 이용하여 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제 2 T형 플랜지관(20)은 제 1 T형 플랜지관(10)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T형 플랜지관(20)은 머리부(21)의 양단은 절단된 상수관(3)에 연결하고, 다리부(22)는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제 2 T형 플랜지관(20)은 머리부(21)의 지름은 상수관(3)의 지름과 동일하고, 다리부(22)의 지름은 상수관(3)의 지름보다 큰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T형 플랜지관(20)의 머리부(21)의 일단에는 물이 흐르는 것을 개폐하는 제 2밸브(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밸브(23)를 개방하면, 제 2 T형 플랜지관(20)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고, 제 2밸브(23)를 닫으면, 제 2 T형 플랜지관(20)을 통해 물이 흐르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세척 피그 조립체(30)는 상수관(3)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수관(3)의 내부에 설치된다. 세척 피그 조립체(30)는 견인 와이어(31)와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31)는 세척 피그 조립체(30)가 이동하는 동안 수압에 저항하며, 인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내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견인 와이어(31)는 인장강도, 내구성, 탄성 등이 뛰어난 아라미드계 섬유(Aramid), 마찰 감소에 효과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31)는 제 1 T형 플랜지관(10)과 제 2 T형 플랜지관(20)을 통해 제 1 감김 장치(70)와 제 2 감김 장치(8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견인 와이어(31)의 일단은 제 1 T형 플랜지관(10)을 통해 제 1 감김 장치(7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T형 플랜지관(20)을 통해 제 2 감김 장치(80)에 연결된다. 제 1 감김 장치(70)와 제 2 감김 장치(80)는 각각 견인 와이어(31)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감김 장치(70)가 견인 와이어(31)를 감으면, 제 2 감김 장치(80)는 견인 와이어(31)를 풀어 견인 와이어(31)가 긴장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제 2 감김 장치(80)가 견인 와이어(70)를 감는 경우에는, 제 1 감김 장치(70)가 견인 와이어(31)를 풀어 견인 와이어(31)가 긴장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감김 장치(70, 80)의 일 예로는 견인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는 크레인차, 윈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 피그(40)는 견인 와이어(31)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세척 피그(40)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한 개의 세척 피그(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척 피그(40)는 고정부재(41), 선회부재(43), 및 세척부재(4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1)는 견인 와이어(31)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1)는 견인 와이어(31)에 고정되어 견인 와이어(31)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4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1)의 내부에는 견인 와이어(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41)의 양단에는 견인 와이어(31)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선회부재(43)는 고정부재(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선회부(43)는 고정부재(4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선회부재(43)는 복수의 블레이드(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45)는 고정부재(4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회부재(43)는 고정부재(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부(44), 중심부(44)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5), 및 복수의 블레이드(45)의 선단에 설치되는 원통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부재(43)가 고정부재(41)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와 선회부재(43)의 중심부(44) 사이에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으로는 미끄럼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원통부(46)는 중심부(44)와 동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45)는 중심부(44)와 원통부(46)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45)의 일단은 중심부(44)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원통부(46)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선회부재(43)의 중심부(44), 복수의 블레이드(45), 및 원통부(4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45)는 상수관(3)을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물이 흐르는 상수관(43)을 따라 세척 피그(40)를 이동시키면, 복수의 블레이드(45)에 의해 고정부재(41)를 중심으로 선회부재(43)가 회전할 수 있다.
선회부재(43)는 상수관(3)의 안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회부재(43)는 상수관(3)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선회부재(43)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세척부재(47)는 선회부재(43)의 원통부(46)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선회부재(43)의 외주면의 전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상수관(3)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세척부재(47)는 브러시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중공의 원통형 브러시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선회부재(43)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 브러시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선회부재(43)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선회부재(43)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상수관(3)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선회부재(43)가 회전하면, 세척부재(47)가 선회부재(43)와 일체로 회전하여 상수관(3)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세척부재(47)는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 피그 조립체(30)를 형성하는 복수의 세척 피그(40) 각각의 원통형 브러시(47)는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세척 피그(40) 각각의 원통형 브러시(47)는 상수관(3) 내면의 이물질을 거칠은 제거로부터 다듬질 제거까지 여러 단계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거칠기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 피그 조립체(30)가 4개의 세척 피그(40)를 포함하는 경우에, 선두의 첫번째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는 가장 거친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거칠기가 가장 큰 소재로 형성하고, 2번째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는 다음으로 거친 제거, 즉 첫번째 세척 피그(40)보다 거칠지 않은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거칠기가 다음으로 큰 소재로 형성한다. 3번째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는 그 다음으로 거친 제거, 즉 첫번째 및 2번째의 세척 피그(40)보다 거칠지 않은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거칠기가 작은 소재로 형성한다. 마지막인 4번째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는 다듬질 제거, 즉, 첫번째, 두번째, 및 세번째 피그(40)보다 거칠지 않은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거칠기가 가장 작은 소재로 형성한다.
여기서, 거칠은 제거는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가 상수관(3)의 내면에 부착 또는 형성된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의 많은 결절 중 크기가 큰 결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 거칠은 제거는 제일 거친 제거를 수행하는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결절 중 크기가 큰 결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그 다음 거칠은 제거는 다음 거칠은 제거를 수행하는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결절 중 크기가 큰 결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다듬질 제거는 거칠은 제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결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예로는, 세척 피그 조립체(30)가 4개의 세척 피그(40)를 포함하는 경우에, 선두의 2개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는 거칠기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고, 후방의 2개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도 거칠기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선두의 2개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의 거칠기는 후방의 2개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의 거칠기보다 크다.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선회부재(43)는 한 개의 고정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고정부재(41)의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선회부재(4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개의 고정부재(41)에 복수의 선회부재(4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면,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견인 와이어(31)에 설치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는 제 1 T형 플랜지관(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는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다리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는 견인 와이어(31)를 안내하여 견인 와이어(31)가 상수관(3)과 제 1 T형 플랜지관(10)에 접촉하지 않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31)가 상수관(3)과 제 1 T형 플랜지관(10)에 접촉하면, 견인 와이어(31), 상수관(3), 및 제 1 T형 플랜지관(10)이 손상될 수 있다.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는 고정부(51)와 안내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1)는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다리부(12)를 덮을 수 있도록 일단이 막힌 원통으로 형성된다. 고정부(51)는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다리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51)를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다리부(12)에 삽입하면,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가 제 1 T형 플랜지관(10)에 고정된다.
안내관(55)은 고정부(51)의 천정의 중앙에서 아래를 향해 연장되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1)의 천정의 중앙에는 견인 와이어(31)가 통과하는 관통공(52)이 형성되며, 관통공(52)에 안내관(55)이 설치된다. 안내관(55)의 하단에는 풀리(57)가 설치된다.
풀리(57)는 견인 와이어(31)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치된다. 즉, 풀리(57)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견인 와이어(31)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는 제 2 T형 플랜지관(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는 제 2 T형 플랜지관(20)의 다리부(22)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는 견인 와이어(31)를 안내하여 견인 와이어(31)가 상수관(3)과 제 2 T형 플랜지관(20)에 접촉하지 않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31)가 상수관(3)과 제 2 T형 플랜지관(20)에 접촉하면, 견인 와이어(31), 상수관(3), 및 제 2 T형 플랜지관(20)이 손상될 수 있다.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는 고정부(61), 안내관(65), 및 풀리(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의 고정부(61), 안내관(65), 및 풀리(67)는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의 고정부(51), 안내관(55), 및 풀리(57)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감김 장치(80)에 감긴 견인 와이어(31)는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를 통해 상수관(3)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인 와이어(31)를 제 1 및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60)로 안내하면, 제 1 감김 장치(70)와 제 2 감김 장치(80)로 견인 와이어(31)를 견인할 때, 견인 와이어(31)가 제 1 및 제 2 T형 플랜지관(10, 20)에 접촉하여 T형 플랜지관을 손상시키거나 상수관(3)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견인 와이어(31)가 제 1 및 제 2 T형 플랜지관(10,2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감김 장치(70)는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를 통해 안내되는 견인 와이어(31)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1 감김 장치(70)는 제 1 T형 플랜지관(10)에 인접하게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감김 장치(80)는 일정 길이의 견인 와이어(31)를 감고 있으며, 견인 와이어(31)가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를 통해 제 2 T형 플랜지관(2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견인 와이어(31)를 풀어 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2 감김 장치(80)는 제 2 T형 플랜지관(20)에 인접하게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감김 장치(70)가 견인 와이어(31)를 잡아당기면, 제 2 감김 장치(80)에 감긴 견인 와이어(31)가 풀리면서, 견인 와이어(31)에 설치된 세척 피그(40)가 이동하게 된다.
다른 예로, 본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30)는 적어도 한 개의 점검 피그(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검 피그(9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점검 피그(90)는 견인 와이어(31)에 설치되어 견인 와이어(31)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점검 피그(90)는 세척 피그(40)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점검 피그(90)의 선단과 후단에는 견인 와이어(31)가 연결되는 연결부(92)가 마련될 수 있다. 견인 와이어(31)의 일단은 연결부(9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점검 피그(90)는 세척 피그(40)로 상수관(3)의 내면을 세척하기 전에 상수관(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점검 피그(90)는 세척 피그(40)로 상수관(3)의 내면을 세척한 후, 세척된 상수관(3)의 내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검 피그(90)는 세척전 점검 피그와 세척후 점검 피그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전 점검 피그와 세척후 점검 피그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점검 피그(90)를 세척전 점검 피그와 세척후 점검 피그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30)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1)에 사용되는 점검 피그(9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검 피그(9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점검 피그(90)는 하우징(91), 전원부(93),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조명부(95), 데이터 저장부(9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1)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91)의 내부에는 전원부(93), 조명부(95),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데이터 저장부(96)가 수용된다.
하우징(91)의 전단과 후단 각각에는 견인 와이어(31)가 연결되는 연결부(92)가 마련된다. 연결부(92)에는 견인 와이어(31)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91)의 양단의 연결부(92)에 견인 와이어(31)를 고정하면 점검 피그(90)는 견인 와이어(31)에 의해 상수관(3)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91)의 전면(91a)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 설치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하우징(91)의 전면(91a)을 통해 상수관(3)의 내면을 촬영할 수 있다.
전원부(93)는 데이터 저장부(96), 조명부(95),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로 형성된다. 전원부(93)는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일정 길이의 상수관(3)의 내면 전둘레를 촬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하우징(91)의 전면(91a)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투명한 하우징(91)의 전면(91a)을 통해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할 수 있다.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점검 피그(90)가 견인 와이어(31)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95)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가 상수관(3)의 내면을 촬상할 수 있도록 상수관(3)의 내부에 조명을 제공한다. 조명부(95)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96)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가 촬상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데이터 저장부(96)로는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는 데이터 저장부(96)에 저장된다.
하우징(91)은 전원부(93)를 교체하고, 데이터 저장부(96)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다운 받을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점검 피그(90)는 견인 와이어(31)에 의해 상수관(3)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상수관(3)의 내면을 정확하게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점검 피그(90)는 팽팽하게 당겨진 견인 와이어(31)에 의해 이동하므로 흔들림이 적으며, 점검 피그(90)는 배터리(93)에 의해 작동하므로 전선이 필요 없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에 의한 상수관 세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에 의한 상수관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터파기를 하여 세척할 상수관(3)의 양단을 노출시킨다. 세척할 상수관(3)의 양단에 위치한 제수변을 닫아 상수관(3)에 물이 흐르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후, 상수관(3)의 일단을 일정 길이 절단하고, 제 1 T형 플랜지관(10)을 설치한다. 또한, 상수관(3)의 타단을 일정 길이 절단하고, 제 2 T형 플랜지관(20)을 설치한다.
이어서,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다리부(11)에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를 설치하고, 제 2 T형 플랜지관(20)의 다리부(21)에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의 일측으로 지상에 제 1 감김 장치(70)를 설치하고,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의 일측으로 지상에 제 2 감김 장치(80)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김 장치(80)에 감겨 있는 견인 와이어(31)를 풀어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를 통해 상수관(3) 내부로 삽입한 후,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견인 와이어(31)를 설치한다.
이때, 견인 와이어(31)는 제 1 및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60)의 풀리(57,67)와 안내관(55,65)에 의해 안내되므로 제 1 및 제 2 T형 플랜지관(10,20) 및 상수관(3)에 접촉하지 않고, 상수관(3)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3)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를 통해 점검 피그(90)를 설치한다. 이때, 견인 와이어(31)의 이음부를 풀고, 견인 와이어(31)의 이음부 각각을 점검 피그(90)의 전단과 후단에 마련된 연결부(92)에 결합한다. 그러면, 점검 피그(90)가 견인 와이어(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감김 장치(70)로 견인 와이어(31)를 감으면, 점검 피그(90)가 상수관(3)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점검 피그(90)의 조명부(95)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가 작동하여 일정 간격으로 상수관(3) 내면을 촬상하여 데어터 저장부(96)에 저장한다.
점검 피그(90)가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점검 피그(90)를 분리하고, 견인 와이어(31)에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설치한다.
작업자는 분리된 점검 피그(90)의 데이터 저장부(96)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다운 받아 상수관(3) 내면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수관(3) 내면의 상태에 적합한 세척부재(47)를 구비한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견인 와이어(31)에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제 1 제수변과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제 1 밸브(13)를 개방하여 상수관(3)으로 물이 흐르도록 한다. 동시에, 제 2 T형 플랜지관(20)에 설치된 배수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상수관(3)에 흐르는 물을 배수한다. 배수장치에는 오염된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3)을 통해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제 2 감김 장치를 작동시켜 견인 와이어(31)를 감는다.
그러면, 복수의 세척 피그(40)는 상수관(3)의 내면을 세척하면서, 제 2 T형 플랜지관(20) 쪽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세척 피그(40)가 견인 와이어(31)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세척 피그(40)의 선회부재(43)는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45)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선회부재(43)가 회전하면, 선회부재(43)의 외주면에 설치된 세척부재(47)가선회부재(43)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수관(3)의 내면을 세척하게 된다.
복수의 세척 피그(40)의 세척부재(47), 즉 원통형 브러시는 거칠기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세척 피그(40)는 상수관(3)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거칠은 제거로부터 다듬질 제거까지 여러 단계로 제거하고, 상수관(3)의 내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복수의 세척 피그(40)가 제 2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60)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제 1 T형 플랜지관(10)의 제 1 밸브(13)를 닫아 상수관(3)에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그후, 견인 와이어(31)에서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분리하고, 점검 피그(9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김 장치(70)로 견인 와이어(31)를 감는다. 그러면, 점검 피그(90)가 상수관(3)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조명부(95)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가 작동하여 일정 간격으로 상수관(3) 내면을 촬상하여 데이터 저장부(96)에 저장한다.
점검 피그(90)가 제 1 견인 와이어 안내장치(50)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견인 와이어(31)로부터 점검 피그(90)를 분리하고, 분리된 점검 피그(90)의 데이터 저장부(96)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다운 받아 세척이 완료된 상수관(3) 내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수관 내면의 세척 상태가 원하는 수준까지 세척되지 않았으면, 다시 견인 와이어(31)에 복수의 세척 피그(40)를 설치하여, 다시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200 : 네트워크 300 :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30 : 데이터베이스 320a : 관리자 등록 모듈
320b : 관리 히스토리 모듈 320c : 재세척 제공 모듈
400 : 빅데이터 서버 500 : 관리자 모바일 단말
600 :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

Claims (5)

  1. 견인 와이어(31)에 세척 피그(40)와 점검 피그(90)를 연결하여, 세척 피그(40)에서는 상수관 내부 세척을 진행하고 점검 피그(90)는 세척 전후의 수질과 내부 상태를 카메라를 이용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외부 관리자 단말기로 형성가능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보내 유지 관리토록 하기 위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네트워크(200),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및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포함하는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상수관 유지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관리자 등록 모듈(320a),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 및 재세척 제공 모듈(320c)을 포함하며,
    관리자 등록 모듈(320a)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에 따라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관리하면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세척을 수행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 그리고 세척을 수행한 각 카테고리별 상수관의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및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 저장하되, 카테고리 정보,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하나의 상수관 단위 정보로 생성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관 단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상수관 단위 정보"를 단위로 빅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세척 피그(40)에는 수질 센서를 구비하며,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은,
    다른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를 관리하면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로부터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 운영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현재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부착된 GPS 모듈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현재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위치 정보와 현재까지의 이동 방향 정보를 활용하여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가 세척하려는 상수관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400) 상의 전자 지도에서의 접근한 상수관에 대한 상수관 카테고리(도로, 주택, 공공시설 용 포함)를 추출하거나,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에 대한 이동 제어 명령에 포함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서 추출하며,
    추출된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상수관 단위 정보"를 모두 추출한 뒤, 추출된 상수관 단위 정보 상의 세척 전후 형상 중 세척 후 형상과 현재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촬영된 영상 비교를 통해 유사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개수와 비례하는 우순 순위 정보를 생성하며, 우선 순위 정보가 동일한 경우, 매칭되는 균열 간의 위치의 유사도를 가중치로 연산하여,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최종 우선 순위 정보로 상수관 단위 정보를 추출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상수관 단위 정보에서 기존 촬영을 수행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회원 ID도 추출하며,
    현재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활용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로그인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세척을 수행한 상수관의 카테고리 정보, 그리고 세척을 수행한 각 카테고리별 상수관의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및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 저장하되, 카테고리 정보, 세척 전후 형상, 균열 위치, 세척 전후 수질정보를 하나의 상수관 단위 정보로 생성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관 단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회원 ID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고, 이전의 동일한 상수관에 대한 상수관 단위 정보를 히스토리 정보로 시간의 흐름 순으로 저장하며,
    다음 번의 세척을 위한 주기가 도래한 경우, 위관리자 모바일 정보(5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상수관(3)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해당하는 회원 ID 중 상수관(3)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관리자 모바일 정보(500)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회원 ID가 복수개가 있는 경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가 균열에 따른 세척이 요구되는 상수관(3)에 대한 목적 위치로 도달한 시점부터 세척에 대한 완료 신호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가 가장 짧은 회원 ID를 추출하며,
    추출된 회원 ID에 해당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대해서 상수관의 세척을 위해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가 이동한 목적 위치 정보로의 이동 명령을 전송하도로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서, 기존에 유사한 상수관에 대해서 능숙한 경험을 갖춘 유지 세척을 위한 관리자가 균열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재세척 제공 모듈(320c)은,
    세척이 완료된 이후, 세척된 상수관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질의 미리 설정된 퍼센테이지 이상으로의 악화가 발생한 경우, 세척을 수행한 관리자 ID에 대한 수질 악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며, 정보 수집을 위해 상수관(3)에도 수질 센서가 구비되며,
    재세척 제공 모듈(320c)은,
    미리 설정된 수질 악화 정보의 횟수를 초과한 관리자 ID를 추출한 뒤, 관리 히스토리 모듈(320b)에 의한 균열에 대한 세척을 위한 관리자 ID 추출시 배제할 것을 통지하며,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는,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카메라(94)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부(530), 저장부(540), 송수신장치부(550), 입출력부(560), 그리고 위치정보 수신부(580)를 포함하며,
    제어장치부(530)는,
    정보 수집 모듈(531), 이동 제어 모듈(532), 탐지 모듈(533), 촬영 모듈(533)을 포함하며,
    정보 수집 모듈(531)은,
    입출력부(5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송수신장치부(550)를 통해 수신된 목적 위치 정보를 저장부(540) 상에 저장한 뒤, 위치정보 수신부(580)를 통해 수신되는 GPS 위치 정보에 따라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 위치 정보로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이동장치부에 대한 제어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입출력부(5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송수신장치부(550)를 통해 수신된 대상 상수관 이미지를 저장부(540) 상에 목적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하며,
    이동 제어 모듈(532)은,
    GPS 위치 정보가 목적 위치 정보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94)에 대한 제어를 통해 촬영을 수행한 뒤, 촬영된 영상과 입출력부(560)를 통해 입력되거나 송수신장치부(550)를 통해 수신된 대상 상수관 이미지에 대한 영상 비교를 통해 대상 상수관에 대한 촬영 위치로 이동하도록 세척 피그 조립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600)의 이동장치부에 대한 제어를 통해 이동 제어를 수행하며,
    촬영 모듈(533)은,
    실시간 탐지된 좌표에 대해서 Ultra High Definition 기반의 카메라(94)와 연결된 카메라 구동부(120a)에 대한 팬/필트/요잉을 통한 촬영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세척 전후의 상수관에 대한 이미지 영상을 획득한 뒤, 이미지 영상을 저장부(540) 상에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며,
    제어장치부(53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된 AR(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상수관 세척 앱 아이콘에 대한 관리자의 선택에 따른 실행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하나의 상수관에 대한 식별 ID를 수신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한 뒤, 식별 ID에 해당하는 목적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하며,
    상수관 단위 정보, 그리고 히스토리 정보에 대해서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부터 상수관 단위 정보에 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한 뒤, 저장부(540) 상에서 추출하며,
    "상수관 단위 정보"에 대한 카메라(94)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과, 동영상에서 각 포인트 좌표에 대한 촬영된 이미지 영상에 해당하는 이미지 태그 일련번호의 집합을 기재한 오버랩 AR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부(550)를 제어함으로써,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 상에서 오버랩 AR 정보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의 영상 비교를 통해 매칭시 매칭되는 시점에서의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상에 오버랩 AR 정보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의 포인트 좌표의 매칭되는 픽셀에 대해서 포인트 좌표 동기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포인트 좌표 동기화에 따라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이미지 영상에 포인트 좌표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터치스크린 상으로 제공됨으로써,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을 운영하는 관리자는 포인트 좌표를 중심으로 상수관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에 대한 완료 신호가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의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시 완료 신호 입력 시점에서 제어장치부(530)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서 제공된 이미지 영상과 오버랩된 포인트 정보 상에서의 각 포인트 좌표 상의 세척 완료 여부를 분석하고 세척 완료에 대한 최종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모바일 단말(500)에 제공함으로써, 각 균열에 대한 세척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해 세척된 균열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81730A 2022-07-04 2022-07-04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49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730A KR102498879B1 (ko) 2022-07-04 2022-07-04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730A KR102498879B1 (ko) 2022-07-04 2022-07-04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879B1 true KR102498879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730A KR102498879B1 (ko) 2022-07-04 2022-07-04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752A (ko) * 2003-11-20 2005-05-25 (주)아산테크 관로 세척 및 무선 탐사장치
KR20140131080A (ko) * 2013-05-03 2014-1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인텔리전트 피그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 방법
KR20150024062A (ko) * 2013-08-26 2015-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피그 장치
KR20160050162A (ko) * 2014-10-28 2016-05-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획득 가능한 관로 세척 장치
KR102101625B1 (ko)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관제서버
KR102153376B1 (ko) * 2020-05-20 2020-09-09 경영건설(주) 수압차와 와류 발생을 이용한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752A (ko) * 2003-11-20 2005-05-25 (주)아산테크 관로 세척 및 무선 탐사장치
KR20140131080A (ko) * 2013-05-03 2014-1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인텔리전트 피그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 방법
KR20150024062A (ko) * 2013-08-26 2015-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피그 장치
KR20160050162A (ko) * 2014-10-28 2016-05-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획득 가능한 관로 세척 장치
KR102101625B1 (ko)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스마트 워터 시티 구축을 위한 ict 통합 모니터링 물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관제서버
KR102153376B1 (ko) * 2020-05-20 2020-09-09 경영건설(주) 수압차와 와류 발생을 이용한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세척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32373(2007.04.02)호 "상수관로 복합세척 방법(Sequential pipeline cleaning Method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37278 (2007.04.17)호 "상수관로 세척수 정화장치(Disposal Unit of Cleaning Water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90833 (2017.07.18)호 "가이드커넥터와 그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장치(Guide connector and using that water pipe clean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21-0061684(2021.05.13)호 "상수관로 세척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로 세척방법(Water pipe washing device and water pipe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973B1 (ko) 딥러닝 기반의 하수도관 내부 결함 탐지 장치 및 방법
CN104568983B (zh) 基于主动式全景视觉的管道内部缺陷检测装置及方法
US5467640A (en) Pipeline testing and leak 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89067B1 (ko)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1348973B1 (ko) 영상촬영 장치를 활용한 지하 공동구의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CN113203049B (zh) 管道安全智能监控预警系统及方法
KR102498879B1 (ko) 스마트 피그를 이용한 ict 및 ar 기반 상수관망 유지 관리 시스템
CN106548469A (zh) 一种管道检测方法和装置
JP5650854B1 (ja) 地下通水管の漏水検出方法
CN113487048A (zh) 一种排水隧道运营安全监测与维护系统及方法
CN113487821A (zh) 基于机器视觉的电力设备异物入侵识别系统及方法
KR101717758B1 (ko) 이송관로의 검사장치
KR100798931B1 (ko) 옥내 급수관을 위한 반자동형 배관 탐사 장치
KR101060995B1 (ko) 배관 내 그림자를 이용한 랜드마크 인식방법에 기반한 배관탐사 로봇시스템
NL2006064C2 (en) A guide member and a method for positioning a cable into a sewerage system.
CN108119726B (zh) 用于检测地下大型管道漏水的系统
CN108644531A (zh) 轨道式排水管道检测设备及使用其检测排水管道的方法
CN110939869A (zh) 清管作业智能监测预警系统及其作业方法
CN205343147U (zh) 应用于管廊的自动行进探测机器人及探测系统
JP2001009402A (ja) 管内内視および研磨装置
KR102518292B1 (ko) 스마트 세척 피그 조립체, 이를 이용한 상수관 세척 장치 및 상수관 세척 공법
KR20100041040A (ko) 통합형 하수관거 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83280B (zh) 管道移动检测装置与检测方法
CN116363137B (zh) 一种指导油管自动清洗的清洗效果评估方法及系统
CN117752265B (zh) 羽毛球馆的自清洁方法、系统以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