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41B1 -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 Google Patents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41B1
KR102498841B1 KR1020210031112A KR20210031112A KR102498841B1 KR 102498841 B1 KR102498841 B1 KR 102498841B1 KR 1020210031112 A KR1020210031112 A KR 1020210031112A KR 20210031112 A KR20210031112 A KR 20210031112A KR 102498841 B1 KR102498841 B1 KR 10249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rrier plate
wire
window regul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6874A (en
Inventor
김민수
이승철
이인제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41B1/en
Publication of KR2022012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 모듈 패널의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레일, 레일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 양측 풀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축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드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에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양 끝단이 각각 드럼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와이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된 클램프에 고정되는 글라스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글라스의 승하강에 따른 윈도우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표면과 접촉하도록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가 하나 이상 형성되되, 레일 텐셔너는 바디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바디의 양 측면으로는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는 텐션암이 형성되며, 각 텐션암의 볼록면이 레일 표면과 접촉하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e panel mounted inside a car door, a rai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 pulle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and rotation between both pulleys. A drum mounted so that the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 carrier plate connected to a rail so that it can slide, a wire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drum and the carrier plate and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a pulley, and a clamp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In an automobile window regulator composed of a fixed glass and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ccording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glas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the carrier plate has a rail tensioner made of elastic material so as to contact the rail surface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One or more rail tensioners are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body, and on both sides of the body, arc-shaped tension arm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and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is It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in contact with a surface.

Description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 모듈 패널의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레일, 레일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 양측 풀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축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드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에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양 끝단이 각각 드럼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와이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된 클램프에 고정되는 글라스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글라스의 승하강에 따른 윈도우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e panel mounted inside a car door, a rai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 pulle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and rotation between both pulleys. A drum mounted so that the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 carrier plate connected to a rail so that it can slide, a wire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drum and the carrier plate and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a pulley, and a clamp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An automobile window regulator composed of fixed glass and opening/closing a window according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glas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a driving motor.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표면과 접촉하도록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가 하나 이상 형성되되, 레일 텐셔너는 바디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바디의 양 측면으로는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는 텐션암이 형성되며, 각 텐션암의 볼록면이 레일 표면과 접촉하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rail tensioner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re formed on the carrier plate to contact the rail surface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rail tensioners are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body, and the rail tensioners are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body, and the rail tensione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t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n automobile window regulator in which a tension arm forming an arc shap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contacts a rail surfa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측면 윈도우의 개폐를 위하여, 도어 내부에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글라스를 승하강 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며,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고, 레일에는 와이어를 통해 승하강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side window of a car, a window regulator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to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and raise and lower the glass. The window regulator moves the door up and down on the surface of a module panel mounted inside the car door. A rail is formed along the rail, and a carrier plate that moves up and down through a wire is mounted on the rail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 내부에 모듈 패널(1)이 장착되고, 모듈 패널(1)의 표면에는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레일(10)이 형성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in detail, as shown in FIGS. 1 and 2, a module panel 1 is mounted inside a vehicle door, and a rail ( 10) is formed.

레일(10)의 상하측 양 끝단부가 위치하는 모듈 패널(1) 표면에는 풀리(20)가 장착되고, 드럼(30)이 상하측 풀리(20) 사이에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드럼(30)의 회전축에는 구동모터(31)가 연결되어 드럼(30)의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pulley 2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where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ail 10 are located, and the drum 30 is rotatably mounted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20, and the drum ( A driving motor 31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30) to generate rotational motion of the drum 30.

레일(10)에는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양 끝단이 각각 드럼(30)과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2개의 와이어(40)가 상측 및 하측 풀리(20)에 의해 각각 방향이 전환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하게 된다.The carrier plate 10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rail 10, and two wires 4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drum 30 and the carrier plate 100, respectively,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ulleys 20. As the direction is changed by each, a closed curve is formed.

구동모터(31)의 작동에 의해 드럼(30)이 회전하면 각 와이어(40)의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지면서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며, 구동모터(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클램프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고정된 윈도우 글라스의 폐쇄 또는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drum 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31, each wire 40 is wound and unwound,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and the carrier plate ( As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100 is performed, the window glass fixed to the carrier plate 100 is closed or opened through the clamp.

위와 같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 과정에서 레일(10)과 캐리어 플레이트(100)간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10)은 모듈 패널(1)과 연결부 반대측 끝단이 구부러져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게 되며,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모듈 패널(1)과의 연결부에서의 레일(10) 표면은 자동차의 좌우 방향(L-R direction)을 따라 평면을 형성하고, 구부러진 끝단의 레일(10) 표면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F-R direction)을 따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rail 10 and the carrier plate 10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The ends are bent to form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surface of the rail 10 at the connection with the module panel 1 in the closed state forms a plane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surface of the rail 10 at the bent end forms a plan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F-R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3b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10)과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연결부에는 레일(10)의 단면 형태와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는 후크(110)를 형성하여, 레일(10)과 후크(110)간 걸림 구조를 이루게 된다.As shown in FIGS. 3B and 4, a hook 110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nd a complementary shape of the rail 10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rrier plate 100 connected to the rail 10, so that the rail 10 And it forms a hooking structure between the hook (110).

하나의 모듈 패널(1)에 하나의 레일(10)이 형성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싱글 윈도우 레귤레이터라고 하며, 하나의 모듈 패널(1)에 두 개의 레일(10)을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한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라고 한다. A window regulator in which one rail 10 is formed on one module panel 1 is called a single window regulator, and a window regulator in which two rails 10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on one module panel 1 is called a dual window regulator. It's called a window regulator.

승용 차량의 경우 후륜 휠 하우징이 배치되는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글라스의 원활한 승하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뒷좌석 측면 도어의 글라스를 앞좌석 측면 도어의 글라스보다 작게 설계하게 되는데, 앞좌석 측면 도어에 싱글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적용하게 되면, 뒷좌석 측면 도어에 비해 증가된 글라스의 길이 및 무게에 의해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 중 글라스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글라스 기울어짐이 발생하면서 글라스의 흔들림이나 개폐작동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글라스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25호 (2010.02.03.공개)에 게시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의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적용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since a space is required for rear wheel housings to be placed, the glass of the rear seat side door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glass of the front seat side door in order to generate smooth lifting and lowering of the glass. When the window regulator is applied, the increased length and weight of the glass compared to the rear seat side door causes the glass to tilt forward or backward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causing shaking of the glass or p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When the size of is increased, a dual window regulator having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window regulator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1725 (published on February 3, 2010) is applied.

그러나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각 모듈 패널(1)마다 레일(10)을 추가로 형성하면서 풀리(20) 및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부가되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부피와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각국의 자동차 배기가스 감축을 위한 환경오염 규제 강화에 대응하여 경량화를 중시하는 최근의 자동차 설계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하고, 윈도우 레귤레이터 조립 생산 과정에서 레일(10)에 캐리어 플레이트(100)를 장착하고, 와이어(4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립 공정이 증가하여 생산 효율이 저하되었다.However, in the dual window regulator, a rail 10 is additionally formed for each module panel 1, and a pulley 20 and a carrier plate 100 are added to increas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indow regulator, thereby increasing vehicle exhaust gas in each country. In response to the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regulations for reduction, the carrier plate 100 is mounted on the rail 10 and the wire 40 is connected during the assembly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window regulator, failing to meet the recent automobile design trend that emphasizes light weight. In the process, the assembly process increased, reducing production efficiency.

특히,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경우 일측 레일(10)에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100)와 드럼(30)간 와이어(4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가조립 상태의 타측 레일(10)에 연결된 와이어(40)가 쉽게 이탈하게 되고, 넓은 면적을 가지는 모듈 패널(1)의 형상적 특성상 작업자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레일(10)측에서의 조립 작업의 난이도가 증가하여, 조립 공정이 지연되기 쉬웠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ual window regulator,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wire 40 between the drum 30 and the carrier plate 100 connected to one side rail 10, the wire 4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rail 10 in a provisionally assembled state is easily removed.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panel 1 having a large area, the difficulty of the assembly work on the side of the rail 10 located away from the operator increases, and the assembly process is easily delayed.

또한, 기존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10)과 캐리어 플레이트(100)간 결합시, 전후 방향(F-R direction) 후크(110) 표면으로 돌출된 커서(cursor)가 레일(10)의 전후 방향(F-R direction) 레일(10) 표면에 접촉하고, 좌우 방향(L-R direction) 후크(110) 끝단 표면이 레일(10)의 좌우 방향(L-R direction) 레일(10) 표면에 접촉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모듈 패널(1)과 캐리어 플레이트(100) 생산 과정 또는 조립 과정에서 조립산포에 의해 결합부 공차(tolerance)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indow regulator,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rail 10 and the carrier plate 100 are coupled, a cursor protrudes to the surface of the hook 110 in the F-R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ail 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R direction) of the rail 10, and the end surface of the hook 1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is the surface of the rail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of the rail 10 The support of the carrier plate 100 is made while in contact with the module panel 1 and the carrier plate 100. In the process of producing or assembling the module panel 1 and the carrier plate 100, tolerance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by assembling and distributing.

그리고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시 와이어(40)로부터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기울어진 반대측의 레일(10)과 후크(110)간 결합부 벌어짐이 발생하면서 결합부 공차(tolerance)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ndow regulator is operated, the carrier plate 100 may be tilted while an external force acts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of the carrier plate 100 due to the tension acting from the wire 40. A gap between the rail 10 and the hook 110 on the opposite side of Jin may form a coupling portion tolerance.

위와 같은 결합부 공차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시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궤적을 불안정하게 하여, 글라스의 떨림이나 잡음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결합부 공차를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흡수하여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Since the tolerance of the joint part destabilizes the upward and downward trajectory of the window glass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and causes vibration of the glass or noise, there is a need to minimize or completely absorb the tolerance of the joint part and eliminate it.

또한, 드럼(30)과 캐리어 플레이트(10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40)의 장력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경우, 와이어(40)가 연결되는 풀리(20) 또는 드럼(30)의 회전축 마찰력이 크게 증가하면서 윈도우 글라스의 원활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ension of the wire 40 is excessively form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rum 30 and the carrier plate 100,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ulley 20 or the drum 30 to which the wire 40 is connected is generated. While greatly increasing, smooth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window glass may not be achieved.

와이어(40)의 과도한 장력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삽입되는 와이어(40)의 와이어 엔드(43) 끝단에 텐션스프링(44)을 결합하여 와이어(40)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excessive tension on the wire 40, a tension spring 4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end 43 of the wire 40 inserted into the carrier plate 100 to reduce the amount of tension applied to the wire 40. will regulate

하지만 기존의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경우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엔드(43)가 삽입되는 장착홈(140)이 도어의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데, 양측 장착홈(140)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부피 및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rrier plate 100, as shown in FIG. 1, mounting grooves 140 into which wire ends 43 are inserted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mounting grooves 140 on both sides interfere with each other. While being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carrier plate 10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25호 (2010.02.0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1725 (2010.02.03. Publ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간 결합부 공차를 최소화 하거나 완전히 제거하여,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보다 안정적인 글라스 승하강 궤적을 형성할 수 있는 싱글 윈도우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 중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window regulator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more stable glass lifting and lowering trajectory than a dual window regulator is provided by minimizing or completely eliminating the toler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of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thereby reducing the window regulator Its purpose is to prevent vibration or noise generation during operation and to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indow regula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동 중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싱글 윈도우 레귤레이터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 대비 레귤레이터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by simplifying a regulator assembly process compared to a dual window regulator by providing a single window regulator structure that prevents vibration or noise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텐션스프링이 적용된 와이어 엔드가 삽입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장착홈 위치 및 와이어 연결 구조부의 형상을 최적화 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carrier plate by optimizing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groove of the carrier plate into which the wire end to which the tension spring is applied and the shape of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are inser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 모듈 패널의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레일, 레일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 상하측 풀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축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드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에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양 끝단이 각각 드럼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와이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된 클램프에 고정되는 글라스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글라스의 승하강에 따른 윈도우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표면과 접촉하도록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가 하나 이상 형성되되, 레일 텐셔너는 바디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바디의 양 측면으로는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는 텐션암이 형성되며, 각 텐션암의 볼록면이 레일 표면과 접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panel mounted inside a car door, a rai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 pulle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and A drum mounted rotatably between side pulleys and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to a rotating shaft, a carrier plate connected to a rail for sliding movement, a wire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drum and a carrier plate and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a pulley, and a carrier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n automobile window regulator, which consists of glass fixed to a clamp connected to the plate and opens and closes the window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glas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the carrier plate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At least one rail tension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rail surface, the rail tensioner is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body, and both sides of the body form an arc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Tension arm is formed, and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contacts the rail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레일의 단면 형태와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는 후크가 형성되어, 레일과 후크간 끼움 연결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가 레일에 장착되되, 후크에는 자동차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표면과 접촉하도록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레일 텐셔너는 바디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바디의 양 측면으로는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는 텐션암이 형성되며, 각 텐션암의 볼록면이 레일 표면과 접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ok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nd a complementary shape of the rail is formed on the carrier plate, and the carrier plate is mounted on the rail through a fitting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hook, and the hook i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At least one rail tensioner made of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rail surface, the rail tensioner is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body, and both sides of the body form an arc shape along the length of the rail Tension arm is formed, and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contacts the rail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 텐셔너의 각 바디 끝단으로 스토퍼가 형성되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에 따른 외력 작용시, 레일 표면과 스토퍼간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텐션암의 변형 발생이 제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body of the rail tensioner,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 surface of the rail and the stopp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limiting deformation of the tension a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어는 도어 상부 방향의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상부 와이어와, 도어 하부 방향의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하부 와이어의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의 각 끝단에는 와이어 엔드 및 텐션스프링이 장착되되,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의 각 와이어 엔드는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s composed of two members, the upper wir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ulley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lower wir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ulley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door, fixed to the carrier plate A wire end and a tension spring are mounted on each end of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nd the wire ends of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re mounted facing the sam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도어 상하부 방향을 따라 와이어 엔드 및 텐션스프링이 삽입 고정되는 상부 장착홈과 하부 장착홈이 각각 형성되되,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타측면으로 형성된 전환 칼럼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가 각각 하부 장착홈 및 상부 장착홈으로 삽입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상부 와이어 및 하부 와이어의 배치 형태가 U자 형상을 이루며, 전환 칼럼 표면에는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mounting groove and a lower mounting groove into which a wire end and a tension spring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rier plate along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door, and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rrier plate.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conversion column formed on the side, and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re inserted into the lower mounting groove and the upper mounting groove, respectively,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forms a U-shap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re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rsion colum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 텐셔너를 통해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간 결합부 공차를 최소화 또는 제거하여,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시 안정적인 글라스 승하강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 중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tolerance of the joint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rail tensio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vibration or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by forming a stable trajectory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glass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 텐셔너를 통해 기존의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 대비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간 결합부 공차를 최소화 또는 제거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싱글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유사한 구성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tensioner minimizes or improves the effect of removing the joint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compared to the existing dual window regulator, and at the same time achieve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a single window regulator, thereby improving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hiev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를 통해 외력 작용에 의한 레일 텐셔너의 변형을 제한하여, 과도한 외력 작용에 의한 레일 텐셔너의 소성변형에 따른 기능 저하 발생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ormation of the rail tensioner due to an external force is limited through the stopper, so that function degradation or damage due to plastic deformation of the rail tensioner due to an excessive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어 엔드 및 텐션스프링이 삽입 고정되는 상하부 장착홈을 도어 전면 또는 후면 방향 캐리어 플레이트 측면에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장착홈 형성 방향을 캐리어 플레이트 승하강 방향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의 설계 최적화를 통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grooves into which the wire end and the tension spring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to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carrier plate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mounting groove is offset from the direction of elevating and descending the carrier plate By arranging, there is an effect of achieving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through design optimization of the carrier pl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를 전환 칼럼을 통해 방향을 전환시킨 후, 각각 하부 장착홈 및 상부 장착홈에 삽입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상부 와이어 및 하부 와이어의 배치 형태가 U자 형상을 이룸으로써, 와이어의 인성이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through the conversion column, they are inserted into the lower mounting groove and the upper mounting groove,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are arranged in U By forming a ruler shap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decrease in toughness or strength of the wi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환 칼럼 표면에 형성된 고정홈을 통해 전환 칼럼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상부 와이어 및 하부 와이어의 미끄러짐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시 안정적인 글라스 승하강 궤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lipping of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conversion column through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rsion column, the effect of maintaining a stable glass lifting and lowering trajectory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re is

도 1은 기존의 방식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방식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듀얼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와이어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방식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레일 및 레일과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후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방식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와이어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에 적용되는 레일 텐셔너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에 적용되는 텐션스프링의 형상 및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ual window regulator for a vehicle to which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a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a dual window regulator for a vehicle to which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s applied.
3 is a view illustrating a rail of a vehicle window regulator to which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s applied and a hook shape for fixing a carrier plate connected to the rail.
4 is a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between a rail and a carrier plate in a vehicle window regulator to which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s applied.
5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window regulator for a vehicle to which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view showing a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a window regulator for a vehicle to which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arri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ail tensioner applied to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hape and mounting structure of a tension spring applied to a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scuring it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even though the drawings are different.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r that it has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does not mean that each embodiment has a function. It will have to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and are not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1)의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하나의 레일(10)이 형성되고, 두 개의 풀리(20)가 레일(10)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싱글 윈도우 레귤레이터 방식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rail 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module panel 1 mounted inside a vehicle doo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formed, and is composed of a single window regulator method in which two pulleys 20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10, respectively.

상하측 풀리(20) 사이에는 드럼(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드럼(30)의 회전축에는 구동모터(31)가 연결되어, 구동모터(31)의 가동시 드럼(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A drum 30 is rotatably moun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20, and a drive motor 3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um 30, so that when the drive motor 31 is operated, the drum 30 rotates. It is done.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레일(10)에는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연결되는데,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모듈 패널(1) 방향 일측면에는 레일(10)의 단면 형태와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는 후크(110)가 형성되어, 레일(10)에 장착된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레일(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arrier plate 10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rail 10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On one side of the carrier plate 100 in the direction of the module panel 1,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A hook 110 having a complementary shape is formed to prevent the carrier plate 100 mounted on the rail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0 .

와이어(40)는 도어 상부 방향에 장착된 풀리(20)에 감겨져 진행 방향이 하향 전환되는 상부 와이어(41)와, 도어 하부 방향에 장착된 풀리(20)에 감겨져 진행 방향이 상향 전환되는 하부 와이어(42)로 구성되며, 상하부 와이어(41,42)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엔드(43)가 드럼(30)에 형성된 장착홈(32) 및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장착홈(140)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폐곡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wire 40 includes an upper wire 41 that is wound around a pulley 2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and whose traveling direction is switched downward, and a lower wire that is wound around a pulley 20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and whose traveling direction is switched upward. 42, the wire ends 43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wires 41 and 42, respectively, the mounting groove 32 formed in the drum 30 and the mounting groove 140 formed in the carrier plate 100 As it is inserted into and fixed, it forms a closed curve shape.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레일(10)은 엇갈리게 배치되는 2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는데,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모듈 패널(1)과 연결되는 레일(10)의 패널 표면은 자동차의 좌우 방향(L-R direction)을 따라 평면을 형성하고, 레일(10) 끝단이 구부러지면서 형성되어 모듈 패널(1)과 이격되는 레일(10)의 다른 패널 표면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F-R direction)을 따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rail 10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s composed of two alternately arranged panels, and the panel surface of the rail 10 connected to the module panel 1 in the door closed state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L-R) of the vehicle. direction), and the other panel surface of the rail 10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panel 1 is formed while the end of the rail 10 is bent to form a plane along the F-R direction of the vehicle.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듈 패널(1)이나 레일(10), 또는 캐리어 플레이트(100) 등의 배치 방향은 자동차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자동차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하는 전후 방향(F-R direction) 및 자동차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을 향하는 좌우 방향(L-R direction)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odule panel 1, the rail 10, or the carrier plate 100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It is described as a front-back direction (F-R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o the rear side and a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F-R direction) 레일(10) 표면에 대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100) 표면에는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12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도 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100) 표면에 연결되는 바디(121)와, 바디(121)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 텐션암(12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one or more rail tensioners 12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plate 100 facing the surface of the rail 10 in the F-R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8A, the carrier plate It consists of a body 121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plate 100 and a tension arm 1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21.

양측 텐션암(122)은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며, 각 텐션암(122)의 볼록면에 형성된 접동부(123)가 전후 방향(F-R direction) 레일(10)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각 텐션암(122)의 끝단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향하게 된다. The tension arms 122 on both sides form an arc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10, and the sliding part 123 formed on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122 i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R direction) of the rail 10 ) surface, and the end of each tension arm 122 is dir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좌우 방향(L-R direction) 레일(10) 표면에 대향하는 캐리어 플레이트(100) 표면에는 후크(110)가 형성되는데, 전후 방향(F-R direction) 후크(110)의 돌출된 끝단 표면으로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13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도 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110) 끝단 표면에 연결되는 바디(131)와, 바디(131)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 텐션암(132)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hooks 11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plate 100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rail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L-R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end surface of the hook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R direc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e or more rail tensioners 130 are formed, and as shown in FIG. 8B, it is composed of a body 131 connected to the end surface of the hook 110 and a tension arm 1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31. .

양측 텐션암(132)은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며, 각 텐션암(132)의 볼록면에 형성된 접동부(133)가 좌우 방향(L-R direction) 레일(10)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각 텐션암(132)의 끝단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향하게 된다. The tension arms 132 on both sides form an arc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10, and the sliding part 133 formed on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132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R direction) rail 10 ) surface, and the end of each tension arm 132 is direc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에 의해 와이어(40)로부터 장력 작용시, 장력 작용 방향에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좌우 방향(L-R direction) 또는 전후 방향(F-R direction)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의해 가압된 레일 텐셔너(120,130)의 각 텐션암(122,132)이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기울어진 방향 및 각도에 맞춰 탄성 변형되면서, 각 텐션암(122,132)의 접동부(123,133)와 캐리어 플레이트(100) 또는 후크(110)간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 중 결합부 공차 발생을 방지한다.When tension is applied from the wire 40 by the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 carrier plate 100 is til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or the front-rear direction (F-R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is applied. Each of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of the rail tensioners 120 and 130 pressed by )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inclined direction and angle of the carrier plate 100, and the sliding parts 123 and 133 of each tension arm 122 and 132 and the carrier plate By allow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100 and the hook 110 to be maintained at all times, occurrence of tolerance in the coupling part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is prevented.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에서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 중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궤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글라스의 떨림이나 잡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maintain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trajectory of the window glass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glass from vibrating or generating noise.

또한, 레일 텐셔너(120)의 바디(121) 끝단에는 전후 방향(F-R direction)을 따라 스토퍼(12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레일 텐셔너(130)의 바디(131) 끝단에는 좌우 방향(L-R direction)을 따라 스토퍼(13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body 121 of the rail tensioner 120, a stopper 124 protrude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F-R direction), and at the end of the body 131 of the rail tensioner 130, the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The stopper 134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long the.

각 스토퍼(124,134)의 돌출된 끝단 높이는 각 텐션암(122,132)의 접동부(123,133)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정상적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정지 또는 작동시 접동부(123,133)와 레일(10)간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스토퍼(124,134)와 레일(10)간 이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nd of each stopper (124, 134)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liding part (123, 133) of each tension arm (122, 132), so tha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liding part (123, 133) and the rail 10 is maintained when the window regulator is stopped or operated normally. and maintain a spaced state between the stoppers 124 and 134 and the rail 10.

이때,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 중 와이어(40)의 장력에 의한 외력의 크기가 증가하면 전후 방향(F-R direction)이나 좌우 방향(L-R direction) 또는 합산된 방향으로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기울어진 각도가 커지면서 각 텐션암(122,132)의 변형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과도한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텐션암(122,132)의 탄성한계점을 넘어 소성변형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tension of the wire 40 increas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arrier plate 100 increases in the F-R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L-R direction), or the summed direction.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each of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increases. When excessive tilting of the carrier plate 100 occurs, plastic deformation may occur or be damaged beyond the elastic limit of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

텐션암(122,132)이 소성변형되면 접동부(123,133)와 캐리어 플레이트(100) 또는 후크(110)간 분리가 발생하게 되고, 레일 텐셔너(120,130)의 결합부 공차 흡수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부 공차가 형성되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시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궤적을 불안정하게 하여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When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are plastically deformed, separation occurs between the sliding parts 123 and 133 and the carrier plate 100 or the hook 110, and the tolerance absorbing function of the coupling part of the rail tensioners 120 and 130 may be reduced or lost. , As a result, a tolerance of the joint is formed, which may cause vibration or noise by destabilizing the trajectory of the elevation of the window glass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따라서,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과도한 기울어짐이 발생시, 텐션암(122,132)의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전, 스토퍼(124,134)가 레일(10) 표면에 접촉하여 텐션암(122,132)의 변형 발생량을 제한하여, 텐션암(122,132)의 변형이 탄성변형 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레일 텐셔너(120,130)의 기능 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excessive inclination of the carrier plate 100 occurs, the stoppers 124 and 134 contact the surface of the rail 10 before plastic deformation of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occurs, thereby limit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Thus, by making the deformation of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within the limit of elastic de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rail tensioners 120 and 130.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100)를 레일(10)에 결합하였을 때,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전후 방향(F-R direction) 일측면으로 와이어 엔드(43)와 텐션스프링(44)이 삽입 고정되는 장착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40)은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장착홈(141)과,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장착홈(142)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carrier plate 100 is coupled to the rail 10, the wire end 43 and the tension spring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rrier plate 100 in the F-R direction. Mounting groove 140 into which 44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and the mounting groove 140 includes an upper mounting groove 141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rier plate 100 and a lower mounting groove 142 disposed on the lower part. ) is made up of

상부 장착홈(141)에는 도어 하부 방향의 풀리(20)에 의해 방향이 상향 전환된 하부 와이어(42)의 와이어 엔드(43)와 텐션스프링(44)이 삽입되고, 하부 장착홈(142)에는 도어 상부 방향의 풀리(20)에 의해 방향이 하향 전환된 상부 와이어(41)가 삽입되며,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의 타측 끝단은 드럼(30)의 장착홈(32)에 고정된다.In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the wire end 43 and the tension spring 44 of the lower wire 42 whose direction has been turned upward by the pulley 2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door are inserted,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has The upper wire 41 whose direction is turned downward by the pulley 20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door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s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2 of the drum 30. It is fixed.

상부 장착홈(141)과 하부 장착홈(142)은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전후 방향(F-R direction) 중 어느 한쪽 측면에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부 장착홈(141)과 하부 장착홈(142)에 각각 고정되는 하부 와이어(42)와 상부 와이어(41)의 각 와이어 엔드(43)은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Since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on either side of the front-rear direction (F-R direction) of the carrier plate 100,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Each of the wire ends 43 of the lower wire 42 and the upper wire 41 respectively fixed to ) are mounted facing the same direction.

이때, 도어 상하부를 따라 장착되는 풀리(20)의 배치 방향과 전후 방향(F-R direction)을 따라 형성된 상부 장착홈(141)과 하부 장착홈(142) 배치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전환 칼럼(150) 표면에서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간 엇갈림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isposition direction of the pulley 20 mounted alo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oor and the disposition direction of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formed along the F-R direction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arrier plate 100 On the surface of the conversion column 150 formed in ), the staggered arrangement between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is made.

상기 전환 칼럼(150)은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전후 방향(F-R direction)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부 장착홈(141) 및 하부 장착홈(142)과 반대 측면으로 배치되며, 전환 칼럼(150) 표면은 완만한 호(arc) 형상을 이루어, 전환 칼럼(150)에서 서로 엇갈리는 상부 와이어(41) 및 하부 와이어(42)의 배치 형태가 U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conversion column 1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rrier plate 100 in the F-R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and the surface of the conversion column 150 is formed in a gentle arc shape,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crossing each other in the conversion column 150 forms a U-shape.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승하강 방향과 장착홈(140)의 배치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기존의 방식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연결 구조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부 장착홈(141)과 하부 장착홈(142) 배치 방향을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전후 방향(F-R direction) 일측면으로 서로 일치시켜,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승하강 방향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100)내 상부 장착홈(141) 및 하부 장착홈(142) 형성 위치를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Unlike the carrier plat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indow regulato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arrier plate 100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140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The upper mounting groove in the carrier plate 100 ( 141)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142 formation position can be optimized, and accordingly, the carrier plate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그리고 완만한 호(arc) 형태를 이루는 전환 칼럼(150) 표면 형상에 의해 전환 칼럼(150)에서 서로 엇갈리는 상부 와이어(41) 및 하부 와이어(42)의 배치 형태가 U자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의 방향 전환시 급격한 각도 변화에 따른 소성변형 발생에 의해 와이어(40)의 방향 전환부에서 인성(toughness)이나 강도(strength)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nd, by the surface shape of the conversion column 150 forming a gentle arc,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crossing each other in the conversion column 150 forms a U-shape, When the direction of the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oughness or strength in the direction change portion of the wire 40 due to the occurrence of plastic deformation due to a rapid angle change.

이때,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 중 와이어(4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전환 칼럼(150) 표면에서 상부 와이어(41) 또는 하부 와이어(42)의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캐리어 플레이트(100)로 연결되는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의 각도가 변화하면서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 궤적을 불안정하게 하여 윈도우 글라스 개폐시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pper wire 41 or the lower wire 42 slips on the surface of the conversion column 150 due to the tension acting on the wire 40 during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the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100 occurs. As the angles of the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change, the upward/downward trajectory of the window glass may become unstable, causing vibration or noise during opening/closing of the window glass.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칼럼(150) 표면에는 방향이 전환되는 상부 와이어(41) 및 하부 와이어(42)가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두 개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it is preferable to form two fixing grooves on the surface of the switching column 150, into which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the direction of which is changed,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eaning and meaning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모듈 패널 10: 레일
20: 풀리 30: 드럼
31: 구동모터 32: 장착홈
40: 와이어 41: 상부 와이어
42: 하부 와이어 43: 와이어 엔드
44: 텐션스프링 100: 캐리어 플레이트
110: 후크 120,130: 레일 텐셔너
121,131: 바디 122,132: 텐션암
123,133: 접동부 124,134: 스토퍼
140: 장착홈 141: 상부 장착홈
142: 하부 장착홈 150: 전환 칼럼
1: module panel 10: rail
20: pulley 30: drum
31: drive motor 32: mounting groove
40: wire 41: upper wire
42: lower wire 43: wire end
44: tension spring 100: carrier plate
110: hook 120, 130: rail tensioner
121,131: body 122,132: tension arm
123,133: sliding part 124,134: stopper
140: mounting groove 141: upper mounting groove
142: lower mounting groove 150: conversion column

Claims (5)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1), 모듈 패널(1)의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L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레일(10), 레일(10)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20), 상하측 풀리(20)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축에 구동모터(31)가 연결되는 드럼(30),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10)에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00), 양 끝단이 각각 드럼(30)과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연결되며 풀리(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와이어(40),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연결된 클램프에 고정되는 글라스로 구성되어, 구동모터(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글라스의 승하강에 따른 윈도우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100)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10) 표면과 접촉하도록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120)가 하나 이상 형성되되,
레일 텐셔너(120)는 바디(121)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연결되고, 바디(121)의 양 측면으로는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는 텐션암(122)이 형성되어, 각 텐션암(122)의 볼록면이 레일(10) 표면과 접촉하며,
캐리어 플레이트(100)에는 레일(10)의 단면 형태와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는 후크(110)가 형성되어, 레일(10)과 후크(110)간 끼움 연결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100)가 레일(10)에 장착되되,
후크(110)에는 자동차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10) 표면과 접촉하도록 탄성 재질의 레일 텐셔너(130)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레일 텐셔너(130)는 바디(131)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연결되고, 바디(131)의 양 측면으로는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호(arc) 형상을 이루는 텐션암(132)이 형성되어, 각 텐션암(132)의 볼록면이 레일(10)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A module panel (1) mounted inside the car door, a rail (1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both ends of the rail (10) A pulley 20 installed, a drum 30 mounted rotatab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20 and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31 to a rotating shaft, and a carrier plate 100 connected to the rail 10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drum 30 and the carrier plate 100, and are composed of a wire 40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ulley 20 and a glass fixed to a clamp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100,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in which a window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glas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31),
At least one rail tensioner 12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on the carrier plate 100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rail 1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rail tensioner 120 is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100 through a body 121, and a tension arm 122 forming an arc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10 on both sides of the body 121 ) is formed so that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122 contacts the surface of the rail 10,
A hook 110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nd a complementary shape of the rail 10 is formed on the carrier plate 100, and the carrier plate 100 is connected to the rail 10 through a fitting connection between the rail 10 and the hook 110. ), but
At least one rail tensioner 13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on the hook 110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rail 10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and the rail tensioner 130 moves through the body 131 to the carrier plate 100. ), and a tension arm 132 forming an arc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31, and the convex surface of each tension arm 132 is (10)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레일 텐셔너(120,130)의 각 바디(121,131) 끝단으로 스토퍼(124,134)가 형성되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작동에 따른 외력 작용시, 레일(10) 표면과 스토퍼(124,134)간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텐션암(122,132)의 변형 발생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Stoppers 124 and 134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bodies 121 and 131 of the rail tensioners 120 and 130,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ndow regulator, contact between the surface of the rail 10 and the stoppers 124 and 134 is made and the tension arms 122 and 132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is limited.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40)는 도어 상부 방향의 풀리(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상부 와이어(41)와, 도어 하부 방향의 풀리(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하부 와이어(42)의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의 각 끝단에는 와이어 엔드(43) 및 텐션스프링(44)이 장착되되,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의 각 와이어 엔드(43)는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40 consists of two members: an upper wire 41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ulley 20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oor and a lower wire 42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ulley 2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door. and a wire end 43 and a tension spring 44 are mounted at each end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fixed to the carrier plate 100,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ends (43)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are mounted facing the same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에는 도어 상하부 방향을 따라 와이어 엔드(43) 및 텐션스프링(44)이 삽입 고정되는 상부 장착홈(141)과 하부 장착홈(142)이 각각 형성되되,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는 캐리어 플레이트(100)의 타측면으로 형성된 전환 칼럼(15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가 각각 하부 장착홈(142) 및 상부 장착홈(141)으로 삽입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100)와 연결되는 상부 와이어(41) 및 하부 와이어(42)의 배치 형태가 U자 형상을 이루며, 전환 칼럼(150) 표면에는 상부 와이어(41)와 하부 와이어(42)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According to claim 4,
An upper mounting groove 141 and a lower mounting groove 142 into which the wire end 43 and the tension spring 44 are inserted and fixed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rrier plate 100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door, respectively.
The direction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is changed by the conversion column 15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rrier plate 100, so that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are respectively lowered into the mounting groove. 142 and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mounting groove 141,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100 forms a U shape, and the upper wire 41 and the lower wire 42 are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conversion column 150, respectively.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arrier plat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fixing groove is formed.
KR1020210031112A 2021-03-10 2021-03-10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KR102498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12A KR102498841B1 (en) 2021-03-10 2021-03-10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12A KR102498841B1 (en) 2021-03-10 2021-03-10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74A KR20220126874A (en) 2022-09-19
KR102498841B1 true KR102498841B1 (en) 2023-02-10

Family

ID=8346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112A KR102498841B1 (en) 2021-03-10 2021-03-10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4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300A (en) * 2005-12-13 2007-06-2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Wire type window regulator
JP2019085749A (en) * 2017-11-06 2019-06-0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Window regulator
KR102193861B1 (en) * 2020-01-15 2020-12-23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Missassembly Prevention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Window Regul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725A (en)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ndow regulator device
KR101987488B1 (en) * 2013-07-24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ndow Regulator for protecting rettle noi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2300A (en) * 2005-12-13 2007-06-2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Wire type window regulator
JP2019085749A (en) * 2017-11-06 2019-06-0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Window regulator
KR102193861B1 (en) * 2020-01-15 2020-12-23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Missassembly Prevention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Window 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74A (en)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5584B2 (en) Sunroof device
US5114208A (en) Sliding mechanism for sunroof
US9440521B2 (en) Vehicular deflector device
JPS62189282A (en) Window regulator of sashless door for car
JP5052885B2 (en) Wind screen lifting device and motorcycle
JP6079283B2 (en) Sunroof device for vehicle
JP2012096765A (en) Roof apparatus
US5069501A (en) Spoiler sunroof control mechanism
JP5671914B2 (en) Vehicle roof device
KR102498841B1 (en) Joint Structure of Carrier Plate for Car Window Regulator
JP2012111284A (en) Roof apparatus for vehicle
JP3832948B2 (en) Sunroof deflector device
KR101219742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car seat
JP4527563B2 (en) Wind screen lifting device
US20180186226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low of dust in rear rail of sunroof
KR101989857B1 (en) Vertical Assembly Structure of Clamp and Rail for Car Window Regulato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is Sturcture
JP4194598B2 (en) Windshield adjustment device such as motorbike
KR20080016075A (en) Carrier plate structure door window regulator in automobile
JP2000085368A (en) Vehicular sun roof deflector
GB2433295A (en) Vehicle window regulator
JP4954747B2 (en) Window regulator
JP7274037B2 (en) Sunroof device deflector
KR102558647B1 (en) Joint Structure of Drum for Car Window Regulator
KR102648403B1 (en) End plate of windows regulator for car
CN217553654U (en) All-terra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