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60B1 -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 Google Patents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60B1
KR102498760B1 KR1020220112014A KR20220112014A KR102498760B1 KR 102498760 B1 KR102498760 B1 KR 102498760B1 KR 1020220112014 A KR1020220112014 A KR 1020220112014A KR 20220112014 A KR20220112014 A KR 20220112014A KR 102498760 B1 KR102498760 B1 KR 10249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ler
cam
closing cov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근
Original Assignee
삼도산업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도산업전기(주) filed Critical 삼도산업전기(주)
Priority to KR102022011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61L5/065Construction of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02P1/2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02P1/4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베이스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커버를 제공하고, 상기 마감커버 내부에는 회동단자와 고정단자 등이 일체화로 구성되도록 하고, 외부에는 단자와 연결되는 콘넥터를 설치하며, 이를 통하여 제어실의 신호선과 연결함으로써, 철도의 운행으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도 캠과 회동단자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단락을 방지함과 함께, 컨트롤러 베이스에서 마감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선로전환기에 대한 제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베이스;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감속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일단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부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일단이 캠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회동단자와;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회동단자와의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송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회동단자와 대응되게 구성되는 고정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Controller modularization of operating apparatus for point machine}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러의 베이스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커버를 제공하고, 상기 마감커버 내부에는 회동단자와 고정단자 등이 일체화로 구성되도록 하고, 외부에는 단자와 연결되는 콘넥터를 설치하며, 이를 통하여 제어실의 신호선과 연결함으로써, 철도의 운행으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도 캠과 회동단자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단락을 방지함과 함께, 컨트롤러 베이스에서 마감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보수(AS)가 용이하도록 하여 선로전환기에 대한 제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 전환기(Point Machine)는 선로가 분기되는 곳에 설치하여 열차의 운행 진로를 변경하는 분기기를 전기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현재, 열차의 운행속도가 고속화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국철에 도입된 NS형 선로전환기를 사용함으로써 열차 속도의 고속화 및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잦은 유지보수 주기와 과중량으로 인해 유지보수 및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로전환기는 전환시간이 길어 기존선 속도 향상 또는 고속화 선로의 분기기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국내 철도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열차운행 횟수의 증가에 따라 선로전환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간의 확보뿐만 아니라, 열차감시원의 배치가 필수적이지만 경영 형편상 인력 배치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기준선의 속도 향상과 고속화에 따른 안전에 입각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신뢰성이 높은 선로전환기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고속선에 사용중인 'MJ81형 선로전환기'는 보통의 침목에 설치 가능하고 소형, 경량으로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전환력이 크고 전환시간이 짧아 국내의 모든 선로에 적용할 수 있다. 즉, MJ81형 선로전환기는 국내의 고속철도 도입당시 고속분기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프랑스의 알스톰(Alstom)으로부터 도입된 선로전환기로서 노스가동분기기 및 고속화 철도의 고속분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NS형 선로전환기와 하이드로스타 선로전환기가 있으며, 상기 NS형 선로전환기는 국내 최초로 도입되었던 선로전환기로 이후 마찰클러치를 전자클러치로 개량한 NS-AM형 선로전환기 등이 있다. 상기 하이드로스타 선로전환기는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에 채용된 선로전환기로 유압장치를 통해 실린더에 압력을 공급해 분기기를 동작시키는 구조로 침목과 일체화된 실린더장치를 채택하여 기계 보선작업에 편의를 확보하였으나, 잦은 고장으로 인한 운행장애를 초래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다.
Figure 112023000207019-pat00001
한편, 종래의 MJ81형 선로전환기는 도 1a와 같이, 내측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가 구성된다. 상기 모터(2)는 MJ81형 선로전환기의 동력원으로서 단상 220V(또는 3상 380V)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2)에는 상기 모터(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하는 감속장치(3)가 구성된다. 상기 감속장치(3)는 4단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감속비는 287/1로 약 400Kgf 이상의 전환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모터(2)와 감속장치(3) 사이에는 클러치(4)가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4)는 마찰클러치로서, 모터(2)의 회전력을 감속장치(3)에 전달하고, 선로전환시 결빙 또는 텅레일과 기본레일 사이에 이물질에 의한 동작방해시 클러치의 슬립작용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흡수 및 열로 발산하여 모터(2)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는 제어신호를 모터(2)에 제공함과 함께, 감속장치(3)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에 의해 선로의 전환상태를 외부로 제공하도록 하는 컨트롤러(5)가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5)는 선로전환기의 동작이 완료(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밀착완료)되면 컨트롤러(5)의 캠과 리미트스위치 접점에 의해 표시전원(DC 24V)의 11핀 케이블을 통해 외부 쇄정장치를 거쳐 신호기계실로 전송되어 표시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접점신호에 의하여 계수기를 동작시키며, 전환레버를 'MANUAL'로 전환시 모터(2)의 전원을 차단하여 비상시 수동조작의 위험요인을 원천 제거한다.
상기 컨트롤러(5)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 베이스(52)와,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의 내측에 구성되는 캠(54)과, 상기 캠(54)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단자(56), 및 상기 단자(56)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연결케이블(58)을 포함한다.
상기 캠(54)은 일단이 컨트롤러 베이스(52)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감속장치(3)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감속장치(3)의 회전에 의해 일정각도 정,역회전하고, 타단이 컨트롤러 베이스(52)의 내측에 구성되되 단자(56)들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자(56)는 상기 캠(54)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상기 캠(54)의 정, 역회전에 따라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단자(56)는 표시전원스위치(56a) 및 계수기스위치(56b)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표시전원스위치(56a) 및 계수기스위치(56b)는 캠(54)을 기준으로 양단 각각에 구성됨에 따라 상기 캠(5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어느 한 쪽이 접점이 이루어지고, 다른 한 쪽이 단락이 이루어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연결케이블(58)은 상기 단자(56)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56)의 접점 또는 단락을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전송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58)은 단자에 콘넥터방식으로 꽂아지는 연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MJ81형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5)는 설치 특성 상, 철도의 운행에서 발생되는 강한 진동이 계속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단자와 연결케이블의 단선 또는 단자이탈의 결함이 발생됨으로써, 컨트롤러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컨트롤러의 기능상실에 의해 철도의 운행에 대한 지연 또는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는 커다란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연결케이블은 선형 납땜으로 형성됨에 따라, AS시 해체의 어려움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15974호(2011.02.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러의 베이스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커버를 제공하고, 상기 마감커버 내부에는 회동단자와 고정단자 등이 일체화로 구성되도록 하고, 외부에는 단자와 연결되는 콘넥터를 설치하며, 이를 통하여 제어실의 신호선과 연결함으로써, 철도의 운행으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도 캠과 회동단자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단락을 방지함과 함께, 컨트롤러 베이스에서 마감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선로전환기에 대한 제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성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하는 감속기,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선로전환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베이스;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감속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일단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부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일단이 캠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회동단자; 및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회동단자와의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송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회동단자와 대응되게 구성되는 고정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감커버는 내측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어,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단자의 일정각도 회동을 지지함으로써, 고정단자와의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짐을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감커버와 회동단자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캠에 회동단자의 밀착을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감커버에는, 고정단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어실로 제어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부로 침투됨을 방지시키도록 밀폐시키도록 하는 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상호 접점되는 부분 각각에 일정높이 돌출되어, 회동단자와 고정단자의 접점이 확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접점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감커버는 MJ81형 선로전환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의 베이스 상단을 개폐하는 마감커버를 제공하고, 상기 마감커버 내부에는 회동단자와 고정단자 등이 일체화로 구성되도록 하고, 외부에는 단자와 연결되는 콘넥터를 설치하며, 이를 통하여 제어실의 신호선과 연결함으로써, 철도의 운행으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도 캠과 회동단자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단락을 방지함과 함께, 컨트롤러 베이스에서 마감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선로전환기에 대한 제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MJ81형 선로전환기의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MJ81형 선로전환기 컨트롤러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단자의 구성관계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선로전환기 컨트롤러 모듈(5)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 베이스(52)와, 캠(54)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에는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6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커버(60)는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의 상단을 개폐시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켜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의 내부에 대한 전기적 연결의 간섭을 방지시키고,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에 구성된 캠(54)과의 확고한 연결상태 및 AS시 분해가 용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마감커버(60)는 컨트롤러 베이스(52)의 일단 즉, 상단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마감커버(60)에는 컨트롤러 베이스(52)에 확고하게 고정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단턱, 훅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체결볼트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60)에는 내측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일단에 후술되는 회동단자(6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보스(6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보스(62)는 마감커버(60)의 내측 일측, 예컨대, 하방측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회동단자(61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동단자(610)의 일정각도 회동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스(62)에는 회동단자(610)가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후술되는 고정단자(620)에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각도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부(64)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64)는 상기 지지보스(62)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지지보스(62)의 일단에 지지되는 회동단자(61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동단자(610)가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각도 회동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힌지부(64)는 회동단자(610)가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각도 회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힌지부(64)는 지지보스(62)와 별도로 마감커버(60)의 내측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60)의 내측에는 일단 즉, 하단부가 컨트롤러 베이스(52)의 내측에 구성된 캠(54)의 외주연 일측에 구성되고, 상단부가 마감커버(60)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단부가 고정단자(620)에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동단자(61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단자(610)는 마감커버(60)의 내측에 구성되고, 캠(54)과 고정단자(6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단자(620)와의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져 전기적 신호가 고정단자(620)를 통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회동단자(610)는 캠(54)을 기준으로 양단 각각에 구성되되, 상기 캠(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구성되어, 2개소의 표시전원스위치 및 1개소의 계수기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610)는 힌지부(64)의 일단이 안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힌지부(64)를 중심(O)으로 일정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제1함몰홈(6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610)는 하단부에 일정깊이로 함몰되게 구성되어, 후술되는 스프링(630)의 일단이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6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단자(61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함몰홈(614)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함몰홈(612)은 회동단자(6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제2함몰홈(614)은 하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610)는 판형의 버스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6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캠(54)과 고정단자(620) 사이에서 접점 또는 단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610)의 상단부에는 고정단자(620)와 접점이 이루어질 때, 확고한 접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접점봉(6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점봉(616)은 상기 회동단자(610)의 상단에서 일정높이 돌출되게 구성되어, 고정단자(620)의 일단에 확고하게 접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회동단자(61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고정단자(620)와 캠(54) 사이에 직립형으로 구성되고, 중앙부분에 제1함몰홈(612)과 하단부에 제2함몰홈(614) 및 상단부에 제1접점봉(616)이 형성된다.
고정단자(620)는 마감커버(60)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단자(610)의 일단 즉, 상단부에 구성된 제1접점봉(616)에 의해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동단자(610)와 접점이 이루어질 때 접점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단자(620)에는 외부와 연결되어, 회동단자(610)와 접점 또는 단락을 통한 전기적 신호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지지하는 연결선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620)의 일단 즉, 회동단자(610)의 일단과 접점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회동단자(610)와의 접점이 확고하게 이루어짐을 지지하는 제2접점봉(62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620)는 판형의 버스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620)는 마감커버(60)을 제조할 때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고정단자(620)가 마감커버(60)에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단자(620)가 마감커버(60)에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 구조 또는 제작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60)에는 회동단자(6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630)은 마감커버(60)와 회동단자(61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단자(610)가 힌지부(64)를 중심(O)으로 상단부의 제1접점봉(616)이 고정단자(620)의 제2접점봉(624)에 항상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630)은 회동단자(6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캠(54)의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단자(620)와의 접점 또는 단락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630)은 압축스프링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630)은 회동단자(610)의 구조 또는 형상 등에 따라 인장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커버(60)에는 고정단자(620)의 일단과 연결되어, 제어실로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지지하는 콘넥터(640)를 포함한다.
상기 콘넥터(640)는 상기 마감커버(60)의 일측에 구성되고, 고정단자(620)의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단자(62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제어실로 전송시킴과 함께, 상기 마감커버(60)의 내측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도 2와 같이, 상기 마감커버(60)에는 고정단자(62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어실과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콘넥터(640)는 상기 마감커버(60)의 개구를 개폐시키도록 착탈되게 구성되어, 상기 개구로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콘넥터(640)의 일단이 고정단자(620)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콘넥터(640)는 이 경우, 상기 콘넥터(640)는 도 2와 같이, 마감커버(60)에서 착탈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구조는 마감커버(60)의 지지보스(62)에 회동단자(61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보스(62)에는 힌지부(64)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힌지부(64)의 일단이 회동단자(620)의 제1함몰홈(61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힌지부(64)를 중심(O)으로 회동단자(610)가 회동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자(610)의 하단부에 구성된 제2함몰홈(614)과 마감커버(60) 사이에 스프링(630)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캠(54)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의 회동단자(610)가 고정단자(620)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고(도 4를 기준으로 오른쪽 도면), 이와 대칭되는 위치의 회동단자(610)가 고정단자(620)에 접점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4를 기준으로 왼쪽 도면).
이때, 오른 쪽의 회동단자(610)는 캠(54)의 형상에 의해 회동단자(610)의 하단을 강제로 밀림시킴으로써, 상기 회동단자(610)의 하단부에 구성된 스프링(630)에 압축력이 작용함과 함께, 회동단자(610)의 상단부가 힌지부(64)를 중심(O)으로 회동됨에 따라 고정단자(620)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왼 쪽의 회동단자(610)는 캠(54)의 형상에 의해 회동단자(610)의 하단에 밀림력이 해제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회동단자(610)의 하단부에 구성된 스프링(630)의 탄성력이 작용함과 함께, 회동단자(610)의 상단부가 힌지부(64)를 중심(O)으로 회동됨에 따라 고정단자(620)와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커버(60)에는 회동단자(610)와 고정단자(620)와 스프링(630) 및 콘넥터(640)가 일체화로 구성됨으로써,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5)에 대한 AS시, 컨트롤러 베이스(52)에서 마감커버(60)를 분리시키면,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52)의 내부에 대한 AS가 용이하다.
또한, 마감커버(60)에 회동단자(610)와 고정단자(620) 등이 일체화로 구성되어, 철도의 운행에서 발생되는 강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선로전환기에 작용하여도 컨트롤러 베이스(52)에 구성된 캠(54)에 회동단자(610)가 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캠(54)과 회동단자(610) 및 고정단자(620)의 연결이 임의적으로 분리 또는 단락되지 않음에 따라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5)에 대한 제어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 마감커버 62: 지지보스
64: 힌지부 610: 회동단자
612: 제1함몰홈 614: 제함몰홈
616: 제1접점봉 620: 고정단자
624: 제2접접봉 630: 스프링
640: 콘넥터

Claims (6)

  1. 컨트롤러 베이스와,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감속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장치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일단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부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시키도록 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MJ81형 선로전환기에 적용되는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에는 내측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지지보스;
    상기 지지보스의 일단에 구성되는 힌지부;
    일단이 캠에 밀착되게 구성되고, 타단이 마감커버의 내측상단에 위치되도록 직립형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힌지부의 일단이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1함몰홈과,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함몰홈, 및 상단부에 제1접점봉이 형성되어,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단부의 제1접점봉이 일정각도 회동에 의해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회동단자;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 상단에 구성되되 상기 마감커버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개구에 일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에 상기 회동단자의 제1접접봉과 접점 또는 단락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회동단자와 대응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단자;
    상기 마감커버와 회동단자의 제2함몰홈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회동단자의 하단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캠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마감커버의 개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어실로 제어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콘넥터를 포함하고;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에 대한 유지보수(AS)시, 컨트롤러 베이스에서 마감커버를 분리시키면, 상기 컨트롤러 베이스의 내부에 대한 유지보수(AS)가 용이하도록 상기 마감커버에 회동단자와 고정단자와 스프링 및 콘넥터가 일체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112014A 2022-09-05 2022-09-05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KR10249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14A KR102498760B1 (ko) 2022-09-05 2022-09-05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14A KR102498760B1 (ko) 2022-09-05 2022-09-05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760B1 true KR102498760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014A KR102498760B1 (ko) 2022-09-05 2022-09-05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7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49812A (fr) * 1933-01-03 1933-07-29 Ver Eisenbahn Signalwerke Couplage pour commande de changements de voie et de signaux
KR101015974B1 (ko) 2009-02-13 2011-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의 전기선로 전환기용 모터 구동장치
CN113022645A (zh) * 2019-12-25 2021-06-25 西安晶海中德铁路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动接点组使用的卡接装置
KR20220045617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세화 흘러내림방지와셔 및 흘러내림방지와셔로 제어암의 길이 조절 가능한 선로전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49812A (fr) * 1933-01-03 1933-07-29 Ver Eisenbahn Signalwerke Couplage pour commande de changements de voie et de signaux
KR101015974B1 (ko) 2009-02-13 2011-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의 전기선로 전환기용 모터 구동장치
CN113022645A (zh) * 2019-12-25 2021-06-25 西安晶海中德铁路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动接点组使用的卡接装置
KR20220045617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세화 흘러내림방지와셔 및 흘러내림방지와셔로 제어암의 길이 조절 가능한 선로전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3122C2 (ru) Стрелочный привод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и трамвайных стрелочных переводов
KR102498760B1 (ko) 선로전환기의 컨트롤러 모듈
JPH09175393A (ja) 転轍器のポイントのロック装置、ポイントの駆動およびロック装置、そのような装置の設置方法、および転轍器の駆動およびロック装置
AT500328A1 (de) Fahrzeug mit batteriefahr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fahrzeuges
JP2007252022A (ja) 鉄道車両
US9919722B2 (en) Railroad vehicle
CN1865037A (zh) 用于车辆驱动的接通闭锁装置以及带有该装置的驱动设备
US5449295A (en) Automatic electric coupling mechanism for a passenger transit type vehicle
CN210006614U (zh) 开关箱,具有该开关箱的控制系统以及有轨电车
US20230406371A1 (en) Extendable Coupler
US1244110A (en) Switch.
KR102231715B1 (ko)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의 선로전환기 블록 쇄정장치
US6039409A (en) Shutoff valve assembly
RU2235030C1 (ru) Стрелоч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KR102498761B1 (ko) 선로전환기의 마찰클러치
KR102406039B1 (ko) 철도 차량용 접지스위치 인터록 장치
CN1063142C (zh) 用于长定子驱动装置的供电系统
KR20040037565A (ko)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RU33079U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стрелочный агрегатно-модульный
JP2013513504A (ja) ドライブユニット用配線システム
CN218958512U (zh) 避雷器装置、避雷器拆装工具
US5073686A (en) Knife switch
CN217464029U (zh) 一种车轮石墨润滑保护系统
KR20230168711A (ko) 철도 차량용 전기 연결기
CN216157365U (zh) 一种机车发电系统安全隔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