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36B1 -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36B1
KR102498736B1 KR1020220064756A KR20220064756A KR102498736B1 KR 102498736 B1 KR102498736 B1 KR 102498736B1 KR 1020220064756 A KR1020220064756 A KR 1020220064756A KR 20220064756 A KR20220064756 A KR 20220064756A KR 102498736 B1 KR102498736 B1 KR 10249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processor
facial recogni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후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시스(주) filed Critical 이후시스(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CDIGITAL COMPUTERS IN WHICH ALL THE COMPUTATION IS EFFECTED MECHANICALLY
    • G06C11/00Output mechanisms
    • G06C11/02Output mechanisms with visual indication, e.g. counter d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업장에 방문한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고객의 체온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신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모듈;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으며, 고객의 신체정보나 대기 순번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입출력모듈; 및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안면 인식한 고객 정보, 고객의 요청 서비스 정보, 요청 서비스별 대기 순번 정보, 및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O CUSTOMERS USING FACIAL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 인식을 통해 위험 등급의 고객을 판단하여 관리자가 미리 대응할 수 있게 하고, 위험 등급의 고객이 아니라면 안면 인식된 고객의 등급이나 순서에 따라 필요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관공서 등의 사업장을 방문한 고객은, 발권기에서 대기 순번을 나타내는 번호표를 받고, 호출기에 표시된 대기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업장의 담당자와 대면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사업장은 내부적으로 고객의 관리 등급을 구분하여 관리하기도 하는데, 가령, 위험 등급(예 : 범죄자, 지명 수배자 등), 관심 등급(예 : 범죄 예상 행동을 하는 사람, 유행성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 등), 일반 등급, 및 VIP 등급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기도 한다.
기존에는 사업장의 관리자(또는 담당자)가 고객(또는 고객이 제공한 개인 정보)을 직접 보고 관리 등급을 판단하거나, 필요에 따라 관련 기관(예 : 경찰서, 세무서 등)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고객의 관리 등급을 판단하거나, 상기 관련 기관에 조회하여 고객의 관리 등급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처리해야 할 업무로 인해 고객의 관리 등급 판단을 판단하지 않거나, 판단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판단된 고객의 관리 등급에 따라 대응 매뉴얼이 다르기 때문에(특히 위험 등급이나 관심 등급의 고객은 시간적으로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한 관리자(또는 담당자)가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72386호(2016.06.23. 공개, 특징점을 기반으로 한 얼굴 인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압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안면 인식을 통해 위험 등급의 고객을 판단하여 관리자가 미리 대응할 수 있게 하고, 위험 등급의 고객이 아니라면 안면 인식된 고객의 등급이나 순서에 따라 필요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업장에 방문한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고객의 체온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신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모듈; 상기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으며, 고객의 신체정보나 대기 순번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입출력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면 인식한 고객 정보, 고객의 요청 서비스 정보, 요청 서비스별 대기 순번 정보, 및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사업장의 고객 관리용 서버, 경찰서나 세무서를 포함한 관련 기관이나 정부 기관의 서버, 및 뉴스나 이벤트를 포함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고객 정보 테이블을 제공하며,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은, 고객의 영상, 안면 인식 시간, 대기 번호, 성명, 주거래 지점, 신체정보, 고객등급 정보, 및 신고하기와 지정호출을 위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관리자가 선택한 고객 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되, 고객 등급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입력하는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고, 뉴스나 이벤트 정보 및 호출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이 사업장에 방문하면, 카메라모듈이나 센서모듈을 통해 방문 고객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이나 센서모듈을 이용해 방문 고객의 신체 정보 검출 및 안면 인식을 수행하며,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를 입력 받고,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를 출력하되, 대기번호표 발권 및 대기번호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수행하고,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안면 인식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고객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의 안면 인식 과정에서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번호 입력 윈도우"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고객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를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지 체크하여,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 경우,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기 번호"에 앱(APP)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앱(APP) 설치가 완료되거나 처음 사용하는 고객이 아닌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에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고객이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요청한 "요청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 미리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가 카메라모듈을 이용해 사업장에 방문한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센서모듈을 이용해 상기 고객의 체온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신체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으며, 고객의 신체정보나 대기 순번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며, 상기 안면 인식한 고객 정보, 고객의 요청 서비스 정보, 요청 서비스별 대기 순번 정보, 및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안면 인식과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와 통신하되, 상기 서버는, 사업장의 고객 관리용 서버, 경찰서나 세무서를 포함한 관련 기관이나 정부 기관의 서버, 및 뉴스나 이벤트를 포함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고객 정보 테이블을 제공하며,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은, 고객의 영상, 안면 인식 시간, 대기 번호, 성명, 주거래 지점, 신체정보, 고객등급 정보, 및 신고하기와 지정호출을 위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관리자가 선택한 고객 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정보를 조합한 후,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되, 고객 등급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입력하는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고, 뉴스나 이벤트 정보 및 호출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를 입력 받고,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를 출력하되, 대기번호표 발권 및 대기번호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수행하고,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안면 인식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고객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단계에서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가 선택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번호 입력 윈도우"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고객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를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지 체크하여,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 경우,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기 번호"에 앱(APP)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앱(APP) 설치가 완료되거나 처음 사용하는 고객이 아닌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에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고객이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요청한 "요청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 미리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면 인식을 통해 위험 등급의 고객을 판단하여 관리자가 미리 대응할 수 있게 하고, 위험 등급의 고객이 아니라면 안면 인식된 고객의 등급이나 순서에 따라 필요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고객 정보 테이블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시연하는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고객측 입장에서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관리자나 담당자측 입장에서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리자나 담당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고객 정보 테이블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시 고객이 사업장에 입장하여 담당자와 대면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와 다른 장치의 연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안전관리자나 본사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관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카메라모듈(110), 센서모듈(120), 정보입출력모듈(130), 프로세서(140), 통신모듈(150), 관리자 단말기(160), 및 고객 호출기(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업장(예 : 은행, 교회, 절, 학교, 체육관, 호텔, 콘도, 무인점포, 골프장, 병원, 관공서 등)을 방문한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여, 고객이 요청한(원하는) 서비스(예 : 은행의 경우 예금 관련 서비스나 대출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의 안면 인식을 통해 위험 등급의 고객을 판단하여 관리자가 미리 대응할 수 있게 하고, 위험 등급의 고객이 아니라면 안면 인식된 고객의 등급이나 순서(방문 순서, 대기 순번)에 따라 필요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맞춤 서비스는 상기 사업장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관련 기관(예 : 경찰서, 세무서 등)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예 : 범죄자, 탈세자, 실종자 등)와 통신 연결됨으로써, 안면 인식된 사용자(고객)의 범죄 관련 정보, 탈세 관련 정보, 및 실종 관련 정보 등을 자동으로 확인하여, 관리자(담당자) 단말기(16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와 같이 관련 기관(예 : 경찰서, 세무서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업장에서 관리하는 고객 등급에 따라 대응시켜 관리하되, 가령, 사용자(고객)를 위험 등급(예 : 범죄자, 지명 수배자 등), 관심 등급(예 : 범죄 예상 행동을 하는 사람, 유행성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 등), 일반 등급, 및 VIP 등급 등으로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면 인식된 사용자(고객)의 고객 등급이 확인되면, 관리자(담당자) 단말기(160)에 고객 정보와 대응하는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위험 등급(예 : 범죄자, 지명 수배자 등), 및 관심 등급(예 : 범죄 예상 행동을 하는 사람, 유행성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 등)에 해당하는 사용자(고객)에 대해서는 사업장 내부에 설치된 다른 카메라모듈(미도시)과 연계하여 계속해서 추적하여 녹화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고객)를 추적하는 방식은, 이동형 카메라를 회전시켜 사용자(고객)가 화면 내에 있도록 추적하는 방식, 및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화면에서 대상 사용자(고객)의 움직임에 따라 추적 이미지를 표시하여 추적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험 등급이나 관심 등급에 해당하는 사용자(고객)가 확인될 경우,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자동으로 신고하기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담당자) 단말기(160)에 제공하는 사용자(고객) 정보의 일 측에 "신고하기 버튼"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담당자)의 판단에 따라 "신고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신고하기를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이나 센서모듈(120)을 이용해 사용자(고객)의 신체 정보(예 : 체온, 키, 발 사이즈 등)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로 검출한 정보는 보다 정확한 고객 등급을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VIP 등급에 해당하는 사용자(고객)가 확인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담당자) 단말기(160)에 제공하는 사용자(고객) 정보의 일 측에 "지정호출 버튼"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담당자)의 판단에 따라 "지정호출 버튼"을 클릭하여 VIP 등급의 고객을 전담하는 담당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업장을 방문한 사용자(고객)가 대기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기(즉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190)을 통해 사용자(고객)가 요청하는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예 : 예금 상품, 대출 상품, 대출 자격, 이벤트, 투자, 뉴스 등)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고객)가 요청하는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고객)가 대기 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요청 서비스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모듈(110)은 사업장에 방문한 사용자(고객)을 촬영한다. 이 때 상기 카메라모듈(110)은 화상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자외선카메라 등 특성이 다른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고객)의 키나 신발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신발 사이즈 검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바닥에 격자무늬가 도시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20)은 사용자(고객)의 신체정보(예 : 체온, 맥박, 키, 몸무게 등)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고객)로부터 필요한 정보(예 : 요청 서비스 메뉴, 사용자 단말기 번호 등)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입출력모듈(130)은 사용자(고객)로부터 필요한 정보(예 : 요청 서비스 메뉴, 사용자 단말기 번호 등)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버튼)나 안내문,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고객)의 신체정보나 대기 순번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정보의 출력과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시연하는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고객)의 안면을 인식한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사용자(고객)의 안면을 인식을 위하여, 통신모듈(150)을 통해 지정된 서버(18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180)는 사업장의 고객 관리용 서버, 관련 기관(예 : 경찰서, 세무서 등의 정부 기관)의 서버, 및 뉴스나 이벤트 등의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안면 인식된 사용자(고객) 정보, 사용자(고객)의 요청 서비스 정보, 요청 서비스별 대기 순번 정보, 및 상기 서버(18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예 : 위험 등급이나 관심 등급에 해당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150)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160)에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고객 정보 테이블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고객)의 영상, 안면 인식 시간, 대기 번호, 성명, 주거래 지점, 신체정보(체온), 고객등급 정보, 및 특정 기능 버튼(예 : 신고하기 버튼, 지정호출 버튼)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관리자(담당자)가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신고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신고하기를 수행하거나, "지정호출 버튼"을 클릭하여 VIP 등급의 고객을 전담하는 담당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또는 관리자(담당자)가 복수의 사용자(고객)를 선택하여 한꺼번에 신고하거나 지정 담당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담당자)가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서 특정 고객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서 보이지 않던 정보까지 포함한 보다 상세한 고객 정보(확대된 영상 정보 포함)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자(담당자)는 지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에 로그인해야 한다.
또한 상기 고객 호출기(17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를 통해 상기 관리자(담당자)가 호출하는 사용자(고객)의 대기 번호를 출력한다.
상기 서버(180)는 사업장의 고객 관리용 서버, 관련 기관(예 : 경찰서, 세무서 등의 정부 기관)의 서버, 및 뉴스나 이벤트 등의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80)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프로세서(140)가 선택적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에만 제공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190)에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40)는 고객 등급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90)를 통해 사용자(고객)가 입력하는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에만 제공하고, 뉴스나 이벤트 등의 정보 및 호출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90)에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90)는 상기 프로세서(140)로부터 사업장을 방문한 사용자(고객)가 대기하는 동안 사용자(고객)가 요청하는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예 : 예금 상품, 대출 상품, 대출 자격, 이벤트, 투자, 뉴스 등)를 제공받거나, 사용자(고객)가 요청하는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고객)가 대기 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요청 서비스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고객)가 사업장에 방문하면, 프로세서(140)는 카메라모듈(110)이나 센서모듈(120)을 통해 방문 고객을 감지하고(S101), 상기 카메라모듈(110)이나 센서모듈(120)을 통해 방문 고객의 신체 정보(예 : 체온, 키, 발 사이즈, 맥박, 심장박동, 산소포화도, 혈압 등) 검출 및 안면 인식을 수행한다(S102)(도 7의 (a) 참조).
또한 상기 프로세서(140)는 정보입출력모듈(130)을 통해 사용자(고객)로부터 요청 서비스(예 : 개인 업무)를 입력 받고(도 7의 (b) 참조),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또는 대기 순번)를 출력한다(예 : 대기번호표 발권 및 대기번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S103)(도 7의 (c) 참조).
상기와 같이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또는 대기 순번)의 출력이 완료되면 사용자(고객)는 대기 장소에서 담당자의 호출을 기다린다(도 7의 (d) 참조).
또한 상기 프로세서(140)는 서버(180)와 통신하여, 상기 안면 인식한 정보 및 신체 정보(예 : 체온, 키, 발 사이즈, 맥박, 심장박동, 산소포화도, 혈압 등)를 바탕으로 사용자(고객)의 고객 등급을 확인하고(S104), 상기 확인한 사용자(고객)의 고객 정보(예 : 고객 등급, 요청 서비스, 대기 번호 등)를 관리자 단말기(160)에 출력한다(S105)(도 8 참조).
이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에 출력하는 고객 정보 테이블에는 사용자(고객)들의 사진과, 이름(등록된 고객일 경우), 및 고객 등급(위험 등급, 관심 등급, 일반 등급, VIP 등급) 등을 표시한다(도 3 및 도 9의 (a) 참조).
이에 따라 관리자(담당자)는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서 특정 고객의 항목을 클릭하여 상세한 고객 정보를 팝업창으로 확인하거나(도 4 참조), 화면 일 측의 분할된 영역에 상세한 고객 정보를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상기와 같이 고객 정보를 확인한 관리자(담당자)는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 함께 표시된 특정 버튼(예 : 신고하기 버튼, 지정호출 버튼)을 클릭하여 관계 기관(또는 정부 기관)(예 :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고객 담당 직원을 호출하거나, 다음 순번의 대기 고객을 호출할 수 있다(도 3, 4, 8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고객)가 안면 인식 과정에서 정보입출력모듈(130)을 통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를 선택할 경우(S201의 예), 프로세서(140)는 상기 정보입출력모듈(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예 : 휴대폰, 스마트폰 등) 번호 입력 윈도우"를 출력하여, 사용자(고객)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 받는다(S202).
또한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사용자(고객)가 상기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고객)인지 체크하여, 처음 사용자인 경우(S203의 예),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기 번호"에 앱(APP) 설치 정보를 전송하여 설치가 완료되면(S204), 또는 처음 사용자가 아니라면(S203의 아니오), 해당 사용자 단말기(실질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190)에 사용자(고객)가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예 : 이벤트, 대출, 예금 상품, 카드, 주식, 투자, 뉴스 등)를 전송한다(S205).
즉, 사용자(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직접 검색할 필요가 없이,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사용자(고객)가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예 : 이벤트, 대출, 예금 상품, 카드, 주식, 투자, 뉴스 등)를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고객)가 정보를 검색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자동으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40)는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사용자(고객)가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예 : 이벤트, 대출, 예금 상품, 카드, 주식, 투자, 뉴스 등)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고객)가 요청하는 요청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대기 중 사용자 단말기(190)를 통해 미리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S206), 사용자(고객)가 대기 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요청 서비스의 실제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고객)에 맞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위험 등급이나 관심 등급의 고객이 감지될 경우 해당 사용자(위험 등급이나 관심 등급의 고객)이 모르게 신고가 이루어지거나, 또한 사용자(고객) 본인도 인지하지 못한 신체 정보(예 : 범죄 예상 행동을 하는 사람, 유행성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 등)를 바탕으로 위험 발생 가능성을 미리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고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은행 뿐 아니라 주민 센터 및 기타 고객을 직접 대면해야 하는 관공서/공공기관 등의 다양한 사업장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사업자의 관리자(담당자)와 사용자(고객)의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서로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시 고객이 사업장에 입장하여 담당자와 대면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고객)가 사업장(예 : 은행)에 방문하면, 프로세서(140)는 카메라모듈(110)이나 센서모듈(120)을 통해 방문 고객을 감지하고, 상기 방문 고객의 헬스 케어 정보나 신체 정보(예 : 체온, 키, 발 사이즈, 맥박, 심장박동, 산소포화도, 혈압 등)의 검출 및 안면 인식을 수행하고, 사용자(고객)로부터 요청 서비스(예 : 개인 업무)를 입력 받음과 아울러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표(또는 대기 순번)를 출력하고(예 : 대기번호표 발권 및 대기번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이 때 상기 헬스 케어 정보나 신체 정보의 검출 결과(즉, 바이탈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대기번호표의 일 측에 인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표(또는 대기 순번)의 출력이 완료되면 사용자(고객)는 대기 장소에서 담당자의 호출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40)는 서버(180)와 통신하여, 상기 안면 인식한 정보 및 헬스 케어 정보나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고객)의 고객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사용자(고객)의 고객 정보(예 : 고객 등급, 요청 서비스, 대기 번호 등)를 관리자 단말기(예 : 은행원)(160)에 출력한다.
이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160)에 출력하는 고객 정보 테이블에는 사용자(고객)들의 사진과, 이름(등록된 고객일 경우), 및 고객 등급(위험 등급, 관심 등급, 일반 등급, VIP 등급), 고객의 방문 목적, 대기시간, 및 대기번호 등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담당자)는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서 특정 고객의 항목을 클릭하여 상세한 고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객 정보를 확인한 관리자(담당자)는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에 함께 표시된 특정 버튼(예 : 신고하기 버튼, 지정호출 버튼)을 클릭하여 관계 기관(또는 정부 기관)(예 :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고객 담당 직원을 호출하거나, 다음 순번의 대기 고객을 호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와 다른 장치의 연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업장에 설치된 다른 시스템(예 : 화재감지 시스템, 출입문 제어 시스템, 안내 방송 시스템, CCTV 시스템 등)과 통신(예 : 직접 통신 연결,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통신 연결)이 연결되어 연계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재감지 시스템을 통해 화재 경보(Fire Alarm)가 수신되면, 기 카운트 된 사용자(고객)의 수와 사업장의 출입문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간 고객의 수 및 고객의 안면 정보를 비교하고, 아직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고객의 수와 고객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아직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고객의 이름을 호출하여 빨리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등록된 고객이 아니거나, 사업장의 출입문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는 고객의 안면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고객의 이름 정보를 제외한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해 알림문자나 알람을 자동 발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안전관리자나 본사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관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들은 클라우스 서버를 통해(또는 직접 통신 연결을 통해) 상위 시스템(예 : 안전관리 지사센터 시스템, 본사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받을 수 있다.
상기 상위 시스템의 관리자는 각 사업장(또는 작업현장)별로 설치된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들의 동작 및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관리 할 수 있다. 또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해 알림문자를 자동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 시스템의 관리자는 각 사업장(또는 작업현장)별로 설치된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들에 대한 시스템 업데이트 관리를 온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업장에서 단독으로 동작하거나, 사업장에 설치된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상위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원격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재해가 발생하는 즉시 대응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카메라모듈
120 : 센서모듈
130 : 정보입출력모듈
140 : 프로세서
150 : 통신모듈
160 : 관리자 단말기
170 : 고객 호출기
180 : 서버
19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4)

  1. 사업장에 방문한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고객의 체온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신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모듈;
    상기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으며, 고객의 신체정보나 대기 순번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입출력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면 인식한 고객 정보, 고객의 요청 서비스 정보, 요청 서비스별 대기 순번 정보, 및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연계된 화재감지 시스템을 통해 화재 경보가 수신되면, 기 카운트 된 고객의 수와 사업장의 출입문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간 고객의 수 및 고객의 안면 정보를 비교하여, 아직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고객의 수와 해당 고객의 이름을 검색 출력하고,
    상기 아직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고객의 이름을, 미리 연계된 안내 방송 시스템을 통해 빨리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 방송을 출력하고,
    만약 등록된 고객이 아니거나, 사업장의 출입문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는 고객의 안면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고객의 이름 정보를 제외한 안내 방송을 출력하거나, 미리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해 알림문자나 알람을 자동으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사업장의 고객 관리용 서버, 경찰서나 세무서를 포함한 관련 기관이나 정부 기관의 서버, 및 뉴스나 이벤트를 포함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고객 정보 테이블을 제공하며,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은,
    고객의 영상, 안면 인식 시간, 대기 번호, 성명, 주거래 지점, 신체정보, 고객등급 정보, 및 신고하기와 지정호출을 위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관리자가 선택한 고객 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되,
    고객 등급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입력하는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고, 뉴스나 이벤트 정보 및 호출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이 사업장에 방문하면, 카메라모듈이나 센서모듈을 통해 방문 고객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이나 센서모듈을 이용해 방문 고객의 신체 정보 검출 및 안면 인식을 수행하며,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를 입력 받고,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를 출력하되, 대기번호표 발권 및 대기번호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수행하고,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안면 인식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고객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의 안면 인식 과정에서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번호 입력 윈도우"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고객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를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지 체크하여,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 경우,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기 번호"에 앱(APP)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앱(APP) 설치가 완료되거나 처음 사용하는 고객이 아닌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에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고객이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요청한 "요청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 미리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8. 프로세서가 카메라모듈을 이용해 사업장에 방문한 고객의 안면 인식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센서모듈을 이용해 상기 고객의 체온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신체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으며, 고객의 신체정보나 대기 순번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며, 상기 안면 인식한 고객 정보, 고객의 요청 서비스 정보, 요청 서비스별 대기 순번 정보, 및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연계된 화재감지 시스템을 통해 화재 경보가 수신되면, 기 카운트 된 고객의 수와 사업장의 출입문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간 고객의 수 및 고객의 안면 정보를 비교하여, 아직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고객의 수와 해당 고객의 이름을 검색 출력하고,
    상기 아직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고객의 이름을, 미리 연계된 안내 방송 시스템을 통해 빨리 사업장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 방송을 출력하고,
    만약 등록된 고객이 아니거나, 사업장의 출입문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는 고객의 안면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고객의 이름 정보를 제외한 안내 방송을 출력하거나, 미리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해 알림문자나 알람을 자동으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안면 인식과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조합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와 통신하되,
    상기 서버는,
    사업장의 고객 관리용 서버, 경찰서나 세무서를 포함한 관련 기관이나 정부 기관의 서버, 및 뉴스나 이벤트를 포함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정보를 조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고객 정보 테이블을 제공하며,
    상기 고객 정보 테이블은,
    고객의 영상, 안면 인식 시간, 대기 번호, 성명, 주거래 지점, 신체정보, 고객등급 정보, 및 신고하기와 지정호출을 위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관리자가 선택한 고객 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정보를 조합한 후,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되,
    고객 등급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고객이 입력하는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만 제공하고, 뉴스나 이벤트 정보 및 호출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요청 서비스를 입력 받고, 해당 요청 서비스별 대기 번호를 출력하되, 대기번호표 발권 및 대기번호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수행하고,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안면 인식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고객 등급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의 고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단계에서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가 선택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정보입출력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번호 입력 윈도우"를 출력하여, 고객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고객이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메뉴"를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지 체크하여, 처음 사용하는 고객인 경우,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기 번호"에 앱(APP)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앱(APP) 설치가 완료되거나 처음 사용하는 고객이 아닌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에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고객이 요청한 "요청 서비스"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인식 과정에서 요청한 "요청 서비스"의 처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 미리 기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64756A 2022-04-22 2022-05-26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98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0259 2022-04-22
KR1020220050259 2022-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736B1 true KR102498736B1 (ko) 2023-02-14

Family

ID=8522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756A KR102498736B1 (ko) 2022-04-22 2022-05-26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7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35A (ko) * 2008-04-16 2009-10-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고객 안면 인식을 통한 영업점 업무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2319265B1 (ko) * 2020-05-28 2021-11-01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비접촉식 체온측정이 가능한 번호표 발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35A (ko) * 2008-04-16 2009-10-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고객 안면 인식을 통한 영업점 업무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2319265B1 (ko) * 2020-05-28 2021-11-01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비접촉식 체온측정이 가능한 번호표 발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331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monitoring of released criminals by law enforcement
EP3051511B1 (en) Mobile terminal device, call-to-action system, call-to-action method, call-to-action program, and safety verification system
US78602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accessing, and analyzing investigative information
JP5950484B2 (ja) 防犯システム
US20140278212A1 (en) Location-based tracking system
US7987277B2 (en)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JP6241666B2 (ja) 利用者管理装置、利用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利用者管理方法
JP5813829B1 (ja) 防犯システム
US11778424B2 (en) Evacuation tracking
KR101656499B1 (ko)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498736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10082275A1 (en) Composing and transmitting customized alert messages to responders
JP2010081442A (ja) ドアホン装置
KR20150033227A (ko) 위급상황에서 외부 단말기 탈·부착 및 비상버튼에 의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US20140067602A1 (en) Sanctions Screening
KR100810097B1 (ko) 고객이미지 기록방법 및 그 시스템
TWI750922B (zh) 用於會客導引的人臉辨識系統及方法
JP7474957B2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KR20140052215A (ko)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테이블을 이용한 서식 및 고객관리
KR20230085281A (ko) 영상과 라이다 센서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2024020651A (ja) 安否確認システム
JP2023156190A (ja) 建物管理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1228A (ja) 来客管理システム
JP2023008378A (ja) 監護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