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32B1 -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32B1
KR102497932B1 KR1020220009072A KR20220009072A KR102497932B1 KR 102497932 B1 KR102497932 B1 KR 102497932B1 KR 1020220009072 A KR1020220009072 A KR 1020220009072A KR 20220009072 A KR20220009072 A KR 20220009072A KR 102497932 B1 KR102497932 B1 KR 10249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vings
installment
installment savings
advertiser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6510A (ko
Inventor
김영림
고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Publication of KR2022001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에게 적금계좌의 납입현황을 그래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뱅킹 서버는 적금납부액을 설정하고,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적금 계좌 개설부,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는 적금 현황 제공부,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적금계좌와 연계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한다. 목표값은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Banking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allment Saving Banking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적금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은행에서는 정기예금, 자유 저축 예금, 주택 부금, 일복리 저축 예금, 가계당좌예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한다. 그 중에서 적금은 일반 대중에게 목돈이나 종자돈을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써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적금은 계약기간 동안 일정금액을 지정일마다 입금하는 금융상품으로써, 계약기간 내에는 입금만 가능하고 출금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계약기간이 만료시까지 적금이 유효하게 유지되면 타 금융상품보다 높은 이자가 지급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적금은 계약기간이 길고 납입금액이 크게 설정될 뿐만 아니라 출금이 불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적금을 가입한 고객들이 계약기간 만료시까지 적금을 유효하게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아 타 금융상품에 비해 중도 해지율 또한 높다는 특성도 있다.
적금이 중도해지 되면 고객의 입장에서는 약정이자를 지급받지 못하게 되고, 적금과 같은 금융상품을 제공했던 은행의 입장에서는 자금이탈의 발생은 물론 고객수 감소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에게 적금계좌의 납입현황을 그래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금계좌를 만기 시까지 유지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효과적인 마켓팅을 수행할 수 있는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뱅킹 서버는 적금납부액을 설정하고,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적금 계좌 개설부,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는 적금 현황 제공부,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적금계좌와 연계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한다. 목표값은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뱅킹 서버는 적금납부액 및 적금납부액의 변화값을 기초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적금 계좌 개설부,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는 적금 현황 제공부,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적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금납부액을 설정하고,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단계,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개설된 적금계좌의 적금현황을 제공하는 단계,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적금계좌와 연계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에게 적금계좌의 납입현황을 그래픽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가 적금계좌의 유지에 따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어 이로 인해 적금계좌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에게 추가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어, 신규사용자의 유입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적금 계좌 유지에 대한 동기부여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주가 적금 서비스를 통해 자사의 상품에 대한 마켓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뱅킹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적금계좌 타입 선택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제1 타입 적금계좌 개설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c는 제2 타입 적금계좌에 있어서 적금납부액 및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적금 증액 설정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은 제2 타입 적금 현황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타입 적금계좌의 만기 시 제공되는 도전완료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적금계좌 타입 선택페이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c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d는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e는 계좌관리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f는 제2 타입 적금계좌 개설 이후 최초 실행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c는 제2 타입 적금계좌의 만기 시 제공되는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d는 제2 타입 적금계좌의 만기 시 제공되는 도전완료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e는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한 리워드 정보가 포함된 리워드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f는 광고주의 어플리케이션 내에 출력된 제2 타입 적금 현황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제2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광고 선택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제2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새 캠페인 만들기 페이지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c는 제2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새 광고그룹 만들기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d는 제2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광고타겟 설정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e는 제2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광고방법 설정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적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뱅킹 서버(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광고주 단말기(250) 및 광고주 서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광고 서버(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뱅킹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적금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제1 뱅킹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미도시, 이하 '제1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이 설치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 등과 같은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되거나 단말기 제조 업체에 의해 단말기 제조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뱅킹 서버(200)로부터 페이지를 제공받고, 제공된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어플리케이션은 뱅킹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은행업무 처리요청을 뱅킹 서버(20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은행업무 처리요청이 뱅킹 서버(20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
일 예로, 제1 어플리케이션은 뱅킹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적금계좌 개설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적금계좌 개설요청을 뱅킹 서버(200)로 전달하고, 뱅킹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적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페이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페이지들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뱅킹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은행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은행업무 처리를 위한 페이지들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적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적금 서비스 가입을 위한 서비스 안내 페이지를 통해 적금계좌 개설요청이 수신되면,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적금계좌 개설페이지에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적금계좌를 개설 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적금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금 서비스에 관련된 내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뱅킹 서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적금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 및 데이터 베이스(220)를 포함한다.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페이지들을 제공하고, 적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페이지들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적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는 적금계좌 개설부(212) 및 적금현황 제공부(214)를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워드 제공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트로 페이지를 통해 적금계좌 개설요청이 수신되면,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를 기초로 적금계좌를 개설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적금계좌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적금계좌 타입 선택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계좌 타입은 제1 타입 적금계좌 및 제2 타입 적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적금계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금기간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적금납부액을 사용자가 원하는 적금주기마다 입금할 수 있는 적금계좌를 의미한다. 여기서 적금기간은 제1 타입 적금계좌의 개설일부터 제1 타입 적금계좌의 만기일까지의 기간을 의미하고, 적금납부액은 제1 타입 적금계좌로 정기적으로 입금하기로 약정한 금액을 의미하며, 적금주기는 적금납부액을 입금하고 다음번 적금납부액을 입금할 때까지의 주기를 의미한다. 이때,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은행은 적금계좌의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를 은행 측에서 설정한다. 또는, 일반적인 은행은 사용자가 적금계좌의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하더라도 아주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설정이 허용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적금상품에 대한 선택의 폭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적금계좌 개설부(212)에 의해 개설된 제1 타입 적금계좌는 사용자가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 모두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맞춤형 금융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타입 적금계좌는 미리 정해진 적금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적금주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금납부액을 입금하되, 적금납부액이 적금주기가 도과할 때 마다 변경값만큼 증액 또는 감액될 수 있는 적금계좌를 의미한다. 이때, 적금납부액과 변경값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적금계좌 타입 선택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금계좌 타입 선택페이지 상에 출력되는 제1 타입 적금 아이콘(310)을 선택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제1 타입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타입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 상에서 스크롤 아이콘(320)을 좌우로 드래그하여 제1 타입 적금계좌의 적금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직접설정 아이콘(330)을 선택하여 출력되는 달력(미도시)을 통해 제1 타입 적금계좌의 적금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적금주기 선택 아이콘(340)을 선택하여 적금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금액입력 아이콘(350)에 원하는 금액을 입력하여 적금납부액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가 설정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제1 타입 적금계좌를 개설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타입 적금 아이콘(315)을 선택하면,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적금 증액 설정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해 변경값이 1000원으로 설정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매주 납부해야 하는 적금납부액이 1000원씩 증액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적금납부액이 설정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제2 타입 적금계좌를 개설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타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만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 적금계좌 개설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금계좌 개설을 요청한 사용자가 타 계좌를 보유한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적금계좌 개설을 요청한 사용자가 타 계좌를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신규계좌 개설을 위한 계좌개설 페이지를 출력함으로써 신규계좌 개설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계좌를 보유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로그인 정보의 확인을 통해 적금계좌 타입 선택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적금계좌 가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타 계좌를 보유한 사용자에게만 적금계좌를 허용함으로써, 적금계좌 개설시 요구되는 본인인증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적금계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계좌 개설부(212)에 의하여 적금계좌의 개설이 완료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적금계좌의 적금기간이 26주이고, 적금주기가 1주로 설정되며, 적금납부액 및 변경값은 1000원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납입 예정 횟수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이용하여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에는 적금납입 예정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1 아이콘(413)들이 출력되고, 적금주기에 따라 적금계좌로 입금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제2 아이콘(414)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아이콘(413)은 각 적금납입 회차와 매핑될 수 있다. 적금계좌에 입금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제2 아이콘(414)은 해당 적금납입 회차에 매핑된 제1 아이콘(413) 상에 오버랩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아이콘(413) 상에 제2 아이콘(414)을 오버랩하여 출력함으로써 제1 아이콘(413)과 제2 아이콘(414)이 별개의 아이콘으로 인식되지 않고 2개의 아이콘(413, 414)이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제3 아이콘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1 아이콘은 좌석 형태이고 제2 아이콘은 캐릭터 형태일 때 이를 결합시켜 좌석에 착석한 캐릭터 형태로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제3 아이콘 형태로 인식될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계좌의 적금주기 및 적금기간을 기초로 적금납입 예정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금납입 예정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1 아이콘(413)들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계좌로 입금 이벤트가 발생한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2 아이콘(414)들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적금기간이 26주이고 적금주기가 1주이기 때문에, 적금 현황 페이지의 제1 영역(410)은 26개의 제1 아이콘(41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금 현황 페이지의 제1 영역(410)은 1회차부터 5회차에 해당하는 입금 이벤트가 각각 발생한 경우 5개의 제2 아이콘(4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5개의 제2 아이콘 각각은 해당 적금납입 회차와 매핑된 제1 아이콘(413) 상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복수개의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제2 아이콘(414)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캐릭터를 제2 아이콘(414)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적금 계좌개설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복수개의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아이콘 설정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2 아이콘 설정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캐릭터를 제2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사용자가 카드 발급시 선택했던 캐릭터를 데이터 베이스(220)로부터 획득하여 제2 아이콘(414)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적금 가입 시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고,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에 대해 저장된 복수개의 형상(예컨대, 각기 다른 패션, 자세, 액세서리 등)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입금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모두 동일한 형태의 제2 아이콘(414)을 출력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주기에 따라 발생된 입금 이벤트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거나, 적금납부액이 기준금액을 초과할 때마다 제2 아이콘(414)의 종류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주기에 따라 발생된 입금이벤트가 횟수가 기준회수를 초과하거나, 적금납부액의 총액이 기준금액을 초과할 때마다 제1 영역(410)의 배경을 변경시키거나 제1 아이콘(413)의 종류나 색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거나 약정된 적금납부액 미만의 금액이 입금된 경우, 제2 아이콘(414)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n차 적금주기에 n차 입금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고, n+1차 적금주기에 n번째 입금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n번째 입금 이벤트는 n+1차 입금 이벤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n차 적금주기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413) 상에 제2 아이콘(414)을 오버랩하여 출력하지 않고, n+1차 적금주기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 상에 n+1차 입금 이벤트에 해당하는 제2 아이콘(414)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차의 제1 아이콘(413) 상에는 제2 아이콘(414)이 오버랩되지 않고 비워진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계좌에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이벤트가 발생되지 않거나 약정된 적금납부액 미안의 금액이 입금된 경우,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2 아이콘(414)과 다른 형태의 제4 아이콘을 제1 아이콘(413) 상에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410)에는 제1 아이콘(413) 및 제2 아이콘(414) 이외에 현재 적금주기(417) 및 현재 적금납부액의 총액(418)이 추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적금주기(417)가 "5주차 진행중"으로 출력될 수 있고, 적금납부액이 1000원인 경우 적금납부액의 총액(418)은 매주 1000원씩 증가된 적금납부액이 5번 입금되었으므로 "15000원"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영역(420)에는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이벤트가 발생되면, 입금이벤트를 기록한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420)는 적금 주기에 따라 입금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입금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금계좌는 적금기간 동안의 적금납입 행위를 사용자가 달성해야 하는 미션으로 설정하고,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제2 아이콘(414)을 제1 아이콘(413)에 오버랩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적금계좌는 사용자가 미션을 완료해가는 과정을 그랙픽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가 게임을 즐기듯이 적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적금수행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유발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적금을 유지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공유요청에 따라 적금 현황 페이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메시지로 작성하여 SNS(Social Network System) 어플리케이션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다른 사용자에게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고, 적금 유지에 대한 동기를 부여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리워드 제공부(216)는 적금기간 동안 적금계좌로 적금주기에 따라 적금납부액 입금을 모두 완료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완료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워드 제공부(216)는 적금납부액의 총액에 대한 이자 외에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는 이모티콘과 같이 다른 SNS(Social Network System)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워드 제공부(216)는 적금기간 동안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목표값은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금납입 예정 횟수가 26인 적금계좌의 목표값을 10, 20, 2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16)는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 이벤트가 발생한 횟수, 즉,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10이 되면, 제1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제공부(216)는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20이 되면, 제2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26이 되면, 제3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리워드, 제2 리워드 및 제3 리워드는 동일할 수도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워드 제공부(216)는 실제 적금납입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금 유지 및 적금 완료에 대한 동기 부여를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로 제공할 정보가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상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 제1 및 제2 아이콘(413, 414)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정보, 및 사용자의 카드사용내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가 적금납부액의 총액에 대한 이자외에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직접 지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가 제공하는 리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리워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주 단말기(250)와 광고주 서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변형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6f를 참조하여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가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적금계좌 타입 선택 페이지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적금계좌 선택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제2 타입 적금 아이콘(315)과 달리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적금계좌 타입 선택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제2 타입 적금 아이콘(610)에는 리워드를 제공할 광고주의 정보(61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타입 적금 아이콘(610)에 포함될 광고주의 정보(615)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광고주가 있는 경우 복수개의 광고주의 정보(615)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2 타입 적금 아이콘(610)에 포함되어 적금계좌 타입 선택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제2 타입 적금 아이콘(610)에만 광고주의 정보(615)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는 제1 타입 적금계좌에 대해서 적금납부액의 총액에 대한 이자 외에 리워드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1 타입 적금 아이콘에도 리워드를 제공할 광고주의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타입 적금 아이콘(610)을 선택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들 중 지급받을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를 선택할 수 있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2 타입 적금 아이콘(610)을 선택하면 상술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금납부액 증액 설정 페이지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변경값이 설정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2 타입 적금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2 타입의 적금계좌 개설이 완료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들 중 지급받을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를 선택할 수 있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주들 각각은 해당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상품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는 도서판매업체인 B도서몰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 표시된 복수의 광고주들 중 B도서몰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B도서몰과 연계된 적금상품을 선택하는 것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사용자 별로 상이한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및 소비패턴 등을 분석하여 복수개의 리워드 중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가 포함된 광고주 선택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사용내역을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선호도 분석결과를 기초로 복수개의 리워드 중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선호광고주를 포함하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사용내역 중 문화생활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A영화관과 같은 영화제공업체가 지급하는 리워드가 포함된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사용내역 중 도서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B도서몰과 같은 도서판매업체가 지급하는 리워드가 포함된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사용자에 의해 광고주가 선택되면, 선택된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260)와 해당 적금계좌를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사용자에 의해 광고주가 선택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광고주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동의를 요청하는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에 제공되는 개인정보는 적금계좌를 개설하고자 하거나 개설한 사용자의 정보로서, 예컨대,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성별, 연령, 생일, 프로필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가 제공하는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는 광고주 연결 아이콘(6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의 광고주 연결 아이콘(620)을 선택하면,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광고주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미도시, 이하 '광고주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을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호출된 광고주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로그인이 성공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광고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광고주 어플리케이션 및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주 서버(260)로부터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는 뱅킹 서버(200)를 통해 적금계좌를 개설하고자 또는 개설한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적금계좌의 사용자 정보와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다.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26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260)와 사용자가 개설한 적금계좌를 연결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별도의 계좌관리 페이지에서 자신의 적금계좌와 연결된 광고주에 대한 정보(64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연결을 유지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최초 실행되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실행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최초 실행페이지에는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한 정보(63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한 정보(630)는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최초 실행페이지의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한 정보(630)을 선택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는 입금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아이콘(713) 만이 출력되고, 제2 아이콘(714)은 출력되지 않는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이후, 입금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콘(713)에 제2 아이콘(714)을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아이콘(713) 또는 제2 아이콘(714)은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 정보가 포함된 이모티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b는 A영화관이 광고주로 선택된 경우 제공되는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A영화관에 매핑되어 있는 영화관람 중인 캐릭터 형태의 제2 아이콘(714)을 선택하여 제1 영역(710) 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른 예로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광고주로 도서판매업체가 선택된 경우 독서 중인 캐릭터 형태의 제2 아이콘(714)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아이콘(713) 또는 제1 영역(710)의 배경 또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A영화관이 광고주로 선택된 경우,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A영화관에 매핑되어 있는 영화관 좌석 형태의 제1 아이콘(713)을 선택하여 제1 영역(7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710) 내 아이콘(713, 714) 외에 배경화면 상에도 광고주와 관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처럼, 적금 현황을 나타내는 제1 영역 페이지에 해당 광고주의 특성을 반영한 디스플레이(예컨대, '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A영화관의 경우, 영화 관련 아이콘이나 배경 등)를 통해, 제1 영역(710) 자체가 광고판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고, 적금 현황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공유요청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메시지로 작성하여 SNS(Social Network System) 어플리케이션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를 때,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제공될 메시지에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와 관련된 광고 영상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적금계좌가 개설되면 해당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260)로 제2 타입 적금 현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광고주 서버(260)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 서버(260)에 의해 출력되는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제2 타입 적금 현황 정보(750)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주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제2 타입 적금현황 정보(750)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광고주 서버(260)로부터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금현황 제공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220)에서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검색된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적금계좌의 제2 타입 적금 현황 정보를 광고주 서버(26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광고주 어플리케이션도 적금계좌 현황 정보(예컨대, 상품 제공자(뱅킹) 정보, 리워드 정보, 납입 회차 정보, 잔액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사용자에 의해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서 광고주가 선택되어 제2 타입 적금계좌가 개설되면, 해당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260)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 서버(260)에 의해 출력되는 광고주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제2 타입 적금 납입 현황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광고주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일 수 있다.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뱅킹 서버(200)가 광고주 서버(260)로 AP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광고주 어플리케이션에서 적금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금현황 제공부(214)는 외부 플랫폼으로 확산 가능한 광고 인벤토리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금 유지에 대한 동기부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16)는 사용자에게 제2 타입 적금계좌에 적금납입액에 따른 이자를 지급함과 동시에 이자 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16)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해 설정된 적금기간 동안 적금주기에 따라 적금납부액 입금을 모두 완료한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타입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워드 제공 아이콘(720)을 포함하는 도전 완료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 제공 아이콘(720)을 선택하면, 리워드 제공부(216)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금계좌 개설 단계에서 선택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 정보(730)가 포함된 리워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페이지는 사용자가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리워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리워드 사용 아이콘(7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 사용 아이콘(740)을 선택하면, 리워드 제공부(216)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제공부(216)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고객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인 상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제공부(216)는 광고주 서버(260)에 도전을 완료한 사용자의 리워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워드 제공부(216)는 적금기간 동안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목표값은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금납입 예정 횟수가 26인 적금계좌의 목표값을 10, 20, 2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16)는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 이벤트가 발생한 횟수, 즉,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10이 되면, 제1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제공부(216)는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20이 되면, 제2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26이 되면, 제3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리워드, 제2 리워드 및 제3 리워드는 동일할 수도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가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해서 리워드를 지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금 서비스 제공부(210)는 제1 타입 적금계좌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적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광고 서버(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고 서버(270)가 뱅킹 서버(2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서버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광고 서버(27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은 뱅킹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고 서버(270)와 뱅킹 서버(200)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 서버(270)는 광고주 단말기(250)에 설치된 제2 뱅킹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미도시, 이하 '제2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을 통해 광고주에게 광고설정을 위한 광고 설정 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서버(27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령, 성별, 지역, 및 소비패턴 등을 선택하여 광고 타겟을 선택할 수 있는 광고 설정페이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 서버(27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에게 디스플레이 광고 또는 메시지 광고를 제공여부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 페이지를 제2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할 수 있다. 광고주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광고 또는 메시지 광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광고 서버(270)는 광고의 목적을 설정하는 새 캠페인 만들기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주에 의해 광고의 목적이 설정되면, 광고 서버(27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타겟 설정을 위한 새 광고그룹 만들기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27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화된 광고타겟을 설정할 수 있는 광고타겟 설정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서버(27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카드사용내용을 기초로 각 연령대에 대한 소비패턴이 분석된 정보가 포함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주가 분석된 소비패턴에 따라 광고타겟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주에 의해 광고타겟이 설정되면, 광고 서버(270)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금액 및 광고기간 등 광고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광고방법 설정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270)는 광고주에 의하여 광고설정이 완료되면, 광고주가 설정한 광고 설정정보 및 광고주가 제공할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뱅킹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광고주 단말기(250)는 광고 서버(270)와 연동하여, 광고 서버(270)에 광고 설정정보와 광고주가 제공할 리워드(Reward)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주 단말기(20)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로부터 광고 설정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광고 서버(270)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서버(27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설정 페이지를 광고주에게 제공하고, 해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 설정정보를 광고 서버(270)로 전송한다.
광고 서버(270)는 광고 설정정보 및 광고주가 제공할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뱅킹 서버(200)로 전달함으로써, 광고 서버(270)에 의해 타겟팅된 사용자에게 광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를 만기시까지 유지한 사용자에게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적금 이자 외에 리워드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주는 타겟팅된 고객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뱅킹서버(200)가 제2 타입 적금계좌에 대해서만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제1 타입 적금계좌에 대해서도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광고주 단말기(250)가 광고 서버(270)와 연동하여, 광고 서버(270)에 광고 설정정보와 광고주가 지급할 리워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단말기(250)는 뱅킹 서버(200)와 연동하여, 뱅킹 서버(200)에 광고 설정정보와 광고주가 지급할 리워드(Reward)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주 단말기(250)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로부터 광고 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뱅킹 서버(200)에 전달함으로써, 뱅킹 서버(200)에 의해 타겟팅된 사용자에게 광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어플리케이션은 뱅킹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설정 페이지를 광고주에게 제공하고, 해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 설정정보를 뱅킹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금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적금계좌 개설 요청이 수신되면, 적금계좌를 개설한다.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적금계좌 개설 요청을 수신한다(S901).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트로 페이지를 통해 적금계좌 개설요청이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적금계좌 타입을 선택하도록 한다(S902).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적금계좌 타입 선택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금계좌 타입은 제1 타입 적금계좌 및 제2 타입 적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적금계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금기간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적금납부액을 사용자가 원하는 적금주기마다 입금할 수 있는 적금계좌를 의미한다. 여기서 적금기간은 제1 타입 적금계좌의 개설일부터 제1 타입 적금계좌의 만기일까지의 기간을 의미하고, 적금납부액은 제1 타입 적금계좌로 정기적으로 입금하기로 약정한 금액을 의미하며, 적금주기는 적금납부액을 입금하고 다음번 적금납부액을 입금할 때까지의 주기를 의미한다. 이때, 적금기간, 적금납부액, 및 적금주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제2 타입 적금계좌는 미리 정해진 적금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적금주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금납부액을 입금하되, 적금납부액이 적금주기가 도과할 때 마다 변경값만큼 증액 또는 감액될 수 있는 적금계좌를 의미한다. 이때, 적금납부액과 변경값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 타입이 하나인 경우 적금계좌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적금계좌 타입이 선택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된 적금계좌의 적금 조건을 설정하도록 한다(S903).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제1 타입 적금계좌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제1 타입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타입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는 제1 타입 적금계좌의 적금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적금기간 설정 아이콘, 제1 타입 적금계좌의 적금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적금주기 설정 아이콘, 및 제1 타입 적금계좌의 적금납부액을 설정할 수 있는 적금납부액 설정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금기간 설정 아이콘, 적금주기 설정 아이콘 및 적금납부액 설정 아이콘을 이용하여 제1 타입 적금계좌의 적금기간, 적금주기 및 적금납부액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제2 타입 적금계좌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제2 타입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타입 적금계좌 개설 페이지는 적금납부액을 설정할 수 있는 적금납부액 설정 아이콘 및 적금납부액의 변경값을 설정할 수 있는 변경값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적금납부액 설정 아이콘 및 변경값 아이콘은 서로 다른 페이지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에 대한 적금조건이 설정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리워드를 제공하는 복수의 광고주들 각각과 연계된 복수의 적금상품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S904).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들 중 지급받을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를 선택할 수 있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 표시되는 광고주들 각각은 해당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상품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는 도서판매업체인 B도서몰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주 선택 페이지에 표시된 복수의 광고주들 중 B도서몰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B도서몰과 연계된 적금상품을 선택하는 것에 상응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 별로 상이한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뱅킹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및 소비패턴 등을 분석하여 복수개의 리워드 중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가 포함된 광고주 선택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사용내역을 기초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선호도 분석결과를 기초로 복수개의 리워드 중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선호광고주를 포함하는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광고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광고주 또는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상품이 선택되면, 선택된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260)와 해당 적금계좌를 연결시킨다(S905).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광고주 또는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상품이 선택되면, 광고주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동의를 요청하는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에 제공되는 개인정보는 적금계좌를 개설하고자 하거나 개설한 사용자의 정보로서, 예컨대,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성별, 연령, 생일, 프로필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가 제공하는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는 광고주 연결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정보 동의 요청 페이지의 광고주 연결 아이콘을 선택하면,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광고주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에 호출된 광고주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이 성공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광고주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광고주 서버(26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계정정보와 대응되는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는 뱅킹 서버(200)를 통해 적금계좌를 개설하고자 또는 개설한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리워드를 광고주가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가 리워드를 직접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S904 및 S905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 개설을 완료한다(S906).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 개설을 완료하고, 완료된 적금계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 이때, 적금계좌 정보는 적금계좌 타입, 적금조건,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 정보, 광고주 서버(260)로부터 제공된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 및 리워드 종류와 리워드 제공조건을 포함하는 리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해당 적금계좌의 정보 중 일부를 광고주 서버(26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260)에 제공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와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의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 정보와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광고주 서버(260)와 공유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260)와 해당 적금계좌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적금계좌의 적금현황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적금계좌의 적금현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적금계좌의 적금현황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S907).
뱅킹 서버(200)는 적금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최초 실행되면, 최초 실행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최초 실행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적금계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금계좌에 대한 정보는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최초 실행페이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적금계좌 중 하나가 선택되면, 뱅킹 서버(200)는 해당 적금계좌에 대한 적금현황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적금현황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적금계좌에 대한 적금현황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S908).
보다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적금납입 예정 횟수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이용하여 해당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적금납입 예정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1 아이콘들이 포함되고, 적금주기에 따라 적금계좌로 입금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제2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아이콘은 각 적금납입 회차와 매핑될 수 있다. 적금계좌에 입금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제2 아이콘은 해당 적금납입 회차에 매핑된 제1 아이콘 상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이콘과 제2 아이콘이 별개로 인식되지 않고, 제1 아이콘과 제2 아이콘이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제3 아이콘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1 아이콘은 좌석 형태이고 제2 아이콘은 캐릭터 형태일 때 이를 결합시켜 좌석에 착석한 캐릭터 형태로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제3 아이콘 형태로 인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정보가 포함된 광고 캐릭터를 제2 아이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영화관이 광고주로 선택된 경우, 뱅킹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A영화관에 매핑되어 있는 영화관람 중인 캐릭터 형태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광고주로 도서판매업체가 선택된 경우, 뱅킹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도서판매업체에 매핑되어 있는 독서 중인 캐릭터 형태의 제2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복수개의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제2 아이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캐릭터를 제2 아이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적금계좌 개설부(212)는 적금 계좌개설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복수개의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아이콘 설정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뱅킹 서버(200)는 제2 아이콘 설정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캐릭터를 제2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카드 발급시 선택했던 캐릭터를 데이터 베이스(220)로부터 획득하여 제2 아이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뱅킹 서버(200)는 입금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모두 동일한 형태의 제2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뱅킹 서버(200)는 적금주기에 따라 발생된 입금 이벤트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거나, 적금납부액이 기준금액을 초과할 때마다 제2 아이콘의 종류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뱅킹 서버(200)는 적금주기에 따라 발생된 입금이벤트가 횟수가 기준회수를 초과하거나, 적금납부액의 총액이 기준금액을 초과할 때마다 제1 영역의 배경을 변경시키거나 제1 아이콘의 종류나 색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뱅킹 서버(200)는 적금주기에 따라 입금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거나 약정된 적금납부액 미만의 금액이 입금된 경우, 제2 아이콘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뱅킹 서버(200)는 적금기간 동안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사용자 단말기(10)에 리워드를 제공한다(S909 및 S910).
구체적으로, 뱅킹 서버(200)는 해당 적금계좌에 대해 설정된 적금기간 동안 적금주기에 따라 적금납부액 입금을 모두 완료한 경우, 리워드 제공 아이콘을 포함하는 도전 완료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 제공 아이콘을 선택하면,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가 적금계좌 개설 단계에서 선택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 정보가 포함된 리워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워드 페이지는 사용자가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리워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리워드 사용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워드 사용 아이콘을 선택하면, 뱅킹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뱅킹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고객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인 상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뱅킹 서버(200)는 광고주 서버(260)에 도전을 완료한 사용자의 리워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뱅킹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에이전트와 같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뱅킹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복수개의 프로그램이 분할되어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들 중 일부는 뱅킹 서버에 설치되고 프로그램들 중 나머지 일부는 사용자 단말기나 광고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기 200: 뱅킹 서버
210: 적금 서비스 제공부 212: 적금계좌 개설부
214: 적금현황 제공부 216: 리워드 제공부
220: 데이터 베이스 250: 광고주 단말기
260: 광고주 서버 270: 광고 서버

Claims (15)

  1. 적금납부액을 설정하고,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적금 계좌 개설부;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는 적금 현황 제공부; 및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상기 적금계좌와 연계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를 지급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 현황 제공부는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이용하여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정보가 포함된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 현황 제공부는 상기 적금계좌가 개설되면 적금주기 및 적금기간을 기초로 적금납입 예정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금납입 예정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1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 현황 제공부는 상기 적금계좌에 입금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들 중 하나에 결합하여 제3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과 결합되지 않은 제1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들은 적금납입 회차와 매핑되고,
    상기 적금 현황 제공부는 상기 적금계좌에 입금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상기 제2 아이콘을 해당 적금납입 회차에 매핑된 제1 아이콘과 결합하여 제3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과 결합되지 않은 제1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계좌 개설부는 상기 광고주의 광고주 서버와 상기 적금계좌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계좌 개설부는 상기 광고주 서버로부터 고객인증이 완료된 고객의 고객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금계좌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금계좌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광고주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8. 적금납부액 및 상기 적금납부액의 변화값을 기초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적금 계좌 개설부;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는 적금 현황 제공부; 및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 현황 제공부는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1 아이콘 및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2 아이콘을 이용하여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 현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계좌는 상기 적금납부액이 적금주기가 도과할 때 마다 상기 변화값만큼 증액 또는 감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킹 서버.
  11. 뱅킹 서버가 적금납부액을 설정하고, 광고주와 연계된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뱅킹 서버가 적금납입 예정 횟수 및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기초로 상기 개설된 적금계좌의 적금현황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뱅킹 서버가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값이 되면, 상기 적금계좌와 연계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 이내의 복수의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서버가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이용하여 상기 개설된 적금계좌의 적금현황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서버가 상기 실제 적금납입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2 아이콘 각각을 상기 적금납입 예정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제1 아이콘들 중 하나와 결합하여 제3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제3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과 결합되지 않은 제1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적금 현황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금계좌를 개설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서버가 상기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뱅킹 서버가 광고주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주의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계정정보와 대응되는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뱅킹 서버가 상기 적금계좌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광고주의 고객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뱅킹 서버가 상기 적금계좌의 적금납부액을 적금주기가 도과할 때 마다 미리 설정된 변화값만큼 증액 또는 감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009072A 2019-01-30 2022-01-21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49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2240 2019-01-30
KR1020190012240 2019-01-30
KR1020190075966A KR102355842B1 (ko) 2019-01-30 2019-06-25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66A Division KR102355842B1 (ko) 2019-01-30 2019-06-25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10A KR20220016510A (ko) 2022-02-09
KR102497932B1 true KR102497932B1 (ko) 2023-02-09

Family

ID=72049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66A KR102355842B1 (ko) 2019-01-30 2019-06-25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009072A KR102497932B1 (ko) 2019-01-30 2022-01-21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66A KR102355842B1 (ko) 2019-01-30 2019-06-25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5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155B1 (ko) * 2020-08-26 2023-03-0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애니메이션 효과를 이용한 이벤트 제공 방법
WO2022114891A1 (ko) * 2020-11-30 2022-06-02 주식회사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투자 목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97028B1 (ko) * 2021-02-08 2023-11-01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저금액 자동 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498A (ko) * 2008-02-27 2009-09-01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선택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광고 제공방법
KR102642951B1 (ko) * 2016-05-09 2024-03-04 원투씨엠 주식회사 스폰서 적금 제공 방법
KR20180121458A (ko) * 2018-10-31 2018-11-07 (주)기린인터내셔널 광고 및 리워드를 제공하는 게임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609A (ko) 2020-08-07
KR20220016510A (ko) 2022-02-09
KR102355842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1940A1 (en) Method For Populating Member Profiles
US11403659B2 (en) Method for populating member profiles
KR102497932B1 (ko) 뱅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적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kter et al. What omnichannel really means?
Duch-Brown The competitive landscape of online platforms
US20090307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nk Account Services, Advertisement Delivery and Reward Points
Barquin et al. Digital Banking in Asia: What do consumers really want
US20080294994A1 (en) Ev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calendar interface
CN105938604A (zh) 一种在社交网络服务中实施附有广告红包的方法及系统
US20210133790A1 (en) Marketing Based Privacy Credits Using Conventional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CN109146572A (zh) 一种广告投放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14029705A (ja) 柔軟な収入分配および参照報奨金システム
US201600784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etizing Online Advertising by Users
WO2020227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fluence of channels in a social network
Lasi The relationship between E-marketing mix strategy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 conceptual framework
US11068924B2 (en) Action inducement processing
Das Application of digital marketing for life success in business
KR20150025848A (ko) 온라인상의 안심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88611A1 (en) Combination of multiple advertisements in an ad slot on a network accessible device
bin Abdul Las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e-marketing mix strategy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 conceptual framework
Truong Optimizing mobile in-app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app publishers-controlled factors
JP2010039916A (ja) 販売告知能力別アフィリエイト契約を実現するアフィリエイトシステム
Carroni et al. The price of discovering your needs online
WO2018217176A1 (en) System for online advertisement tracking and earning distribution
KR102061348B1 (ko) 광고 및 기부광고가 결합된 기부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