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835B1 -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835B1
KR102497835B1 KR1020200142533A KR20200142533A KR102497835B1 KR 102497835 B1 KR102497835 B1 KR 102497835B1 KR 1020200142533 A KR1020200142533 A KR 1020200142533A KR 20200142533 A KR20200142533 A KR 20200142533A KR 102497835 B1 KR102497835 B1 KR 10249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ncentration
aluminum
organic pollutants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340A (ko
Inventor
이창하
서지원
조지윤
이중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5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02F2305/023Reactive oxygen species, singlet oxygen, OH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02F2305/026Fenton's re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일 태양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 분해용 펜톤 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은 2가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철염; 3가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알루미늄염; 과산화수소; 및 물을 포함한다.
다른 일 태양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은 (a) 반응기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에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반응기에 2가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철염을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반응기에 3가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알루미늄염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Composition for Fenton oxidation, and a method for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다양화에 따라 오염물질들 역시 다양화되고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되고 있다.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은 응집/침전(coagulation/precipitation), 입상여과(granular sand filtration), 활성 슬러지법(waste-activated sludge) 등의 전통적인 수처리 기술들로 처리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들을 분해하기 위한 강력한 화학적 수처리 기술로서 고도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이 주목받고 있다.
펜톤 산화 공정(Fenton Oxidation Process)은 매우 효율적인 고도산화공정 중 하나로서 2가 철염(Fe(Ⅱ))(ferrous salt)을 촉매로 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분해(펜톤반응: Fe(Ⅱ) + H2O2 → Fe(Ⅲ) + ·OH + OH-)하여 강력한 산화제인 수산화 리디칼(hydroxyl radical)을 발생시켜 수중의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한다.
이러한 펜톤 산화 공정은 2가 철염(Fe(Ⅱ))을 소모한 이후 3가 철염(Fe(Ⅲ))(ferric salt)과 과산화수소와의 반응으로 추가적인 라디칼인 과수산기(hydroperoxy radical)(HO) 및 초과산화 이온(superoxide anion radical)(O -)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3가 철염과 과산화수소의 반응 속도는 매우 느려서 2가 철염을 모두 소모한 이후에는 유기오염물질의 처리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실제 펜톤 산화공정에서는 2가 철염을 지속적으로 주입하게 되어 수처리 이후 과량의 철 슬러지(ferric sludge)가 발생되고, 펜톤 산화공정은 산성영역에서 수산화 라디칼을 많이 생성하기에 pH를 조절하는 시약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철 슬러지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에너지 또는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3가 철염을 2가 철염으로 환원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전기에너지 또는 광에너지의 투입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운영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철 슬러지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2가 철염(Fe(II)) 및 과산화수소를 주입하기 이전에 철 슬러지가 응집할 수 있는 핵(seed) 물질들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성에 가까운 pH 영역에서 수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펜톤 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태양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 분해용 펜톤 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은 2가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철염; 3가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알루미늄염; 과산화수소;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철염은 FeSO4, FeCl2, Fe(NO3)2, 또는 Fe(ClO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염은 Al2(SO4)3, AlCl3, Al(NO3)3, 또는 Al(ClO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의 pH는 4.5 내지 5.5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은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은
(a) 반응기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에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주입하는 단계;
(c)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에 2가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철염을 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반응기에 3가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알루미늄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반응기는 유동상 반응기일 수 있다.
상기 철염은 FeSO4, FeCl2, Fe(NO3)2, 또는 Fe(ClO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염은 Al2(SO4)3, Al(NO3)3, AlCl3, 또는 Al(ClO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염의 농도는 1 mM 내지 10 mM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염의 농도는 0.5 mM 내지 10 mM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10 mM 내지 40 mM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은 상기 오염수의 pH를 4.5 내지 5.5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c), (d), (e) 단계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유기오염물질을 중성에 가까운 pH 영역에서 분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에너지의 공급이 없이 공정 운영이 가능하고, 또한 핵 물질의 투입 없이 철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수처리 공정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에 사용된 유동상 반응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및 실험예 1 내지 4에서 알루미늄 이온(Ⅲ)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2, 실험예 2 및 5에서 철 이온(Ⅱ)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6, 7 및 2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2, 8, 9, 10 및 비교예 1, 3, 4, 5에서 반응용액의 pH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2, 8, 9, 10 및 비교예 1, 3, 4, 5에서 반응용액의 pH에 따른 반응용액 내의 철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11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COD의 저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 11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용액 내의 용존 2가 및 3가 철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구현예들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 분해용 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펜톤 산화 시스템"이란 펜톤 산화 반응을 구성하는 산화제, 촉매 및/또는 기타 첨가제들의 집합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펜톤 산화 시스템은 펜톤 산화 반응을 구성하는 상기 물질들에 의한 펜톤 산화 반응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유기오염물질에 본 발명의 펜톤 산화 시스템을 적용하여 펜톤 산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유기오염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철, 알루미늄 이중금속 펜톤 산화 시스템"이란 펜톤 산화 반응의 촉매로서 철염(Ⅱ)과 알루미늄염(Ⅲ)을 함께 사용하는 펜톤 산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반응용액"은 펜톤 산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또는 수용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반응용액"은 펜톤 산화 반응이 일어나기 전, 일어나는 도중 및 일어난 후의 오염수를 지칭하는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존 철"이란 용액 내에 용해되어 있는 2가 또는 3가의 철염 또는 철 이온을 의미한다.
(수중 유기오염물질 분해용 펜톤 산화 시스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펜톤 산화 시스템은 펜톤 산화 반응을 구성할 수 있는 산화제인 과산화수소, 촉매인 철염(ferrous salt)에 더하여 알루미늄염을 더 포함한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은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또는 수용액)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철염은 수용액 내에서 2가의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염(2가 철염으로 지칭)일 수 있다. 상기 2가 철염은 예를 들어 황산철(FeSO4), 염화철(FeCl2), 질산철(Fe(NO3)2), 과염소산철(Fe(ClO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염의 농도는 예를 들어 1 mM 내지 10 mM, 또는 2 mM 내지 8 mM, 또는 3 mM 내지 6 mM일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 내의 철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일 경우 유기오염물질이 효율적으로 산화 분해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염은 수용액 내에서 3가의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염(3가 알루미늄염으로 지칭)일 수 있다. 상기 3가 알루미늄염은 예를 들어 황산알루미늄(Al2(SO4)3), 질산알루미늄((Al(NO3)3), 염화알루미늄(AlCl3), 과염소산알루미늄(Al(ClO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염의 농도는 예를 들어 0.5 mM 내지 10 mM, 또는 1 mM 내지 6 mM, 또는 2 mM 내지 4 mM일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 내의 알루미늄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일 경우 유기오염물질이 효율적으로 산화 분해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예를 들어 10 mM 내지 40 mM, 또는 10 mM 내지 30 mM, 또는 15 mM 내지 30 mM일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 내의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상기 범위일 경우 유기오염물질이 효율적으로 산화 분해될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의 pH는 4 내지 6 또는 4.5 내지 5.5일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은 종래의 펜톤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산성 범위(pH 3 정도) 보다 중성에 더 가까운 상기 pH 범위에서 유기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산화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과염소산(HClO4)과 수산화나트륨(NaOH)를 이용하여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상기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pH를 조절하기 위한 물질로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펜톤 산화 시스템에서 상기 2가 철염은 과산화수소와 펜톤 반응(Fe2+ + H2O2 → Fe3+ + ·OH + OH-)하여 수산화 리디칼(·OH)을 생성할 수 있다. 수산화 리디칼은 강력한 산화제로서 물 속의 유기오염물질을 산화 분해할 수 있다.
2가 철염만을 포함하는 종래의 펜톤 산화 반응은 pH 3 정도의 산성 영역에서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2가 철염이 모두 소모된 후에는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효율이 급격하게 낮아진다. 따라서 종래의 펜톤 산화 반응은 반응용액의 pH를 산성 영역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약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지속적으로 2가 철염을 주입하거나, 3가 철염을 2가 철염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 또는 광 에너지를 추가로 투입하는 광 펜톤 산화 또는 전기 펜톤 산화가 필요하다. 또한, 펜톤 산화 반응에 의하여 처리된 반응용액을 방출하기 전에 중성화하는 단계에서 다량의 철 슬러지(ferric sludge)가 발생하게 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펜톤 산화 시스템은 철염과 함께 알루미늄염을 포함함으로써 Al3+ + ·O2 - → AlO2·2+에 의하여 AlO2·2+ 종이 생성된다. 이 AlO2·2+종은 Fe3+ + AlO2·2+ → Al3+ + O2 + Fe2+ 에 의하여 3가 철염을 2가 철염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2가 철염은 3가 철염에 비해 높은 pH에서도 이온상태로 존재한다. 알루미늄 염에 의하여 펜톤 산화 반응이 종래 보다 중성에 가까운 pH에서 일어나게 할 수 있으므로 반응용액의 pH 조절에 더 유리하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펜톤 산화 시스템은 철염과 함께 알루미늄염을 포함함으로써 광 펜톤 산화 또는 전기 펜톤 산화에 의하지 않고 3가 철염을 2가 철염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일 구현예에 따른 펜톤 산화 시스템은 농도와 pH의 상관관계에 따라 철염이 준안정상태(metastable state)에 도달하여 서로 응집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슬러지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일 구현예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에 사용된 유동상 반응기의 개략도이다. 유동상 반응기는 화학 반응공정에 활용되는 반응기 중 하나로서 액체 및/또는 기체 상태의 유체를 상향으로 분사하여 반응기 내부에 존재하는 촉매 및 반응물들의 화학 반응을 유도하는 반응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오염물질을 담은 오염수, 과산화수소, 2가 철염 용액 및 3가 알루미늄 용액을 각각 정해진 유속으로 유동상 반응기에 주입한다. 오염수, 과산화수소, 2가 철염 용액 및 3가 알루미늄 용액의 주입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유동상 반응기에 주입된 상기 용액들은 반응용액을 구성하며, 일 구현예에 의한 펜톤 산화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의 개략도에서 유동상 반응기의 중간 부분과 하단 부분이 연동 펌프로 연결되어 유체가 순환류를 형성하며 상향으로 분사된다. 반응기 내의 상기 반응용액이 상향으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하여 상향류로 흐르는 동안 펜톤 산화 반응이 일어나 오염수의 유기오염물질이 산화 분해된다. 이처럼 처리되어 유기오염물질이 산화 분해된 반응용액은 유동상 반응기 상단으로 배출된다.
오염수 내의 유기오염물질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주입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오염수 내의 과산화수소의 몰농도는 예를 들어 10 mM 내지 40 mM, 또는 10 mM 내지 30 mM, 또는 15 mM 내지 30 mM 일 수 있다. 다르게는 유기오염물질 대 과산화수소의 몰비가 예를 들어 1:5 내지 1:20 또는 1:10 내지 1:15일 수 있다.
주입되는 철염(Ⅱ) 및 알루미늄염(Ⅲ)의 종류 및 농도는 오염수 내의 유기오염물질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철염(Ⅱ)은 예를 들어 FeSO4, FeCl2, Fe(NO3)2, 또는 Fe(ClO4)2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 내의 철염(Ⅱ)의 농도가 1 mM 내지 10 mM, 예를 들어 2 mM 내지 8 mM, 예를 들어 3 mM 내지 6 mM 가 되도록 상기 철염(Ⅱ)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염(Ⅲ)은 예를 들어 Al2(SO4)3, Al(NO3)3, AlCl3, 또는 Al(ClO4)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 내의 알루미늄염(Ⅲ)의 농도가 0.5 mM 내지 10 mM, 예를 들어 1 mM 내지 6 mM, 예를 들어 2 mM 내지 4 mM가 되도록 상기 알루미늄염(Ⅲ)이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기 내의 오염수의 pH가 4 내지 6 또는 4.5 내지 5.5가 되도록 pH 조절제가 주입될 수 있다. pH 조절제로서 예를 들어 과염소산(HClO4)과 수산화나트륨(NaOH)를 이용할 수 있으나, pH 조절제상기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오염물질은 예를 들어 페놀, 4-염화페놀, 비스페놀-A, 트리클로로페놀 등과 같은 페놀류,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시메티딘(cimetidine),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등과 같은 의약 물질, 메틸오렌지(methyl orange),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Reactive Black 5과 같은 염료, 다이옥산(dioxane)과 같은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유기오염물질은 미생물에 의한 공정으로는 분해처리가 불가능한 난분해성 물질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수계에 잔류성이 높다. 기존 수처리 방법으로는 오존, 역삼투막 공정 등에 의하여 이들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을 산화 분해 및 분리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방법은 수돗물 등의 정수처리에 적용되며 오염수의 처리에는 적용이 어렵다. 본 구현예에 따른 펜톤 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산화 분해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실험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와 관련된 펜톤 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질의 분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에 나타내는 실험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이 아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약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철염으로서 황산철(Ⅱ) 칠수염(ferrous sulfate heptahydrate, FeSO4·7H2O)(Sigma-Aldrich 사)을, 알루미늄염으로서 황산알루미늄(Ⅲ)(aluminum sulfate, Al2(SO4)3)(Sigma-Aldrich 사)을,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유기오염물질로서 페놀을, pH 조절제로서 과염소산(HClO4) 및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하였다.
페놀의 산화 분해
실험예 1
실험예 1에서는 일정량의 오염수와 반응용액을 1번만 반응기에 주입하여 오염수를 처리하였다.
1.0 mM의 페놀 수용액 250 mL이 담긴 직경 2 cm의 유동상 반응기에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20 mM이 되도록 과산화수소수를 주입하고, 철이온(Ⅱ) 농도가 5.0 mM 이 되고, 알루미늄 이온(Ⅲ) 농도가 0.5 mM이 되도록 황산철(Ⅱ) 칠수염 수용액과 황산알루미늄(² 수용액을 각각 주입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였다. 유동상 반응기의 중간 부분과 하단 부분을 연동 펌프로 연결하여 순환류를 형성하여 반응용액 내부의 입자 물질(예를 들어 뭉쳐진 철 포함 입자)과 용액이 섞일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수산화나트륨(NaOH)를 이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5.0 으로 조절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은 철이온(Ⅱ)과 알루미늄 이온(Ⅲ) 수용액을 넣기 전에 미리 주입하여 pH를 맞추었다. 반응이 시작한 이후에도 pH의 변화가 있는 경우 수산화나트륨을 추가로 반응기에 주입하여 pH를 조절하였다.
페놀의 산화 분해 반응 개시 전, 즉 황산철 및 황산알루미늄 주입 전(0분) 및 산화 분해 반응 개시 후, 즉 페놀 수용액에 황산철 및 황산알루미늄의 주입 후 2분, 5분, 10분, 30분 및 60분에 각각 반응 용액의 샘플을 채취하여 페놀의 잔류량(농도)를 측정하였다. 페놀의 농도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Thermo Fisher Scientific Inc, UltimateTM 3000 UHPLC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2
황산알루미늄을 알루미늄 이온(Ⅲ) 농도가 1.0 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3
황산알루미늄을 알루미늄 이온(Ⅲ) 농도가 2.0 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4
황산알루미늄을 알루미늄 이온(Ⅲ) 농도가 5.0 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5
황산철을 철이온(Ⅱ) 농도가 1.0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하고, 황산알루미늄을 1.0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6
과산화수소를 5 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7
과산화수소를 10 mM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8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3.0 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9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4.0 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0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6.0 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황산알루미늄을 주입하지 않은 것(0.0 mM)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
황산철을 주입하지 않은 것(0.0 mM)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3.0 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4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4.0 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초기 반응용액의 pH를 6.0 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내지 10, 비교예 1 내지 5의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및 과산화수소의 초기 농도 및 초기 pH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철이온(Ⅱ)
(mM)
알루미늄이온(Ⅲ)
(mM)
과산화수소
(mM)
pH
실험예 1 5.0 0.5 20 5.0
실험예 2 5.0 1.0 20 5.0
실험예 3 5.0 2.0 20 5.0
실험예 4 5.0 5.0 20 5.0
실험예 5 1.0 1.0 20 5.0
실험예 6 5.0 1.0 5 5.0
실험예 7 5.0 1.0 10 5.0
실험예 8 5.0 1.0 20 3.0
실험예 9 5.0 1.0 20 4.0
실험예 10 5.0 1.0 20 6.0
비교예 1 5.0 - 20 5.0
비교예 2 - 1.0 20 5.0
비교예 3 5.0 - 20 3.0
비교예 4 5.0 - 20 4.0
비교예 5 5.0 - 20 6.0
(알루미늄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
도 2는 알루미늄 이온(Ⅲ)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및 실험예 1 내지 4에서 반응용액 내의 페놀의 농도를 반응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분해 효율을 각 반응시간에 측정된 페놀의 농도([페놀])를 초기 시간(0분)에 측정된 페놀 농도([페놀l]0)에 대한 비율([페놀]/[페놀]0)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및 실험예 1 내지 4에서 철이온(Ⅱ)의 초기농도는 5.0 mM, 과산화수소의 초기농도는 20 mM, pH는 5.0으로 일정하고, 알루미늄 이온(Ⅲ)의 초기농도는 0, 0.5, 2.0, 5.0 mM로 변하였다.
도 2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황산철(Ⅱ)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황산철(Ⅱ)과 황산알루미늄(Ⅲ)을 함께 사용한 실험예 1 내지 4에서 반응 1시간 후 더 많은 양의 페놀이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페놀이 더 빠르게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 시작 1시간 후에 알루미늄 이온(Ⅲ)의 농도가 각각 1.0 mM 및 2.0 mM 인 실험예 2 및 실험예 3에서 90% 이상의 페놀이 분해되었고, 알루미늄 이온(Ⅲ)의 농도가 5.0 mM 인 실험예 4에서는 거의 100%의 페놀이 분해된 것으로 나타난다. 투입되는 알루미늄 염의 양과 페놀의 분해 효율 및 분해 시간 등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면 1.0 mM 의 알루미늄 염을 사용한 실험예 2가 페놀 분해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철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
도 3은 철이온(Ⅱ)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2, 실험예 2 및 5에서 반응용액 내의 페놀의 농도를 반응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험예 2 및 5에서 알루미늄 이온(Ⅲ)의 농도는 1.0 mM,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20 mM, pH는 5.0으로 일정하고, 철이온(Ⅱ)의 농도는 0, 5.0, 1.0 mM 로 변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철이온(Ⅱ)의 농도가 5.0 mM 인 실험예 2에서 페놀의 분해 효율이 가장 높고, 철이온(Ⅱ)의 농도가 1.0 mM로 줄어든 실험예 5에서 페놀의 분해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황산철을 주입하지 않은 비교예 2에서는 페놀의 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과산화수소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
도 4는 과산화수소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실험예 6, 7 및 2에서 반응용액 내의 페놀의 농도를 반응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7 및 2에서 철이온(Ⅱ)의 농도는 5.0 mM, 알루미늄 이온(Ⅲ)의 농도는 1.0 mM, pH는 5.0으로 일정하고,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5, 10, 20 mM 로 변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20 mM 인 실험예 2에서 페놀의 분해 효율이 가장 높고,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5 mM로 줄어든 실험예 6에서 페놀의 분해 효율이 가장 낮게 나타난다.
(pH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
도 5는 반응용액의 pH에 따른 페놀의 분해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pH에 따른 반응용액 내의 용존 2가 및 3가 철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실험예 2, 8, 9, 10 및 비교예 1, 3, 4, 5의 반응용액에서 초기 페놀 농도 대비 반응시작 60분 경과 후 페놀 농도의 퍼센트(분해 효율(%))를 도 5에 나타내었고, 초기 반응용액 내에 용해되어 있는 철염 농도 대비 반응시작 60분 경과 후 반응용액 내에 용해되어 있는 철염 농도의 퍼센트(용존 철(%))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용존 철의 농도는 1,10-페난트롤린 시약과 흡광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pH가 3 및 4인 경우, 황산알루미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 4 및 황산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실험예 8, 9 모두 100%의 페놀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pH 3 및 4에서 페놀의 분해는 기존의 펜톤 산화 반응에서 기인하며, 페놀의 분해효율은 우수하나 pH를 조절을 위한 공정 면에서 불리하다. pH가 5인 경우는 황산철과 황산알루미늄을 모두 포함하는 실험예 2의 분해 효율이 90%를 넘는 반면, 황산철만 포함하는 비교예 1의 분해 효율은 50% 미만을 나타내었다. pH가 6인 경우는 황산철과 황산알루미늄을 모두 포함하는 실험예 10 및 황산철만 포함하는 비교예 5의 분해 효율 모두 40% 미만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페놀의 분해효율 및 pH 조절을 위한 시약의 주입량, 용존 철의 함량 등을 고려하면, pH 5에서 일 구현예에 따른 펜톤 산화 시스템을 사용한 실험예 2가 페놀의 분해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황산알루미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및 황산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실험예 모두 pH가 3인 경우에는 반응용액 내의 용존 철이 30% 이상이고, pH가 4인 경우에는 반응용액 내의 용존 철이 7% 이상인 반면, pH가 5 및 6인 경우에는 반응용액 내의 용존 철이 1% 미만으로 존재한다. 용존 철의 함량이 높으면 발생하는 철 슬러지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철 슬러지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피가 큰 형태이므로 철 슬러지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반면, pH가 5 및 6인 경우에는 투입한 철염이 수분을 적게 함유한 산화철과 같은 부피가 작은 입자 형태로 변환되어 제거가 용이하며, 뿐만 아니라 입자 자체가 수처리시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 폐수를 이용한 유동상 펜톤 공정의 장기 운영)
실험예 11 (연속 흐름)
실험예 11에서는 폐수를 포함한 반응용액을 유동상 반응기에 연속하여 주입하여 폐수를 처리하였다.
총 부피 250 mL의 유동상 반응기에 연동 펌프(Peristaltic Pump)를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가져온 170 ppm COD의 폐수와, 과산화수소 20 mM, 철이온(Ⅱ) 5.0 mM, 알루미늄 이온(Ⅲ) 1.0 mM의 농도가 되도록 과산화수소, 황산철(Ⅱ) 칠수염 수용액 및 황산알루미늄(Ⅲ) 수용액을 주입하였다.
총 용액의 유입속도는 4 mL/분으로 유입을 시작한지 1시간이 되었을 때, 반응기 상단의 배출구를 통해 처리된 폐수가 배출되었고, 85시간 동안 반응기를 가동하였다. 이때 주입되는 각 용액의 유속의 비율은 폐수 : 과산화수소 : 황산철(Ⅱ) 수용액: 황산 알루미늄(Ⅲ) 수용액 = 2 : 1 : 1 : 1 이었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기 내부에 과산화수소가 잔류하여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10 mM로 낮추었다. 유동상 반응기의 중간부분과 하단부분을 연동 펌프로 연결하여 반응용액이 순환류를 형성하여 용액 내부의 입자 물질과 용액이 섞일 수 있게 하였다.
과염소산(HClO4)과 수산화나트륨(NaOH)를 이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5.0 으로 조절하였다. 과염소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과산화수소 용액에 미리 주입하여 pH를 맞추었다. 반응이 시작한 이후에도 pH의 변화가 있는 경우 과염소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추가로 반응기에 주입하여 pH를 조절하였다.
실험예 11의 폐수 처리에 사용된 조건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철이온(Ⅱ)
(mM)
알루미늄이온(Ⅲ)
(mM)
과산화수소
(mM)
pH
실험예 11 5.0 1.0 20 5.0
도 7은 실험예 11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COD의 저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OD/COD0은 유동상 반응기를 거치고 나온 최초의 배출수(0 시간)의 COD(COD0)에 대한 이후 각 반응시간에 측정된 COD의 비율이다. 도 8은 실험예 11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용액 내의 용존 2가 및 3가 철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로부터 본 실험예에 따른 폐수 처리를 위한 유동상 펜톤 공정의 운영 시에 COD는 평균적으로 약 80%가량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에서 COD/COD0의 값의 중간 단계에서의 상하 변동은 잔류 과산화수소의 영향에 기인한 것이다.
도 8의 그래프에서 폐수 처리 후 용존 철은 1~2% 가량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로부터 반응기에 주입되는 대부분의 철염이 유동상 반응기 내부에서 펜톤 산화 반응 후 입자로 변환되어 철 슬러지의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배출수에서 알루미늄 이온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COD의 감소 및 용존 철의 감소로부터 본 실험예에 따른 유동상 펜톤 공정이 중성에 가까운 pH에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산화 분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험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2가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철염;
    3가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알루미늄염;
    과산화수소;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철염 및 상기 알루미늄염은 서로 다른 물질인 펜톤 산화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염은 FeSO4, FeCl2, Fe(NO3)2 또는 Fe(ClO4)2을 포함하는 펜톤 산화용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은 Al2(SO4)3, Al(NO3)3, AlCl3 또는 Al(ClO4)3 을 포함하는 펜톤 산화용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염의 농도는 1 mM 내지 10 mM 인 펜톤 산화용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의 농도는 0.5 mM 내지 10 mM 인 펜톤 산화용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10 mM 내지 40 mM 인 펜톤 산화용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pH가 4.5 내지 5.5인 펜톤 산화용 조성물.
  8. 제1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펜톤 산화용 조성물.
  9. (a) 반응기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에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주입하는 단계;
    (c)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에 2가 철 이온(Fe2+)을 생성하는 철염을 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반응기에 3가 알루미늄 이온(Al3+)을 생성하는 알루미늄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유동상 반응기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철염은 FeSO4, FeCl2, Fe(NO3)2 또는 Fe(ClO4)2을 포함하는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은 Al2(SO4)3, Al(NO3)3, AlCl3 또는 Al(ClO4)3 을 포함하는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철염의 농도는 1 mM 내지 10 mM 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의 농도는 0.5 mM 내지 10 mM 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10 mM 내지 40 mM 인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의 pH를 4.5 내지 5.5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c), (d), (e) 단계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KR1020200142533A 2019-10-29 2020-10-29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KR102497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5591 2019-10-29
KR1020190135591 201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40A KR20210052340A (ko) 2021-05-10
KR102497835B1 true KR102497835B1 (ko) 2023-02-09

Family

ID=7591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533A KR102497835B1 (ko) 2019-10-29 2020-10-29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4376A (zh) * 2023-07-07 2023-11-17 广东海洋大学 一种淬灭微塑料中荧光的方法及检测微塑料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446A (ja) 2003-04-21 2004-07-02 Kurita Water Ind Ltd 排水処理方法
JP2004249258A (ja) 2003-02-21 2004-09-09 Kurita Water Ind Ltd 排水の処理方法
KR101634774B1 (ko) * 2015-12-01 2016-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펜톤산화반응 효율이 향상된 제트루프 유동층 펜톤 반응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258A (ja) 2003-02-21 2004-09-09 Kurita Water Ind Ltd 排水の処理方法
JP2004181446A (ja) 2003-04-21 2004-07-02 Kurita Water Ind Ltd 排水処理方法
KR101634774B1 (ko) * 2015-12-01 2016-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펜톤산화반응 효율이 향상된 제트루프 유동층 펜톤 반응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metallic Fe/Al system: An all-in-one solid-phase Fenton reagent for generation of hydroxyl radicals under oxic condition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ume 673, 10 July 2019, Pages 480-488
Pei Zhong 외 5명, Degradation of bisphenol A by Fe-Al layered double hydroxides: A new synergy of homo- and heterogeneous Fenton system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ume 552, 2019.09.15, Pages 122-1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40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Advancements in the Fenton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Ghaly et al. Photochemical oxidation of p-chlorophenol by UV/H2O2 and photo-Fenton process. A comparative study
Aplin et al. Comparison of three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degradation of textile dyes
Neyens et al. A review of classic Fenton’s peroxidation as an advanced oxidation technique
Legube et al. Catalytic ozonation: a promising advanced oxidation technology for water treatment
US5755977A (en) Continuous catalytic oxidation process
US4012321A (en) Oxidation of refractory organics in aqueous waste streams by hydrogen peroxide and ultraviolet light
Badawy et 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from wastewater
Rubio-Clemente et al. Petrochemical wastewater treatment by photo-Fenton process
US20220112106A1 (en) Method for Processing Wastewater Having Organics Even Together with High-Concentration Ammonia-Nitrogen and Apparatus Thereof
Moussavi et al. The selective direct oxidation of ammonium in the contaminated water to nitrogen gas using the chemical-less VUV photochemical continuous-flow reactor
US20070119785A1 (en) Metal mediated aeration for water and wastewater purification
KR100856676B1 (ko) 복합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방향족 카르복실산 함유 폐수처리 장치
Zhao et al. Advanced oxidation removal of hypophosphite by O3/H2O2 combined with sequential Fe (II) catalytic process
KR20210051479A (ko) 금속 황화물을 이용한 산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KR102497835B1 (ko) 펜톤 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유기오염물질의 분해 방법
US5817240A (en) Catalytic fixed bed reactor systems for the destruction of contaminants in water by hydrogen peroxide
Aplin et al. Effect of Fe (III)-ligand properties on effectiveness of modified photo-Fenton processes
KR20190138129A (ko) 펜톤 산화 반응용 촉매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
Acero et al. Degradation of p-hydroxyphenylacetic acid by photoassisted Fenton reaction
Chen et al. Catalytic ozonation in aqueous system
CN114291886A (zh) 一种亚硫酸盐联合二氧化氯处理水中难降解有机物的方法
KR20020094870A (ko) 정수 및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Hilles et 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n introduction
Ghosh et al. Decontamination of tannery industry wastewater containing high organic load along with Cr3+: a compar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