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714B1 -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 Google Patents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714B1
KR102497714B1 KR1020220033028A KR20220033028A KR102497714B1 KR 102497714 B1 KR102497714 B1 KR 102497714B1 KR 1020220033028 A KR1020220033028 A KR 1020220033028A KR 20220033028 A KR20220033028 A KR 20220033028A KR 102497714 B1 KR102497714 B1 KR 10249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ion
sealing paper
overcap
refill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군
황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뷰티그룹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뷰티그룹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뷰티그룹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3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65D77/204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 B65D77/205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whereby part of the container or cover has been weakened, e.g. perforated or precut the cover being weak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가 제공된다. 제공된 천공구조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을 교체설치하여 사용되거나,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이 결합되는 외용기에서 교체설치하여 사용되며, 상부에는 실링지가 구비되는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오버캡의 흡입구가 설치되는 펌프 하우징에 탈, 부착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에는 날카로운 구조의 천공핀이 마련되는 천공구로 구성되고, 상기 실링지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금속박막재질로 구성하되, 상기 천공핀과 대응하는 중앙부에는 천공이 용이하도록 칼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Sealing Paper Perforation Structure Of Refill Case}
본 발명은 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필용기에 설치되는 실링지를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더해 심미감을 부여하여 판매시 가치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사용 목적이나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화장품, 의약품, 식품, 세제 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수용된다.
여기서, 액상타입, 크림타입 및 겔타입의 화장료를 담는 포장용기는, 상품성을 고려하여 아크릴이나 유리소재 등을 이용하여 투명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되는 외부용기와 뚜껑으로 구성되거나, 외부용기에 화장료와의 화학반응이 발생되지 않는 소재로 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로 분할되는 포장용기에 있어, 내부용기는 외부용기에 대하여 리필식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20-0013305호(2020년 02월 07일 공개)로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20-0013305호는 내부용기의 개방된 상면에 실링지를 두어 유통과정에서 건조나 변질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실링지를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 제10-2020-0013305호에 개시된 '화장품 용기'는 리필식으로 내부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때, 실링지를 내부용기에서 분리하기 어렵고, 뚜껑을 개방할 때마다 화장료가 공기와 접촉하여 변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8-0109147호(2017년 03월 27일 공개)에서는 밀봉면을 갖는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천공부가 형성된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입구부의 천공이 용이한 포장용기'가 제안된 바 있고, 일본국 특허청 특개평07-330009호(1995년 12월 19일 공개)에서는 알루미늄박이 형성된 용기 및 내측에 커터가 형성된 내측 캡을 포함하는 '용기의 토출구에 부착되는 캡'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 제10-2018-0109147호(2017년 03월 27일 공개)는 토출부재의 하단에 개봉띠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개봉띠를 뜯어내고 토출부재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천공부가 밀봉면을 뚫어서 개방하는 구조이고, 특개평07-330009호(1995년 12월 19일 공개) 또한 링형태의 스커트를 포함하고 있어, 내측 캡의 나사결합시 스커트가 파손됨과 동시에 커터가 알루미늄박을 절단하여 개방하는 구조이므로, 공개특허 제10-2018-0109147호(2017년 03월 27일 공개)와 특개평07-330009호(1995년 12월 19일 공개)은 모두 개봉띠 또는 스커트를 필수구성요소로 구비해야 함에 따라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개특허 제10-2018-0109147호(2017년 03월 27일 공개)와 특개평07-330009호(1995년 12월 19일 공개)는 튜브형 용기에 적합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리필용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실링지 천공구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버캡을 나사결합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리필용기의 실링지를 천공할 수 있도록 한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오버캡에 구비되는 천공수단에 의해 실링지를 천공할 때, 실링지가 쉽고도 정확하게 천공될 수 있도록 한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공기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실링지를 형성하여 유통과정 또는 사용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을 교체설치하여 사용되거나,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이 결합되는 외용기에서 교체설치하여 사용되며, 상부에는 실링지가 구비되는 리필용기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오버캡의 흡입구가 설치되는 펌프 하우징에 탈, 부착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에는 날카로운 구조의 천공핀이 마련되는 천공구로 구성되고,
상기 실링지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금속박막재질로 구성하되, 상기 천공핀과 대응하는 중앙부에는 천공이 용이하도록 칼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천공구의 타단 내경에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경에는 상기 걸림홈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를 마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천공구는 상기 오버캡의 흡입구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칼선부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2차 실링지를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연질의 플라스틱재질로 된 실링지는 천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칼선부가 마련되는 중앙부의 두께를 중앙부 외측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천공핀은 송곳형태, 일자형태, 톱니형태, 사선형태, 스크류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는 오버캡을 나사결합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리필용기의 실링지를 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오버캡에 구비되는 천공구에 의해 실링지를 천공할 때, 실링지에 마련되는 칼선부에 의해 실링지가 쉽고도 정확하게 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링지와 2차 실링지에 의해 공기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통과정 또는 사용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화장료가 변질되거나 건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리필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2a ~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실링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오버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천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5a ~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천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교체구성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리필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8a ~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실링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오버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 다른 실시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교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필용기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을 교체설치하여 사용되는 리필용기로 정의 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이 결합되는 외용기에 교체설치하여 사용되는 리필용기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필용기(1)는 상부에 실링지(2)가 마련되며,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10)을 교체설치하여 사용된다.
상기 리필용기(1)는 화장료와의 화학반응이 발생되지 않는 소재, 예컨대 유리 또는 PP수지(폴리프로필렌수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리필용기(1)는 본체의 외경이 작고 길게 형성됨에 따라 입구가 좁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리필용기(1)의 상부면에는 금속박막재질(알루미늄 등)의 실링지(2)가 접착설치된다.
이때, 상기 금속박막재질의 실링지(2)는 도 2a ~ 도2d에서와 같이 천공이 용이하도록 중앙부에 칼선부(21)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칼선부(21)는 십자형태의 절취선(211a) 또는 십자형태에서 45도 간격으로 절취선이 추가된 이중십자형태의 절취선(211b)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칼선부(21)에는 유통과정 및 취급과정에서 상기 절취선(211a,211b)의 파손되거나 절취선(211a,211b)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2차 실링지(22), 예컨대, 얇은 합성수지막으로 구성되는 2차 실링지(22)가 결합된다(2차 실링지에도 절취선을 마련하여 2차 실링지를 제거하지 않고도 실링지를 천공할 수 있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10)은 공지의 에어리스 펌프(11)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오버캡(10)에 구비되는 천공수단은 상기 오버캡(10)의 흡입구(12)가 설치되는 펌프 하우징(13)에 탈, 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천공구(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천공구(14)는 일단에 날카로운 구조의 천공핀((141a~141e)이 마련되고, 타단 내경에는 걸림홈(142)을 구비되는데, 이러한 걸림홈(142)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펌프 하우징(13)의 외경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31)에 걸림고정되어 탈, 부착구조를 구현한다.
여기서, 상기 천공구(14)의 천공핀(141a~141e)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4에서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끝단이 날카롭게 성형되는 송곳형태(141a)로 구성하거나, 도 5a ~ 도 5d에서와 같이 일자형태(141b), 끝단에 톱니가 마련되는 톱니형태(141c), 끝단이 사선으로 날카롭게 절단되는 사선형태(141d),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형태(141e)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천공핀(141a~141e)은 상기 실링지(2)를 쉽고도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천공핀(141a~141e)의 직경은 전술한 칼선부(21)와 대응하거나, 칼선부(21)보다 작은 직경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천공핀(141a~141e)이 상기 칼선부(21)의 절취선(211a,211b)에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실링지(2)를 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최초제품(사용자가 처음 구매하는 최초제품)은 사용자가 오버캡(10)을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버캡(10)이 결합되는 기존용기(30)에 실링지(2)가 없는 상태로 제공된다. 이후, 기존용기(30)의 화장료를 모두 사용할 경우, 기존용기(30)에서 오버캡(10)을 분리한 후, 본 발명의 리필용기(1)에 분리한 오버캡(10)을 나사결합한다. 이때에는 오버캡(10)의 정중앙 하부에서 돌출위치되는 천공구(14)의 천공핀(141a~141e)이 리필용기(1)의 칼선부(21 : 2차 실링지(22)가 제거된 상태)와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천공핀(141a~141e)의 날카로운 끝단에 의해 칼선부(21)가 천공된 후, 천공구(12)가 리필용기(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리필용기(1)의 화장료를 에어리스 펌프(11)에 의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교체방식을 되풀이하여 새로운 리필용기를 계속하여 교체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리필용기(1)는 오버캡(10)과의 단순 나사결합을 통해 실링지(2)를 천공할 수 있고, 실링지(2)에 구비된 칼선부(21)는 절취선(211)이 천공구(14)의 천공핀(141a~141e)을 가이드하여 쉽고도 정확하게 실링지(2)를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리필용기(1)는 천공구(14)가 실링지(2)의 칼선부(21)를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서 사용 중 공기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링지(2) 및 2차 실링지(22)를 구비함으로써 유통과정 또는 사용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천공구(14)가 펌프 하우징(13)에 탈, 부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서, 천공구(14)를 펌프 하우징(13)에서 분리한 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천공구(14)가 장시간 화장료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변질되거나 오염될 경우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도 7a 및 7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기(1',1")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10')이 결합되는 외용기(20)에서 교체설치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리필용기(1',1")는 본체의 외경이 크고 넓적하게 형성됨에 따라 입구가 크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리필용기(1',1")의 상부면에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금속박막재질(알루미늄 등)의 실링지(2,2')가 접착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예컨대 사출물로 성형되며 PP수지, TPU수지, LDPE수지, LLDPE수지와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재질로 된 실링지(2')는 도 8a ~ 도 8d에서와 같이 상기 천공핀(141f)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천공이 용이하도록 칼선부(21')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칼선부(21')는 십자형태의 절취선(211a'), 십자형태에서 45도 간격으로 절취선이 추가된 이중십자형태의 절취선(211b') 및 원형태의 절취선(211c)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칼선부(21')에는 유통과정 및 취급과정에서 상기 절취선(211a',211b',211c)이 파손되거나 절취선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2차 실링지(22'), 예컨대, 얇은 합성수지막으로 구성되는 2차 실링지(22')가 결합된다(2차 실링지에도 절취선을 마련하여 2차 실링지를 제거하지 않고도 실링지를 천공할 수 있음). 또한, 상기 연질의 플라스틱재질로 된 실링지(2')는 도 7a에서와 같이 천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칼선부(21')가 마련되는 중앙부의 두께가 중앙부 외측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금속박막재질의 실링지(2)는 전술한 도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10')은 공지의 에어리스 펌프(11')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오버캡(10')에 구비되는 천공수단은 상기 오버캡(10')의 흡입구(12')와 일체로 구성되는 천공구(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천공구(14')는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일단에 날카로운 구조의 천공핀(141f)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천공핀(141f)의 끝단 구조는 전술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구조들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공핀(141f)의 직경은 상기한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금속박막재질(알루미늄 등)의 실링지(2,2')에 구비된 칼선부(21,21')와 대응하거나, 칼선부(21,21')보다 작은 직경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천공핀(141f)이 상기 칼선부(21,21')의 절취선에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실링지(2,2')를 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최초제품(사용자가 처음 구매하는 최초제품)은 사용자가 오버캡(10')을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버캡(10')이 결합되는 기존용기(30',30")에 실링지가 없는 상태로 제공된다. 이후, 기존용기(30',30")의 화장료를 모두 사용할 경우, 오버캡(10')을 외용기(20)에서 분리하여 기존용기(30',30")를 본 발명의 리필용기(1',1")로 교체한 후 외용기(30',30")에 오버캡(10')을 나사결합한다. 이때에는 오버캡(10')의 정중앙 하부에서 돌출위치되는 천공구(14')의 천공핀(141f)이 리필용기(1',1")의 칼선부(21,21' : 2차 실링지(22')가 제거된 상태)와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천공핀(141f)의 날카로운 끝단에 의해 칼선부가 천공된 후 천공구(14')가 리필용기(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리필용기(1',1")의 화장료를 에어리스 펌프(11')에 의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교체방식을 되풀이하여 새로운 리필용기를 계속하여 교체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리필용기(1',1")는 오버캡(10')과 외용기(20)의 단순 나사결합을 통해 실링지(2,2')를 천공할 수 있으며, 실링지(2,2')에 구비된 칼선부(21,21')는 절취선(211a,211a',211b,211b')이 천공구(14')의 천공핀(141f)을 가이드하여 쉽고도 정확하게 실링지(2,2')를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리필용기(1',1")는 천공구(14')가 실링지(2,2')의 칼선부(21,21')를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서 사용 중 공기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링지(2,2') 및 2차 실링지(22,22')를 구비함으로써 유통과정 또는 사용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1',1" : 리필용기 2,2' : 실링지
10,10' : 오버캡 11,11' : 에어리스 펌프
12,12' : 흡입구 13 : 펌프 하우징
14,14' : 천공구 21,21' : 칼선부
22,22' : 2차 실링지 30 : 기존용기
131 : 걸림돌기 141a ~ 141f : 천공핀
142 : 걸림홈 211a,211a',211b,211b' : 절취선

Claims (6)

  1. 날카로운 구조의 천공핀이 마련되는 천공구를 포함하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을 교체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날카로운 구조의 천공핀이 마련되는 천공구를 포함하는 천공수단이 구비된 오버캡이 결합되는 외용기에서 교체설치하여 사용되는 리필용기로서, 상기 리필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실링지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금속박막재질로 구성하되, 상기 천공핀과 대응하는 중앙부에는 천공이 용이하도록 칼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칼선부에는 2차 실링지가 결합되며, 상기 오버캡에는 에어리스 펌프가 설치되는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오버캡의 흡입구가 설치되는 펌프 하우징에 탈, 부착식으로 결합하되, 상기 천공구의 타단 내경에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경에는 상기 걸림홈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2차 실링지에는 절취선을 마련하여 상기 2차 실링지를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천공수단에 의해 상기 실링지를 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은 송곳형태, 일자형태, 톱니형태, 스크류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33028A 2022-03-16 2022-03-16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KR10249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028A KR102497714B1 (ko) 2022-03-16 2022-03-16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028A KR102497714B1 (ko) 2022-03-16 2022-03-16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714B1 true KR102497714B1 (ko) 2023-02-08

Family

ID=8522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028A KR102497714B1 (ko) 2022-03-16 2022-03-16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7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058A (ja) * 2006-07-24 2008-03-06 Nichiei Sangyo Kk 液体注出容器
KR200452250Y1 (ko) * 2010-07-23 2011-02-14 (주) 이레머티리얼스 단일층 브레이크 씰
KR101290995B1 (ko) * 2009-01-16 2013-07-30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펌프 수용 부속품을 포함하는 분배 용기
JP3217783U (ja) * 2018-06-20 2018-08-30 竹本容器株式会社 補充カートリッジ用密封栓
JP2019119499A (ja) * 2018-01-05 2019-07-22 日本製紙株式会社 注出ポンプ及び注出ポンプを用いた詰め替え容器
JP6665092B2 (ja) * 2014-06-30 2020-03-13 日本製紙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058A (ja) * 2006-07-24 2008-03-06 Nichiei Sangyo Kk 液体注出容器
KR101290995B1 (ko) * 2009-01-16 2013-07-30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펌프 수용 부속품을 포함하는 분배 용기
KR200452250Y1 (ko) * 2010-07-23 2011-02-14 (주) 이레머티리얼스 단일층 브레이크 씰
JP6665092B2 (ja) * 2014-06-30 2020-03-13 日本製紙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019119499A (ja) * 2018-01-05 2019-07-22 日本製紙株式会社 注出ポンプ及び注出ポンプを用いた詰め替え容器
JP3217783U (ja) * 2018-06-20 2018-08-30 竹本容器株式会社 補充カートリッジ用密封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1786B2 (ja) 流動性内容物のフィルム−シールボトル及び容器のための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
US6766903B1 (e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US5430987A (en) Tooling to form tear-off strip on a dispenser pouch
US5497909A (en) Reuseable pouch fitment
US88203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mixing hair coloring chemicals
KR20020061617A (ko) 용기용 천공 캡
US9266698B2 (en) Package for monofilament line with embedded cutting tool and related method
US5934457A (en) Liquid container
KR102497714B1 (ko) 리필용기의 실링지 천공구조
US9656780B1 (en) Container seal with dual tabs
US3841537A (en) Calking cartridge nozzles
KR200475204Y1 (ko)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US11377271B2 (en) Plastic closure part with severable membrane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EP2371729B1 (en) Hinged lid container
US20210261317A1 (en) Product dispensers
US20240132254A1 (en) Hair color container with mixing features
KR200393813Y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 배출돌기가 구비된 용기
WO2006019750A1 (en) Twist-off container plug
KR200421796Y1 (ko) 치약 및 그와 유사한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
GB2467972A (en) A flip-lid assembly for a container
KR20170137501A (ko) 잔존물 절감 튜브용기
JP2010030608A (ja) ガン式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れに用いる袋体
KR100679612B1 (ko) 내용물의 위조방지 배출돌기가 구비된 용기
WO2022182804A1 (en) Hair color container with mixing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