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690B1 -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Google Patents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6690B1 KR102496690B1 KR1020220146974A KR20220146974A KR102496690B1 KR 102496690 B1 KR102496690 B1 KR 102496690B1 KR 1020220146974 A KR1020220146974 A KR 1020220146974A KR 20220146974 A KR20220146974 A KR 20220146974A KR 102496690 B1 KR102496690 B1 KR 102496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earning terminal
- mounting body
- learning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133 cognitive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41 brain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140 language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는, 설치면에 소정 면적으로 면접촉하는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거치본체부; 상기 거치본체부의 상부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수납케이스의 하부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이며, 수납케이스의 하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안착하는 안착홈; 상기 거치본체부의 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표정을 출력하는 시각신호출력부; 상기 거치본체부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며,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의 귀움직임출력부; 및 상기 거치본체부의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안착되고, 학습단말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학습단말기의 외주면에 탈착되고, 터치펜을 후면에 수납하는 구조의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기는 인간 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단계로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진다.
발달관련 학자들은 인간이 4 세를 전후하여 두뇌의 약 50 %정도가 발달되고, 7 세가 되면 약 80 %정도가 발달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4 세 내지 7 세의 유아의 두뇌를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그림, 글자, 숫자 등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학습시키거나, 적절하게 움직이는 체육활동을 통해 유아의 두뇌개발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아동의 지적인 능력은 주로 지능으로 판정되었으며 지능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와 아동의 인지발달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비판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피아제, 브루너, 헌트, 블룸 등을 중심으로 한 인지 발달론자들은 아동의 인지적 가능성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기의 학습은 유아가 성장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이며, 유아기의 지적발달은 가정과 유치원, 어린이집의 교육적 환경에 거의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특히 인간의 좌뇌와 우뇌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유아기의 학습은 필수적이다.
즉,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정서성발달 등은 유아 교육을 통해서 발달되어 지므로, 유아기의 학습은 균형적인 두뇌개발을 위한 밑거름이자 튼튼한 바탕이 되는 것이다.
유아들의 신체적인 움직임 및 두뇌 학습으로 인해 소극적이거나 내성적인 유아의 경우, 적극적이고 활발한 성격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고, 친구나 이웃과 잘 어울리지 않는 유아들에게 단체 적응력을 길러주는 것이며, 이기적이고 독단적인 성격이나 발표력, 통솔력이 부족한 유아들의 성격을 개선시켜 줌으로써, 유아기의 두뇌 학습은 협동심과 리더쉽을 길러주며 친 사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기에 상상력, 사고력, 심미적인 능력 및 언어 발달 능력이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유아 학습 방식은 개념 이해조차 제대로 하지 않고, 주입식으로 단순 반복만 하는 지겹고도 효율이 낮은 게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시청각 학습단말기가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학습대상자가 지루하고 집중력이 흐트러져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는, 설치면에 소정 면적으로 면접촉하는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거치본체부; 상기 거치본체부의 상부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수납케이스의 하부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이며, 수납케이스의 하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안착하는 안착홈; 상기 거치본체부의 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표정을 출력하는 시각신호출력부; 상기 거치본체부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며,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의 귀움직임출력부; 및 상기 거치본체부의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안착되고, 학습단말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학습단말기의 외주면에 탈착되고, 터치펜을 후면에 수납하는 구조의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는, 상기 거치본체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거치본체부의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의 회전구동부; 상기 거치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시선검출부 및 상태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대상자의 집중력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으로 낮아질 경우, 회전구동부, 시각신호출력부, 귀움직임출력부 및 상태검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거치본체부의 전면에 장착되고, 학습대상자의 두 눈의 위치와 시선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선검출부; 및 학습대상자의 중단전과 하단전에 부착되고, 학습대상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기설정된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상태검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는, 상기 거치본체부의 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도형과 색상을 출력하는 후방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귀움직임출력부는, 상기 거치본체부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방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동레일; 상기 구동레일에 안착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상부에 탑재되고,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이며, 전면 표면과 후면 표면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특정 색상을 출력하는 구조의 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본체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안착홈에 안착된 수납케이스의 전방 기울기와 후방 기울기를 특정 패턴으로 변경하는 기울기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거치본체부, 안착홈, 시각신호출력부, 귀움직임출력부 및 수납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학습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 수납거치대의 안착홈에 수납케이스를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학습단말 수납거치대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학습단말 수납거치대의 수납케이스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의 작동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제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 수납거치대의 안착홈에 수납케이스를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학습단말 수납거치대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학습단말 수납거치대의 수납케이스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의 작동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제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나타내는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 수납거치대의 안착홈에 수납케이스를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학습단말 수납거치대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학습단말 수납거치대의 수납케이스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100)는, 특정 구조의 거치본체부(110), 안착홈(120), 시각신호출력부(130), 귀움직임출력부(140) 및 수납케이스(150)를 구비함으로써,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100)의 거치본체부(110)는, 설치면에 소정 면적으로 면접촉하는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120)은, 거치본체부(110)의 상부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수납케이스(150)의 하부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이며, 수납케이스(150)의 하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안착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신호출력부(130)는, 거치본체부(110)의 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표정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귀움직임출력부(140)는, 거치본체부(110)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며,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150)는, 거치본체부(110)의 안착홈(12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학습단말기(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학습단말기의 외주면에 탈착되고, 터치펜(11)을 후면에 수납하는 구조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의 작동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제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100)는 학습대상자의 시선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학습대상자의 집중도와 흥미를 일정 수준 유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학습대상자의 집중도와 흥미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학습대상자는 학습대상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162)를 부착하게 된다. 상태검출부(162)는 패치 형태로 제작되어 손쉽게 부착하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는 구조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태검출부(162)는 학습대상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중단전과 하단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태검출부(162)는 학습대상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검출하여 제어부(16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더 나아가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기설정된 진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학습대상자로부터 검출되는 심박수 및 호흡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태검출부(162)로부터 일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학습대상자에 주의를 주며 집중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100)는, 거치본체부(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학습대상자의 두 눈의 위치와 시선을 검출하여 제어부(16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선검출부(16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본체부(110)에는 전방에 장착된 시각신호출력부(130)의 방향과 안착홈(12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회전구동부(11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구동부(111)는 거치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거치본체부(110)의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거치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160)는, 시선검출부(161) 및 상태검출부(162)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대상자의 집중력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으로 낮아질 경우, 회전구동부(111), 시각신호출력부(130), 귀움직임출력부(140) 및 상태검출부(1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대상자로부터 검출되는 시선 상태, 심박수 및 호흡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시각신호출력부(130)로부터 실망하는 표정, 놀라는 표정 또는 찡그리는 표정을 출력하여 학습대상자가 다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와 동시에 회전구동부(111)를 구동시켜 변화된 표정이 출력되는 시각신호출력부(13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학습대상자에게 자극을 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귀움직임출력부(140)를 구동시켜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를 움직임으로써 더욱 강력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거치본체부(110)의 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는 후방신호출력부(163)로부터 기 설정된 도형과 색상을 출력하여 더욱 강력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귀움직임출력부(140)는 특정 구조의 구동레일(141), 구동부재(142) 및 귀형상부재(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귀움직임출력부(140)의 구동레일(141)은, 거치본체부(110)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방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구동부재(142)는, 구동레일(141)에 안착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는 구조이다. 또한, 귀형상부재(143)는, 구동부재(142)의 상부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이며, 전면 표면과 후면 표면에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특정 색상을 출력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본체부(110)의 안착홈(120)의 내측면에는 기울기변경부(121)가 더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울기변경부(121)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안착홈(120)에 안착된 수납케이스(150)의 전방 기울기와 후방 기울기를 특정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대상자로부터 검출되는 시선 상태, 심박수 및 호흡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울기변경부(121)를 구동시켜 수납케이스(150)를 반복적으로 기울기를 변경시킴으로써 학습대상자에게 강력한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색상을 변경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거치본체부(110), 안착홈(120), 시각신호출력부(130), 귀움직임출력부(140) 및 수납케이스(150)를 구비함으로써, 학습대상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학습단말기
11: 터치펜
100: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110: 거치본체부
111: 회전구동부
120: 안착홈
121: 기울기변경부
130: 시각신호출력부
140: 귀움직임출력부
141: 구동레일
142: 구동부재
143: 귀형상부재
150: 수납케이스
160: 제어부
161: 시선검출부
162: 상태검출부
163: 후방신호출력부
11: 터치펜
100: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110: 거치본체부
111: 회전구동부
120: 안착홈
121: 기울기변경부
130: 시각신호출력부
140: 귀움직임출력부
141: 구동레일
142: 구동부재
143: 귀형상부재
150: 수납케이스
160: 제어부
161: 시선검출부
162: 상태검출부
163: 후방신호출력부
Claims (5)
- 설치면에 소정 면적으로 면접촉하는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거치본체부(110);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상부면 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수납케이스(150)의 하부 외주면과 대응되는 구조이며, 수납케이스(150)의 하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안착하는 안착홈(120);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표정을 출력하는 시각신호출력부(130);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 대칭형태로 장착되고,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며,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의 귀움직임출력부(140);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안착홈(12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안착되고, 학습단말기(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학습단말기의 외주면에 탈착되고, 터치펜(11)을 후면에 수납하는 구조의 수납케이스(150);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거치본체부(110)의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의 회전구동부(111);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시선검출부(161) 및 상태검출부(162)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대상자의 집중력이 기설정된 기준 미만으로 낮아질 경우, 회전구동부(111), 시각신호출력부(130), 귀움직임출력부(140) 및 상태검출부(16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전면에 장착되고, 학습대상자의 두 눈의 위치와 시선을 검출하여 제어부(16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선검출부(161); 및
학습대상자의 중단전과 하단전에 부착되고, 학습대상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검출하여 제어부(16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기설정된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상태검출부(1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는,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후방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도형과 색상을 출력하는 후방신호출력부(16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움직임출력부(140)는,
상기 거치본체부(110)의 후방 상부면에 양측방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동레일(141);
상기 구동레일(141)에 안착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방으로 왕복구동하는 구동부재(142); 및
상기 구동부재(142)의 상부에 탑재되고, 동물의 귀 형상을 모사한 구조이며, 전면 표면과 후면 표면에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특정 색상을 출력하는 구조의 귀형상부재(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본체부(110)는,
상기 안착홈(12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안착홈(120)에 안착된 수납케이스(150)의 전방 기울기와 후방 기울기를 특정 패턴으로 변경하는 기울기변경부(1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6974A KR102496690B1 (ko) | 2022-11-07 | 2022-11-07 |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6974A KR102496690B1 (ko) | 2022-11-07 | 2022-11-07 |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6690B1 true KR102496690B1 (ko) | 2023-02-06 |
Family
ID=8522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6974A KR102496690B1 (ko) | 2022-11-07 | 2022-11-07 |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6690B1 (ko)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97198A1 (en) * | 2000-06-13 | 2001-12-20 | Bahn Jee Lola Tan | An educational device |
US20030162151A1 (en) * | 2001-05-15 | 2003-08-28 | Natasha Berling | Display responsiv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ildren |
KR200388638Y1 (ko) | 2005-04-22 | 2005-06-30 | 편준범 | 영유아용 멀티미디어 방송 및 학습 단말기 |
KR100877343B1 (ko) * | 2007-08-20 | 2009-01-07 | 임영남 | 외국어 학습용 대화형 로봇 및 로봇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
KR20130126046A (ko) * | 2012-05-10 | 2013-11-20 | 얄리주식회사 | 음성인식 질의응답 인형 |
KR20160036361A (ko) * | 2014-09-25 | 2016-04-04 | 김용운 | 입출력 화면설정이 자유로운 스마트기기 |
CN106409021A (zh) * | 2016-12-15 | 2017-02-15 |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 智能故事机及智能交互系统 |
KR20190093244A (ko) * | 2018-02-01 | 2019-08-09 | 성호준 |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및 방법 |
KR102118980B1 (ko) * | 2019-11-04 | 2020-06-04 | 주식회사 스마트크리에이터 | 학업성취도 향상시스템 |
KR20210006257A (ko) * | 2019-07-08 | 2021-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
CN112466166A (zh) * | 2019-09-09 | 2021-03-09 | 上海晨计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儿童早教视频机 |
CN213024863U (zh) * | 2020-10-28 | 2021-04-20 | 广东佳的美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防摔保护结构的儿童故事机 |
-
2022
- 2022-11-07 KR KR1020220146974A patent/KR1024966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97198A1 (en) * | 2000-06-13 | 2001-12-20 | Bahn Jee Lola Tan | An educational device |
US20030162151A1 (en) * | 2001-05-15 | 2003-08-28 | Natasha Berling | Display responsive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ildren |
KR200388638Y1 (ko) | 2005-04-22 | 2005-06-30 | 편준범 | 영유아용 멀티미디어 방송 및 학습 단말기 |
KR100877343B1 (ko) * | 2007-08-20 | 2009-01-07 | 임영남 | 외국어 학습용 대화형 로봇 및 로봇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
KR20130126046A (ko) * | 2012-05-10 | 2013-11-20 | 얄리주식회사 | 음성인식 질의응답 인형 |
KR20160036361A (ko) * | 2014-09-25 | 2016-04-04 | 김용운 | 입출력 화면설정이 자유로운 스마트기기 |
CN106409021A (zh) * | 2016-12-15 | 2017-02-15 |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 智能故事机及智能交互系统 |
KR20190093244A (ko) * | 2018-02-01 | 2019-08-09 | 성호준 |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및 방법 |
KR20210006257A (ko) * | 2019-07-08 | 2021-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
CN112466166A (zh) * | 2019-09-09 | 2021-03-09 | 上海晨计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儿童早教视频机 |
KR102118980B1 (ko) * | 2019-11-04 | 2020-06-04 | 주식회사 스마트크리에이터 | 학업성취도 향상시스템 |
CN213024863U (zh) * | 2020-10-28 | 2021-04-20 | 广东佳的美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防摔保护结构的儿童故事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arry | Fixing my gaze: A scientist's journey into seeing in three dimensions | |
Von Hofsten | Action in development | |
KR101350957B1 (ko) | 인지 장애 아동용 컴퓨터기반 인지훈련장치 | |
Yu et al. | Influences of head and torso movement before and during affordance perception | |
CN111968350A (zh) | 一种学生学习保护视力的桌面装置和方法 | |
KR102496690B1 (ko) | 집중력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학습단말기 수납거치대 | |
Tait | The effect of circumstantial rejection on infant behavior | |
McCune et al. | Learning, attention, and play | |
Portenga | Performance Skills for Academic Talent Development: Integrating Sport and Performance Psychology Into the Classroom | |
Bernstein‐Yamashiro et al. | Learning together: Teaching, relationships, and teachers' work | |
KR101864050B1 (ko) | 모니터링 및 지도가 가능한 IoT 교구 | |
Stone et al. | Self and other dialogue in infancy: Normal versus compromised developmental pathways | |
Beccaluva et al. | Exploring engagement with robots among persons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
CN210155934U (zh) | 一种幼儿园反应训练教具 | |
Roslan et al. | A Systematic Review on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ers | |
Lockman et al. | Spatial development | |
Tonges et al. | Grow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
Algeo et al. | The Power of Thought: A Twenty-First Century Adaptation of Annie Besant's Thought Power | |
RU122301U1 (ru) | Игрушка с динамическим выражением глаз | |
Golawski | Parents’ role in developing young people | |
Davis et al. | The gift of dyslexia | |
Mountstephen | Meeting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to support children with Dyspraxia | |
Donald et al. | Understanding Attachment and Development Aspec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
Donald et al. | Reflective Questions | |
Chiu | Study on Development of Real-Time Vestibular Measu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