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378B1 -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378B1
KR102496378B1 KR1020170177486A KR20170177486A KR102496378B1 KR 102496378 B1 KR102496378 B1 KR 102496378B1 KR 1020170177486 A KR1020170177486 A KR 1020170177486A KR 20170177486 A KR20170177486 A KR 20170177486A KR 102496378 B1 KR102496378 B1 KR 10249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thin film
carbon nanotubes
nanotube thi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688A (ko
Inventor
이동준
박종래
정연수
조영식
변민후
권혁재
김목원
김준희
김현진
이현표
이흥찬
임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378B1/ko
Priority to US16/134,212 priority patent/US10818932B2/en
Publication of KR2019007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07Gas diffus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4Preparation involving continuous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0Alloys based on alkali metals
    • H01M4/405Alloys based on 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9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금속-공기 전지용 가스 확산층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금속-공기 전지용 가스 확산층은 적층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은 소정의 방향을 따라 정렬된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공기 전지용 가스 확산층은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loating catalyst chemical vapor deposition; FCCVD)을 이용하여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Metal air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as duffusion layer for equipped therewith}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리튬 공기 전지는 리튬 이온의 흡장 및 방출이 가능한 음극, 공기 중의 산소를 산화/환원시키는 양극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을 구비한다.
상기 리튬 공기 전지는 리튬 자체를 음극으로 사용하며 양극 활물질인 공기(구체적으로, 공기 중의 산소)를 전지 내에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용량을 가질 수 있다. 리튬 공기 전지의 단위 중량당 이론 에너지 밀도는 3,500Wh/kg 이상으로 매우 높다. 이러한 에너지 밀도는 리튬 이온 전지의 대략 10배에 해당하는 것이다.
리튬 공기 전지의 셀 내부로 산소를 확산시키기 위해 인접한 두 양극 사이에 가스 확산층을 배치한다. 산소는 가스 확산층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여 양극에서 리튬 이온과 반응하게 된다. 종래 사용되는 가스 확산층은 카본지(carbon paper) 또는 카본천(carbon cloth)과 같은 탄소계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소재는 두께가 200~400㎛일 경우 단위 면적당 무게가 4~10mg/cm2 수준으로서 매우 높다.
따라서, 리튬 공기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스 확산층의 무게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금속 공기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가벼우면서도 전기 전도성과 기체 확산성을 모두 갖는 금속 공기 전지용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층; 양극 촉매층을 포함하며, 산소를 활물질로 사용하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포함하며, 평균 인장 강도는 20Mpa 이상인 가스 확산층; 및 상기 음극층과 상기 양극층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로서, 상기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 을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은 납작한 판 형태를 가지며, 판 형태의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이 나란하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정렬 각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내지 45o의 편차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정렬 각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내지 45o의 편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기공률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전기 전도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및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 중 어느 하나의 평균 전기 전도도는 0.1 (S/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양극층, 상기 전해질막, 상기 음극층 및 상기 가스 확산층이 적어도 한번 접힐 수 있다.
상기 가스 확산층은 두께 방향으로의 산소 투과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확산층은 두께가 100㎛이하이고, 단위 면적당 무게가 1mg/cm2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및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는 단일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튜브 다발, 또는 꼬인 탄소나노튜브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 및 촉매 전구체를 반응 챔버 내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상기 촉매 전구체를 열분해하여 촉매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를 열분해하여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의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2회 이상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형성하는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의 정렬 각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내지 45o의 편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회전 운동과, 상기 일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병진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금속 공기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금속 공기 전지용 가스 확산층은 가벼우면서도 전기 전도성과 기체 확산성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평면셀 형태의 금속 공기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태의 금속 공기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loating catalyst chemical vapor deposition; FCCVD)에 따른 방법으로 형성한 가스 확산층을 보여주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다른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다른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가스 확산층의 인장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와 일 실시예의 방전 과정에서 얻어진 무게당 방전 용량(Wh/kg) 값과 평균전압(V)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와 일 실시예의 방전 과정에서 얻어진 부피당 방전 용량(Wh/L) 값과 평균전압(V)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금속 공기 전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현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구현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상"이라고 기재된 표현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 상태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두 면을 의미하고, "일방향" 및 "타방향"은 서로 정반대의 두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공기(air)"는 대기 공기,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의 조합, 또는 순수 산소 기체를 의미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평면셀 형태의 금속 공기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태의 금속 공기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평면셀 형태의 금속-공기 전지(1)는 예를 들어, 음극층(11), 전해질막(12), 양극층(13), 금속-공기 전지용 가스 확산층(100; 이하 '가스 확산층' 으로 지칭함) 및 가스 확산층(100)의 상부 표면만을 제외하고 금속-공기 전지(1)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는 외장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음극층(11)은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리튬(Li) 금속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극층(11)에는 리튬 금속외에, 리튬 금속 기반의 합금 또는 리튬 삽입 화합물(lithium intercalating compound)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해질막(12)은 음극층(11)과 양극층(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음극층(11)에서 생성된 리튬 이온을 양극층(13)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층(13)은 리튬 이온의 전도를 위한 전해질, 산소의 산화 및 환원을 위한 촉매, 도전성 재료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확산층(100)은 대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양극층(13)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스 확산층(100)은 외부의 산소를 원활하게 확산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평면셀 형태의 금속-공기 전지(1)의 경우, 다수의 셀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면 아래 쪽에 있는 셀들로의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금속-공기 전지(1)의 전체 무게 중에서 전류를 인출하기 위한 집전체(도시되지 않음)의 무게 비중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에 기여하는 음극층(11), 전해질막(12) 및 양극층(13)을 합한 무게의 비중이 작을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형태의 금속 공기 전지(1)는 양극층(13), 전해질막(12), 음극층(11) 및 가스 확산층(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가스 확산층(100)은 제1 면(Sa), 제1 면(Sa)에 대향하는 제2 면(Sb)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일 측면(Sc)을 구비할 수 있다.
양극층(13), 전해질막(12) 및 음극층(11)은, 양극층(13)이 가스 확산층(100)의 제1 면(Sa) 및 제2 면(Sb)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한번 접혀 있고, 가스 확산층(100)은 상기 접혀 있는 양극층(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층(13), 전해질막(12) 및 음극층(11)이 2번 이상 접혀 있는 경우, 이들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접힌 후 타방향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교대로 접혀 있을 수 있다.
양극층(13), 전해질막(12) 및 음극층(11)은 각각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접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의 "폭"과 "길이"는 크기에 의해 구별되며, "폭"이 "길이"에 비해 짧다.
상기와 같이, 가스 확산층(100)의 제1 면(Sa)과 제2 면(Sb)에 양극층(13)이 배치된 구조에서는, 가스 확산층(100)의 제1 면(Sa) 및 제2 면(Sb)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가스 확산층(100)으로의 공기 공급은, 가스 확산층(100)의 측면들 또는 측면들 중 일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가스 확산층(100)이 두께 방향을 따라 산소 투과성을 구비함으로써, 공기 공급이 양극층(13)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스 확산층(100)으로의 공기 공급은 측면들 중 적어도 일 측면(Sc)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스 확산층(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면(Sa)과 제2 면(Sb)을 통해 양극층(13)으로 확산될 수 있다.
금속 공기 전지(1)는 가스 확산층(100)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들에 의해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장재(미도시)가 가스 확산층(100)의 노출된 측면(Sc)을 제외하고, 음극층(11), 전해질막(12), 양극층(13) 및 가스 확산층(100)의 나머지 외부 표면들을 둘러쌀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스 확산층(100)은 전기 전도성과 기체 확산성을 구비하면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무게가 가벼워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확산층(100)은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 도 2b 참조)를 포함하는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 도 2b 참조)를 포함하는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서로 적층되는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 예를 들어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을 포함하는 가스 확산층(100)을 도입함으로써 카본지를 포함하는 종래의 가스 확산층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전기 전도성과 기체 확산성을 모두 가질 수 있는 가스 확산층(10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스 확산층(100)을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1)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확산층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loating catalyst chemical vapor deposition; FCCVD)에 따른 방법으로 형성한 가스 확산층을 보여주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2a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는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에 포함된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는 예를 들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SW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NT),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에 포함된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는 1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 예를 들어, 2개 내지 25개의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이 하나의 섬유상을 형성하는 다발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가 꼬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연장 방향에 따른 평균 길이는 50μm이상 1cm이하이고,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평균 직경은 1nm 이상 50nm이하일 수 있으며,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종횡비(aspect ratio)는 5Χ104 이상 107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는 소정의 정렬 각도(θ)를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렬 각도(θ)는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연장 방향과 다른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이 되는 제1-1 탄소 나노 튜브(1111)의 연장 방향과 다른 제1-2 탄소 나노 튜브(1112)의 연장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제1-1 탄소 나노 튜브(1111)와 다른 제1-2 탄소 나노 튜브(1112)는 소정의 정렬 각도(θ)를 구비하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정렬 각도(θ)의 편차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이상 45o 이하일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이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에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에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는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으며,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와 관련된 사항은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서술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적층되도록 배치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과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에서, 복수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정렬 방향(n1)과 복수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의 정렬 방향(n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 예시에 따른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정렬 방향(n1)과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의 정렬 방향(n2)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 상호간 및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 상호간에는 기준이 되는 탄소 나노 튜브와 다른 탄소 나노 튜브 사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이상 45o 미만의 정렬 각도(θ1, θ2)를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 및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가 상이한 정렬 방향(n1, n2) 및 상이한 정렬 각도(θ1 , θ2)를 구비함에 따라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의 기공률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과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의 기체 확산성(gas diffusivity)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의 기체 확산성은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의 기체 확산성 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 및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가 상이한 정렬 방향(n1, n2) 및 상이한 정렬 각도(θ1 , θ2)를 구비함에 따라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의 밀접 정도가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의 전기 전도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 중 어느 하나의 평균 전기 전도도는 0.1 S/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 및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가 포함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이 적층된 가스 확산층(100)의 두께는 100㎛이하일 수 있으며, 단위 면적당 무게가 1mg/cm2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을 포함하는 가스 확산층(100)은 종래의 가스 확산층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전기 전도성과 기체 확산성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확산층(100)을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1)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다른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다른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확산층(100)에 포함된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은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loating catalyst chemical vapor deposition; FCCVD)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반응 챔버(200) 내에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210) 및 촉매 전구체(220)가 공급될 수 있다. (단계110) 일 예시에 따르면,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210)는 에탄올(ethanol), 헥산(hexane), 메탄(methane) 또는 톨루엔(tolue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르면, 촉매 전구체(220)는 페로센(ferrocene) 또는 니켈로센(nikelocene)과 같은 전이 금속 유도체, 또는 철 펜타 카보닐(iron pentacarbonyl, Fe(CO)5), 또는 지르코늄 산화물 분말((ZrO2) Oixde Nanopowder) 또는 비금속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CCVD)에 사용될 수 있는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 또는 촉매 전구체로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210) 및 촉매 전구체(220)와 함께 촉매 입자의 성장을 제한하는 물질, 예를 들어 이황화탄소와 같은 정지제 공급원 물질(230)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술한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210), 촉매 전구체(220) 및 정지제 공급원 물질(230)은 수소 가스(H2), 아르곤 가스(Ar2) 또는 헬륨 가스(He)와 같은 캐리어 가스에 의해 반응 챔버(20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반응 챔버(200) 내에 공급된 촉매 전구체(220)를 열분해하여 촉매 입자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20) 일 예시에 따르면, 캐리어 가스에 의해 반응 챔버(200)로 도입된 촉매 전구체(220)는 반응 챔버(200) 내부에서 흐름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흐름 방향을 따라 반응 챔버(200) 내부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촉매 전구체의 분해 온도인 제1 개시 온도에서 촉매 전구체(220)가 분해될 수 있다. 촉매 전구체(220)의 분해에 의해 촉매 입자(221)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촉매 입자(221)는 결합에 의해 성장할 수 있다. 이후, 제2 개시 온도에서 정지제 공급원 물질(230)이 분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지제가 방출되어 촉매 입자(221)의 성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반응 챔버(200) 내에 공급된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210)를 열분해하여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30) 제2 개시 온도 이후, 흐름 방향을 따라 반응 챔버(200)의 내부 온도가 탄소 나노 튜브의 생성 온도인 제3 개시 온도에서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210)가 분해되어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로서, 탄소 나노 튜브에는 치밀화제, 예를 들어 아세톤을 공급하여 치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소 나노 튜브는 복수 개의 섬유상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260)의 표면에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부착하여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140) 반응 챔버(200)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는 일 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260)의 표면에 소정의 속도, 예를 들어 1m/min 이상 100m/min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m/min 이상 20m/min 이하의 속도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직경 3cm의 롤러부(260)가 85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는 8m/min 이하의 속도로 응집(aggregation)없이 롤러부(260)의 일 축(O)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롤러부(260)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정렬도 및 두께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된 판 형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르면, 롤러부(260)는 2회전 이상 반복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가 배열된 판 형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이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롤러부(260)는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일 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수행하며, 상술한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하는 롤러부(260)의 표면에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부착하여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을 생성할 수 있다. 반응 챔버(200)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는 일 축(O)을 중심으로 회전 속도로 회전함과 동시에 일 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롤러부(260)의 표면에 소정의 속도, 예를 들어 1m/min 이상 100m/min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m/min 이상 20m/min 이하의 속도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260)가 직경 3cm의 롤러부(260)가 85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는 8m/min 이하의 속도로 응집(aggregation)없이 롤러부(260)의 일 축(O)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260)가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일 축(O) 방향으로 0.7m/min의 속도로 병진 운동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의 정렬 방향이 롤러부(260)의 병진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가 배치되는 롤러부(260)는 1회 이상 회전될 수 있으며, 롤러부(260)의 회전수에 따라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이 추가적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260)가 2회전 하는 경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과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이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정렬 방향(n1)과 복수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의 정렬 방향(n2)은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롤러부(260)의 일 축(0) 방향을 따르는 병진 운동에 의해 복수의 제1 탄소 나노 튜브(1110)의 정렬 방향(n1)과 복수의 제2 탄소 나노 튜브(1120)의 정렬 방향(n2)은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가스 확산층의 인장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와 일 실시예의 방전 과정에서 얻어진 무게당 방전 용량(Wh/kg) 값과 평균전압(V)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와 일 실시예의 방전 과정에서 얻어진 부피당 방전 용량(Wh/L) 값과 평균전압(V)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을 포함하는 가스 확산층(100)의 인장 강도는 20 MPa이상 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 및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인장 강도(MPa) 8.0 2.7 15.2 58.3
전기 전도도 (S/cm) 37 10 161 299
두께(μm) 10 30 15 15
무게 (mg/cm2) 0.5 1 0.5 0.5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가 일 방향을 따라 성장한 탄소 나노 튜브를 구비하는 탄소 나노 튜브 박막(비교예 1)과 분말 형태의 탄소 나노 튜브가 분산된 탄소 나노 튜브 박막(비교예 2) 및 정렬된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구비하는 단일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의 인장 강도(MPa)는 20 미만이며, 전기 전도도(S/Cm)는 200 미만인 반면, 실시예에 따라 정렬된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구비하는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1) 및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2)을 포함하는 가스 확산층(100)의 인장 강도(MPa)는 20 이상이며, 전기 전도도(S/Cm)는 20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 따른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단위 면적당 무게(mg/cm2)는 1이상인 반면 실시예의 가스 확산층(100)의 단위 면적당 무게(mg/cm2)는 1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분말 형태의 탄소 나노 튜브가 배치된 형태,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CCVD)에 의해 형성된 탄소 나노 튜브가 정렬되지 않은 채 랜덤(random)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형태 또는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가 정렬된 시작점으로부터 일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형태로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형성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110)을 포함하는 가스 확산층(100)은 소정의 전기 전도성 및 기공도를 구비하면서도, 기계적 강도 및 경량화를 달성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달성할 수 있는 금속-공기 전지(1)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가스 확산층의 제작)
실시예 비교예 : 리튬 공기 전지의 제작
(실시예)
양극 촉매로 0.45mg의 로딩량을 구비하는 플로팅 촉매 화학 기상 증착 방법(FCCVD)에 의해 형성된 탄소나노튜브에 대해 양극 전해질로 0.5 M의 Lithium bis(trifluoromethylsulphonyl)imide가 첨가된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Aldrich)를 과량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1 탄소나노튜브 박막과 제 2 탄소나노튜브박막이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 가스 확산층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가스확산층으로 상업용 탄소지(Sigracet 25BA, SGL Group)를 사용하였다.
(양극의 제작)
양극 촉매로 탄소나노튜브(NC2100, Nanocyl), 양극 전해질로 0.5 M의 Lithium bis(trifluoromethylsulphonyl)imide가 첨가된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Aldrich), 바인더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DAIKIN)을 1:2:0.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양극을 제작하였다.
(전해질막의 제작)
N-butyl-N-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KANTO), Poly(diallyldimethylammo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Lithium bis(trifluoromethylsulphonyl)imide를 75:17.6:7.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acetonitrile로 희석한 용액을 폴리에틸렌(PE) 분리막(Entek EPX)에 함침,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작하였다.
(리튬-공기 전지의 제작)
리튬 foil 음극 위에 상기 제작된 전해질막, 양극, 가스확산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접은 리튬-공기 전지를 제작하였다.
평가예: 방전 특성 및 에너지 밀도 평가
80도, 산소 분위기에서 0.24 mA/cm2의 전류밀도로 방전(full discharge) 및 충전하였다. 상기 방전 과정에서 얻어진 무게에 따른 방전 용량(Wh/kg) 값과 평균전압(V)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방전 과정에서 얻어진 부피에 따른 방전 용량(Wh/L) 값과 평균전압(V)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전 특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실시예와 비교예의 에너지 밀도를 평가할 수 있다.
비교예 실시예
무게당 에너지밀도(Wh/kg) 541 614
부피당 에너지밀도(Wh/L) 354 56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공기 전지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공기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금속-공기 전지
11: 음극층
12: 전해질막
13: 양극층
100: 가스 확산층
110: 탄소 나노 튜브 박막
111: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112: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
200: 반응 챔버
210: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
220: 촉매 전구체
221: 촉매 입자
230: 정지제 공급원 물질
260: 롤러부
1110: 제1 탄소 나노 튜브
1120: 제2 탄소 나노 튜브

Claims (16)

  1.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층;
    양극 촉매층을 포함하며, 산소를 활물질로 사용하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포함하며, 평균 인장 강도는 20Mpa 이상인 가스 확산층; 및
    상기 음극층과 상기 양극층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로서,
    상기 복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 을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은 납작한 판 형태를 가지며, 판 형태의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이 나란하게 적층되는
    금속- 공기 전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금속- 공기 전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이 상이한,
    금속- 공기 전지.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정렬 각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내지 45o의 편차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정렬 각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내지 45o의 편차를 구비하는,
    금속- 공기 전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기공률이 서로 상이한,
    금속- 공기 전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전기 전도도가 서로 상이한,
    금속- 공기 전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 및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 중 어느 하나의 평균 전기 전도도는 0.1 (S/cm) 이하인,
    금속- 공기 전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층, 상기 전해질막, 상기 음극층 및 상기 가스 확산층이 적어도 한번 접히는,
    금속- 공기 전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확산층은 두께 방향으로의 산소 투과성을 구비하는,
    금속 공기 전지.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확산층은 두께가 100㎛이하이고, 단위 면적당 무게가 1mg/cm2이하인
    금속- 공기 전지.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 및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는 단일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튜브 다발, 또는 꼬인 탄소나노튜브 중 하나인,
    금속- 공기 전지.
  13.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 및 촉매 전구체를 반응 챔버 내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상기 촉매 전구체를 열분해하여 촉매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 전구체를 열분해하여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의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2회 이상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다수의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을 형성하는,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복수 개의 탄소 나노 튜브의 정렬 각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0o 내지 45o의 편차를 구비하는,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회전 운동과, 상기 일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병진 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제1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제2 탄소 나노 튜브 박막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2 탄소 나노 튜브 각각은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1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과 상기 제2 탄소 나노 튜브의 연장 방향의 수직한 방향에 따른 정렬 방향이 상이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KR1020170177486A 2017-12-21 2017-12-21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KR10249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86A KR102496378B1 (ko) 2017-12-21 2017-12-21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US16/134,212 US10818932B2 (en) 2017-12-21 2018-09-18 Metal air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as diffusion layer included in metal air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86A KR102496378B1 (ko) 2017-12-21 2017-12-21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88A KR20190075688A (ko) 2019-07-01
KR102496378B1 true KR102496378B1 (ko) 2023-02-06

Family

ID=6695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486A KR102496378B1 (ko) 2017-12-21 2017-12-21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18932B2 (ko)
KR (1) KR102496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51A1 (ko)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포집 장치 및 방법
CN110492109B (zh) * 2019-07-30 2020-11-27 同济大学 一种宽幅湿度自适应的燃料电池气体扩散层
CA3170335A1 (en) * 2020-02-24 2021-09-02 Nanocomp Technologies, Inc. Iron removal from carbon nanotubes and metal catalyst recy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80273A1 (en) 2015-06-25 2016-12-29 Tsinghua University Cathode and lithium-air batter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0164A1 (en) * 2007-05-11 2008-1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porous carbon catalyst support material
CN101497436B (zh) * 2008-02-01 2015-06-03 清华大学 碳纳米管薄膜结构及其制备方法
US8822078B2 (en) 2008-09-29 2014-09-02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Freestanding carbon nanotube paper, methods of its making, and devices containing the same
US8246860B2 (en) * 2009-10-23 2012-08-21 Tsinghua University Carbon nanotube composit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 using the same
JP5858266B2 (ja) * 2010-03-26 2016-02-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体の製造方法
JP5238748B2 (ja) * 2010-04-19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およびその難燃剤
CN103187586B (zh) * 2011-12-28 2016-01-20 清华大学 锂离子电池
KR101544585B1 (ko) 2012-09-27 2015-08-17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공기 전지의 양극부, 및 리튬 공기 전지의 양극부 제조 방법
CN104810524B (zh) * 2014-01-23 2018-04-03 清华大学 锂离子电池
KR101646357B1 (ko) 2014-10-20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전극
CN107644977B (zh) * 2016-07-22 2020-09-25 清华大学 锂离子电池电极的制备方法
CN107644976B (zh) * 2016-07-22 2020-09-29 清华大学 锂离子电池电极
EP3435459B1 (en) * 2017-07-25 2022-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metal-air battery, metal-ai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thin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80273A1 (en) 2015-06-25 2016-12-29 Tsinghua University Cathode and lithium-air batte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8932B2 (en) 2020-10-27
US20190198887A1 (en) 2019-06-27
KR20190075688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Flexible lithium–CO 2 battery with ultrahigh capacity and stable cycling
Tan et al. Recent advances in perovskite oxides as electrode materials for nonaqueous lithium–oxygen batteries
CN109301271B (zh) 用于金属-空气电池的正极、含其的金属-空气电池和制造碳纳米管膜的方法
Lim et al. A new catalyst-embedded hierarchical air electrode for high-performance Li–O 2 batteries
Hwang et al. A binder-free Ge-nanoparticle anode assembled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 networks for Li-ion batteries
Chen et al. Recent advances in electrocatalysts for non-aqueous Li–O2 batteries
KR102496378B1 (ko) 금속- 공기 전지 및 이에 구비된 가스 확산층의 제조 방법
Tang et al. Multifunctionality of carbon-based frameworks in lithium sulfur batteries
JP6440807B1 (ja) リチウム−硫黄電池用隔膜の製造方法
JP2014011163A (ja) ガス拡散層用炭素基材、それを利用したガス拡散層、それを含む燃料電池用電極
Kong et al. Ultrathin HfO2-modified carbon nanotube films as efficient polysulfide barriers for Li-S batteries
US20210336277A1 (en) Gas diffusion layer for metal-air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al-air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40004642A (ko) 연속적 흐름 경로를 갖는 그래핀계 전지 전극
KR20190012064A (ko) 금속 공기 전지용 기체 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금속 공기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366B1 (ko) 리튬공기 배터리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 배터리
JP6440806B1 (ja) リチウム−硫黄電池用隔膜及びリチウム−硫黄電池
EP3975322A1 (en) Porous carbon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ositive electrode material using same, and battery using same
JP2015191826A (ja) ガス拡散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7025636B2 (ja) 担持金属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51492A (ja) 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7139002B2 (ja) 金属空気電池用空気拡散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金属空気電池
Lin et al. Ionic liquid treated carbon nanotube sponge as high areal capacity cathode for lithium sulfur batteries
KR102601606B1 (ko) 금속-공기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와 탄소 나노 튜브 박막의 제조 방법
KR101614018B1 (ko) 실리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Zhou et al. Flexible and free-standing MnO x/reduced graphene oxide paper with excellent cycling stability for Li-ion battery a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