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45B1 - 액화수소 운송 차량 - Google Patents

액화수소 운송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45B1
KR102496145B1 KR1020210035147A KR20210035147A KR102496145B1 KR 102496145 B1 KR102496145 B1 KR 102496145B1 KR 1020210035147 A KR1020210035147 A KR 1020210035147A KR 20210035147 A KR20210035147 A KR 20210035147A KR 102496145 B1 KR102496145 B1 KR 10249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air
hydrogen
storage container
liquefied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365A (ko
Inventor
유인규
안경준
양원균
Original Assignee
크라이오에이치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이오에이치앤아이(주) filed Critical 크라이오에이치앤아이(주)
Priority to KR102021003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95Means for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tanks or equip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89Ortho-para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5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12Primary atmospheric gase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3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F17C2270/0171Tr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중 일부를 액화시켜 액화공기를 생성하는 액화공기 생성부; 및 상기 액화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액화공기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수소 운송 차량{LIQUEFIED HYDROGEN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연소 시 부산물로 물만이 발생하여 친환경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수소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가 가장 큰 물질이나 단위 부피당 밀도가 매우 낮아 이를 저장, 운송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압압축 또는 액화를 하여야 한다.
액화수소는 수소를 액체로 만든 것으로, 효율적인 저장 및 운송을 위해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가장 좋은 수소의 한 형태이다. 수소를 액화하기 위해서는 초저온 냉동기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냉동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에서 냉각하고, 이를 팽창하여 온도를 낮추고, 낮은 온도에서 흡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06330호는 수소저장부 및 열전도부를 포함하는 수소저장탱크와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장치는, 수소저장탱크를 구속하는 구속 트랩부를 더 포함하여, 운송중 수소저장탱크가 저장셀에서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장치는 기체 형태의 수소를 운반하는바, 액체 형태의 수소에 비해 그 부피가 매우 커, 운반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한편,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04608호는 단열부, 프레임 및 내벽, 외벽,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용 액화수소 저장탱크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선박용 액화수소 저장탱크는 내벽 및 외벽 사이에 단열부를 더 포함하고, 내부 공간에 별도의 단열 부재를 구성하여 운송중 증발가스의 발생 및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운송중 액화수소의 증발을 줄이기 위해 액화수소 저장탱크에 단열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완전히 자연기화(Boil-Off)를 방지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06330호 (2019. 7. 26. 등록)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04608호 (2020. 1. 1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열손실로 인한 액화수소의 증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액화수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화수소 운송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차량에 있어서,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중 일부를 액화시켜 액화공기를 생성하는 액화공기 생성부; 및 상기 액화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액화공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을 제공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손실로 인한 액화수소의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차량 바퀴의 회전 힘을 동력으로 활용하여 외부 공기로부터 액화공기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액화공기를 이용하여 액화수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액화수소 저장용기(110), 액화공기 생성부(120), 액화공기 저장부(130), 동력 생성부(140), 열교환기(150) 및 단열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오소-파라 변환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액화공기 생성부(120)는 정화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액화공기 저장부(130)는 액화공기 저장용기(131) 및 배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 구성 요소들(110 내지 160)은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차량으로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화수소가 운송하는 과정에서 자연기화(Boil-Off)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운송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로부터 액화공기의 생성을 병행할 수 있다.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생성된 액화공기를 활용하여 운송중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화수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보관하여 운송하는 과정에서,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10) 중 일부를 액화하여 액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공기 생성부(120)는 차량으로부터 유입된 공기(10) 중 일부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공기(10) 중 일부를 액화시켜 액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공기 생성부(120)는 정화 부재(121) 및 액화공기 생성기(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 부재(121)는 공기(10) 중 일부를 액화시키기 전 공기(10) 중 일부의 미세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 부재(121)는 액화공기 생성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1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물 및 금속 등의 액화공기 내의 가스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미세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액화공기 생성기(120a)는 냉동기 또는 줄-톰슨(Joule-Thomson) 효과가 있는 JT 밸브를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유입된 공기(10) 중 일부를 액화시켜 액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동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에서 냉각하고, 이를 팽창하여 온도를 낮추고, 낮은 온도에서 흡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액화공기 생성기(120a)는 팽창하는 수단으로 단열팽창 시 온도가 떨어지는 JT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공기 생성기(120a)는 정화 부재(121)를 거쳐 미세 물질이 제거된 공기(10)를 냉동기 또는 JT 밸브를 이용하여 압축한 후 빠르게 팽창시켜 온도를 떨어뜨리고, 온도가 떨어진 공기를 반복적으로 순환시켜 차량으로 유입되는 공기(10)의 온도를 더욱 떨어뜨려 액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액화공기 생성기(120a)는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10)를 액화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공기 저장부(130)는 액화공기를 저장하고,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공기 저장부(130)는 액화공기 생성부(120)로부터 생성된 액화공기를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화공기 저장부(130)는 액화공기 저장용기(131) 및 배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액화공기 저장용기(131)는 액화공기를 저장할 수 있고, 배관(132)은 액화공기 저장용기(131)와 연결되어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32)은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외면을 둘러 감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132)을 흐르는 액화공기가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공기는 액화수소의 예냉(precooling)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를 둘러 감싸고 있는 액화공기 저장부(130)의 배관(132)은 단열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관(132)을 흐르는 액화공기의 냉열에 의해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일정 수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생성부(140)는 차량의 바퀴의 기어변속을 통해 액화공기 생성부(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생성부(140)는 회전하는 차량의 바퀴의 힘, 즉, 차량의 잉여 에너지를 활용하여 액화공기 생성부(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생성부(140)는 차량 바퀴의 저속회전을 고속회전으로 변속하고, 이를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예로, 속도 60km/h, 바퀴 지름 100초인 차량이 60초에 차량의 바퀴가 600바퀴 회전하는 경우, 동력 생성부(140)는 600바퀴 회전을 60,000회전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동력 생성부(140)는 직선왕복으로 60,000rpm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차량의 바퀴의 힘을 동력으로 전환시켜 이를 액화공기를 생성하는데 활용하여 액화공기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주입구(110a)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액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주입구(110a)는 단열 주입기일 수 있다. 액화수소는 온도 20K 이상에서 쉽게 기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주입구(110a)에 단열 처리하여 액화수소의 자연 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오소-파라 변환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오소-파라 변환부(111)는 촉매를 통해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액화수소의 오소-파라(Ortho-Para) 수소 변환 시 발생하는 발열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는 300K에서 오소(Ortho):파라(Para)의 비율이 75:25로 존재하고, 20K에서는 오소:파라의 비율이 0.2:99.8로 존재한다. 이 때, 수소는 오소에서 파라로 변환시, 발열 반응이 생겨 액체상태의 수소를 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소-파라 변환부(111)는 발생되는 발열을 줄이기 위해 오소-파라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액화수소가 자연기화되지 않도록 액화수소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열교환기(150) 및 압축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51)는 열교환기(150)에 헬륨(He) 냉매를 공급하여 액화수소와 헬륨을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50)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액화수소가 자연 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방지 극저온 냉동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단열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부재(160)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로의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배관(132) 및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외면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 부재(160)는 배관(132) 및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외면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열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액화수소 운송 차량을 이용하여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외부로부터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10)를 1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정화 부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1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정화 부재(121)를 통해 미세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액화공기 생성부(120)로 유입되어, 공기 중 일부를 액화시켜 액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동력 생성부(140)는 차량 바퀴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액화공기 생성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액화공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액화공기를 액화공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액화공기 저장부(130)는 액화공기 저장용기(131) 및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 배관(132)을 포함할 수 있고, 배관(132)에 보관된 액화공기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보관된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액화수소 주입구(110a)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액화수소를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저장 및 보관하여 액화수소를 운송할 수 있다. 액화수소 저장용기(110)는 오소-파라 변환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오소-파라 변환부(111)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에 보관된 액화수소가 운송중 자연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소-파라 변환부(111)는 오소-파라 촉매를 이용하여 액화수소가 오소에서 파라로 변환시 발생되는 잠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액화수소 저장용기(110)의 일측에 열교환기(150)를 형성하여 액화수소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운송중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저장 및 보관하여 운송하는 과정에서 차량 바퀴의 회전힘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액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액화공기를 이용하여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운송 차량(100)은 오소-파라 촉매를 이용하여 운송중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방지할 수 있고, 열교환기로부터 액화수소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운송중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화수소 운송 차량
110: 액화수소 저장용기
120: 액화공기 생성부
130: 액화공기 저장부
140: 동력 생성부
150: 열교환기
160: 단열 부재

Claims (8)

  1.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주입된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
    차량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와 냉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중 일부를 액화시켜 액화공기를 생성하는 액화공기 생성부; 및
    상기 액화공기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액화공기를 저장하는 액화공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화공기 저장부는,
    상기 액화공기를 저장하는 액화공기 저장용기; 및
    상기 액화공기 저장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로의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액화공기 저장용기, 상기 배관 및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감싸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바퀴의 기어변속을 통해 상기 액화공기 생성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화수소가 자연기화(Boil-Off)되지 않도록 상기 액화수소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을 흐르는 액화공기가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화수소의 자연기화를 방지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공기 생성부는 상기 공기 중 일부를 액화시키기 전 상기 공기 중 일부의 미세 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촉매를 통해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화수소의 오소-파라(Ortho-Para) 수소 변환 시 발생하는 발열을 줄이는 오소-파라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화수소 운송 차량.
KR1020210035147A 2021-03-18 2021-03-18 액화수소 운송 차량 KR10249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47A KR102496145B1 (ko) 2021-03-18 2021-03-18 액화수소 운송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147A KR102496145B1 (ko) 2021-03-18 2021-03-18 액화수소 운송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65A KR20220130365A (ko) 2022-09-27
KR102496145B1 true KR102496145B1 (ko) 2023-02-07

Family

ID=8345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147A KR102496145B1 (ko) 2021-03-18 2021-03-18 액화수소 운송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482A (ja) * 2000-10-24 2004-04-22 リンデ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深冷媒体用貯蔵容器
JP2014119058A (ja) * 2012-12-18 2014-06-30 Kawasaki Heavy Ind Ltd 液化ガス用輸送容器、及び輻射シールドの冷却方法
KR102152466B1 (ko) * 2019-12-02 2020-09-04 한국기계연구원 수소변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액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30B1 (ko) 2018-04-02 2019-08-01 동해금속(주)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장치
KR102478353B1 (ko) 2018-07-04 2022-12-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액화수소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482A (ja) * 2000-10-24 2004-04-22 リンデ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深冷媒体用貯蔵容器
JP2014119058A (ja) * 2012-12-18 2014-06-30 Kawasaki Heavy Ind Ltd 液化ガス用輸送容器、及び輻射シールドの冷却方法
KR102152466B1 (ko) * 2019-12-02 2020-09-04 한국기계연구원 수소변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액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65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7976C (zh) 用脉冲管制冷的低温容器系统和向其提供制冷作用的方法
US6878353B2 (en) Hydrogen storage bed system including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KR102062484B1 (ko) 수소 재액화 시스템
US6833118B2 (en) Hydrogen storage bed system including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US20050217281A1 (en) Method for the reliquefaction of gas
WO2007130405A2 (en) Methods for hydrogen storage and refrigeration
US20020046567A1 (en) Device for storing gas under pressure
JPS5930887B2 (ja) 中間熱媒体式液化天然ガス冷熱発電システム
KR102496145B1 (ko) 액화수소 운송 차량
JP4698526B2 (ja) 冷凍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lng冷凍車両
JP4414924B2 (ja) 冷熱供給システム
KR101096056B1 (ko) 엔진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동기
KR102244318B1 (ko) 직냉식 액화시스템 및 액화방법
WO2017195657A1 (ja) 低温冷却システム
JP4747001B2 (ja) 冷熱供給システム
JP2004211969A (ja) Lng冷熱利用システム
CN213872223U (zh) 一种船用闪蒸天然气处理装置
JPS61140777A (ja) 液体h2及び気体天然ガスの製造方法
JP2020012629A (ja) 結氷防止気化装置
JP6300519B2 (ja) Co2冷媒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Starvi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subcooling of liquid hydrogen by helium gas injection through evacuation
KR20230108924A (ko) 초저온 냉동기를 이용한 액화수소 저장장치
JPH0616223Y2 (ja) 低温液体貯蔵容器
JP2005214237A (ja) 固相メタンを利用する天然ガスの貯蔵方法及び装置
JPH04316795A (ja) 天然ガスの貯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