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07B1 - 촛불 소화기 - Google Patents

촛불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07B1
KR102496007B1 KR1020210020316A KR20210020316A KR102496007B1 KR 102496007 B1 KR102496007 B1 KR 102496007B1 KR 1020210020316 A KR1020210020316 A KR 1020210020316A KR 20210020316 A KR20210020316 A KR 20210020316A KR 102496007 B1 KR102496007 B1 KR 10249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passage
unit
fire extinguisher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896A (ko
Inventor
곽도원
Original Assignee
곽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도원 filed Critical 곽도원
Priority to KR102021002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5/00Extinguishing-devices, e.g. for blowing-out or snuffing candle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촛불 소화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촛불을 소화시키기 위한 고압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분사력을 약화시켜 촛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촛불 소화기{CANDL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촛불 소화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촛불을 소화시키기 위한 고압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분사력을 약화시켜 촛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촛불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생일 행사 시 케?? 등에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촛불은 어두운 곳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촛불을 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일 케?恙? 사용되는 촛불은 생일 대상자가 입으로 바람을 불어 소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어두운 곳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는 촛불이나, 방향제용 캔들에 사용되는 촛불은, 생일 케?恙? 사용되는 촛불보다 대용량이므로 입으로 바람을 불어 소화시키거나 덮개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소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촛불을 소화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방향제용 캔들에 사용되는 촛불에 이러한 문제가 다수 발생된다. 먼저, 촛불이 연소되고 있는 과정에서 촛농 등이 촛대에 고이게 되는데, 입으로 불어 촛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강한 입김에 의해 촛농이 얼굴에 튀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으로 불어 촛불을 소화시키는 경우 남은 불씨로 인해 연기가 날리게 되며, 소화를 위해 입으로 강하게 불 경우, 산소가 순간적으로 공급되어 불씨가 더 심해지기도 한다.
또한, 소화를 시키기 위해 덮개를 덮는 경우, 덮개 내의 연기가 촛대를 담은 용기에 가득차서 용기 내에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계적인 소화기를 활용하는 경우, 해당 소화기에 촛농이 묻어버리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나무 촛대의 경우 재가 발생되는데, 입으로 불어 촛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재가 날려 호흡기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촛불을 소화시키기 위해 기존의 분사력이 강한 소화기를 사용한다면, 소화제가 촛불에 분사되는 과정에서 강한 분사력으로 인해 소화제가 낭비되거나, 입으로 불었을 때 발생하는 동일한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되었다. 즉, 기존의 소화기는 소화력을 강하게 하는 쪽으로만 개발이 이루어졌을 뿐, 그 반대로의 개념에 대한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기존 소화기는 크기가 거대하여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 소화기는 크기로 인해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분사력을 약화시킨 촛불을 소화시키기 위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5778호
본 발명은 촛불 소화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촛불을 소화시키기 위한 고압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분사력을 약화시켜 촛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일 지점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되, 고압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는 탱크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 지점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유로를 지니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는 상기 분사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를 거쳐 분사력이 약화되어 촛불을 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바디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상기 분사부는 일단이 상기 촛불을 감싸는 케이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상기 유로는 복수 개의 그루브 또는 조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는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의 분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이산화탄소의 분사력을 약화시켜 종래의 강한 분사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촛농이 튀거나 재가 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가 공급되어 불씨가 심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촛대를 담은 용기가 더러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되어 한손으로도 파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촛불 소화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 내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는 바디부(100), 탱크부(200), 분사부(300) 및 노즐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촛불 소화기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바디부(100)는 본체부(110), 탱크브라켓부(120), 연결브라켓부(130), 분사브라켓부(140) 및 스위치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나, 일 예에 따르면, 하부에 탱크브라켓부(12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에 연결브라켓부(13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브라켓부(120)는 본체부(110)와 탱크부(200)를 잇는 역할을 하며, 연결브라켓부(130)는 본체부(110)와 분사부(300)를 잇는 역할을 한다. 탱크브라켓부(120)와 연결브라켓부(130) 또한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연결브라켓부(130)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탱크부(200)는 탱크(210) 및 커버(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210)는 일 예로 고압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예에 따르면 촛불을 소화하기 위한 소화제로 대체될 수 있다.
커버(220)는 일 예로 탱크(2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커버(220)에 손을 감싸 촛불 소화기 전체를 파지할 때, 파지력이 향상되어 손으로부터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이산화탄소로 인한 저온의 탱크 온도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손에게 전달되지 않아 사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탱크부(200)의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어 소형화가 이루어지며, 종래와는 달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분사브라켓부(140)는 연결브라켓부(13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브라켓부(140)의 후방에는 연결브라켓부(130)가 결합되며, 분사브라켓부(140)의 전방에는 분사부(3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브라켓부(140)는 후술할 노즐부(400)를 수용하여 노즐부(400)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부(400)에 관한 구성 및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분사브라켓부(140)는 노즐부(400)를 수용함과 동시에 노즐부(400)의 분사부(300) 내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위치부(150)는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고압 이산화탄소의 분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예로 스위치부(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스위치부(150)의 작동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150)는 일 예로 on/off 구동 방식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일 예로 push 타입일 수 있다.
분사부(300)는 분사브라켓부(140)와 결합된다. 또한, 분사브라켓부(140)와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특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분사부(300) 내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분사부(300)는 분사부 본체(310)와 도 4와 같이 분사부 본체(31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부 형태의 유로(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탱크부(200)에서 토출된 고압 이산화탄소는 바디부(100)를 거쳐 분사부(300)의 유로(320)로 유입된 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사부(300)의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부(300) 및 노즐부(400)의 구성으로 인해, 고압 이산화탄소의 분사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노즐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노즐부(400)는 노즐부 본체(410), 노즐부 확장부(420), 노즐부 분사구(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노즐부(400)는 바디부(100)에 근접하도록 분사부(30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노즐부(400) 후방으로 고이는 기체를 최소화하여 소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노즐부(400)는 분사부(300)의 유로(320) 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부 본체(4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탱크부(200)에 저장된 고압 이산화탄소가 노즐부 본체(410) 내부의 미도시된 유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노즐부 확장부(420)는 실질적으로 노즐부(4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부(300)의 유로(320) 내에서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유로(32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내용은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사부(300) 내에 폭이 좁아지는 노즐부(400)가 결합된다. 따라서, 분사력이 약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즐부(40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부(300)가 결합되어 분사력이 약화되는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즐부(400)는 사용자가 최적의 노즐부(400)의 직경을 선택하여 교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작업 환경에 따라 맞춤식으로 분사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즐부 분사구(430)를 통해, 노즐부 본체(4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고압 이산화탄소(F)가 분사부(300)의 유로(320) 내벽으로 분사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유로(321)의 내벽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300)의 유로(320)는 제1 유로(321) 및 제2 유로(32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유로(321)의 폭은 제2 유로(322)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로(321)와 제2 유로(322)의 연결 지점에는 연결유로(323)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유로(323)는 단면이 제1 유로(321)에서 제2 유로(322)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단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부 분사구(430)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유로(321) 내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노즐부 분사구(430)에서 분사된 고압 이산화탄소(F)가 연결유로(323)의 내벽을 향하여 분사된다. 따라서, 내벽에 분사된 고압 이산화탄소(F)응 내벽에 부딪혀 반사되어 제2 유로(32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 이산화탄소(F)가 유로를 거쳐 곧바로 분사부(300)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 아닌 제1 유로(321)와 제2 유로(322)의 폭 크기의 차이로 인해 형성된 연결유로(323)의 내벽에 부딪혀 마찰이 발생되어 선결적으로 분사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분사부(300)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분사력을 약화하는 본 발명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종래의 강한 분사력으로 인해 촛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유로(321)와 제2 유로(32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중심선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연결유로(323)의 특정 부분에 고압 이산화탄소(F)가 집중적으로 분사되어 분사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2 유로(322)에 복수 개의 그루브(3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고압 이산화탄소(F)가 제2 유로(3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그루브(3221)가 제2 유로(322)에 형성된다면, 고압 이산화탄소(F)가 제2 유로(322)의 내벽에서 충돌하여 마찰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분사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분사부(300) 외부로 고압 이산화탄소(F)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내벽 표면이 거칠게 되면, 고압 이산화탄소(F)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파장 간 상쇄간섭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므로 분사부(300)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3221)는 조면(粗面)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미세한 골이 형성된 조면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장 간 상쇄간섭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므로 분사부(300)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부(300)는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소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사부(300)를 교체하여 결합할 수 있어 맞춤형 소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 예로 기 결합되어 있는 분사부(300)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형상의 분사부(300)로 교체하면, 분사력을 더욱 약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더 짧은 형상의 분사부(300)로 교체하면, 분사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맞춤형 대응으로 인해, 사용자의 소화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를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는 단부에 촛불 부근을 감싸는 케이지 형상의 연장분사부(31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분사부(300)에서 분사된 고압 이산화탄소(F)가 촛불 외의 다른 부분으로 튈 가능성이 있어 소화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분사된 고압 이산화탄소(F)가 연장분사부(310a)의 내벽에 맞닿아 외부로 퍼지지 않고 촛불을 향하게 되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소화 집중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도 6을 참조하면, 특히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는 방향제용 캔들에 용이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방향제용 캔들의 용기 전체에 덮개를 덮어 소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소화로 인해 발생된 연기로 용기 내벽 전체가 오염이 되었다. 또한, 기계적인 소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밀랍(W)의 촛농이 묻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촛불 부근만을 감싸는 케이지 형태로 제작되므로, 용기 전체를 감싸는 형상이 아니므로 연기가 용기 전체에 퍼지지 않으며, 촛농이 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지 사방의 불씨에 동시에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양한 형태의 분사부(3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최적의 촛불 소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브라켓부(130)와 노즐브라켓부(140) 사이에 노즐결합부(5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결합부(500)는 노즐부(4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노즐부(400)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노즐부(400)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촛불 소화기는 탱크부(200a)가 바디부(100a)의 후방에 결합되며, 스위치부(150a)가 바디부(100a)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촛불 소화기 전체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바디부,
200 : 탱크부,
300 : 분사부,
400 : 노즐부,
500 : 노즐결합부.

Claims (5)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일 지점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되, 고압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는 탱크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 지점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가 분사되는 유로를 지니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는 상기 분사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를 거쳐 분사력이 약화되어 촛불을 소화하고,
    상기 유로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의 폭보다 좁은 제2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잇되, 단면이 상기 제1 유로에서 상기 제2 유로를 향하여 경사지는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 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유로보다 폭이 좁은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는 상기 연결유로의 내벽을 향해 분사되고, 상기 내벽에 부딪혀 반사된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는 상기 제2 유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인
    촛불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바디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인
    촛불 소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일단이 상기 촛불을 감싸는 케이지 형상인 것인
    촛불 소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복수 개의 그루브 또는 조면이 형성되는 것인
    촛불 소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이산화탄소의 분사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촛불 소화기.
KR1020210020316A 2021-02-16 2021-02-16 촛불 소화기 KR10249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16A KR102496007B1 (ko) 2021-02-16 2021-02-16 촛불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16A KR102496007B1 (ko) 2021-02-16 2021-02-16 촛불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96A KR20220116896A (ko) 2022-08-23
KR102496007B1 true KR102496007B1 (ko) 2023-02-06

Family

ID=8309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316A KR102496007B1 (ko) 2021-02-16 2021-02-16 촛불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0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38B1 (ko) * 2013-07-08 2015-01-16 김장환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
US20160273769A1 (en) * 2013-10-15 2016-09-22 Candelo As Candle extinguisher
KR101951739B1 (ko) * 2018-09-06 2019-02-2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78A (ko)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마우스 콘트롤러가 내장된 텔레비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38B1 (ko) * 2013-07-08 2015-01-16 김장환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
US20160273769A1 (en) * 2013-10-15 2016-09-22 Candelo As Candle extinguisher
KR101951739B1 (ko) * 2018-09-06 2019-02-2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96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815B2 (en) Fire extinguisher and discharge nozzle assembly
KR102496007B1 (ko) 촛불 소화기
US20050211448A1 (en) Grease fire extinguisher
WO2007006987A1 (fr) Extincteur a brouillard de liquide et son utilisation
US20030129556A1 (en) Piezoelectric lighter for cigar, pipe, and cigarette
JP4440597B2 (ja) 噴霧消火装置及び液体消火剤の噴霧方法
CA2663061C (en) Liquid wet chemical fire extinguishing spray
JP2014039916A (ja) 噴霧器及び噴霧装置
US20160273769A1 (en) Candle extinguisher
US4154304A (en) Fire extinguisher nozzle
US6315550B1 (en) Barbecue lighter with gas safety system
JP2008114211A (ja) 流体噴出装置
US20090239180A1 (en) Aerosol candle snuffer using non-flammable gas
KR20190003146U (ko) 화재 진압용 권총형 스프레이건 소화기
US200500484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a candle flame
US20060073431A1 (en) Lighting means
CN217612614U (zh) 一种可喷发有色烟雾的手持式气溶胶灭火器
JP4060999B2 (ja) 消防用噴霧ノズル
CN219983785U (zh) 一种喷距可调的灭火器
KR102168394B1 (ko) 소화기용 약제 분사노즐
JP4866541B2 (ja) 蓄圧式泡消火器
KR200394676Y1 (ko) 파지형 소방용 관창
KR200248681Y1 (ko) 재떨이
JP2006314776A (ja) 消火具
KR200280759Y1 (ko) 에어졸식 간이 소화용구의 직사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