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05B1 -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05B1
KR102495905B1 KR1020200148412A KR20200148412A KR102495905B1 KR 102495905 B1 KR102495905 B1 KR 102495905B1 KR 1020200148412 A KR1020200148412 A KR 1020200148412A KR 20200148412 A KR20200148412 A KR 20200148412A KR 102495905 B1 KR102495905 B1 KR 10249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unit
temperature measurement
identification
id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796A (ko
Inventor
이영석
이효진
윤지혜
Original Assignee
이영석
이효진
윤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석, 이효진, 윤지혜 filed Critical 이영석
Priority to KR102020014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있어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는, 신원 식별부; 상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체온 및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신원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체온 측정 방식 및 신원 식별 방식이 동작 모드별로 다르게 정의되어 있음에 따라 어떤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 상기 신원 식별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체온 측정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되면 상기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상기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체온 측정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A portable identification and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therefor}
본 명세서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함과 동시에 해당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장치를 제안한다.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는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염병은 완벽한 검역이 불가능하여, 검역강화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세계적인 감염증 확산과 유행성 질병을 피하기 위하여 발열 감지를 통한 검역이 필요하다. 발열은 질환의 한 증상이나, 발열 감지는 일차적인 검역 방법으로서, 최대한 신속하게 감염 여부를 확인하여 추가 확산을 막는 최소한의 방어막이 될 수 있다. 초기 감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에 따르면, 약 83%의 환자들이 발열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발열 감지만으로도 사전 예방 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생활에서 쉽고 간편하게 체온을 측정하고, 측정 시 전염병의 전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체온계가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접촉을 최소화하여 체온을 잴 수 있는 비접촉식 체온계가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 특허 제10-1084498호
특히, 체온 측정의 기록이 필요한 현장에서는 체온 측정과 수기로 체온을 기록함에 따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간편하게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및 체온을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있어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는, 신원 식별부; 상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체온 및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신원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체온 측정 방식 및 신원 식별 방식이 동작 모드별로 다르게 정의되어 있음에 따라 어떤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 상기 신원 식별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체온 측정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되면 상기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상기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체온 측정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및 체온을 한 번에 인식 및 기록할 수 있어, 이를 위해 소모될 수 있는 인력 및 시간이 최소화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가 다양한 모드로 동작하므로,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원하는 체온 측정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동작 모드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3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3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부의 회전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부의 회전 동작을 기반으로 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 안내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휴대가 간편한 포터블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종래의 비접촉식 체온계 구조가 차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1) 및 손잡이부(100-2)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1)에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유닛/모듈이 수납될 수 있으며, 본체(100-1)에 수납되는 구성/유닛/모듈에 관한 설명은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본체(100-1)의 정면부에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 및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측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신원 식별부는 식별 수단을 인식함으로써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식별 수단은, 예를 들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QR(Quick Response) 코드, 신분증, 주민 등록증, 여권, 운전 면허증, 사원증 및 출입증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신원 식별부는 이러한 식별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구성/모듈/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바코드 리더기, RFID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QR 코드 인식 모듈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체온 측정부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온도를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함으로써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측정부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이마, 관자놀이, 손, 손목 등)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적외선 양을 온도로 산출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본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비접촉 체온 측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100-1)에는 신원 식별 및/또는 체온 측정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는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1)에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식별 및/또는 체온 측정을 트리거링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버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손잡이부(100-2)는 본체(100-1)의 하측에 구비되며, 기본적으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본체(100-1)의 정면이 체온 측정 대상자(보다 상세하게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식별 수단 및/또는 신체 일부)를 향하도록 손잡이부(100-2)를 홀딩한 상태에서 신원 식별 및/또는 체온 측정을 트리거링함으로써 손쉽게 신원 식별 및/또는 체온 측정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한 신원 식별 및/또는 체온 측정 방식은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휴대가 간편한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동작 모드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크게 3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200-1)는 분리 측정 모드, 제2 모드(200-2)는 동시 측정 모드, 제3 모드(200-3)는 재측정 모드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모드(200-1)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식별과 체온 측정 동작을 분리하여 수행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1 모드(200-1)로 동작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우선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한 후,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두 동작을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제1 모드(200-1)의 동작 방법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제2 모드(200-2)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식별과 체온 측정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2 모드(200-2)로 동작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에 놓인 식별 수단을 인식함과 동시에 해당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 또는 손목)의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두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제2 모드(200-2)의 동작 방법은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제3 모드(200-3)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재측정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2 모드(200-2)로 체온을 측정한 결과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동작 모드를 제3 모드(200-3)로 전환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재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제3 모드(200-3)의 동작 방법은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동작 모드 전환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제2 모드(200-2)에서 제3 모드(200-3)로의 전환은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1 모드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우선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여 체온 측정 대상자(420)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S301).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모드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420)가 제시한 식별 수단(410)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체온 측정 대상자(420)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의 체온 측정 대상자(420)의 신원 식별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예를 들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버튼부를 누름)할 수 있으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하여 식별 수단(410)을 인식할 수 있다.
식별이 완료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고,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420)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S302). 특히,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식별이 완료되면, 기설정된 시간(T1)으로 세팅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T1) 동안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420)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설정된 시간(T1) 내에 체온 측정 대상자(420)의 체온 측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예를 들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버튼부를 누름)할 수 있으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T1) 내에) 체온 측정이 완료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타이머를 멈추고 체온 측정부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303). 나아가,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측정한 체온과 식별한 신원을 상호 대응시켜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시간 및/또는 장소에 관한 부가 정보도 해당 정보와 대응시켜 메모리부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 2020/09/17 1:00 PM John Doe 37도
만일, 체온 측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타이머가 만료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제1 모드를 리셋하여 다시 S301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리셋 전 인식/측정된 데이터는 폐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2 모드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우선 신원 식별부 및 체온 측정부를 동시 활성화하여(S501) 신원 식별 및 체온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S502).
이렇듯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식별 수단(610)을 인식함과 동시에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식별 수단 식별 영역과 체온 측정 영역에 각각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식별 수단(610) 및 신체 일부(620)가 동시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이는, 체온 측정 대상자가 손으로 식별 수단(610)을 홀딩/제시하는 경우에 가장 쉽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2 모드에서 체온 측정 부위는 기본적으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손 또는 손목(620)인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모드를 통한 정확한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체온 측정 대상자에게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손 제스쳐(예를 들어, 손바닥 위에 식별 수단을 올려놓은 제스쳐)를 취하도록 사전에 가이드하거나, 측정/식별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출력하거나, 식별 수단(610) 식별 영역을 중심으로 체온 측정부를 회전 구동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의 다양한 손 제스쳐에 적응적으로 체온 측정 영역을 유동적으로 설정/조정하는 방법 등을 제안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즉, 제2 모드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이마/관자놀이의 온도를 체온으로 측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제1 모드와는 달리, 체온 측정 대상자의 손/손목(620)의 온도를 체온으로서 측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신체 구조상 손/손목(620)이 이마/관자놀이보다는 항상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며, 실제 사람의 체온은 가장 많은 혈관이 지나가는 이마/관자놀이의 온도와 더 가깝다. 따라서, 체온 측정 부위로서 손/손목(620)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 경우, 이를 실제 체온과 근접하게 보정하기 위한 보상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제2 모드로 측정한 체온에 대해서는 실제 체온과 근접하도록 보정하기 위한 보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보상 기술(예를 들어, 종래 등록 특허 10-2160589)이 이용/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측정한 체온과 식별한 신원을 상호 대응시켜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S503). 이때 저장되는 체온은,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보상 방식에 따라 보상된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시간 및/또는 장소에 관한 부가 정보도 해당 정보와 대응시켜 메모리부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3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3 모드 동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제3 모드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측정된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모드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제3 모드는 제2 모드로부터만 전환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드는 손/손목(810)의 온도 측정을 전제로 하므로, 이마/관자놀이(830)를 측정 부위로 전제하는 제1 모드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측정을 위한 제3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부가하여, 손/손목(810) 측정에 따른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보완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3 모드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우선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되, 체온 측정부는 활성화하여 제2 모드에서 식별된 체온 측정 대상자(820)의 체온을 재측정할 수 있다. 이때, 재측정 부위는, 정확도를 위해 제2 모드에서 측정한 부위(810)와 다른 부위(830), 예를 들어 이마 또는 관자놀이가 될 수 있다.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제3 모드 전환 시 기설정된 시간(T2)로 세팅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T2) 동안 체온 측정부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820)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설정된 시간(T2) 내에 체온 측정 대상자(820)의 체온 측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예를 들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버튼부를 누름)할 수 있으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체온 측정 부위는 이마 또는 관자놀이(830)로 전제되기 때문에, 제2 모드에서의 온도 보상 동작 등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그대로 체온 측정 대상의 체온으로서 인식 및 기록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신원 식별부 및 체온 측정부는 제2 모드 수행을 위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 상에서 상호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측정부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의 정면 상에서 상측, 신원 식별부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정면상에서 체온 측정부의 하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체온 측정부와 신원 식별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상하 관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듯 체온 측정부를 상측, 신원 식별부를 하측에 배치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체온 측정 대상자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손목(940)을 향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체온 측정 대상자가 식별 수단을 손에 올려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장에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손목(940)이 상측, 식별 수단(930)은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의 정면 상에서 체온 측정부는 상측, 신원 식별부 체온 측정부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체온 측정부와 신원 식별부는, 각 측정/인식 영역(920, 910)이 상호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온 측정부의 체온 측정 영역(920)이, 신원 식별부의 식별 수단 인식 영역(910)과 상호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 체온 측정부와 신원 식별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서로 인식/측정 대상(940, 930)이 상이하고, 두 영역(920, 910)이 겹쳐지도록 설정되는 경우 인식/측정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나아가,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식별 수단 인식 영역(910)과 체온 측정 영역(920)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영역들(910, 920)의 경계선(950, 960)을 지시/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출력부는 크게 체온 측정 영역(920)을 지시/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960)를 출력하는 제1 레이저 출력부와, 식별 수단 인식 영역(910)을 지시/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950)를 출력하는 제2 레이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레이저 출력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 수단 인식 영역(910)과 체온 측정 영역(920)을 인식한 상태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우선 제2 레이저 출력부만을 활성화하여 식별 수단 인식 영역(910)을 가이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영역에 식별 수단(930)이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신원 식별이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신원 식별이 완료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제2 레이저 출력부를 비활성화하되 제1 레이저 출력부를 활성화하여 체온 측정 영역(920)을 가이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영역에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940)가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체온 측정이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모드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제1 및 제2 레이저 출력부를 모두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제3 모드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제1 레이저 출력부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게 된다.
이렇듯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체온 측정 영역(920) 및 식별 수단 인식 영역(910)을 확인 가능하도록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레이저 출력부 외에도 다양한 출력 수단(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출력부 등)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측정 시 사용자와 체온 측정 대상자가 마주보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진행 경로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진행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체온 측정 대상자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만일 이때에도, 앞서 상술한 신원 식별부와 체온 식별부의 상하 위치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특히, 체온 식별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온 측정 영역(920)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940)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정확한 체온 측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체온 측정부를 회전/이동시킴으로써 체온 측정 영역(920)을 유동적으로 조정하거나, 체온 측정부를 고정하는 대신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100)에 의해 동시 인식/측정이 가능한 식별 수단의 위치와 신체 일부의 위치를 체온 측정 대상자에게 사전 안내하는 실시예에 대해 제안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부의 회전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와 체온 측정 대상자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체온 측정 영역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온 측정부는 회전 구동되기 위한 회전 모터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온 측정부는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온 측정 영역이 식별 수단 인식 영역과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식별 수단 인식 영역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회전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회전 모터부는 체온 측정부의 후단에 설치/연결되어 체온 측정부를 기설정된 회전 반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체온 측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경우에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체온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체온 측정부가 회전 반경을 따라 온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회전 반경을 따라 측정한 온도 중 가장 높게 측정된 온도를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일, 측정한 체온이 정상 체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모드로 전환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재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별 수단의 위치를 기반으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 위치를 간접적으로 인식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실시예에 대해 제안한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부의 회전 동작을 기반으로 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측정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인 손목(940)은, 식별 수단(930)을 손바닥 상에 올려놓는다고 가정했을 때, 식별 수단(930)의 수직 중심선(1210-2) 또는 수평 중심선(1210-1) 상에 위치할 확률이 가장 높다. 여기서, 수직 중심선(1210-2)은 정방향으로 놓인 식별 수단(930)의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하며, 수평 중심선(1210-1)은 정방향으로 놓인 식별 수단(930)의 중심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하며, 수직 중심선(1210-2)과 수평 중심선(1210-1)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여기서 정방향은 식별 수단(930)에 표기되어 있는 문자(예를 들어, 이름, 숫자, 주민번호 등)의 인식이 가능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식별 수단(930)의 위치를 중심으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손목(940) 위치 지점을 예상하고, 해당 지점으로 체온 측정부를 회전시켜 체온을 측정하는 실시예에 대해 제안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한 경우, 인식한 식별 수단의 수평 중심선(1210-1)을 인식하고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수평 중심선(1210-1)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또는 수직 중심선(1210-2)과 만나는 위치)(920-1, 920-2)로 체온 측정 영역을 회전시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수평 중심선(1210-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위치(또는 수직 중심선(1210-2)과 만나는 위치) (920-1, 920-2)는 총 2개이므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2개의 위치(920-1, 920-2)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측정한 2개의 온도 중 더 높게 측정된 온도를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식별 수단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전제로 한 것으로, 도 13과 같이 신분증을 올려놓는 경우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수평 중심선(1210-1)과 만나는(또는 수직 중심선(1210-2)과 직각을 이루는) 2개의 위치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실시예에 대해 이하에서 제안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식별 수단(930)의 수평 중심선(1210-1)과 만나는 위치(또는 수직 중심선(1210-2)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920-3, 920-4)로 체온 측정 영역을 회전시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총 2개의 위치(920-3, 920-4)에 대해 온도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2개의 온도 중 더 높게 측정된 온도를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온 측정 영역과 무관하게 우선 식별 수단 인식 영역에 식별 수단을 위치시키기만 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가 식별 수단의 수직/수평 중심선을 인식하여 손목 위치 예상 지점으로 체온 측정부를 자동으로 회전 구동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도 12 및 13의 실시예는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두 실시예가 조합되어 적용되는 경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총 4개의 영역(920-1 내지 920-4)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4개의 온도 중 가장 높게 측정된 온도를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 안내문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체온 측정 방법은 특정한 손 제스쳐에 대해 보다 정확한 체온 측정이 가능하므로,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내문을 개시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들로 하여금 신원 식별 및 체온 측정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손 제스쳐 및 식별 수단의 방향 등이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도면은 도 12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안내문을 예시한다.
나아가, 본 안내문이 필수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체온 측정 영역이 신원 식별 영역의 수평 중심선 및/또는 수직 중심선과 만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온 측정부의 위치는 고정되며, 회전 모터부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수평 중심선 및 수직 중심선에 만나는 영역 모두에 위치하도록 체온 측정부가 구비되는 경우, 체온 측정부는 각 위치에 하나씩 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모터부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조 단가가 낮아지며, 내부 시스템 복잡도가 줄어든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제어부(1510), 신원 식별부(1520), 체온 측정부(1530), 통신부(1540), 입/출력부(1550) 및 메모리부(1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들을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는 제어부(1510)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어부(1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신원 식별부(1520)는 식별 수단을 인식함으로써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 수단은, 예를 들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정보가 포함된(또는 인식 가능한) 바코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QR(Quick Response) 코드, 신분증, 주민 등록증, 여권, 운전 면허증, 사원증 및 출입증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신원 식별부(1520)는 이러한 식별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구성/모듈/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바코드 리더기, RFID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QR 코드 인식 모듈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신원 식별부(1520)는 식별 수단을 인식/식별한 결과를 제어부(1510)로 전달할 수 있다.
체온 측정부(1530)는 다양한 비접촉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체온 측정부(1530)는 적어도 하나의 체온 측정 수단을 구비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에 대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측정부(1530)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양을 온도로 산출하는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체온 측정부(1530)는 다양한 비접촉 방식으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체온 측정 결과를 제어부(15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체온 측정부(1530)에 구비된 회전 모터부(미도시)는 제어부(15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5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154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540)는 메모리부(156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정보(특히, 신원 및 체온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부(15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55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유닛으로 구분(즉, 입력부와 출력부가 별도의 유닛으로 구분)되어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부(1550)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푸쉬 입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550)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센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센싱하기 위해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50)는, 사용자의 신원 식별 및 체온 측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입력, 모드 선택/전환 입력 등을 수신/센싱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5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부(1560)는,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부(1560)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 식별 정보, 체온 측정 정보 및/또는 측정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체온 측정 대상자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식별된 신원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체온 측정 대상자들의 정보에 대해서는 메모리부(1560)가 리스트업하여 관리/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60)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블록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는 전워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부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손잡이부 내부에 내장되는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00-1: 본체
100-2: 손잡이부

Claims (19)

  1.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있어서,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체온 측정부;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는, 신원 식별부;
    상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체온 및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신원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체온 측정 방식 및 신원 식별 방식이 동작 모드별로 다르게 정의되어 있음에 따라 어떤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 상기 신원 식별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모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체온 측정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되면 상기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상기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체온 측정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모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를 모두 동시에 활성화하여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부는,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양을 온도로 산출하여 상기 체온을 측정하는 적외선 온도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일부는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손목, 이마 및 관자 놀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바코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QR(Quick Response) 코드, 신분증, 주민 등록증, 여권, 운전 면허증, 사원증 및 출입증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 식별부는,
    바코드 리더기, RFID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QR 코드 인식 모듈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측정된 체온을 기설정된 온도 보상 방식에 따라 보상하고, 보상 결과 값을 상기 측정된 체온으로서 상기 식별된 신원과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 측정 결과, 상기 측정된 체온이 정상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3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체온 측정부만 활성화하여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재측정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부 및 상기 신원 식별부는,
    상기 체온 측정부에 의해 상기 체온이 측정되는 영역이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상기 식별 수단이 인식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설치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를 출력하는 제1 레이저 출력부;
    상기 식별 수단 인식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이저를 출력하는 제2 레이저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부는,
    상기 체온 측정 영역이, 상기 식별 수단 인식 영역을 회전 축으로 상기 체온 측정 영역이 상기 식별 수단 인식 영역과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되기 위한 회전 모터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상기 체온 측정부의 회전 반경을 따라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회전 반경을 따라 측정한 온도 중 가장 높게 측정된 온도를 상기 체온으로 인식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수단의 수평 중심선을 인식하고,
    상기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평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체온 측정 영역을 회전시켜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한 온도 중 더 높게 측정된 온도를 상기 체온으로 인식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신원 식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수단의 수평 중심선을 인식하고,
    상기 회전 모터부를 구동하여 상기 수평 중심선과 만나는 위치로 상기 체온 측정 영역을 회전시켜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한 온도 중 더 높게 측정된 온도를 상기 체온으로 인식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부는,
    상기 측정 영역이 상기 신원 식별 영역의 수평 중심선 또는 수직 중심선과 만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에 설치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원 및 체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원 및 체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
  19.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이 가능한 체온 측정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서 제1 모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신원 식별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신원 식별부가 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의 신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이 완료되면 상기 신원 식별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식별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휴대용 체온 측정 장치의 체온 측정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체온 측정부가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체온 측정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서 제2 모드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원 식별부 및 상기 체온 측정부를 모두 동시에 활성화하여, 상기 신원 식별부가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체온 측정부가 상기 체온 측정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체온과 상기 식별된 신원을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KR1020200148412A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49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12A KR102495905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12A KR102495905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96A KR20220062796A (ko) 2022-05-17
KR102495905B1 true KR102495905B1 (ko) 2023-02-06

Family

ID=8180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412A KR102495905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1813A1 (en) * 2005-04-29 2010-04-15 Tecnimed S.R.L.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particularly of a pati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652B1 (ko) * 2018-05-25 2020-06-30 인충교 적외선 귀 체온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1813A1 (en) * 2005-04-29 2010-04-15 Tecnimed S.R.L.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particularly of a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96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0679T3 (es)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robot de desplazamiento automático
CN100584548C (zh) 具有示教便携式单元和用于检测何时tpu离开机器人工作间的检测单元的工业机器人系统
JP5766723B2 (ja) バイオメトリック・センサ取付部の並置領域上に配置された個人の身体部位の向き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1052498A (zh) 工业机器人系统
JP4898760B2 (ja) 移動台車
US10871781B2 (en) Method for drawing map having feature of object applied thereto and robot implementing the same
JP2020527266A (ja) 自律ロボットシステム
JP4411248B2 (ja) 移動監視ロボット
JP6647524B2 (ja) エリアセンサ及び外部記憶装置
KR102495905B1 (ko) 휴대용 신원 식별 및 비접촉식 체온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727220B1 (ko) 환자 테이블의 비접촉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2017083251A5 (ko)
CN101617937A (zh) 一种穴位探测装置
US20180285543A1 (en) Robot system having biometric authentication function
JP7310297B2 (ja) 作業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45160B2 (ja) 移動ロボット
JP6475055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1256B2 (ja) 車両の電動ドア開閉制御装置
CN206780405U (zh) 自主移动系统、自主移动设备以及虚拟墙组件
JP2008123014A (ja) 接触防止システム
JP5608592B2 (ja) 自律移動装置及び自律移動制御方法
JP6782918B2 (ja) プリズムカバーシステム及びプリズムカバーシステムを用いた計測方法
JP6849743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45161A (ja) 情報コード読取システム、情報コード読取装置、及び情報コード形成媒体
KR20220011464A (ko)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