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601B1 -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601B1
KR102494601B1 KR1020210119509A KR20210119509A KR102494601B1 KR 102494601 B1 KR102494601 B1 KR 102494601B1 KR 1020210119509 A KR1020210119509 A KR 1020210119509A KR 20210119509 A KR20210119509 A KR 20210119509A KR 102494601 B1 KR102494601 B1 KR 10249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nitary
management
user
manag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688A (ko
Inventor
이정아
현돈
Original Assignee
이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아 filed Critical 이정아
Publication of KR2022008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for determining co-enzymes or co-factors, e.g. NAD, A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물품이나 장소 또는 공간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미생물 등의 잔존여부에 따른 위생정보를 검출하여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수치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이나 공공 이용장소의 화장실이나 부엌, 또는 한정된 공간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장소, 또는 한정된 물품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물품 등의 청결도를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한 장소나 공간, 또는 물품을 효율적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ygien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물품이나 장소 또는 공간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미생물 등의 잔존여부에 따른 위생정보를 검출하여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수치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이나 공공 이용장소의 화장실이나 부엌, 또는 한정된 공간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장소, 또는 한정된 물품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물품 등의 청결도를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한 장소나 공간, 또는 물품을 효율적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 또는 공공 이용장소의 화장실이나 부엌, 또는 한정된 공간을 여러 사용자들에게 대여하여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숙박업소, 파티방, 비디오방 또는 노래방 등의 대여 장소나 공간, 또는 장난감이나 장비 등의 대여 물품 등은 청결하게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공기 청정기 등을 구비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개선하거나 청소를 통해 청결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설치되는 공기 청정기는 그 기능상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데에만 사용 가능하며, 세균에 의한 공간 또는 물품 등의 위생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가 세균 등에 의한 공간 또는 장비 등의 위생정보를 수치로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KR 10-0792035 B1 2007.12.28 등록 KR 10-2017-0077696 A 2017.07.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일반 가정이나 공공 이용장소의 화장실이나 부엌, 또는 물품이나 장소 또는 공간에 대한 박테리아, 바이러스, 미생물 등의 잔존여부에 따른 위생정보를 검출하여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수치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티방/비디오방/노래방 등과 같이 한정된 공간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장소 또는 공간, 또는 장난감이나 장비 등과 같이 한정된 물품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물품 등의 청결도를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한 장소나 공간, 또는 물품을 효율적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의 측정대상 및 장소에 따른 변환 매뉴얼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처리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는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 및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기 위한 상기 변환 매뉴얼,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 및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위생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은,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센서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생정보 조회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관리대상, 각 관리대상별 기준치 및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문자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컬러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산출된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위치정보 또는 공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환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업종 또는 업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부에 의해,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이 수신되는 단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에 의해,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의 측정대상 및 장소에 따른 변환 매뉴얼에 따라, 수신된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처리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되는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 및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생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은,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센서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생정보 조회요청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대상, 각 관리대상별 기준치 및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문자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컬러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산출된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위치정보 또는 공간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되는 단계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환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업종 또는 업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에 의하면,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일반 가정이나 공공 이용장소의 화장실이나 부엌, 또는 물품이나 장소 또는 공간에 대해, 예를 들면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바이러스, 미생물, 박테리아 등의 잔존 여부에 따른 위생정보를 측정하여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수치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파티방/비디오방/노래방 등과 같이 한정된 공간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장소 또는 공간, 또는 장난감이나 장비 등과 같이 한정된 물품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대여 물품 등의 청결도를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청결한 장소나 공간, 또는 물품을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위치정보와, 공간정보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를 지도에 맵핑하도록 하여 측정공간에서의 위치정보, 공간정보 및 위생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의 시설이용 뿐만 아니라, 위생관리자의 위생관리에도 도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의 위생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의 위생정보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서비스 제공 화면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욕실에 대한 공간 위생정보 환산 예시 및 적정수치의 기준 매뉴얼에 의한 점수 환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처리과정을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1)은 위생정보 측정장치(100), 위생정보 관리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과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1)은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물품이나 장소 또는 공간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장소나 공간, 또는 물품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여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고, 네트워크(400)를 통해 이를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각각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검사된 오염정도 환산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오염정도 환산값을 처리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사용자 단말기(300)들에게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를 표시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전송된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환산된 점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퍼스널 컴퓨터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및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위생정보 서비스 앱이 탑재되며, 위생정보 서비스 앱을 통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부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400)는 복수 개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과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40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들과 사용자 단말기(300)들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400)는 유무선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 뿐 아니라,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근거리, 원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의 위생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메모리(120), 입/출력부(130), 프로그램 저장부(140), 제어부(150), 센서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위치정보 산출부(170) 및 공간정보 산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특정 물품이나 장소에서의, 바이러스, 미생물, 박테리아 등의 잔존 여부에 따른 위생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여, 이 오염정도 환산값을 네트워크(400)를 통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TP 분석기, 광분석기, 전기분석기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 등의 데이터를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위치정보 산출부(170) 또는 공간정보 산출부(18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 또는 공간정보 등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입/출력부(13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와 송수신한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부(13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40)는 센서부(160)에서 위생정보를 검출하는 작업, 검출된 위생정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는 작업,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입/출력부(130) 상에 위생정보,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 등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작업,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5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위생정보를 측정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표시 제어부(150)를 제어하여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입/출력부(130) 상에 위생정보,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서부(160)는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ATP 분석기일 경우, 센서부(160)는 ATP 센서일 수 있다. 상세히, ATP 센서는 모든 생물체들이 가지고 있고 모든 생명체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센서의 ATP 측정 원리는, 생물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인 ATP 발광반응인 루시페린 반응의 정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많고 적음을 RLU(Relative Light Unit) 단위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때, 미생물의 총량과 세균의 양은 비례하기 때문에, RLU 값에 따라 세균의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LU 값이 오염정도 환산값일 수 있다.
한편, ATP 센서에 있어서, 기기의 종류에 따라 ATP만을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ATP와 AMP(Adenosine Monophosphate)를 측정하거나, 또는 ATP, AMP, ADP(Adenosine Diphosphate)를 측정하여 측정값의 조합으로 오염정도 환산값이 산출될 수도 있다.
상세히, ATP는 생명체의 물질대사에 포함된 에너지원이고, ADP와 AMP는 가열, 발효와 같은 가공공정에서 ATP로부터 생성되는 물질이다. 그런데, ADP와 AMP는 ATP 반응식에서 빛을 발생하지 못하기 때문에, ATP만을 측정하면 오염도 측정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효소를 사용하여 분해된 ADP와 AMP를 ATP로 재합성하여 오염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한 특정 물품이나 장소 또는 위치의 표면, 즉, 일반 가정이나 공공 이용장소의 화장실이나 부엌, 또는 파티방/비디오방/노래방 등과 같은 대여 공간, 또는 장난감이나 장비 등과 같은 대여 물품의 표면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바이러스, 미생물, 박테리아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생물 잔존 여부에 따른 위생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위생정보 측정 장소 또는 물품으로는, 예를 들면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욕실 공간의 양변기 및 시트, 세면대 또는 수전, 샤워기, 욕조, 출입구 손잡이, 또는 주방 공간의 칼, 도마, 행주, 조리용기, 작업자의 손 등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키보드, 장난감, 마이크, 리모컨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기기종류에 따라 환산되는 오염정도 환산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기기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오염정도 환산값을 기준 매뉴얼을 통해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환산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종류에 따라 ATP 만을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ATP와 AMP를 측정하거나, 또는 ATP, AMP, ADP를 측정하여 측정값의 조합으로 오염정도 환산값이 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기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오염정도 환산값을, 기준 매뉴얼을 통해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환산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위치정보 산출부(17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위치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정보 산출부(170)는 RTK GPS 모듈을 이용하며,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좌표 및 위도 좌표를 근거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도출될 수 있다.
공간정보 산출부(18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즉, 위생정보를 측정한 장소)의 공간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공간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공간정보는, 해당 공간의 업종 및 업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위생정보를 산출한 공간이 일반 가정과 같은 개인 공간인지, 또는 공공 이용장소인지, 또는 파티방/비디오방/노래방 등과 같은 대여 장소인지와 같은, 해당 공간의 업종 및 업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정보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즉 해당 공간이 화장실인지, 부엌인지, 거실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정보는, 위치정보 산출부(17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해서 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위치정보 산출부(170)에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위도와 경도)가 산출되면, 공간정보 산출부(180)는 이 위치정보를 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장소(주택, 상점, 숙박시설 등)의 공간정보(예를 들어, 업종 및 업태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공간정보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갖더라도 높이 정보가 다른 경우, 예를 들어 동일한 위도와 경도를 갖는 한 건물 내에서 층이 다른 경우에는 높이 정보를 상기 업종 및 업태정보와 연동시켜 산출될 수 있다. 또는, 공간정보는 사용자가 입/출력부(130)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위생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가 직접 공간정보(예를 들어, 업종 및 업태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공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대상의 주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때, 주소정보는 관리대상이 높이정보(또는 층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위치정보 산출부(170)에 의해 동일한 GPS 신호가 수신된다 할지라도, 해당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 의해 관리되는 관리대상을 층별로 구분하여 위생정보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공간정보는 위생정보가 측정되는 기관 정보(예를 들어, 병원, 보건소 등) 또는 위생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위생정보가 측정되는 기관의 특성에 따라 위생의 관리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생정보가 측정되는 기관이 병원이나 보건소와 같은 의료 기관일 경우, 위생정보가 보다 철저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 경우,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송신하는 공간정보 내에 기관 정보를 포함시키고,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수신한 기관 정보를 반영하여 오염정도 환산값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위생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위생의 관리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관에서 일하는 의사나 간호사, 또는 대형 구내 식당에서 일하는 영양사 등의 경우, 위생정보가 보다 철저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 경우,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송신하는 공간정보 내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키고,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오염정도 환산값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수신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사용자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 대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미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의 위생정보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프로그램 저장부(230), 제어부(240), 데이터베이스(250),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각각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검사된 오염정도 환산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오염정도 환산값을 처리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사용자 단말기(300)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전송된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환산된 점수일 수 있다.
또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생정보 조회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위생정보 서비스 앱을 운용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전송한 오염정도 환산값을 수신하여 변환 매뉴얼을 통해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환산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210)는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와 사용자 단말기들(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2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240)가 실행하는 모든 과정을 지시하는 명령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및 공간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등 위생정보 관리의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프로그램 저장부(2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내의 각 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오염정도 환산값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매뉴얼이 저장된 매뉴얼 데이터베이스와, 각각의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 및 변환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저장된 측정장소 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26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측정대상 및 장소(즉, 위치정보 및/또는 공간정보)에 따라, 오염정도 환산값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매뉴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간정보에 포함된 측정 장소가 욕실일 경우, 양변기 및 시트는 300 RLU 이하, 세면대 또는 수전은 300 RLU 이하, 샤워기는 200 RLU 이하, 욕조는 200 RLU 이하, 출입구 손잡이는 200 RLU 이하 등으로 욕실 내의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적정수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위생정보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관리대상, 관리내용, 관리기간, 각각의 기준치, 또는 해당 공간에 대한 위생정보 환산점수일 수 있다. 또한 각 물품의 RLU 값을 더한 후 해당 물품의 개수로 나눈 평균치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리내용 정보로는 예를 들면 대상기기/기구에 대한 최고 RLU 수치값, 살균 효과 지속기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기간 정보로는 예를 들면, 월별 관리 횟수, 점검 개월 별 무작위 샘플 횟수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간정보에 포함된 측정 장소가 주방일 경우, 칼은 200 RLU 이하, 도마는 300 RLU 이하, 행주는 300 RLU 이하, 조리용기는 150 RLU 이하, 작업자의 손은 1000 RLU 이하 등으로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적정수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위생정보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관리대상, 각 관리대상별 기준치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문자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컬러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기(3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환산점수가 적합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적합'을 알리는 문자와 컬러(파란색)로, 주의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주의'를 알리는 문자와 컬러(주황색)로, 부적합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부적합'을 알리는 문자와 컬러(빨강색)로 함께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제공하면서, 이와 함께 해당 위치의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위치의 위생 패턴 또는 특별히 더 주의해야 하는 사물/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가 위생정보 조회를 요청한 장소가 숙박업소일 경우, 해당 위치에서는 특별히 침구류와 손잡이를 더 주의해야 한다는 등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처리과정을 예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위생정보 조회요청 수신 및 그에 따른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제공하기 위한 위생정보 서비스 앱을 사전 배포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탑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위치정보 산출부(17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S101 단계). 상세히, 위치정보 산출부(17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위치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정보 산출부(170)는 RTK GPS 모듈을 이용하며,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좌표 및 위도 좌표를 근거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도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공간정보 산출부(18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공간정보를 산출한다(S103 단계). 상세히, 공간정보 산출부(18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즉, 위생정보를 측정한 장소)의 공간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공간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공간정보는, 해당 공간의 업종 및 업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위생정보를 산출한 공간이 일반 가정과 같은 개인 공간인지, 또는 공공 이용장소인지, 또는 파티방/비디오방/노래방 등과 같은 대여 장소인지와 같은, 해당 공간의 업종 및 업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정보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상세정보, 즉 해당 공간이 화장실인지, 부엌인지, 거실인지 등에 대한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기 입력된 높이정보(예를 들면, 한 건물의 층별 정보)를 포함하고, 높이정보를 해당 공간의 업종 및 업태정보와 연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센서부(160)는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고(S105 단계), 검출된 위생정보 값을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한다(S107단계).
여기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가 ATP 분석기일 경우, 센서부(160)는 ATP 센서일 수 있다. 상세히, ATP 센서는 모든 생물체들이 가지고 있고 모든 생명체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센서의 ATP 측정 원리는, 생물의 기초대사 에너지원인 ATP 발광반응인 루시페린 반응의 정도를 측정하여, 미생물의 많고 적음을 RLU(Relative Light Unit) 단위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때, 미생물의 총량과 세균의 양은 비례하기 때문에, RLU 값에 따라 세균의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LU 값이 오염정도 환산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는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한 특정 물품이나 장소 또는 위치의 표면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바이러스, 미생물, 박테리아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생물 잔존 여부에 따른 위생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산출된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가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전송되고(S109 단계),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를 수신한다(S111 단계).
다음으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수신한 오염정도 환산값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한다(S113 단계). 상세히,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26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오염정도 환산값, 위치정보, 공간정보를 반영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환산된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는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측정대상 및 장소에 따라, 오염정도 환산값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매뉴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간정보에 포함된 측정 장소가 욕실일 경우, 양변기 및 시트는 300 RLU 이하, 세면대 또는 수전은 300 RLU 이하, 샤워기는 200 RLU 이하, 욕조는 200 RLU 이하, 출입구 손잡이는 200 RLU 이하 등으로 욕실 내의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적정수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 매뉴얼에 따라 오염정도 환산값이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된다. 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간정보에 포함된 측정 장소가 주방일 경우, 칼은 200 RLU 이하, 도마는 300 RLU 이하, 행주는 300 RLU 이하, 조리용기는 150 RLU 이하, 작업자의 손은 1000 RLU 이하 등으로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적정수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칼날에 대한 기준 매뉴얼을 참고하면, 200 RLU 이하는 적합치, 201-300 RLU는 주의치, 400 RLU 이상은 부적합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칼날에서 201-300 RLU 범위의 값이 측정되었다면 '주의'로 판정될 것이고, 오염정도 환산값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텍스트와 함께, 미리 지정된 주황색 컬러로 함께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위생정보 조회요청이 전송되면(S115 단계),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해당 위치의 오염정도 환산값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조회하고(S117 단계), 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S119 단계), 사용자 단말기(300) 상에 위생정보가 표시된다(S121 단계).
상세히,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욕실의 경우 관리대상, 관리내용, 관리기간, 적합-주의-부적합 판정을 위한 각각의 기준치, 또는 해당 공간에 대한 위생정보 환산점수로서 각 물품의 RLU 값을 더한 후 해당 물품의 개수로 나눈 평균치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주방의 경우 관리대상, 각 대상별 적합(pass), 주의(caution), 부적합(fail) 판정을 위한 각각의 기준치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는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위생정보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로 위생정보 조회요청이 전송되지 않더라도,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선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위생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300)가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 알람 신청을 해 놓으면, 별도의 위생정보 조회요청이 없더라도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위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해당 위치의 현재(또는 최근)의 위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면, 해당 위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보낼 수 있다. 또는 위생정보 관리장치(200)가 해당 위치의 현재(또는 최근)의 위생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면, 과거의 데이터 또는 주변 데이터로부터 현재의 위생정보를 유추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보낼 수도 있다.
한편,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는 수신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위치정보와, 장소 또는 공간에 대한 업종 및 업태정보와, 오염정도 환산값(ATP 분석기의 경우 RLU 환산값)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대분류에 해당하는 정보는 수신된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중분류에 해당하는 정보는 장소 또는 공간에 대한 업종 및 업태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소분류에 해당하는 정보는 오염정도 환산값(ATP 분석기의 경우 RLU 환산값)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위생정보 관리장치(200)에서 수신된 정보를 위치정보인 대분류와 업종 및 업태정보인 중분류로 분류하여 관리함으로써, 다층 건물에 유용한 위생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결한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물품이나 장소 또는 공간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바이러스, 미생물, 박테리아 등의 잔존 여부에 따른 위생정보를 측정하여 모바일이나 웹을 통해 수치로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일반 가정의 욕실이나 주방, 또는 한정된 공간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파티방/비디오방/노래방, 한정된 물품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장난감이나 장비 등의 물품에 대한 청결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로 하여금 청결한 장소나 공간, 또는 물품을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전송된 위치정보, 공간정보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를 지도에 맵핑(mapping)해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정보와 공간정보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가 맵핑된 위생정보 지도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공간의 위생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위생정보 관리장치(200)는 위생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전송된 위치정보, 공간정보 및 관리대상별 위생정보를 지도에 맵핑(mapping)함으로써, 측정공간에서의 위치정보, 공간정보 및 위생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용자의 시설이용 뿐만 아니라, 위생관리자의 위생관리에도 도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위생정보 관리 시스템
100: 위생정보 측정장치
200: 위생정보 관리장치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의 측정대상 및 장소에 따른 변환 매뉴얼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처리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는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공간정보를 산출하는 공간정보 산출부; 및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기 위한 상기 변환 매뉴얼,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 및 상기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은,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센서부에 의해 산출되며,
    상기 공간정보는 해당 공간의 위치, 업종 및 업태 정보, 위생정보가 측정되는 기관 정보 및 위생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는 상기 해당 공간의 위치, 업종 및 업태 정보, 상기 기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되,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학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사용자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의 상기 공간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관리대상 정보, 관리내용 정보 및 관리기간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관리내용 정보는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최고 RLU 수치값 및 살균 효과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기간 정보는 월별 관리 횟수 및 점검 개월 별 무작위 샘플 횟수를 포함하고,
    위생정보 조회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관리대상, 각 관리대상별 기준치,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 상기 관리내용 정보 및 상기 관리기간 정보가, 문자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컬러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정보 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통신부에 의해, 위생정보 측정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이 수신되는 단계;
    공간정보 산출부에 의해,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공간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에 의해,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의 측정대상 및 장소에 따른 변환 매뉴얼에 따라, 수신된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처리하여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오염정도 환산값,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산출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 상기 공간정보, 관리대상 정보, 관리내용 정보 및 관리기간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생정보 조회요청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대상, 각 관리대상별 기준치 및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가, 문자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컬러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은, 특정 물품이나 장소의 위생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오염정도 환산값으로 환산하는 상기 위생정보 측정장치의 센서부에 의해 산출되며,
    상기 공간정보는 해당 공간의 위치, 업종 및 업태 정보, 위생정보가 측정되는 기관 정보 및 위생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공간의 위치, 업종 및 업태 정보, 상기 기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오염정도 환산값을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되,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학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사용자가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의 상기 공간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관리대상별 위생정보 환산점수로 변환하고,
    상기 관리내용 정보는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최고 RLU 수치값 및 살균 효과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기간 정보는 월별 관리 횟수 및 점검 개월 별 무작위 샘플 횟수를 포함하는 위생정보 관리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10119509A 2020-12-07 2021-09-08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KR102494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9246 2020-12-07
KR1020200169246 2020-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688A KR20220080688A (ko) 2022-06-14
KR102494601B1 true KR102494601B1 (ko) 2023-02-06

Family

ID=8198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509A KR102494601B1 (ko) 2020-12-07 2021-09-08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6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35B1 (ko) 2007-03-20 2008-01-0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 단말을 이용한 세균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134107A (ko) * 2015-05-14 2016-1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77696A (ko)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67179B1 (ko) * 2019-01-08 2021-06-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 부유균 및 먼지 측정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688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0119B1 (en) A hygiene nudging system
Park et al. Does hotel cleanliness correlate with surfaces guests contact?
US11615694B2 (en) Clean surface sensor indicator and system
Iwarsson A long-term perspective on person–environment fit and ADL dependence among older Swedish adults
US201601711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spread of pathogens at a site
US111139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environmental fall risk identification
WO2014027031A2 (en) A hygiene enhancing method and system
KR102008855B1 (ko) 실내외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제어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Greiman et al. Hous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wheeled mobility device users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do people live in homes that facilitate community participation?
Schrooyen et al. Real time location system over WiFi in a healthcare environment
JP201221611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5380331A (zh) 卫生行为监测和修改平台
KR102494601B1 (ko)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Yeung et al. Psychometric testing of a person-centred care scale the Eden Warmth Survey in a long-term care home in New Zealand
Kaminsky Cultured construction: global evidence of the impact of national values on sanitation infrastructure choice
CN102411768A (zh) 教室信息查询系统
US201902518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hand hygiene compliance
KR101803199B1 (ko) 실내상태 측정데이터를 활용한 숙박시설 역경매 시스템 및 방법
Wilkinson et al. Housing for people with disability: evidence review of post-occupancy evaluation instruments
CN113646813B (zh) 奖励式卫生系统
Wu et al. Verification of calculation method using Monte Carlo method for water supply demands of office building
US11871322B2 (en) Installation of hygiene equipment
KR20200071639A (ko) 에너지 사용 패턴 기반의 사람수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428841B1 (ja) 曝露リスク評価システム
JP7372495B1 (ja) 感染対策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