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400B1 -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 Google Patents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400B1
KR102494400B1 KR1020210166315A KR20210166315A KR102494400B1 KR 102494400 B1 KR102494400 B1 KR 102494400B1 KR 1020210166315 A KR1020210166315 A KR 1020210166315A KR 20210166315 A KR20210166315 A KR 20210166315A KR 102494400 B1 KR102494400 B1 KR 10249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roller
frame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전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호 filed Critical 전성호
Priority to KR102021016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계패의 전환이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양하면서도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 하도록 구현한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에 관한 것으로, 제1 수직 지지대; 제2 수직 지지대; 제1 연결 프레임; 제2 연결 프레임; 레일 프레임; 이동 프레임; 권취롤; 차양막; 자동 개폐 모터; 및 가변 벽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Sky awning with easy automatic/manual conversion}
본 발명은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계패의 전환이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양하면서도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 하도록 구현한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이나 음식점에는 실외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하는 어닝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이 개시된 바 있다.
기존의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은 기둥을 이루는 지주프레임과, 각 지주프레임 사이에 연장되어 전방과 후방 위치에 이격배치된 횡프레임과, 각 횡프레임 사이에 연장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프레임이 어닝의 골조를 형성하였다.
또한, 각 레일프레임에는 전방과 후방을 연하여 다수 개의 이동프레임이 이격배치되고 각 이동프레임 사이에는 차양막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단에는 레일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프레임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차양막을 개폐시키는 롤러장치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롤러장치는 양측의 동일축선상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프레임 내부의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차양막에 강풍이 불어 상기 차양막을 고정시키는 이동프레임을 통해 상기 롤러장치에 상향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의 롤러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레일프레임 내부면과 마찰되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311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계패의 전환이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양하면서도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 하도록 구현한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수직 지지대;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연결 프레임;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2 수직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연결 프레임;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직각되도록 결합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직각되도록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정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레일 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의 레일 프레임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다수 개의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과 연결된 슬라이더를 전동부재를 매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는 권취롤;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한 쌍의 레일 프레임 사이를 개폐되는 차양막; 상기 권취롤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동 개폐 모터; 및 개방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을 개폐하는 가변 벽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자신의 저면과 상기 차양막의 상면 사이로 빗물 및 바람의 침투를 방지하는 빗물방지 블레이드가 전체 길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벽체부는,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벽체 플레이트;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단으로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일단을 각각 체결하면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 마다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을 따라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일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 바닥면을 따라 상기 승강 실린더의 각 하측까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유도 레일; 및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타단을 각각 체결하면서 대향하는 상기 유도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벽체 플레이트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도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 개의 완충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유도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유도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거치 롤러; 상기 유도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레일의 타측까지 이동된 상기 거리 롤러를 상기 거리 롤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와이어를 권취시켜 상기 유도 레일의 일측까지 다시 이동시켜 주는 롤러 복귀 모터; 하단이 상기 거치 롤러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가 상기 유도 레일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벽체 플레이트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거치 롤러를 상기 유도 레일의 타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거나, 상기 롤러 복귀 모터에 의해 상기 거치 롤러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벽체 플레이트를 상기 유도 레일의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완충 하우징;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타단을 체결하고, 수평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 하우징과 상기 벽체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걸쇠; 및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걸쇠의 하부를 하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 하우징과 상기 벽체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중간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걸쇠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완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경유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경유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1 경유 롤러 및 상기 제2 경유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큐브 형상의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큐브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 벽체; 상기 상부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벽체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벽체; 및 상기 벽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벽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벽체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 삽입된 뒤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벽체는,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완충 벨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 벨트를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 방향으로 경유시켜 주기 위한 벨트 경유 롤러가 관통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벽체는, 상기 벨트 경유 롤러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벽체의 관통홀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롤러 배치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계패의 전환이 가능하고, 설치공간에 맞춰 크기 및 형상을 쉽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눈, 비 및 바람의 침투를 차단하여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차양막 상측에 쌓인 적설량이 많아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가변 벽체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완충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벽체 플레이트와 제1 수직 지지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중간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수직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10)은,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 다수 개의 제2 수직 지지대(150), 제1 연결 프레임(200), 제2 연결 프레임(250), 다수 개의 레일 프레임(300), 권취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다수 개의 이동 프레임(350), 차양막(400), 자동 개폐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수동 개폐 레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가변 벽체부(500)를 포함한다.
제1 수직 지지대(100)는, 제2 수직 지지대(150)와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립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상측에 제1 연결 프레임(200)이 설치된다.
제2 수직 지지대(150)는, 제1 수직 지지대(100)와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립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상측에 제2 연결 프레임(250)이 설치된다.
제1 연결 프레임(200)은,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레일 프레임(30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연결 프레임(250)은,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2 수직 지지대(150)의 상측에 설치되어 레일 프레임(300)의 타측을 지지한다.
레일 프레임(300)은,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측이 제1 연결 프레임(200)의 상측에 제1 연결 프레임(200)과 직각되도록 결합 설치되고, 타측이 제2 연결 프레임(250)의 상측에 제2 연결 프레임(250)과 직각되도록 결합 설치되어 제1 연결 프레임(200)과 제2 연결 프레임(250)의 상측을 따라 정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최외곽 레일 프레임(300)의 내측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레일 프레임(300)은, 1열 레일프레임 2개를 ㄷ_ 자형, -자형 및 ㅁ_자형 보강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중 어느 한 형태의 보강재를 매개로 용접, 리벳 및 볼트 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하되, 보강재의 폭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레일 프레임(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일 프레임(300)은, 자신의 저면과 차양막(400)의 상면 사이로 빗물 및 바람의 침투를 방지하는 빗물방지 블레이드(300a)가 전체 길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350)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레일 프레임(300) 사이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의 레일 프레임(300)에 의해 양단부(즉, 전단 및 후단)가 지지되어 레일 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차양막(400)을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프레임(350)은, 벨트, 체인 등의 전동수단에 의해 권취롤(미도시)과 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에 의해 레일 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레일 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권취롤은, 자동 개폐 모터 또는 수동 개폐 레버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이동 프레임(350)과 연결된 슬라이더(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전동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350)을 이동시켜 준다.
차양막(400)은, 이동 프레임(350)에 결합되어 이동 프레임(35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한 쌍의 레일 프레임(300) 사이를 개폐된다.
자동 개폐 모터는, 스텝모터 등의 구동 장치로 이루어지며, 체인 등의 구동력 전달 장치를 이용하여 권취롤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수동 개폐 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체인 등의 구동력 전달 장치를 이용하여 권취롤로 제공한다.
가변 벽체부(500)는, 개방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을 개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 벽체부(500)는, 벽체 플레이트(510),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520), 다수 개의 유도 레일(530) 및 다수 개의 완충 슬라이더(540)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 플레이트(510)는,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승강 실린더(520)에 설치되고, 타단이 완충 슬라이더(540)에 체결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을 개폐시켜 주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 차단시켜 준다.
승강 실린더(52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단으로 벽체 플레이트(510)의 일단을 각각 체결하면서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 마다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을 따라 벽체 플레이트(510)의 일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즉, 승강 실린더(520)의 상하 높이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플레이트(510)가 경사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을 개폐시켜 주거나, 승강 실린더(520)의 길이가 가장 길에 신장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 차단시켜 줄 수 있다.
유도 레일(530)은, 완충 슬라이더(540)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따라 승강 실린더(520)의 각 하측까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완충 슬라이더(540)는, 벽체 플레이트(510)의 타단을 각각 체결하면서 대향하는 유도 레일(5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강 실린더(520)에 의해 벽체 플레이트(510)가 움직임에 따라 유도 레일(5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변 벽체부(500)는,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520)의 상측에 설치되며, 벽체 플레이트(510)의 일단이 설치되어 승강 실린더(520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벽체 플레이트(510)의 일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승강 프레임(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프레임(550)은, 각 제1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이동홈(10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수직 이동홈(10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수직 지지대(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551)를 수직 이동홈(101)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제1 수직 지지대(100)의 개수 만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1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계패의 전환이 가능하고, 설치공간에 맞춰 크기 및 형상을 쉽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눈, 비 및 바람의 침투를 차단하여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차양막 상측에 쌓인 적설량이 많아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완충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 슬라이더(540)는, 거치 롤러(541), 롤러 복귀 모터(542), 완충 하우징(543), 플레이트 걸쇠(544) 및 중간 완충부(545)를 포함한다.
거치 롤러(541)는, 유도 레일(530)에 안착되어 유도 레일(53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며, 완충 하우징(543)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롤러 복귀 모터(542)는, 유도 레일(5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도 레일(530)의 타측까지 이동된 거리 롤러를 거리 롤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와이어(L)를 권취시켜 유도 레일(530)의 일측까지 다시 이동시켜 준다.
완충 하우징(543)은, 하단이 거치 롤러(5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플레이트 걸쇠(544)의 하부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가 유도 레일(53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벽체 플레이트(51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거치 롤러(541)를 유도 레일(530)의 타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거나, 롤러 복귀 모터(542)에 의해 거치 롤러(541)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벽체 플레이트(510)를 유도 레일(530)의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준다.
플레이트 걸쇠(544)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벽체 플레이트(510)의 타단을 체결하고, 수평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완충 하우징(543)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서 중간 완충부(545)에 의해 지 배치되어 완충 하우징(543)과 벽체 플레이트(510) 사이를 연결한다.
중간 완충부(545)는, 완충 하우징(543)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완충 하우징(54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걸쇠(544)의 하부를 하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완충 하우징(543)과 벽체 플레이트(51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슬라이더(540)는, 벽체 플레이트(510)가 바닥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벽체 플레이트(51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벽체 플레이트(51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잡소리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중간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완충부(800)는, 제1 수평 지지대(810), 제2 수평 지지대(820), 제1 수직 지지대(830), 제2 수직 지지대(840) 및 완충 모듈(850)을 포함한다.
제1 수평 지지대(810)는, 제2 수평 지지대(8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이 지지되어 완충 하우징(543)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820)는, 제1 수평 지지대(8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평 지지대(810)와 대향하면서 완충 하우징(54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걸쇠(544)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에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가 직립되어 설치된다.
제1 수직 지지대(830)는,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수직 지지대(840)와 대향하면서 제1 수평 지지대(81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82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810)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완충 하우징(543)과 벽체 플레이트(51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수직 지지대(840)는,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수직 지지대(830)와 대향하면서 제1 수평 지지대(810)의 타측과 제2 수평 지지대(820)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810)의 타측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완충 하우징(543)과 벽체 플레이트(51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완충 모듈(850)은,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어 완충 하우징(543)과 벽체 플레이트(51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모듈(850)은, 제1 지지 프레임(8501), 제2 지지 프레임(8502), 제3 지지 프레임(8503), 제4 지지 프레임(8504),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 제4 지지 롤러(8508), 제1 경유 롤러(8509), 제2 경유 롤러(8510) 및 완충 벨트(85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8501)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8501a, 8501b)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1 지지 롤러(8505)와 제2 경유 롤러(8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8502)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 프레임(850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2 지지 롤러(8506)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지지 프레임(8503)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 프레임(8502)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3 지지 롤러(8507)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4 지지 프레임(8504)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3 지지 프레임(850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4 지지 롤러(8508)와 제1 경유 롤러(8509)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지지 롤러(8505)는, 제1 지지 프레임(8501)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8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2 지지 롤러(8506)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2 지지 롤러(8506)는, 제2 지지 프레임(8502)에 연결 설치되되, 제2 수직 지지대(840)보다 제1 수직 지지대(83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3 지지 롤러(8507)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3 지지 롤러(8507)는, 제3 지지 프레임(8503)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8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4 지지 롤러(8508)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4 지지 롤러(8508)는, 제4 지지 프레임(8504)에 연결 설치되되, 제2 수직 지지대(840)보다 제1 수직 지지대(83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1 경유 롤러(8509)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1 경유 롤러(8509)는, 제4 지지 프레임(8504)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8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2 경유 롤러(8510)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2 경유 롤러(8510)는, 제1 지지 프레임(8501)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지지 롤러(8505)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경유 롤러(8509)를 경유하고 전달되는 완충 벨트(8511)를 제2 수직 지지대(840)로 전달한다.
완충 벨트(8511)는, 일단이 제1 지지 프레임(8501)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 제4 지지 롤러(8508), 제1 경유 롤러(8509) 및 제2 경유 롤러(8510)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차례로 경유한 뒤 제2 지지 프레임(8502)에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 벨트(8511)는, 제1 지지 프레임(8501)과 제2 지지 프레임(8502)의 길이가 수축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제1 지지 프레임(8501)과 제2 지지 프레임(8502) 방향으로 각각 잡아 당겨지는 동시에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와 제4 지지 롤러(8508)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 구조(즉, 큐브 슬라이딩 홈(8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8501d) 등)를 통해 제1 수평 지지대(8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8501)은, 큐브 형상의 제1 지지 롤러(8505)의 전단 및 후단(8505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8501a, 8501b)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8501c)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큐브 슬라이딩 홈(8501c)에는, 제1 지지 롤러(8505)의 전단 및 후단(8505a)을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8501d)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큐브 슬라이딩 홈(8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8501d)은,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 및 제4 지지 롤러(8508)의 각 전단 및 후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8502), 제3 지지 프레임(8503) 및 제4 지지 프레임(8504)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조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완충부(800)는,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와 제4 지지 롤러(8508)를 경유하고 안착되는 완충 벨트(8511)에 형성되는 장력을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와 제4 지지 롤러(8508)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 구조(즉, 큐브 슬라이딩 홈(8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8501d) 등)를 통해 감쇄시켜 줌으로써, 제1 수평 지지대(8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수직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직 지지대(830)는, 상부 벽체(831), 하부 벽체(832) 및 벽체 지지 스프링(8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수직 지지대(840)는, 후술하는 제1 수직 지지대(830)와 대칭 구조로서 제1 수직 지지대(830)의 상부 벽체(831), 하부 벽체(832) 및 벽체 지지 스프링(8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벽체(831)는, 제1 수평 지지대(810)의 일측을 지지하며, 벽체 안착홈(832a)으로 삽입되어 벽체 지지 스프링(833)에 의해 지지되며, 하측에 완충 벨트(8511)의 일단이 체결된다.
하부 벽체(832)는, 상부 벽체(831)와 대향하면서 제2 수평 지지대(8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벽체(831)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832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벨트(8511)는, 일단이 제2 수직 지지대(840)와 대향하는 하부 벽체(832)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벽체 안착홈(832a)으로 삽입된 뒤 벽체 안착홈(832a)에 안착되어 있는 상부 벽체(831)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벽체(832)는, 제2 수직 지지대(840)와 대향하는 타측면에 완충 벨트(851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832b)을 형성하고, 완충 벨트(8511)를 상부 벽체(831)의 하측 방향으로 경유시켜 주기 위한 벨트 경유 롤러(832c)가 관통홀(832b)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벽체(831)는, 벨트 경유 롤러(832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벽체(832)의 관통홀(832b)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롤러 배치홈(831a)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벽체 지지 스프링(833)은, 벽체 안착홈(832a)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벽체(831)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상부 벽체(83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100: 제1 수직 지지대
150: 제2 수직 지지대
200: 제1 연결 프레임
250: 제2 연결 프레임
300: 레일 프레임
350: 이동 프레임
400: 차양막
500: 가변 벽체부

Claims (9)

  1.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수직 지지대;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연결 프레임;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2 수직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연결 프레임;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직각되도록 결합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직각되도록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정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레일 프레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레일 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의 레일 프레임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다수 개의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과 연결된 슬라이더를 전동부재를 매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는 권취롤;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한 쌍의 레일 프레임 사이를 개폐되는 차양막;
    상기 권취롤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동 개폐 모터;
    사용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권취롤로 제공하는 수동 개폐 레버; 및
    개방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을 개폐하는 가변 벽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벽체부는,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벽체 플레이트;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단으로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일단을 각각 체결하면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 마다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다수 개의 제1 수직 지지대의 일측을 따라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일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다수 개의 승강 실린더;
    바닥면을 따라 상기 승강 실린더의 각 하측까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유도 레일; 및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타단을 각각 체결하면서 대향하는 상기 유도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벽체 플레이트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도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수 개의 완충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유도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유도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거치 롤러;
    상기 유도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레일의 타측까지 이동된 상기 거치 롤러를 상기 거치 롤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와이어를 권취시켜 상기 유도 레일의 일측까지 다시 이동시켜 주는 롤러 복귀 모터;
    하단이 상기 거치 롤러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가 상기 유도 레일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벽체 플레이트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거치 롤러를 상기 유도 레일의 타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거나, 상기 롤러 복귀 모터에 의해 상기 거치 롤러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벽체 플레이트를 상기 유도 레일의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완충 하우징;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타단을 체결하고, 수평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 하우징과 상기 벽체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걸쇠; 및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걸쇠의 하부를 하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 하우징과 상기 벽체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중간 완충부;를 포함하며,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완충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걸쇠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완충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경유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경유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1 경유 롤러 및 상기 제2 경유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 벨트;를 포함하는,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큐브 형상의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이 일측에 설치되는,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 벽체;
    상기 상부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벽체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벽체; 및
    상기 벽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벽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KR1020210166315A 2021-11-28 2021-11-28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KR10249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315A KR102494400B1 (ko) 2021-11-28 2021-11-28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315A KR102494400B1 (ko) 2021-11-28 2021-11-28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400B1 true KR102494400B1 (ko) 2023-01-31

Family

ID=8510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315A KR102494400B1 (ko) 2021-11-28 2021-11-28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053A (ja) * 2002-10-10 2004-04-30 Kazunobu Shibata 日除け装置及び汎用取付け装置
KR101653114B1 (ko) 2015-10-22 2016-08-31 정금필 스카이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카이 어닝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053A (ja) * 2002-10-10 2004-04-30 Kazunobu Shibata 日除け装置及び汎用取付け装置
KR101653114B1 (ko) 2015-10-22 2016-08-31 정금필 스카이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카이 어닝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2239C (zh) 用于固定拉绳长度的方法和装置
US5111866A (en) Movable shade system
US8113259B2 (en) Side shade for an awning
KR102494400B1 (ko) 자동/수동 변환이 용이한 스카이 어닝
CN113646502A (zh) 带张力轨道的可伸缩筛网
US11891810B2 (en) Awning apparatus
US8459325B2 (en) Operating system for arch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CN109113554B (zh) 一种百叶帘翻转装置以及百叶窗
CN214145315U (zh) 一种便于清洁的百叶窗
JP2596594Y2 (ja) ブラインド開閉装置
US20130099185A1 (en) Louver shade assembly
EP1270865A2 (en) Sunblind
KR102240561B1 (ko)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US2574423A (en) Awning construction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CN216787436U (zh) 一种可单侧调节的膜结构
CN114016683B (zh) 一种开合式挡棚
US1371524A (en) Porch-curtain
CN217735355U (zh) 一种多功能窗帘
KR200340806Y1 (ko) 셔터조립체
CN218234954U (zh) 基于索缆联动翻转的堆叠翻转百叶结构
US20070157594A1 (en) Outreach screen
CN117698855B (zh) 一种下翻式悬臂自锁扩展车厢
KR200323752Y1 (ko) 차양장치
FR2474576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agre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