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86B1 -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86B1
KR102493786B1 KR1020220101191A KR20220101191A KR102493786B1 KR 102493786 B1 KR102493786 B1 KR 102493786B1 KR 1020220101191 A KR1020220101191 A KR 1020220101191A KR 20220101191 A KR20220101191 A KR 20220101191A KR 102493786 B1 KR102493786 B1 KR 10249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food
storage
amount
inven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넘버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to KR102022010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에 있어서,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소진되거나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에 대한 레스토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스토랑의 식자재 소진에 대비하는 레시피별 판매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별 판매량에 대응하는 레시피별 식자재의 소진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소진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재고량을 자동을 산출하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 ORDERING AND INVENTORY OF CUSTOMIZED FOOD MATERIALS}
아래 실시예들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맞춤형 레시피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수요량 및 재고량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맞춤형 식자재를 자동으로 비대면으로 주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레스토랑에서는 레스토랑의 판매되는 음식의 수요량을 예상과 재고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특정 식자재가 남아서 버려지거나 또는 부족해 재주문이 필요하여 시간과 배송비 등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레스토랑에서는 식자재 공급처의 재고상황, 소비자의 취향 등의 외부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여 식자재를 주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8224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4676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6633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34643호
실시예들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맞춤형 레시피에 대응하는 식자재의 사용량 및 재고량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맞춤형 식자재를 자동으로 비대면으로 주문할 수 있는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에 있어서,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소진되거나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에 대한 레스토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스토랑의 식자재 소진에 대비하는 레시피별 판매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별 판매량에 대응하는 레시피별 식자재의 소진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소진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재고량을 자동을 산출하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반복 학습되어 생성된 맞춤레시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춤레시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레시피정보에 매칭되는 식자재의 재고를 파악하여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과 맞춤레시피정보를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 중 상기 맞춤레시피정보의 식자재와 매칭된 식자재가 있는 경우, 매칭된 잔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매칭된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 경우,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 매칭되지 않는 나머지 부족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매칭된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맞춤레시피정보에 대응하는 전체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제1 식자재와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 및 상기 제2 식자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서 반출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 또는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합산한 상기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식자재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식자재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2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상기 레스토랑의 재고량이 상기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상기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재고중인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확인하는 단계; 현재 시점과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비교하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까지 남아있는 잔여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고 난 이후, 식자재가 식자재 냉장고에 잔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식자재가 아직 잔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다시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보다 짧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2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고 난 이후, 식자재가 상기 식자재 냉장고에 잔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자재가 아직 잔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다시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에 대한 폐기안내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상기 식자재 저장고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서화하는 단계는,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상기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 상기 참조 블록과 상기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을 제1 PDF 파일 및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DF 파일 및 상기 제2 PDF 파일의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상기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상기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비자 취향의 맞춤형 레시피의 수요량을 예측하여 레시피에 대응되는 식자재를 자동으로 주문하여 식자재의 재고관리가 효과적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식자재의 사용량 및 재고량을 파악하여 버려지는 식자재를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배송비를 줄임으로써 레스토랑 운영을 위한 원가를 절감하며 사용되는 식자재의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스토랑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통 기한의 잔여 기간에 따른 식자재 처리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시예에 따른 식자재 저장고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DWG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과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20), 제3 사용자 단말(130) 등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서버(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서버(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200)와 연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식자재의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을 요청하는 레스토랑 단말기로써, 서버(200)로 각각의 레스토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레스토랑정보에는 식자재의 사용량, 식자재의 재고량, 레시피의 판매량, 레시피별 식자재 종류 및 용량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맞춤레시피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맞춤레시피정보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반복 학습되어, 시기별, 계절별, 성별, 연령대별, 시간별 등의 특정 요건에 따라 소비자의 성향에 대응하는 대표적인 맞춤형 레시피, 맞춤형 레시피에 사용되는 식자재정보와 레시피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맞춤레시피정보는 저작물로 판정되면 저작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작자 정보로 등록될 수 있다.
서버(200)는 서버(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서버(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200)는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을 구비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을 통해 레스토랑정보 및 맞춤레시피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복수의 저작자 단말(미도시) 중 로그인된 제1 저작자 계정, 제2 저작자 계정 및 제3 저작자 계정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20) 및 제3 사용자 단말(13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서버(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101 단계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레스토랑에 대한 레스토랑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레스토랑정보에는 식자재의 사용량, 식자재의 재고량, 레시피의 판매량, 레시피별 식자재 종류 및 용량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102 단계에서, 서버(200)는 레스토랑의 레시피별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S103 단계에서, 레시피별 판매량에 따라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서버(200)는 레시피별 식자재의 소진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서버(200)는 재고량에 대비하여 소진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소진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여 식자재의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일 매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레시피 중 쌀국수의 판매율이 높은 경우, 쌀국수의 식자재인 양지, 닭 등의 고기, 육수, 고수, 쌀국수면 또는 소스의 소진량을 산출하고, 전체 재고량에서 소진량 대비 레시피별 식자재의 소진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레스토랑에 대한 레스토랑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레스토랑정보에는 식자재의 사용량, 식자재의 재고량, 레시피의 판매량, 레시피별 식자재 종류 및 용량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202 단계에서, 서버(200)는 맞춤레시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레시피정보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반복 학습되어, 시기별, 계절별, 성별, 연령대별, 시간별 등의 특정 요건에 따라 소비자의 성향에 대응하는 대표적인 맞춤형 레시피, 맞춤형 레시피에 사용되는 식자재정보와 레시피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S203 단계에서, 서버(200)는 맞춤레시피정보에 매칭되는 식자재의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스토랑정보에 포함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의 파악하여 맞춤레시피정보를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서버(200)는 S203 단계에서 맞춤레시피정보의 식자재와 매칭된 잔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 중 맞춤레시피정보의 식자재와 매칭된 식자재가 있는 경우, 매칭된 잔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서버(200)는 S204 단계에서 매칭된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 경우, 나머지 부족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매칭된 식자재를 제외한 부족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206 단계에서, 서버(200)는 S204 단계에서 매칭된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맞춤레시피정보에 대응하는 전체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스토랑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서버(200)는 레스토랑에 배치되는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 각각의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레스토랑에 식자재가 입고될 때, 식자재 저장고의 입구에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입고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식자재 저장고에 제1 식자재와 제2 식자재가 입고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식자재 및 제2 식자재는 종류가 상이한 식자재로, 예를 들어, 제1 식자재는 채소종류의 식자재고, 제2 식자재는 과일종류의 식자재로, 식자재의 종류에 따라 제1 식자재 및 제2 식자재가 구분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서버(200)는 레시피조리를 위해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된 식자재가 반출되면, 식자재 반출에 따라 변경되는 식자재들 각각의 재고량을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제1 식자재가 식자재 저장고에서 외부로 반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제2 식자재가 식자재 저장고에서 외부로 반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자재 저장고에 제1 식자재가 10개 입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10개로 산정될 수 있다. 이후, 제1 식자재가 외부로 2개가 반출된 경우,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을 10개에서 8개로 변경하여 갱신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들 각각의 재고량을 합산하여, 식자재 저장고 전체의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에 제1 식자재와 제2 식자재가 입고되어 있는 경우,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합산하여,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5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수량이 부족하여, 식자재 저장고에 식자재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 입고가 필요한 식자재들 각각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제2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2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제2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자재의 필요량 및 제2 식자재의 필요량은 각 식자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5개이고,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이 10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5개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이 8개이고, 제2 식자재의 필요량이 10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식자재의 입고량을 2개로 산출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입고량 및 제2 식자재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307 단계 이후,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식자재 입고가 처리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들 각각의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S304 단계에서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제2 기준량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제2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308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제2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들 각각의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제2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9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3개이고,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이 9개이고, 제1 기준량이 10개이고, 제2 기준량이 5개인 경우,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합산한 레스토랑의 재고량이 12개로 산출되어, 레스토랑의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제2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어, 제1 식자재에 대해서만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310 단계 이후, 서버(200)는 제1 식자재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식자재 입고가 처리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200)는 레스토랑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들 각각의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통 기한의 잔여 기간에 따른 식자재 처리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재고중인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자재에 유통 기한을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는 식자재에 부착된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서버(200)는 현재 시점과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비교하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까지 남아있는 잔여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점이 5월 1일이고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5월 31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유통 기한까지 남아있는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30일로 산출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기간은 식자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고 난 이후, 서버(200)는 식자재가 식자재 냉장고에 잔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자재가 아직 잔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4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기간은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제2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고 난 이후, 서버(200)는 식자재가 식자재 냉장고에 잔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자재가 아직 잔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서버(200)는 식자재에 대한 폐기안내 메시지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게 남아 있는 경우,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임박하여 판매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여, 식자재에 대한 폐기 안내 메시지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저장고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식자재 저장고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장치는 참조 블록의 면적, 참조 블록과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S501).
구체적으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DWG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이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장치는 참조 블록의 면적, 참조 블록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제1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DWG 파일의 전체 영역에서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02).
장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있어, 참조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을 그대로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이미지 획득 이후, 장치는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3).
구체적으로,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각각의 외부 테두리는 노란색 및 2mm 굵기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통해 도면 폼이 설정되었으므로, 도면 폼에 설정된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는 노란색 및 2mm 굵기이며,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 이외에 노란색 및 2mm 굵기의 외부 테두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추가로 인식할 수 있다.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면(S503),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를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을 추가로 포함시킨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되는 영역이 참조 블록의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획득 이후, 장치는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S503),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또 다른 하나인 제3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면,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제3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3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모두 획득할 때까지 S502 단계 및 S503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503), 장치는 획득된 이미지 각각을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504).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장치는 제1 이미지를 제1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제2 이미지를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장치는 출력된 각각의 PDF 파일을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DWG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DWG 파일(200)에는 복수의 도면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WG 파일(200)에는 제1 도면 및 제2 도면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는 DWG 파일(200) 내에서 제1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선이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는 DWG 파일(200) 내에서 제2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선이다.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와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는 동일한 색 및 동일한 굵기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도면의 영역은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까지 포함하는 영역이고, 제2 도면의 영역은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까지 포함하는 영역이다. 제1 도면의 영역과 제2 도면의 영역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도면의 영역이 상이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참조 블록(230)은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통해 참조 블록(230)의 크기가 설정되면, 참조 블록(230) 내에 위치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를 인식하고, 참조 블록(230)의 면적,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사이의 공간을 확인하여,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여백(231),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여백(232),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 여백(233),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여백(234)을 확인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 각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의 크기를 기초로,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의 영역을 그대로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 내에 위치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참조 블록(230)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를 확인하여 인식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의 크기를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이 참조 블록(230)의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는데 있어,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측에 제1 여백(231)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좌측에 제2 여백(232)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하측에 제3 여백(233)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우측에 제4 여백(234)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제1 도면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601).
다음으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2).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602),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603).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입력되면,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S603 단계 이후 S6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다시 획득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602),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S604).
예를 들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가 “931”로 등록되어 있고, 제1 도면의 도면명이 “39m2형단위세대창호도”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는 “931 39m2형단위세대창호도”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설정된 파일명으로, 제1 이미지를 제1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605).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제2 도면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701).
다음으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2).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702),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703). 즉,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2 도면의 도면명이 입력되면,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제2 도면의 도면명을 등록할 수 있다.
S703 단계 이후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다시 획득하여,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702),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4).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704),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를 이용하여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S705).
예를 들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가 “931”로 등록되어 있고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치는 “931”다음 번호인 “932”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S704 단계에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S705 단계 이후,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S706).
다음으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설정된 파일명으로, 제2 이미지를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707).
즉,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프로세서(301) 및 메모리(30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에 있어서,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소진되거나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에 대한 레스토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스토랑의 식자재 소진에 대비하는 레시피별 판매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레시피별 판매량에 대응하는 레시피별 식자재의 소진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소진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재고량을 자동을 산출하여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반복 학습되어 생성된 맞춤레시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자재 저장고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포함된 상기 식자재의 재고량을 통해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포함된 상기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통해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포함된 상기 식자재의 재고량을 통해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제1 식자재와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 및 상기 제2 식자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서 반출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 또는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반출량에 따라 차감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을 합산한 상기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식자재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식자재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식자재의 재고량과 미리 설정된 제2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 및 상기 제2 식자재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 저장고의 재고량이 상기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자재에 대한 입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식자재의 재고량과 상기 제1 식자재의 필요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식자재의 입고량에 대한 입고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포함된 상기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통해 상기 식자재의 재고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레스토랑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재고중인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확인하는 단계,
    현재 시점과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비교하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까지 남아있는 잔여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고 난 이후, 식자재가 식자재 냉장고에 잔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식자재가 아직 잔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다시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보다 짧게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2 기준 기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고 난 이후, 식자재가 상기 식자재 냉장고에 잔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자재가 아직 잔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의 유통 기한을 다시 확인하는 단계, 및
    식자재의 잔여 기간이 상기 제2 기준 기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식자재에 대한 폐기안내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레시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레시피정보에 매칭되는 식자재의 재고를 파악하여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과 맞춤레시피정보를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 중 상기 맞춤레시피정보의 식자재와 매칭된 식자재가 있는 경우, 매칭된 잔여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매칭된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한 경우, 상기 식자재 저장고에 입고되어 있는 식자재 매칭되지 않는 나머지 부족한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매칭된 식자재의 유통 기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맞춤레시피정보에 대응하는 전체 식자재의 종류 및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자재 저장고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단계는,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상기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 상기 참조 블록과 상기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을 제1 PDF 파일 및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1191A 2022-08-12 2022-08-12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91A KR102493786B1 (ko) 2022-08-12 2022-08-12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91A KR102493786B1 (ko) 2022-08-12 2022-08-12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786B1 true KR102493786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191A KR102493786B1 (ko) 2022-08-12 2022-08-12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07B1 (ko) 2023-07-13 2024-01-29 김연재 식자재 유통을 위한 주문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처리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50A (ko) * 2000-10-18 2002-04-20 서호준 실시간 온라인 예약 및/또는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3285A (ko) * 2012-05-02 2013-11-12 윤택중 식자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82240B1 (ko) 2018-08-03 2019-05-24 샤푸 주식회사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4643B1 (ko) 2018-01-19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추천 레시피에 따른 조리 지원이 가능한 주방 가전 시스템 및 그 지원 방법
KR102146766B1 (ko) 2020-03-04 2020-08-24 김창수 공유주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8621A (ko) * 2019-08-07 2021-02-18 주식회사 퍼플랩스 무인스토어 상품 입출고 관리 방법
KR102266334B1 (ko) 2019-05-24 2021-06-17 송연승 뷔페 레스토랑의 개별 메뉴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KR102275819B1 (ko) * 2020-10-29 2021-07-09 (주)인선건축사사무소 건축 설계 도면의 자동 문서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50A (ko) * 2000-10-18 2002-04-20 서호준 실시간 온라인 예약 및/또는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3285A (ko) * 2012-05-02 2013-11-12 윤택중 식자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34643B1 (ko) 2018-01-19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추천 레시피에 따른 조리 지원이 가능한 주방 가전 시스템 및 그 지원 방법
KR101982240B1 (ko) 2018-08-03 2019-05-24 샤푸 주식회사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66334B1 (ko) 2019-05-24 2021-06-17 송연승 뷔페 레스토랑의 개별 메뉴 입출고량 관리 시스템
KR20210018621A (ko) * 2019-08-07 2021-02-18 주식회사 퍼플랩스 무인스토어 상품 입출고 관리 방법
KR102146766B1 (ko) 2020-03-04 2020-08-24 김창수 공유주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75819B1 (ko) * 2020-10-29 2021-07-09 (주)인선건축사사무소 건축 설계 도면의 자동 문서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07B1 (ko) 2023-07-13 2024-01-29 김연재 식자재 유통을 위한 주문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처리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ledor et al. Solving multi-objective rescheduling problems in dynamic permutation flow shop environments with disruptions
Yuan et al. A branch-and-price algorithm for the home health care scheduling and routing problem with stochastic service times and skill requirements
Wang et al. Distance‐based multicriteria group decision‐making approach with probabilistic linguistic term sets
Snyder et al. Stochastic p-robust location problems
JP2018049613A (ja) 料理サポート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Cao et al. Customer demand prediction of service-oriented manufacturing incorporating customer satisfaction
Newgard et al. Patient choice in the selection of hospitals by 9‐1‐1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rs in trauma systems
CN109447355A (zh) 仓库货物的配送优化方法、装置、介质和计算设备
Shin et al. Emergency medical service resource allocation in a mass casualty incident by integrating patient prioritization and hospital selection problems
KR102493786B1 (ko)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91510B1 (ko) 인공지능 기반 it 인프라 장비의 사전 장애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4083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정보통신 인프라 시공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 설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Nahas et al. Selecting machines and buffers in unreliable series-parallel production lines
Gupta et al. Debiasing in-sample policy performance for small-data, large-scale optimization
CN113722603A (zh) 对象推送方法、产品推送方法、计算机终端及存储介质
KR102429392B1 (ko) 이미지 크롤링 기법을 활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ul et al. Inventory management strategies for mitigating unfolding epidemics
KR102394900B1 (ko) 인공지능 기반 상품 재고량 정보 동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ai et al. Efficient adaptive randomization and stopping rules in multi-arm clinical trials for testing a new treatment
KR10207550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실내 조명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Byrd et al. An active-set algorithm for nonlinear programming using parametric linear programming
Nazi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acute patient journey
US20190304023A1 (en) Healthcare benefits plan recommendation
CN112102099B (zh) 保单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i et al. Due date assignment and dynamic scheduling of one-of-a-kind assembly production with uncertain processing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