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40B1 -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40B1
KR101982240B1 KR1020180090560A KR20180090560A KR101982240B1 KR 101982240 B1 KR101982240 B1 KR 101982240B1 KR 1020180090560 A KR1020180090560 A KR 1020180090560A KR 20180090560 A KR20180090560 A KR 20180090560A KR 101982240 B1 KR101982240 B1 KR 101982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e
cooking
terminal
action icon
kitche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목
Original Assignee
샤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샤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40B1/ko
Priority to PCT/KR2019/009694 priority patent/WO202002763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7/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자가 생성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레시피의 분류, 레시피에 포함되어야 하는 재료의 종류 및 양, 및 재료를 요리할 주방 도구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주방 도구 및 재료를 객체당 하나의 행을 형성하도록 리스트화하여 요리과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요리과정 리스트별로 액션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주방 도구 또는 재료, 및 주방 도구 또는 재료와 매핑된 액션 아이콘에 기반하여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페이지에 공유되도록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CIPE SERVICE FOR MAKING AND SHARING RECIPE CONTENTS}
본 발명은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계열적으로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레시피를 생성한 후, 각 단계에 대응하는 단위 애니메이션을 생성 및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경기가 장기 불황 국면을 보임에 따라 소비자들은 비싼 비용이 수반되는 외식을 부담스럽게 생각하게 되었고 대신에 구하기 쉬운 값싼 재료와 제공되는 레시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사회적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간편하고 쉬운 조리법들은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매력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다양한 쿡방을 통해 소개된 셰프들의 레시피를 직접 시도하는 소비자들은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 본인이 직접 만든 요리를 업로드하기도 함으로써 요리 전성시대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레시피 열풍에 따라 마케팅 업계에서는 레시피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자극하고 있으며, 어떻게 직접 조리를 하고 제품을 체험할 지에 대한 전략을 소비자 입장에 맞추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품을 홍보하는 최신 트렌드로 새롭고 특이한 레시피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때, 레시피를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요리재료로 만들어질 요리에 대한 새로운 레시피를 현존하는 관련 레시피에 근거하여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17596호(2018년02월21일 공개)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요리형태 및 요리재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웹 상에 존재하는 요리형태 및 요리재료와 관련된 레시피 정보에 관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 및 정형화하여 레시피 데이터로 만들고, 레시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데이터로부터 요리형태 및 요리재료에 부합되는 새로운 레시피를 생성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요리과정을 기재하는 레시피는 기본적으로 글쓰기의 서사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시계열적인 방법에 따라 복수의 단위 요리과정을 기재하므로, 그 과정이 시계열적으로 기재되지 않았거나 적절한 어휘를 이용하지 않거나 도구를 기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보는 사용자는 해당 레시피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시계열적인 복수의 조리과정을 편집하여 생성하는 블로거나 생성자 또한 해당 레시피를 작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각자 구사가능한 어휘나 편집기술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게 됨으로써 정형화된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리 재료, 도구 및 조리법을 한 행에 하나의 객체로 리스트화하고, 각 객체와 재료에 가해질 사용자의 행위를 액션 아이콘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장을 완성하지 않을지라도 액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행위에 의하여 조리과정이 시계열적으로 정렬 및 문장이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작성자가 작성을 할지라도 정형화된 포맷으로 레시피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쉬워지고 이후에 서로 다른 레시피를 검색하거나 유사한 레시피를 이용할 때 활용도가 높도록 구현될 수 있는,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자가 생성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레시피의 분류, 레시피에 포함되어야 하는 재료의 종류 및 양, 및 재료를 요리할 주방 도구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주방 도구 및 재료를 객체당 하나의 행을 형성하도록 리스트화하여 요리과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요리과정 리스트별로 액션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주방 도구 또는 재료, 및 주방 도구 또는 재료와 매핑된 액션 아이콘에 기반하여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페이지에 공유되도록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요리 재료, 도구 및 조리법을 한 행에 하나의 객체로 리스트화하고, 만들어진 객체는 다른 행의 재료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 객체와 재료에 가해질 사용자의 행위를 액션 아이콘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장을 완성하지 않을지라도 액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행위에 의하여 조리과정이 시계열적으로 정렬 및 문장이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작성자가 작성을 할지라도 정형화된 포맷으로 레시피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쉬워지고 이후에 서로 다른 레시피를 검색하거나 유사한 레시피를 이용할 때 활용도가 높도록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성된 레시피도 객체가 되어 다른 행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으로 재료 및 레시피가 함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액션 아이콘을 이용하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공유 및 맛집관리를 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회원정보와 공개범위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생성 단말(100),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 피공유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생성 단말(100), 피공유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공유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생성 단말(100)은,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생성 단말(100)은 공유하고자 하는 레시피 콘텐츠의 조리방법, 조리도구, 조리법 등을 선택하고, 각각의 리스트화된 객체에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액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생성 단말(100)은, 각각의 시계열적인 조리과정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시간을 설정하여 딜레이 시간을 조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생성 단말(100)은 해당 레시피를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생성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성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생성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성 단말(100)에서 조리에 필요한 재료, 도구를 선택하고, 조리과정별로 액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이에 기반하여 레시피 콘텐츠를 애니메이션화하여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단계별로 기 저장된 애니메이션이 존재하고, 재료 및 도구를 합성한 후 조리과정별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시계열적으로 나열되는 조리과정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을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프레임을 배열함으로써, 모든 조리과정에 대응하는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으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자 단말(400)에서 업로드된 복수의 레시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보관하거나 공유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셜미디어의 피드(Feed)와 친구관계맺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400)은,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공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피공유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2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력부(310), 출력부(320), 저장부(330), 생성부(340), 업로드부(350), 조절부(360), 관리부(370) 및 동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생성 단말(100), 및 피공유자 단말(400)로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생성 단말(100), 및 피공유자 단말(400)은,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생성 단말(100), 및 피공유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310)는, 생성 단말(100)로부터 생성자가 생성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레시피의 분류, 레시피에 포함되어야 하는 재료의 종류 및 양, 및 재료를 요리할 주방 도구를 선택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생성 단말(100)에서 레시피를 만들기라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레시피의 분류, 레시피에 포함되어야 하는 재료의 종류와 양, 주방 도구, 조리법 등을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레시피 분류는, 요리인지, 베이킹(빵 등을 만들 때 이용하는 레시피) 레시피인지, 소스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레시피인지, 또는 음료인지 등을 구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310)는 레시피를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화하고, 이를 분류하도록 함으로써, 큰 카테고리를 선택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성자가 선택가능하도록 나열되는 재료나 도구도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생성 단말(100)의 사용자가 레시피 분류를 요리로 선택하고, 재료를 선택하는 경우, 도 3c를 참조하면, 육류, 생선류, 난류, 채소류 등 다양한 계층화된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된다. 이렇게 계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불편한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재료를 기재하거나 사진이나 제품의 바코드를 찍어 입력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진을 찍는 경우에는 사진으로부터 기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어떤 재료가 요구되는지 알도록 하고, 바코드를 찍는 경우에는, 기 저장된 바코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재료명 종류 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d를 참조하면, 재료의 양을 기재해야 하는데, 대부분 계량기나 계량컵에 익숙치 않은 한국인은 정확한 양을 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육류를 살 때 포장지에 기재된 텍스트를 인식하여 기재하도록 할 수도 있고, 흔히 쓰는 종이컵과 같이 모두가 알고 있는 절대적인 부피와 크기를 가진 기구를 이용하여 추정치를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이렇게 주방 도구, 재료 정보가 모두 입력(사용자에 의한 텍스트 입력, 이미지 입력, 메뉴로부터의 선택 등)이 되었으면, 도 3e와 같이 각각의 도구와 재료가 하나의 행을 차지하면서 리스트업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출력부(320)는, 선택된 주방 도구 및 재료를 객체당 하나의 행을 형성하도록 리스트화하여 요리과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요리과정 리스트별로 액션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3e를 참조하면, 각각 하나의 행에 포함된 주방 기구와 재료는, 그 자체로는 목적어를 이룰 뿐이고, 이를 어떻게 무엇을 해야한다는 동사와 형용사 부사가 없다. 예를 들어, "후라이팬을 가스렌지 중불에 달군다"라고 하면, 출력부(320) 이전의 과정은 "후라이팬, 가스렌지"밖에 입력이 되지 않았으므로, "액션"이 요구되게 된다. 이를 기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액션 아이콘이라 정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생성자)는 후라이팬과 가스렌지를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에 대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f와 같이 가스렌지를 "켜다", "중불"이라는 액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동사와 형용사나 부사에 대응하는 문장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일이 문장을 입력할 필요없이 기 저장된 액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요리과정을 완성할 수 있고, 레시피를 만들기가 쉬워진다. 즉 사용자가 입력하는 레시피는 사용자별로 사용하는 단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무엇을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에 대하여 정확히 기술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 독자를 고려하지 않아서 설명이 부족하거나 과하게 설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액션 아이콘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정형화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고, 이후에 조리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때,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변경하기가 쉬워진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저장부(330)는,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100)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 3g를 참조하면, 가스렌지는 중불로 켜고, 프라이팬은 30초간 달구며, 식용유를 10g 붓고, 달걀을 깨서, 달걀을 30초간 굽고, 소금을 1ts 뿌리도록 하는 레시피가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h를 참조하면, 뒤집개로 달걀을 뒤집고, 조리된 달걀을 담고, 후추를 0.5ts 뿌린 후 완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레시피는 글쓰기의 분류로 하나의 서사의 장르를 이룬다. 즉, 시계열적으로 구술되어야 하는 장르인데, 레시피의 생성자가 하나하나의 과정을 쓰다보면 빠지는 과정도 있고, 순서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이를 정확한 문장으로 쓰지 않으면, 예를 들어, 주어와 동사가 안맞거나 목적어가 빠지거나 하는 경우를 배제하고, 생성자가 모든 문장을 쓰지 않고 동사, 부사, 형용사만 터치하는 등으로 간단히 입력만 해도 서사의 과정대로 레시피의 글쓰기가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생성부(340)는, 주방 도구 또는 재료, 및 주방 도구 또는 재료와 매핑된 액션 아이콘에 기반하여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할 때,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경우, 주방 도구 또는 재료의 콘텐츠와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요리과정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의 행에 대응하는 단위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부(340)는, 생성된 단위 애니메이션을 하나의 행에 대응하도록 저장할 수 있고, 생성된 단위 애니메이션을 액션 아이콘이 입력된 순서에 대응하도록 시계열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성부(340)는 정렬된 순서대로 단위 애니메이션이 연결되도록 클러스터링할 수 있고, 클러스터링된 단위 애니메이션을 요리 레시피 콘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액션 아이콘은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동사, 형용사, 및 부사를 포함하고, 액션 아이콘이 한 번씩 터치 또는 클릭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동사, 형용사 및 부사가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g의 조리과정 4번의 예를 인용하면, 액션 아이콘이 "깨다"가 선택되었고, 4번의 조리과정에 포함된 재료가 달걀이었다고 가정하면, 깨다의 액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은 이미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애니메이션에 "달걀"을 합성하는 경우, 달걀을 깨는 애니메이션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1번부터 9번까지의 각각의 조리과정에 대한 단위 애니메이션을 시계열적으로 배치하여 하나의 콘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단위 애니메이션이 그대로 플레이되도록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때, 단위 애니메이션의 플레이 시간은 생성자가 지정할 수도 있고,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업로드부(350)는, 생성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페이지에 공유되도록 업로드할 수 있다.
조절부(360)는, 저장부(330)에서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100)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 주방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시간과 재료를 사용할 양에 대한 조절 아이콘이 생성 단말(100)에서 선택되는 경우, 조절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주방 도구 또는 재료에 액션 아이콘 및 조절 아이콘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관리부(370)는, 저장부(330)에서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100)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 생성 단말(100)로부터 액션 아이콘이 설정된 요리과정 리스트와, 다음 요리과정 리스트 사이에 딜레이에 대응하는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딜레이만큼 액션 아이콘이 설정된 요리과정 리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재생되고, 딜레이가 종료되는 경우 다음 요리과정 리스트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g의 조리과정 5번을 보면, 30초가 세팅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30초간 달걀을 구워야한다는 것이며, 30초간 동일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요리하는 사람의 시간에 맞도록 레시피의 각 단계가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요리를 하다보면 손에 지저분한 것들이 묻어서 다음 레시피를 보려고 할 때 화면을 터치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실제 각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딜레이로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단계에 대응하는 시간이 지났을 경우에만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레시피를 보면서 요리를 하는 사람은 다음 단계로 화면을 넘기지 않아도 다음 단계를 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동기부(380)는, 저장부(330)에서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100)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 생성 단말(100)로부터 요리과정 리스트에 포함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요리 레시피 콘텐츠에 입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외에도 생성자가 직접 찍은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각 조리과정에 포함시키고 싶은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단계에서 출력되더야 하는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업로드받음으로써 생성자가 직접 화면 배치를 하거나 각 단계를 찾아가서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삽입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레이아웃을 제공해줄 수 있다.
업로드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는 복수일 수 있다. 이때, 공유부(390)는, 업로드부(350)에서 생성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페이지에 공유되도록 업로드한 후, 피공유자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요리 레시피 콘텐츠의 선호도 여부를 선택받고, 피공유자 단말(400)로부터 피공유자가 보유한 요리 재료 및 도구와, 사용될 조리법에 대응하는 기구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공유부(390)는, 입력된 재료, 도구 및 기구와, 피공유자 단말(400)에서 선택된 복수의 요리 레시피 콘텐츠에 포함된 재료, 도구 및 기구의 유사도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피공유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요리 레시피 콘텐츠는 피공유자 단말(400)에서 선택된 콘텐츠로 설정가능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요리 난이도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가 흔히 사용되는 요리재료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재료가 요리에 미치는 영향력은 달라진다. 이에 따라, 확률에 기반한 엔트로피 측정법을 이용하여 재료 엔트로피를 계산하고, 레시피에 포함된 재료 엔트로피의 합을 통해 레시피 엔트로피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난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 수 있다. 대부분의 레시피 공유 사이트에서는 요리 난이도를 평가하기 위해 대부분 고급, 중급, 초급 등으로 분류하고는 있지만, 난이도를 구분하는 기준없이 작성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작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리 난이도를 측정하는 하나의 척도로서 레시피 엔트로피를 이용할 수 있다. 레시피 엔트로피가 낮다는 것은 흔한 요리재료 또는 흔한 조리도구나 조리법이거나 요리재료의 개수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요리 준비의 복잡성은 낮다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반대로 레시피의 엔트로피가 높다는 것은 요리재료, 조리도구, 조리법 등이 희귀하거나 재료의 개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요리 준비의 복잡성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가 높은 레시피는 한식의 동태해물찜으로 총 요리재료 개수는 27개이며, 가장 엔트로피가 낮은 레시피는 마늘 장아찌로 간장/마늘/소금/식초만으로 요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액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방법인, 요리동사는 요리방법을 표현하는 단어로서 요리동사에 의한 레시피 엔트로피가 높을수록 요리방법의 복잡성은 증가하게 된다. 즉, 총 요리재료 개수 또는 희귀한 요리재료가 많아질수록, 총 요리동사 개수 또는 잘 사용되지 않는 요리동사를 사용할수록 요리방법의 복잡도 및 난이도는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흰죽은 6가지 재료만 필요하여 요리준비는 간편하지만, 26번의 요리동사가 필요하여 요리방법은 복잡하다. 요리준비와 요리방법의 전체 관점에서 요리의 난이도를 평가하기 위해 커버 레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두 개의 레시피 사이의 유사도를 정의할 수 있다. 두 레시피의 공통 요리재료가 많을수록 그리고 엔트로피가 높은 재료를 공유할수록 두 레시피의 유사도는 높아진다. 고구마맛탕과 고구마스틱, 콩나물 무침과 콩나물무치기, 도라지무침과 도라지오이생채, 약식과 전기밭솥 약식은 모두 유사도가 높으며, 실제 유사한 요리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레시피명은 등록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요리라도 레시피명이 다를 경우 이름만으로는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레시피 유사도는 실제 같은 요리인지 아니면 유사한 요리인지 구별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가 되며, 유사도를 통해 어떤 요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리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레시피 유사도에 기반한 연결망 구성을 위해 임의의 레시피를 정점으로 하고, 두 레시피의 유사도를 간선의 가중치로 하는 무방향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레시피 연결망을 최소비용신장트리(MST, Minimum Spanning Tree)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정점의 색상과 모양으로 나라별 레시피를 구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레시피 중에서 고로케와 쇠고기참깨볶음은 한식 레시피에도 이와 유사한 감자땡과 쇠고기볶음이 있고, 한식 레시피의 고추잡채와 생선완자탕은 실제 중국요리에 포함된다. 대부분 웹에서 레시피를 등록할 때 어느 나라의 요리인지는 작성자의 주관적 기준에 따라 선택되기 때문에 레시피 연결망을 이용하여 어느 나라의 요리들과 유사한지 객관적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 순위에 따라 간선을 연결할 때, 유사도 임계값에 따라 떨어져 있는 레시피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유사도 임계값이 1일 경우, 고구마맛탕과 고구마스틱, 도라지무침과 도라지오이생채 등 레시피명은 다르지만 실제 동일한 요리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어진 요리재료로 할 수 있는 식단 메뉴나 요리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들은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지만, 추천된 요리를 사용자가 만들기 어렵다면 다른 대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보아야 한다. 레시피 연결망을 통해 추천된 송이산적이 어렵다면 유사한 오이쇠고기볶음, 완자꼬지, 쇠고기청고추찜 등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레시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오늘의 요리로 도라지생채를 하였다면 내일은 똑같은 요리가 아닌 다른 요리를 원할 것이다. 그러나 요리재료가 전혀 다른 새로운 요리를 계획할 경우 모든 재료를 새로 구입해야 하므로 요리준비는 어려워지지만, 기존 재료로 가능한 요리를 계획한다면 손쉽게 요리준비를 할 수 있으므로 준비용이성은 높아지게 된다. 도라지 생채에서 일부 재료의 변경으로 도라지나물, 소라무침, 오이도라지생채, 오징어도라지생채 등으로 쉽게 요리를 바꿀 수 있다. 만약 일주일동안의 요리 스케줄을 계획한다면 다양한 요리를 손쉽게 준비하기를 원할 것이다.
최단경로는, 요리방법은 다르지만 일부 재료의 변경으로 다양한 요리로 변형할 수 있는 예를 보여 주고 있다. 기존 요리 추천 시스템은 특정 재료나 요리법을 포함하는 레시피를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특정 재료로 할 수 있는 요리 추천뿐 만 아니라, 요리난이도 측면에서 준비하기 쉬운 요리 또는 요리절차가 쉬운 요리를, 또 추천된 요리가 싫다면 유사한 대체 레시피를 원할 것이다. 만약 한식 스타일을 원한다면 단순히 요리이름이 한국식이 아닌 요리 내용에서 한식과 유사한 요리를 원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션 아이콘의 개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하여 주관적으로 분류되고 있는 요리 난이도를 정량적 값으로 객관화시킬 수 있고, 레시피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레시피 연결망을 생성하고, 연결망 분석을 통해 요리의 특징과 활용적 측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레시피 연결망에서 거리공간를 통해 국가별 유사도가 높은지 낮은지, 유사도가 높은 레시피들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호관련성이 높은 유사그룹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레시피 간의 최단거리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리를 준비해야하는 식단을 구성할 때 가장 적절한 재료와 요리과정에 드는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공유 및 맛집관리를 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회원정보와 공개범위를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중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피공유자 단말(400)에서는 원하는 레시피를 선택함으로써 내가 찜한 레시피 페이지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피공유자 단말(400)은, 자신이 원하는 음식점 관련 정보를 등록하거나 관리할 수 있고, 도 4c와 같이 친구를 등록하거나, 맛집을 관리하는 등의 다양한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생성 단말(100)은 레시피를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사람의 단말로 한정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피공유자 단말(400)은 생성된 레시피를 이용하는 사람으로 역할을 나누어 설명했지만, 그 둘의 역할이 바뀌거나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생성 단말(100)의 생성자가 다른 사람의 레시피를 이용하는 피공유자 단말(4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피공유자 단말(400)도 생성 단말(100)처럼 레시피를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역할을 나누어 설명한 것 뿐이므로, 도 4c와 같이 메뉴에 레시피를 업로드하는 메뉴와 다른사람의 메뉴를 찜하거나 공유를 하는 메뉴도 함께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생성 단말(100)은, 식재료와 조리도구 정보를 구분하여 등록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도 4e를 참조하면 자신이 레시피에 이용할 재료가 없는 경우에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여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요청하거나, 자신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물론, 요청 재료명은 다국어 표현이 가능하며, 한글, 영어, 기타 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d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언어를 선택할 수도 있고, 도 5b를 참조하면 게시물을 친구에게만 할 것인지, 전체공개를 할 것인지 비공개를 할 것인지에 대한 공개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고, 도 5c와 같이 자신이 상대방의 피드를 계속 볼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거나 스크랩을 하거나 신고를 하는 등의 메뉴가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d를 참조하면, 다른 사람의 맛집 정보로부터 좌표정보를 추출하여 맛집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도 5e와 같이 팔로잉 리스트를 카테고리화하여 나눌 수도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레시피를 등록할 때, 레시피에 등록할 재료나 도구를 입력할 수 있고, 도 3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b를 참조하면, 레시피를 만들 때 조리방식, 재료, 주방기구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레시피의 재료를 선택한 후, 레시피 콘텐츠를 이루는 각각의 조리과정별로 액션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도 6e와 같이 시간을 설정하여 각 과정이 어느 정도 지속이 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도 6f와 같이 요리과정을 직접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g를 보면, 자신이 올리거나 다른 사람이 올린 레시피를 볼 수 있고, 어떠한 재료가 필요한지, 어떠한 주방기구나 조리법이 요구되는지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조리과정 단계가 어떠한 액션이 가해져서 완성되는지에 대한 애니메이션도 볼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a를 보면, 각각의 재료를 선택하고,도 7b와 같이 주방도구, 조미료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도 7c를 보면 각각의 재료나 주방도구를 어디서 사야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으며, 도 7d를 보면, 레시피를 제작하기 위해 설정을 할 수 있고, 도 7e를 보면, 요리음식화면, 종류설정, 주재료 설정 등이 완료되면, 도 7f와 같이 각 도구를 설정할 수 있고, 도 7g와 같이 각 단계의 지속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도 7h와 같이 제작과정을 리스트화해서 볼 수 있고, 각 재료, 액션, 도구 등이 선택 및 설정된 경우, 도 7i와 같이 애니메이션화된 레시피 콘텐츠가 재생가능한 상태로 업로드된다.
이와 같은 도 4 내지 도 7의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자가 생성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레시피의 분류, 레시피에 포함되어야 하는 재료의 종류 및 양, 및 재료를 요리할 주방 도구를 선택하여 입력받는다(S8100).
그리고,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택된 주방 도구 및 재료를 객체당 하나의 행을 형성하도록 리스트화하여 요리과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요리과정 리스트별로 액션 아이콘을 출력하고(S8200), 액션 아이콘에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생성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액션 아이콘과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8300).
또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주방 도구 또는 재료, 및 주방 도구 또는 재료와 매핑된 액션 아이콘에 기반하여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고(S8400), 생성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페이지에 공유되도록 업로드한다(S8500).
상술한 단계들(S8100~S8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8100~S8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8의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자가 생성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레시피의 분류, 상기 레시피에 포함되어야 하는 재료의 종류 및 양, 및 상기 재료를 요리할 주방 도구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단계-상기 재료의 양은 상기 재료의 포장지에 기재된 텍스트를 인식하여 입력받거나 절대적인 부피와 크기를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추정치를 입력받음-;
    상기 선택된 주방 도구 및 재료를 객체당 하나의 행을 형성하도록 리스트화하여 요리과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요리과정 리스트별로 액션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액션 아이콘에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가 상기 생성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액션 아이콘과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방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시간과 상기 재료를 사용할 양에 대한 조절 아이콘이 상기 생성 단말에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조절 아이콘과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에 상기 액션 아이콘 및 조절 아이콘이 매핑되어 저장됨-;
    상기 생성 단말로부터 상기 액션 아이콘이 설정된 요리과정 리스트와, 다음 요리과정 리스트 사이에 딜레이에 대응하는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상기 딜레이만큼 상기 액션 아이콘이 설정된 요리과정 리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재생되고, 상기 딜레이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다음 요리과정 리스트로 진행됨-;
    상기 생성 단말로부터 상기 요리과정 리스트에 포함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는 단계-상기 요리 레시피 콘텐츠에 상기 입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포함됨-;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 및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와 매핑된 상기 액션 아이콘에 기반하여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상기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리 레시피 서비스 페이지에 공유되도록 업로드하는 단계
    피공유자 단말로부터 상기 업로드된 복수의 요리 레시피 콘텐츠의 선호도 여부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피공유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공유자가 보유한 요리 재료 및 도구와, 사용될 조리법에 대응하는 기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재료, 도구 및 기구와, 상기 피공유자 단말에서 선택된 복수의 요리 레시피 콘텐츠에 포함된 재료, 도구 및 기구의 유사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상기 피공유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액션 아이콘은 상기 액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액션을 하는 애니메이션과 기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요리 레시피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션 아이콘과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의 콘텐츠와 상기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상기 요리과정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의 행에 대응하는 단위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단위 애니메이션을 상기 하나의 행에 대응하도록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단위 애니메이션을 상기 액션 아이콘이 입력된 순서에 대응하도록 시계열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정렬된 순서대로 상기 단위 애니메이션이 연결되도록 클러스터링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링된 단위 애니메이션을 요리 레시피 콘텐츠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 아이콘은 상기 주방 도구 또는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동사, 형용사, 및 부사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 아이콘이 한 번씩 터치 또는 클릭될 때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사, 형용사 및 부사가 변경되고, 상기 액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에, 상기 재료의 정보가 합성되어 출력되는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0560A 2018-08-03 2018-08-03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60A KR101982240B1 (ko) 2018-08-03 2018-08-03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9/009694 WO2020027633A2 (ko) 2018-08-03 2019-08-02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60A KR101982240B1 (ko) 2018-08-03 2018-08-03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240B1 true KR101982240B1 (ko) 2019-05-24

Family

ID=6668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560A KR101982240B1 (ko) 2018-08-03 2018-08-03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2240B1 (ko)
WO (1) WO2020027633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36B1 (ko) * 2019-10-12 2021-03-3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젝트빔을 활용한 조리 가이드 하드웨어 플랫폼
CN112700842A (zh) * 2019-10-23 2021-04-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家庭饮食方案推荐方法
CN113488140A (zh) * 2021-06-24 2021-10-08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菜谱处理方法及终端、电子设备、存储介质
KR102493786B1 (ko) 2022-08-12 2023-01-31 주식회사 넘버제로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2213B1 (ko) * 2022-10-13 2024-01-31 오주영 레시피의 nft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49A (ko) * 2015-03-30 2016-10-10 이영회 요리 레시피 제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180017596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창작 레시피 생성방법
KR20180067075A (ko) * 2016-12-12 2018-06-20 박종목 요리 레시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1595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쿡플레이 레시피 모듈에 기초한 요리 레시피 생성 장치 및 제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345A (ko) * 2016-06-03 2017-12-13 장사연 개인 맞춤형 요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49A (ko) * 2015-03-30 2016-10-10 이영회 요리 레시피 제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180017596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창작 레시피 생성방법
KR20180067075A (ko) * 2016-12-12 2018-06-20 박종목 요리 레시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1595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쿡플레이 레시피 모듈에 기초한 요리 레시피 생성 장치 및 제공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36B1 (ko) * 2019-10-12 2021-03-3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젝트빔을 활용한 조리 가이드 하드웨어 플랫폼
CN112700842A (zh) * 2019-10-23 2021-04-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家庭饮食方案推荐方法
CN112700842B (zh) * 2019-10-23 2023-07-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家庭饮食方案推荐方法
CN113488140A (zh) * 2021-06-24 2021-10-08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菜谱处理方法及终端、电子设备、存储介质
KR102493786B1 (ko) 2022-08-12 2023-01-31 주식회사 넘버제로 맞춤형 식자재 자동주문 및 재고파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2213B1 (ko) * 2022-10-13 2024-01-31 오주영 레시피의 nft 등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7633A2 (ko) 2020-02-06
WO2020027633A3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240B1 (ko)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994747B (zh) 用于提供风味建议和增强的系统和方法
Choi et al. Eat, cook, grow: Mixing human-computer interactions with human-food interactions
US2013014967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virtual cooking with recipe matching
US2013014967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virtual cooking
US2013014967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virtual cooking with multi-course planning
US2013014967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virtual cooking with food pairing
CN113158004A (zh) 数据搜索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7003978A (zh) 用于将用户视觉引导至当前兴趣的系统和计算机方法
CN108897768B (zh) 一种点餐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230168651A1 (en) Generat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executing method of data and device
CN109815420A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设备
JP7018279B2 (ja) 代替レシピ提示装置、代替レシピ提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20170293964A1 (en) Consumable Goods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110035380A (ko) 네트워크 기반의 조리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1595A (ko) 레시피 모듈에 기초한 요리 레시피 생성 장치 및 제공 장치
CN104112217A (zh) 一种口味选择信息的标示方法及应用方法
KR102327845B1 (ko)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에 따라 소분된 식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0223757A (zh) 食谱方案的推荐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
JP6790413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KR20160116449A (ko) 요리 레시피 제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170137345A (ko) 개인 맞춤형 요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95956Y1 (ko) 메뉴 생성 시스템
KR20180067075A (ko) 요리 레시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358479B1 (ko) 식재료 재고 관리 및 레시피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