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62B1 - 일회용 종이장갑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62B1
KR102493762B1 KR1020200172005A KR20200172005A KR102493762B1 KR 102493762 B1 KR102493762 B1 KR 102493762B1 KR 1020200172005 A KR1020200172005 A KR 1020200172005A KR 20200172005 A KR20200172005 A KR 20200172005A KR 102493762 B1 KR102493762 B1 KR 10249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line
glove
sheet
disposabl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265A (ko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조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호 filed Critical 조준호
Priority to KR102020017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40P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종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가 접지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 장갑몸체와 장갑몸체의 타측에 연통하고, 신체의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손가락부와 손가락부의 양면에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형성된 주름선부 및 장갑몸체의 양면에 신체의 손바닥을 쥐는 동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접이선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종이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종이장갑{DISPOSABLE PAPER GLOVES}
본 발명은 일회용 종이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주름선부와 손바닥이 접히는 부분에 대응하여 접이선부를 형성하여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밴드부의 양측을 누름에 따라 절곡선이 접혀지면서 개방부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손가락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부를 절취하거나 손가락부만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종이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성장과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되고, 주 5일 근무제 확산과 함께 여가 및 레져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레저산업, 문화산업, 외식산업 등과 같은 서비스업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종으로 인하여 인스턴트식품인 햄버거, 팝콘, 피자, 치킨 등이 실생활에 밀접해 지면서 맨손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먼저 손을 세척하거나 나중에 손에 묻은 음식물을 물이나 물수건 등으로 손을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손을 세척하더라도 맨손으로 음식물을 잡는 것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음식점에서는 고객들에게 일회용 비닐장갑을 지급하여 손에 음식찌꺼기가 묻지 않고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권하고 있으나, 일회용 비닐장갑의 특성상 손이 끼워지는 5개의 손가락 삽입구 외에 통풍공간이 없어 비닐장갑 내부에 습기와 땀이 차게 되고, 이로 인해 정작 음식물을 손으로 집어 먹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즉, 일반적인 일회용 비닐장갑은, 5개의 손가락 중 실질적으로 일부의 손가락만을 사용하게 되면서도 5개의 손가락을 모두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5개의 손가락을 모두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3810호(2009.03.0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주름선부와 손바닥이 접히는 부분에 대응하여 접이선부를 형성하여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밴드부의 양측을 누름에 따라 절곡선이 접혀지면서 개방부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손가락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손가락부를 절취하거나 손가락부만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일회용 종이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갑몸체의 일면에 원하는 광고문구를 표현하여 광고와 마케팅을 통해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일회용 종이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가 접지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 장갑몸체;
상기 장갑몸체의 타측에 연통하고, 신체의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손가락부;
상기 손가락부의 양면에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형성된 주름선부; 및
상기 장갑몸체의 양면에 신체의 손바닥을 쥐는 동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접이선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종이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신체의 손바닥을 둘러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상부시트지와 상기 하부시트지보다 두꺼운 재질의 시트지가 상기 개방부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중앙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각 사분점에 형성된 절곡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선은 상기 개방부의 길이방향의 양측을 누름에 따라 상기 밴드부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상기 상부시트지 또는 상기 하부시트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지의 일면에 광고문구를 표현할 수 있는 표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에 있어서, 상기 주름선부는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손가락부의 단방향을 따라 접는 선을 형성한 메인선; 상기 메인선의 양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선보다 짧게 형성된 서브선; 및 상기 메인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서브선의 일단을 각 연결한 사이드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선은 상기 메인선이 접히면서 한 쌍의 상기 서브선이 상기 메인선을 축으로 서로 마주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는 상기 장갑몸체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주름선부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절취선이 형성되어 원하는 손가락에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장갑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장갑몸체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바디의 개방된 테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 손가락밴드부; 및 상기 손가락밴드부의 중앙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각 사분점에 형성된 밴드절곡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은 친환경 종이로 제조하여 스마트폰 터치 가능하여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스마트폰 사용이 가능하여, 호흡기 바이러스가 손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또는 대중교통, 마트, 백화점, 뷔폐 등 대중이 모이는 장소에서 일회용으로 착용한 후 폐기 시, 재활용 분리수거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은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주름선부와 접이선부를 형성한 손가락부를 형성하여 손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고, 밴드부의 양측을 누름에 따라 절곡선이 접혀지면서 개방부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은 장갑몸체의 일면에 원하는 광고문구를 표현하여 광고와 마케팅을 통해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은 손가락부에 분리절취선을 형성하여 원하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절취하거나 손가락부만 별도로 가락 장갑몸체로 제조하여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누를 때 사용하여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을 케이스에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응용하여 형성한 일회용 종이장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의 손가락부를 분리한 손가락 장갑몸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손가락 장갑몸체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을 케이스에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응용하여 형성한 일회용 종이장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10)은 장갑몸체(100), 손가락부(200), 주름선부(300) 및 접이선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10)은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가 접지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 장갑몸체(100), 장갑몸체의 타측에 연통하고, 신체의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손가락부(200), 손가락부의 양면에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형성된 주름선부(300) 및 장갑몸체의 양면에 신체의 손바닥을 쥐는 동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접이선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장갑몸체(100)는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위생적인 종이로 제작하여 친환경적인 일회용 장갑으로 형성하는 몸체이다.
이를 위해, 장갑몸체(100)는 몸체부(110), 밴드부(120) 및 절곡선(130)을 더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신체의 손바닥을 둘러싸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1)가 형성된다.
특히, 몸체부(110)는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를 구비하여 개방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접지시킨다. 이때, 후술하는 손가락부(200)를 연통시키기 위해 개방부(111)와 마주하는 부분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10)은 신체의 엄지손가락을 분리하고 나머지 손가락을 일체로 형성하는 몸체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신체의 손바닥을 둘러싸는 몸체와 몸체의 타측을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둘러싸는 연장부를 형성하는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를 구비하여 개방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접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밴드부(120)는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보다 두꺼운 재질의 시트지가 개방부(111)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밴드부(120)는 신체의 손이 장갑몸체(1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부(111)를 원활하게 확장시켜주기 위해 두꺼운 재질의 시트지로 형성된다. 또한, 신체의 손목부분에 위치하여 몸체부(110)로 삽입된 손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부(111)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절곡선(130)은 밴드부(120)의 중앙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각 사분점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절곡선(130)은 개방부의 길이방향의 양측을 누름에 따라 상기 밴드부가 이격되는 것으로, 개방부(111)를 손쉽게 확장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장갑을 착용하여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바이러스 및 세균 등으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C)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납케이스(C)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밴드부(120)가 노출되게 하여 원하는 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납케이스(C)는 대중교통 시설, 마트, 백화점, 뷔폐 등 대중이 모이는 장소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엘이베이터에도 버튼을 누르기 전 착용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10)에 있어서, 장갑몸체(100)는 표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140)는 상부시트지 또는 하부시트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지의 일면에 광고문구를 표현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종이로 이루어진 장갑몸체(100)에 안전문구를 출력하거나 회사의 광고를 출력하여 마케팅으로 수익을 창출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손가락부(200)는 장갑몸체(110)의 타측에 연통하고, 신체의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손가락부(200)는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로 구비되어 장갑몸체(110)의 타측에 연통되게 접지한다.
또한,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갑몸체(110)의 타측을 연장시킨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를 제작하여 개방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접지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름선부(300)는 손가락부(200)의 양면에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주름선부(300)는 메인선(310), 서브선(320) 및 사이드선(330)을 더 포함한다.
메인선(310)은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손가락부(200)의 단방향을 따라 접는 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선(310)은 손가락을 쥐었다 피는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손가락부(200)에 미리 접혀지는 선을 만들어 임의의 접히는 선의 발생을 방지하여 보다 정교하게 손가락부(200)를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서브선(320)은 메인선(310)의 양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메인선(310)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서브선(320)은 메인선(310)의 상하 양측에 형성되어 신체의 손가락 마디의 형상에 대응하게 함으로써, 메인선(310)이 더욱 잘 접힐 수 있게 해준다.
사이드선(330)은 메인선(310)의 일단으로부터 서브선(320)의 일단을 각 연결한다.
특히, 사이드선(330)은 메인선(310)이 접히면서 한 쌍의 서브선(320)이 메인선(310)을 축으로 서로 마주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서브선(320)이 임의의 여러 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의 손가락 마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힐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손가락 장갑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손가락 장갑몸체(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일회용 종이장갑의 손가락부를 분리한 손가락 장갑몸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손가락 장갑몸체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손가락부(200)는 손가락 장갑몸체(210)를 더 포함한다.
손가락 장갑몸체(210)는 장갑몸체(100)의 타측에 인접한 주름선부(300)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절취선(211)이 형성되어 원하는 손가락에 사용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손가락 장갑몸체(210)는 손가락밴드부(212) 및 밴드절곡선(213)을 더 포함한다.
손가락밴드부(212)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바디가 형성되고, 손가락바디의 개방된 테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밴드절곡선(213)은 손가락밴드부(212)의 중앙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각 사분점에 형성된다.
여기서, 밴드절곡선(213)은 전술한 절곡선(130)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손가락 장갑몸체(210)는 손가락만 사용하여 장갑을 전체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하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가락 장갑몸체(210)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케이스를 구비하여 필요시 하나씩 인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일회용 종이장갑
100 : 장갑몸체
110, 110' : 몸체부
111 : 개방부
120 : 밴드부
130 : 절곡선
140 : 표현부
200 : 손가락부
210 : 손가락 장갑몸체
211 : 분리절취선
212 : 손가락밴드부
213 : 밴드절곡선
300 : 주름선부
310 : 메인선
320 : 서브선
330 : 사이드선
400 : 접이선부

Claims (6)

  1. 상부시트지와 하부시트지가 접지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 장갑몸체;
    상기 장갑몸체의 타측에 연통하고, 신체의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손가락부;
    상기 손가락부의 양면에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에 대응하여 형성된 주름선부; 및
    상기 장갑몸체의 양면에 신체의 손바닥을 쥐는 동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접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는
    상기 장갑몸체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주름선부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절취선이 형성되어 원하는 손가락에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장갑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장갑몸체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바디의 개방된 테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 손가락밴드부; 및
    상기 손가락밴드부의 중앙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각 사분점에 형성된 밴드절곡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신체의 손바닥을 둘러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상부시트지와 상기 하부시트지보다 두꺼운 재질의 시트지가 상기 개방부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중앙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각 사분점에 형성된 절곡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선은 상기 개방부의 길이방향의 양측을 누름에 따라 상기 밴드부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상기 상부시트지 또는 상기 하부시트지 중 어느 하나의 시트지의 일면에 광고문구를 표현할 수 있는 표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선부는
    신체의 손가락의 마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손가락부의 단방향을 따라 접는 선을 형성한 메인선;
    상기 메인선의 양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선보다 짧게 형성된 서브선; 및
    상기 메인선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서브선의 일단을 각 연결한 사이드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선은 상기 메인선이 접히면서 한 쌍의 상기 서브선이 상기 메인선을 축으로 서로 마주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장갑.
  5. 삭제
  6. 삭제
KR1020200172005A 2020-12-10 2020-12-10 일회용 종이장갑 KR10249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05A KR102493762B1 (ko) 2020-12-10 2020-12-10 일회용 종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05A KR102493762B1 (ko) 2020-12-10 2020-12-10 일회용 종이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65A KR20220082265A (ko) 2022-06-17
KR102493762B1 true KR102493762B1 (ko) 2023-01-30

Family

ID=8226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005A KR102493762B1 (ko) 2020-12-10 2020-12-10 일회용 종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852Y1 (ko) 1997-05-19 1999-07-15 이기수 마디부를 갖는 고무장갑
JP2004052122A (ja) * 2002-07-16 2004-02-19 Minoru Nishida 紙手袋の製造方法
KR100826264B1 (ko) * 2006-12-29 2008-04-29 임의순 활동형 핸즈 팩
KR200491592Y1 (ko) 2018-11-23 2020-05-28 이태훈 주유용 종이장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345U (ko) * 1993-12-11 1995-07-20 신금철 고무장갑
KR20000004912U (ko) * 1998-08-19 2000-03-15 조일구 상.하. 구분 비닐 장갑
KR200443810Y1 (ko) 2007-10-01 2009-03-16 지태제 손가락용 장갑
US8458817B1 (en) * 2010-10-22 2013-06-11 Jonathan J. Babb Glove having detachable segments with a ring attachment
KR20160008940A (ko) * 2014-07-15 2016-01-25 손성태 일회용 비닐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852Y1 (ko) 1997-05-19 1999-07-15 이기수 마디부를 갖는 고무장갑
JP2004052122A (ja) * 2002-07-16 2004-02-19 Minoru Nishida 紙手袋の製造方法
KR100826264B1 (ko) * 2006-12-29 2008-04-29 임의순 활동형 핸즈 팩
KR200491592Y1 (ko) 2018-11-23 2020-05-28 이태훈 주유용 종이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65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3101B2 (ja) 美容用のパック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US10155613B1 (en) Food packaging systems with finger gloves
KR102493762B1 (ko) 일회용 종이장갑
KR200450117Y1 (ko) 포장용 박스
US2551700A (en) Manicuring implement
US10940973B2 (en) Packaging scheme for a plurality of consumer goods
US20190110537A1 (en) Hybrid glove
KR100662232B1 (ko) 융착선과 절개선에 의한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장갑 티슈
KR200443810Y1 (ko) 손가락용 장갑
JP2002347756A (ja) 塊状食品用の個食容器
CN204071918U (zh) 一种两用面巾纸
CN105266700A (zh) 两用纸巾
CN205441173U (zh) 一种汉堡包装盒
KR200479545Y1 (ko) 일회용 앞치마
US2289223A (en) Protective container
CN207444318U (zh) 零食、小吃食用时套在手指上的便捷卫生指套
CN207993348U (zh) 一种防滑手感佳的服饰吊卡
RU211904U1 (ru) Одноразовое изделие для защиты рук
KR200274652Y1 (ko) 위생장갑
JP2007009379A (ja) エプロン兼用の紙ナプキン
CN206885554U (zh) 一种带有手指护套的快餐桶
CN105310582A (zh) 一种两用面巾纸及其使用方法
KR200367785Y1 (ko) 저면에 팜플렛용 종이가 부착된 일회용 비닐장갑
CN109110280A (zh) 一种卤制食品专用塑封袋
KR200363690Y1 (ko) 물결무늬 모양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