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940A - 일회용 비닐장갑 - Google Patents

일회용 비닐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940A
KR20160008940A KR1020140089953A KR20140089953A KR20160008940A KR 20160008940 A KR20160008940 A KR 20160008940A KR 1020140089953 A KR1020140089953 A KR 1020140089953A KR 20140089953 A KR20140089953 A KR 20140089953A KR 20160008940 A KR20160008940 A KR 2016000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glove
gloves
disposabl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태
Original Assignee
손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태 filed Critical 손성태
Priority to KR102014008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940A/ko
Publication of KR2016000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계통의 비닐 원단을 적용한 일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회용 장갑은 비닐 원단으로 제작된 일회용 장갑의 특성상 신축성이 없고 장갑 착용 시에 착용이 난해한 특성이 있어 착용자의 손보다 광폭의 형태로 제작되어 착용 시에 헐거운 상태와 거추장스러운 형태의 일회용장갑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먼저 손가락장갑 의 일 측에 주름 형태의 "ㄹ" 형 확장 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을 굽힘 시에 "ㄹ" 형 주름 부위가 늘어나도록 구성하여 광폭형태의 기존 장갑에서 심플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사용 시에 벗겨지는 현상을 제거하기위해 타 측에 조임 부를 형성하여 클립효과를 발생시키며, 착용 시에 손가락 끝부분부터 착용하므로 협소한 장갑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였으며,
또한, 일회용 장갑의 일 측에 주름 형태의 "ㄹ" 형 확장 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을 굽힘 시에 "ㄹ" 형 주름 부위가 늘어나도록 구성하여 광폭형태의 기존 장갑에서 심플한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사용 시에 벗겨지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타 측에 3중 형태의 클립이 일체 된 조임 수단으로 인하여 장갑의 형태가 착용자의 손 부피보다 심플하게(손가락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착용 시에 헐거워지고 엉성한 형태의 착용감을 배제시킨 일회용장갑.

Description

일회용 비닐장갑{Vinyl gloves for onetime}
본 발명은 합성수지 계통의 비닐 원단을 적용한 일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적 손가락 부위에 끼우는 골무 형태의 비닐 손가락장갑(100)(이하"손가락 장갑"이라 칭함)의 일정위치에 "ㄹ" 형 확장 부(101)를 형성하고, 타 측에 조임 부(102)를 형성하여 손가락장갑(100)을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양측 손에 착용하는 일회용 장갑(500)의 손가락 관절부에 "ㄹ" 형 확장 부(101)를 형성하고, 손목부위에 조임 클립(503)을 형성하여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일회용 비닐장갑(100, 500)(이하"일회용장갑"이라 칭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조리할 때에 손가락 부위에 음식물 류가 닿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일회용비닐장갑이 개발되어 제시된바 있다.
치킨, 생선구이, 피자, 갈비, 뼈 해장국, 토스트, 햄버거 등과같이 손으로 집어 섭취하는 음식물, 섬세한 화학 용기, 약품류를 엄지와 검지만으로 집어 사용하는 과정에 종래의 부피가 큰 다섯 손가락 형태의 일회용 비닐장갑은 제조비용 및 전국적인 쓰레기 발생 문제점과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필요 없는 중지와, 약지 등이 없어도 상관없는 불필요한 제품이 동시에 쓰여 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은 합성수지의 특성상 일반적인 착용자의 손 부피보다 과도하게 크게 제작되어 사용자는 헐거워지고 엉성한 형태의 착용감으로 조리하거나 음식을 섭취하는 도구로 사용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 출원된 "출원번호, 2020040007528, 일회용 비닐장갑"의 경우 손목부위 양측에 돌출 띠를 형성하여 착용 시에 폭넓은 개구부를 통행 손쉽게 착용가능하며, 착용 후 양측의 돌출 띠를 상호 묶어 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였다. 상기한 구성으로 손쉽게 착용하고, 이탈방지를 할 수 있으나, 양측의 돌출 띠를 제3자가 묶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손가락부위의 광폭의 부피는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위치에 "ㄹ" 형 확장 부(101)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사용 시에 심플한 느낌으로 사용하는 장점과,
타 측에 조임 부(102)를 형성하여 손가락장갑(100)을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양측 손에 착용하는 일회용 장갑(500)의 손가락 관절부에 "ㄹ" 형 확장 부(101)를 형성하고, 손목부위에 조임 클립(503)을 형성하여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일회용 장갑(100, 500)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계통의 비닐 원단을 적용한 일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개별적 손가락 부위에 끼우는 골무 형태의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 다수위치에 가로형태(도4, 도 5참조, 세로 형태로 동일한 확장 부 역할을 수행하며, 이하 "ㄹ" 형 확장 부라 칭함)의 "ㄹ" 형 확장 부(101); 타 측에 조임 부(102)를 형성하여 손가락장갑(100)을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 수단; 손가락장갑(100)의 하부지(109) 타 측에 사용자 피부에 직접 부치는 접착 부(106)가 형성된 손잡이(105); 상기 상, 하 부지(108, 109)를 접합(103) 후 손가락 끝 부분(107)을 손가락장갑(100) 일 측 내주 면으로 일정부분 삽입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가락장갑(100)의 연속적 적재 형태는 일 측에 개구부(601)가 형성된 적재용기(600)에 적재하기 위하여 개별적 손가락장갑(100)의 일정 다수위치에 절취선(602-1)이 형성된 연결 바(602)로 상호 연결하되, 엄지, 검지, 중지의 3개 손가락장갑(100)을 연결 바(602)로 일체화하되 3개 손가락장갑(100)이 일체 독립하되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한다. 이때 다섯 손가락장갑, 또는 엄지, 검지 두 손가락장갑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수단;
상기 손가락장갑(100)의 독립적 적재 형태는 개별적 손가락장갑(100)의 일정 다수위치에 절취선(602-1)이 형성된 연결 바(602)로 상호 연결하되, 엄지, 검지, 중지의 3개 손가락장갑(100)을 연결 바(602)로 일체화하되 3개 손가락장갑(100)이 일체 독립되어 상호 포개어 적재한다. 이때 다섯 손가락장갑, 또는 엄지, 검지 두 손가락장갑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섯 개 손가락 부위의 상부지(506)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510);
상, 하부 지(507, 506)의 접합 부(508) 가장자리 일정위치에 일 측에 손잡이(505)가 형성되고, 중앙부 좌, 우측에 걸림 돌기(504)가 형성되고, 상, 하부 지(507, 506)에 위치한 클립 부(503) 사이에 보조 원판(509)이 삽입되어 3중 형태의 클립(503)이 일체 된 조임 수단을 형성한 일회용 장갑(500);
상기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101)와 타 측의 조임 부(102) 및 일회용 장갑(500)의 상부지(506) 일정 다수위치에 ?? 형 확장 부(510) 및 3중 형태의 클립(503)이 일체 된 조임 수단으로 인하여 장갑의 형태가 착용자의 손 부피보다 심플하게(손가락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착용 시에 헐거워지고 엉성한 형태의 착용감을 배제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101)와 타 측의 조임 부(102)로 인하여 장갑의 형태가 착용자의 손 부피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착용 시에 헐거워지고 엉성한 형태의 착용감을 배제된 심플한 형태를 얻을 수 있으며, 그리고 손가락 끝 부분(107)을 손가락장갑(100) 일 측 내주 면으로 일정부분 삽입된 형태로서 착용 자가 손가락 끝 부분(107) 일 측에서 손가락을 손쉽게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이때 손가락장갑(100)의 외부 표면이 내부로 들어가고, 내부 면이 외부로 바뀌어 공기 중의 유해한 세균의 감염 도를 일부 차단하게 되고, 이때 타 측에 형성된 손가락 굵기보다 협소한 조임 부(102)로 인하여 착용된 손가락장갑(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일회용 장갑(500)의 상부지(506)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510)와 3중 형태의 클립(503)이 일체된 조임 수단으로 인하여 장갑의 형태가 착용자의 손 부피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착용 시에 헐거워지고 엉성한 형태의 착용감을 배제된 심플한 형태를 얻을 수 있으며, 일체된 3중 형태의 클립(503)의 구성으로 접착제가 구비된 별도의 조임용 접찹 부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의 "ㄹ" 형 확장부 일부를 도시한 확대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의 착용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의 세로형 "ㄹ" 형 확장 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의 손가락 끝 부분을 손가락장갑 내부로 삽입시킨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을 연결 바로 일체하여 전체가 하나 되게 적재용기에 적재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장갑을 연결 바로 일체하되 개별적으로 상호 포개어 적재용기에 적재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의 클립 부를 형성하고, 미리 일부 결합시켜 놓은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의 "ㄹ" 형 확장 부를 확대시킨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장갑의 3중 형태의 클립(503)을 사용자의 손에 착용시킨 배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적 손가락 부위에 끼우는 골무 형태의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101)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굽힘 시에 접혀 있는 "ㄹ" 형 확장 부(101)가 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 부(102)는 타 측에 미리 형성된 손가락 굵기보다 협소한 굵기의 빗금 형태의 조임 부(102)를 형성하여 손가락장갑(100)을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하며, 이때 손가락장갑(100)을 착용하는 방식은 종래는 그냥 광폭의 개구부로 손가락을 밀어 넣는 형태였으나 본 발명의 방식은 그와 반대로 미리 손가락장갑(100) 내부에 손가락 끝 부분(107) 일정부분 삽입된 위치에서 일 측에서 손가락을 밀어 넣도록 하여 손가락 굵기보다 협소한 굵기의 빗금 형태의 조임 부(102)가 악간 늘어나며 손가락장갑(100)을 착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105)는 손가락장갑(100)의 하부지(109) 타 측 외부 면에 사용자 피부에 직접 부치는 접착 부(106)가 형성하여, 사용 시에는 이탈 방지기능을 이탈 시에는 손잡이 기능을 하도록 한다.
상기 손가락 끝 부분(107)은 상, 하부지(108, 109)를 접합(103) 후 손가락 끝 부분(107)을 손가락장갑(100) 일 측 내주 면으로 일정부분 삽입하여 착용 자가 손쉽게 착용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가락장갑(100)의 적재 형태는 일 측에 개구부(601)가 형성된 적재용기(600) 내부에 개별적 손가락장갑(100)의 일정 다수위치에 약간의 외부 힘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602-1)이 형성된 연결 바(602)로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엄지 , 검지, 중지를 연결 바(602)로 일체화하되 반복적으로 일체 시켜 "ㄹ" 형태로 접어 적재한다. 이때 다섯 손가락장갑, 또는 엄지, 검지 두 손가락장갑 등으로 사용하는 업종 또는, 특성에 따라 혼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장갑(100)의 적재 형태는 개별적 손가락장갑(100)의 일정 다수위치에 약간의 외부 힘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602-1)이 형성된 연결 바(602)로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엄지, 검지, 중지의 3개 손가락장갑(100)을 연결 바(600)로 일체화하되 3개 손가락장갑(100)이 독립되어 반복적으로 상호 맞물리게 포개어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한다. 이때 다섯 손가락장갑, 또는 엄지, 검지 두 손가락장갑 등으로 사용하는 업종 또는, 특성에 따라 혼합하여 적재한다.
또한, 도 8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장갑(500)은 다섯 개 손가락 부위의 상부지(506)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51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굽힘 시에 접혀 있는 "ㄹ" 형 확장 부(101)가 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3중 형태의 클립(503)은 상, 하부 지(507, 506)의 접합 부(508) 가장자리 일정위치에 일 측에 손잡이(505)가 형성되고, 중앙부 좌, 우측에 걸림 돌기(504)가 형성되고, 상, 하부 지(507, 506)에 위치한 클립 부(503) 사이에 보조 원판(509)이 삽입되어 3중 형태의 클립(503)이 일체 되어 약간의 견고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미 도면) 상판 지가 롤에서 이동을 시작하면 미리 준비된 가이드 바 및 지지 바를 이용하여 "ㄹ" 형태로 상부 지를 형성하여 위치 및 형태가 유지되게 고열 도무송 프레스로 이동하며, 이때 하부 지는 또 다른 롤에서 이동하여 먼저 보호 시트가 일 측에 부착된 접합부를 일정위치에 띠 형태로 부착하여 위치가 유지되게 고열 도무송 프레스로 이동하면 미리 대기중인 손가락 모양의 고열 도무송 프레스가 하강하여 하나의 제품을 형성한다. 이때 미리 형성된 연결 바와 함께 형성하되 연결 바 일 측은 사용자가 손쉽게 절개 할 수 있도록 절취선을 형성하여 손가락장갑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장갑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장갑 제작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화학물질, 위생을 중시하고 섬세하고, 예민한 의료물질, 전자 부품 등 일반산업체에 적용되며, 굳이 다섯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는 모든 분야에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적용된다.
손가락장갑(100) "ㄹ" 형 확장 부(101)
조임 부(102) 손잡이(105)
접착 부(106) 상부지(108)
하부지(109) 일회용장갑(500)
클립(503) 보조 원판(509)
연결 바(602)

Claims (3)

  1. 본 발명은 합성수지 계통의 비닐 원단을 적용한 일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개별적 손가락 부위에 끼우는 골무 형태의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101); 타 측에 조임 부(102)를 형성하여 손가락장갑(100)을 착용 후 활동 시에 이탈을 방지 수단; 손가락장갑(100)의 하부지(109) 타 측에 사용자 피부에 직접 부치는 접착 부(106)가 형성된 손잡이(105); 상기 상, 하부 지(108, 109)를 접합(103) 후 손가락 끝 부분(107)을 손가락장갑(100) 일 측 내주 면으로 일정부분 삽입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손가락장갑(100)의 연속적 적재 형태는 일 측에 개구부(601)가 형성된 적재용기(600)에 적재하기위하여 개별적 손가락장갑(100)의 일정 다수위치에 연결 바(602)로 상호 연결하되, 엄지, 검지, 중지의 3개 손가락장갑(100)을 연결 바(602)로 일체화하되 3개 손가락장갑(100)이 일체 독립하되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한다. 이때 다섯 손가락장갑, 또는 엄지, 검지 두 손가락장갑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수단;
    상기 손가락장갑(100)의 독립적 적재 형태는 개별적 손가락장갑(100)의 일정 다수 위치에 연결 바(602)로 상호 연결하되, 엄지, 검지, 중지의 3개 손가락장갑(100)을 연결 바(602)로 일체화하되 3개 손가락장갑(100)이 일체 독립되어 상호 포개어 적재한다. 이때 다섯 손가락장갑, 또는 엄지, 검지 두 손가락장갑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3. 본 발명은 합성수지 계통의 비닐 원단을 적용한 일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다섯 개 손가락 부위의 상부지(506)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510);
    상, 하부 지(507, 506)의 접합 부(508) 가장자리 일정위치에 일 측에 손잡이(505)가 형성되고, 중앙부 좌, 우측에 걸림 돌기(504)가 형성되고, 상, 하부지(507, 506)에 위치한 클립 부(503) 사이에 보조 원판(509)이 삽입되어 3중 형태의 클립(503)이 일체 된 조임 수단을 형성한 일회용 장갑(500);
    상기 손가락장갑(100)의 상부지(108) 일정 다수위치에 ?? 형 확장 부(101)와 타 측의 조임 부(102) 및 일회용 장갑(500)의 상부지(506) 일정 다수위치에 "ㄹ" 형 확장 부(510) 및 3중 형태의 클립(503)이 일체 된 조임 수단으로 인하여 장갑의 형태가 착용자의 손 부피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착용 시에 헐거워지고 엉성한 형태의 착용감을 배제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KR1020140089953A 2014-07-15 2014-07-15 일회용 비닐장갑 KR20160008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53A KR20160008940A (ko) 2014-07-15 2014-07-15 일회용 비닐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53A KR20160008940A (ko) 2014-07-15 2014-07-15 일회용 비닐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40A true KR20160008940A (ko) 2016-01-25

Family

ID=5530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953A KR20160008940A (ko) 2014-07-15 2014-07-15 일회용 비닐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9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66B1 (ko) 2016-08-12 2017-03-09 주식회사 마루에너지 일회용 비닐장갑 및 일회용 비닐장갑 착용 장치
KR20220082265A (ko) * 2020-12-10 2022-06-17 조준호 일회용 종이장갑
KR102574073B1 (ko) * 2022-08-31 2023-09-01 심재완 손등 패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66B1 (ko) 2016-08-12 2017-03-09 주식회사 마루에너지 일회용 비닐장갑 및 일회용 비닐장갑 착용 장치
KR20220082265A (ko) * 2020-12-10 2022-06-17 조준호 일회용 종이장갑
KR102574073B1 (ko) * 2022-08-31 2023-09-01 심재완 손등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128A (en) Finger protector apparatus
USD912352S1 (en) Disposable glove of absorbent material
USD848748S1 (en) Finger mounted toothbrush with reinforced bristleless regions
USD817593S1 (en) Glove
USD827306S1 (en) Finger mounted toothbrush
US2976540A (en) Physician's examination hand mitt
US9656150B2 (en) Glove
KR20160008940A (ko) 일회용 비닐장갑
USD787154S1 (en) Glove
USD827245S1 (en) Glove having contrasting region
USD907774S1 (en) Wrist cuff cover for sphygmomanometer
USD654657S1 (en) Glove
US20170258156A1 (en) Glove with Tabs
US20160037838A1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disposable glove
JP2021152236A (ja) 手袋
US20180213862A1 (en) Disposable cut resistant glove
KR200485566Y1 (ko) 손목 밀폐형 비닐장갑
KR101243027B1 (ko) 굴곡형 비닐장갑
KR200463267Y1 (ko) 음식물 취급용 위생 장갑
JP2020186500A (ja) 指カバー具
KR101583786B1 (ko) 지름 가변형 말이식 손가락 위생 장갑
US20100122397A1 (en) Thumb glove
US11684189B2 (en) Eating aid
KR101815872B1 (ko) 고무장갑 행거
USD904693S1 (en) Gl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