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580B1 -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580B1
KR102493580B1 KR1020220138692A KR20220138692A KR102493580B1 KR 102493580 B1 KR102493580 B1 KR 102493580B1 KR 1020220138692 A KR1020220138692 A KR 1020220138692A KR 20220138692 A KR20220138692 A KR 20220138692A KR 102493580 B1 KR102493580 B1 KR 10249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unit
module
couple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650A (ko
Inventor
백동선
이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에프씨
Priority to KR102022013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580B1/ko
Priority to KR1020220158598A priority patent/KR20240057941A/ko
Priority to KR1020220158597A priority patent/KR20240057940A/ko
Publication of KR2022016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1/00Measuring aid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Length-Measuring Devices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AREA)

Abstract

의류 치수 측정 장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림(rim) 형상을 갖는 거치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이전 공정에서 제조된 바지의 허리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지 클램프 모듈;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주름에 의하여 신축되는 주름부재 및 상기 주름부재에 공기를 공급 또는 제거하는 급배기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팽창 모듈; 및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DEVICE FOR MEASURING CLOTHES DIMENSION, AND APPARTUS FOR INSPECTING CLOTHS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열악한 외부 환경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 기능 및 외관을 수려하게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각각의 사람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의류를 제작하는 맞춤형 의복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의류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작되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기성복이 널리 제작 및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류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작되는 기성복은 가격이 저렴한 반면 구매자의 신체 조건에 정확하게 맞지 않아 심미성이 감소될 수 있다.
남성의 경우 마른 체형, 비만 체형, 운동 여부에 따라서 허리 사이즈, 허벅지 사이즈, 종아리 사이즈가 서로 달라 기성복을 구매하기 매우 어렵다.
남성 기성복 바지의 경우 제조사는 기성복 바지의 모델에 따라 총기장, 허리 둘레, 힙둘레, 허박지 둘레, 밑위길이 및 밑단 둘레를 측정하여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사에세 제공하는 바지의 사이즈에도 불과하고 신체 조건에 가장 적합한 바지를 구매하여도 신체에 맞지 않아 반품 및 교환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바지의 사이즈가 제한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남성 바지의 경우 허리 둘레는 맞지만 허벅지 둘레가 맞지 않거나, 허리 둘레는 맞지만 종아리 둘레가 맞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허벅지 둘레를 기준으로 할 경우 허리 둘레가 맞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남성의 경우 허리 둘레에 맞게 바지를 구매한 후 총기장을 줄이기 위해 바지 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절단한 경우 바지의 밑단의 통이 너무 넓어져 입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대부분 기성복 제조사의 경우는 허벅지 1곳에서의 허벅지 둘레 사이즈를 제공 및 바지의 밑단 둘레만을 기본적으로 제공할 뿐, 바지의 길이 방향으로 허벅지 둘레에 대한 복수개의 사이즈 정보 및 바지의 밑단을 일정 길이 절단한 후 절단된 위치에서 대략적인 바지 밑단의 둘레에 대한 정보 등은 제공하지 않아 구매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162077호, 자동의복검사 및 측정 시스템(등록일: 2001년2월 23일) 일본 특허공보 제6994618호, 의복의 사이즈 선택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등록일자 : 2021년 12월 16일) 공개특허 10-2020-0084780, 이미지를 이용하여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고, 의류 사이즈를 추천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공개일자 : 2020년07월13일)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각 부위별 사이즈를 보다 세분하여 측정하여 각각의 의류에 대한 정확한 부위별 사이즈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의복에 제공하여 구매자가 정확한 의류 사이즈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전수 검사하여 의류 중 불량이 있는 의류를 판별하여 불량품 의류가 유통되지 않도록 하는 의류 치수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를 보다 세분하여 측정 및 의류를 검사할 수 있는 과정을 자동화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및 검사를 수행한 후 의류를 스팀에 의한 다림질을 수행한 후 출하되도록 함으로써 기성복의 품질을 향상시킨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의류 치수 측정 장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림(rim) 형상을 갖는 거치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이전 공정에서 제조된 바지의 허리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지 클램프 모듈;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주름에 의하여 신축되는 주름부재 및 상기 주름부재에 공기를 공급 또는 제거하는 급배기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팽창 모듈; 및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모듈을 포함한다.
의류 치수 측정 장치의 상기 바지 팽창 모듈의 상기 주름 부재에는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의류 치수 측정 장치는 상기 주름 부재에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스팀이 배출되어 상기 바지의 주름을 펴는 스팀 공급 유닛 및 상기 주름 부재에 고온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건조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스팀에 의하여 젖은 상기 바지를 건조하는 건조 공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다림질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의류 치수 측정 장치의 상기 다림질 유닛은 상기 바지의 전후면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바지의 형상대로 음각되어 상기 바지를 감싸는 다림질틀 및 상기 다림질틀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다림질틀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의류 치수 측정 장치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체인 벨트 유닛 및 상기 체인 벨트 유닛을 순환시키는 순환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며, 의류 치수 측정 장치의 상기 사이즈 산출 모듈은 상기 바지 팽창 모듈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닛 및 상기 승하강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바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촬영하여 상기 바지의 부위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상기 부위별 이미지로부터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의류 치수 측정 장치는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산출된 복수개의 상기 바지 사이즈를 인터넷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생성 유닛, 상기 QR 코드 생성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QR코드를 라벨에 인쇄하는 QR코드 인쇄 유닛 및 상기 라벨을 상기 바지에 장착하는 라벨 장착 유닛을 포함하는 라벨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의류 치수 측정 장치의 복수개의 상기 바지 사이즈는 허리 사이즈, 직경이 감소되는 허벅지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복수개의 허벅지 통 사이즈, 직경이 감소되는 종아리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복수개의 종아리 통 사이즈 및 상기 바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바지의 허리 부분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상기 바지의 통을 다수번 측정하여 산출된 바지 끝단 통 사이즈들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림(rim) 형상을 갖는 거치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이전 공정에서 제조된 바지의 허리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지 클램프 모듈;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주름에 의하여 신축되는 주름부재 및 상기 주름부재에 공기를 공급 또는 제거하는 급배기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팽창 모듈;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모듈; 및 상기 바지 팽창 모듈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바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바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촬영하여 상기 바지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용 촬영 유닛 및 상기 검사용 촬영 유닛이 상기 바지를 360도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바지 주변으로 상기 검사용 촬영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는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각 부위별 사이즈를 보다 세분하여 측정하여 각각의 의류에 대한 정확한 부위별 사이즈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의복에 제공하여 구매자가 정확한 의류 사이즈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전수 검사하여 의류 중 불량이 있는 의류를 판별하여 불량품 의류가 유통되지 않도록 하며, 제조 공장에서 제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를 보다 세분하여 측정 및 의류를 검사할 수 있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제조 공장에서 제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및 검사를 수행한 후 의류를 스팀에 의한 다림질을 수행한 후 출하되도록 함으로써 기성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지 클램프 모듈 및 바지 팽창 모듈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송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이즈 산출 유닛에 의하여 산출된 바지 사이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라벨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바지 분리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900)는 바지 클램프 모듈(100), 바지 팽창 모듈(200) 및 사이즈 산출 모듈(55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900)는 이송 모듈(300), 검사 모듈(700), 제어 모듈(C), 라벨 모듈(600) 및 바지 분리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지 클램프 모듈 및 바지 팽창 모듈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지 클램프 모듈(100)은 지지대(110), 거치대(130) 및 클램프(150)를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가로바(112), 체인 고정바(114) 및 세로바(116)를 포함한다.
가로바(112)는 지면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가로바(11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 고정부(114)는 가로바(112)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체인 고정부(114)에는 후술될 체인 벨트 유닛이 결합된다. 체인 고정부(114)의 길이는 후술될 체인 벨트 유닛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가로바(112)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체인 고정부(114)들 및 가로바(112)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H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로바(116)는 가로바(112)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로바(116)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방향으로 가로바(112)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바(116)는 후술될 거치대(130) 및 바지 팽창 모듈(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대(130)는 세로바(116)의 하단에 고정되며, 거치대(130)는 지면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세로바(116)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130)는 세로바(116)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나 이와 다르게 거치대(130)는 세로바(11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거치대(130)는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림(rim) 형상또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3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의 사이즈는 바지의 허리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50)는 거치대(130)의 하면에 장착되며, 클램프(150)는 거치대(130)의 하면을 따라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150)는 이전 공정에서 제조된 바지의 허리부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바지의 허리통 부분은 클램프(150)에 의하여 원형 형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거치대(130)에 결합된다.
클램프(150)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바지를 클램핑하거나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바지에 클램핑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지 클램프 모듈(100)은 후술될 이송 모듈(30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결합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바지 팽창 모듈(200)은 바지 클램프 모듈(100)의 거치대(110)의 세로바(116)에 고정된다.
바지 팽창 모듈(200)은 장착대(210), 주름 부재(230) 및 급배기 유닛(250)을 포함한다.
장착대(210)는, 예를 들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대(210)는 지지대(110)의 세로바(116)에 결합되고, 장착대(210)는 거치대(130)의 상부에 바지와 마주하게 지지대(110)의 세로바(116)에 결합된다.
주름 부재(230)는 장착대(210)의 하면에 결합되며, 주름 부재(230)는 유체가 제공됨에 따라 길이 및 폭이 증가되고,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길이 및 폭이 감소되는 다수개의 신축성 주름을 갖는다.
주름 부재(230)는 바지의 허리부와 대응하는 제1 주름 부재(232) 및 바지의 다리부와 대응하는 제2 주름 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주름 부재(232,2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름 부재(230)에 유체가 제공되면 제1 주름 부재(232)는 바지의 허리부를 팽팽하게 팽창시키며, 제2 주름 부재(234)는 바지의 다리부를 팽팽하게 팽창시킨다.
급배기 유닛(250)은 장착대(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급배기 유닛(250)은 공기와 같은 유체를 주름 부재(230)로 공급 또는 제거한다.
급배기 유닛(250)은 장착대(210)를 관통하는 호스(252)에 의하여 주름 부재(230)에 연통된다.
급배기 유닛(250)에 의하여 공기가 호스(252)로 제공될 경우 주름 부재(230)는 팽창되고, 급배기 유닛(250)에 의하여 공기가 주름 부재(240)로부터 호스(252)를 통해 배출될 경우 주름 부재(240)는 수축된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름 부재(23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236)이 형성되며, 관통홀(236)들은 미세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관통홀(236)은 제1 주름 부재(232)에는 단위 면적당 제1 개수로 형성되고, 제2 주름 부재(234)에는 단위 면적당 제1 개수보다 많은 제2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 부재(230)에 형성된 관통홀(236)은 급배기 유닛(250)으로부터 과도한 공기가 주름 부재(230)로 제공되더라도 신축성 있는 주름 부재(230)가 지나치게 팽창되어 터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주름 부재(230)에 형성된 관통홀(236)은 주름 부재(230)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바지를 스팀으로 다림질하여 바지가 출하될 때 바지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900)는 다림질 유닛(800)을 더 포함한다.
다림질 유닛(800)은 스팀 공급 유닛(810), 건조 공기 공급 유닛(820), 다림질틀(830) 및 다림질틀 구동 유닛(850)을 포함한다.
스팀 공급 유닛(810)은 급배기 유닛(250)으로부터 주름 부재(230)로 공기가 제공되어 바지가 팽창된 상태에서 주름 부재(230)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팀 공급 유닛(810)은 급배기 유닛(2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공급 유닛(810)은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물 탱크에 수납된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가열 유닛 및 고온의 스팀을 토출하는 송풍 유닛 및 스팀이 이동되는 통로인 스팀 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공급 유닛(810)에 의하여 주름 부재(230)로 제공된 고온의 스팀은 주름 부재(230)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236)을 통해 주름 부재(230)의 외부로 토출되고 스팀에 의하여 바지에 형성된 주름은 스팀에 의하여 펴지게 된다.
한편, 스팀 공급 유닛(810)에 의하여 스팀이 바지에 공급될 경우 바지의 주름이 펴지면서 바지가 스팀에 의하여 젖게 되는데, 스팀에 의하여 바지가 젖은 상태에서 포장될 경우 유통 과정에서 바지에 곰팡이, 세균 번식과 같은 치명적인 불량이 생길 수 있다.
건조 공기 공급 유닛(820)은 스팀에 의하여 바지에 형성된 주름이 펴지는 과정에서 젖은 바지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주름 부재(230)에 고온 건조 공기를 공급한다.
건조 공기 공급 유닛(820)은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 송풍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가열 유닛 및 가열된 공기가 이송되는 송풍 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공기 공급 유닛(820)은. 예를 들어, 급배기 유닛(230)에 상부에 스팀 공급 유닛(8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조 공기 공급 유닛(820)에 의하여 생성 및 송풍되는 고온 건조 공기는 주름 부재(230)의 내부로 제공되고, 고온 건조 공기는 주름 부재(230)에 형성된 관통홀(236)로부터 바지로 토출되고, 고온 건조 공기에 의하여 주름 부재(230)에 의하여 팽창된 바지는 완전히 건조된다.
한편, 다림질 유닛(800)의 스팀 공급 유닛(810)에 의하여 바지로 스팀이 인가될 때 스팀과 함께 바지의 주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펴기 위해서 바지의 외측에는 다림질틀(83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림질틀(830)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다림질틀(830)은 팽창된 바지의 형상대로 음각되어 한 쌍의 다림질틀(830)이 바지를 감싼 상태에서 스팀이 주름 부재(230)로 제공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다림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다림질틀(830)의 내측면에 바지가 밀착된 상태에서 바지에 스팀이 제공되기 때문이며, 다림질틀(830)이 다림이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림질틀(83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유닛 또는 다림질틀(830)의 내측면에 다림질틀(83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등을 배치함으로써 다림질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다림질틀(830)이 바지를 감싸기 위해 바지와 밀착 또는 바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 다림질틀 구동 유닛(850)이 다림질틀(830)에 결합된다.
다림질틀 구동 유닛(850)은 직선 왕복 운동하는 다양한 기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직선왕복운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송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모듈(300)은 체인 벨트 유닛(330) 및 순환 유닛(370)을 포함한다.
체인 벨트 유닛(330)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체인(310) 및 제2 체인(320)을 포함한다. 체인 벨트 유닛(330)은 1개의 체인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바지 클램프 모듈(100)을 안정적으로 이송 및 바지 클램프 모듈(1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 벨트 유닛(330)은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체인(310) 및 제2 체인(320)을 포함한다.
제1 체인(310) 및 제2 체인(320) 사이의 간격은 바지 클램프 모듈(100)의 체인 고정바(114)의 사이 간격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며, 가로바(112)의 양단에 결하뵌 체인 고정바(114)에는 각각 제1 및 제2 체인(310,320)들이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순환 유닛(370)은 상호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 유닛(340) 및 구동 유닛(34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피동 유닛(360)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340)은 각각 구동 풀리(342) 및 회전축(352)을 갖는 구동 모터(350)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342)는 제1 및 제2 체인(310,320)들과 결합되는 스프로킷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구동 모터(350)의 회전축(352)은 구동 풀리(342)의 회전 중심에 결합된다. 구동 모터(350)는 구동 풀리(342)를 회전 및 제1 및 제2 체인(310,320)을 회전시킨다.
피동 유닛(360)은 구동 유닛(34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피동 유닛(360)은 제1 및 제2 체인(310,320)들에 각각 결합되는 피동 풀리(362)를 포함하며, 피동 풀리(362)는 제1 및 제2 체인(310,320)에 결하뵈는 스프로킷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순환 유닛(370)은 제1 및 제2 체인(310,320)들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순환 유닛(370)이 회전됨에 따라 제1 및 제2 체인(310,320)에 결합되는 바지 클램프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부에서는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반면, 상대적으로 하부에서는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뒤집히게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사이즈 산출 모듈(550)은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 및 사이즈 산출 유닛(500)을 포함한다.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은 바지의 부위별 이미지를 생성한다.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은 제1 승하강 유닛(410) 및 촬영 유닛(42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은 도피 유닛(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하강 유닛(410)은 촬영 유닛(420)을 바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승하강 유닛(410)은 유압 실린더, 랙 피니언 유닛, 리드스크류 유닛 등 다양한 직선 왕복 운동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촬영 유닛(420)은, 예를 들어, CCD를 포함하며, 촬영 유닛(420)은 바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지의 다양한 부분, 예를 들어, 허리부, 허벅지부, 종아리부, 바지 밑단을 촬영하여 바지의 각 부위에 대한 부위별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피 유닛(430)은 촬영 유닛(420)이 바지를 촬영할 때에는 바지와 근접하도록 하고 촬영 유닛(420)이 바지를 촬영하지 않을 때에는 제1 및 제2 체인(310,320)의 외측으로 도피하여 바지와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피 유닛(430)은 직선 왕복 운동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이 바지의 이미지를 생성할 때 바지는 바지 팽창 모듈(200)에 의하여 팽창된 상태이다.
사이즈 산출 유닛(500)은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로부터 발생된 부위별 이지를 영상 처리하여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산출한다.
도 7은 사이즈 산출 유닛에 의하여 산출된 바지 사이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이즈 산출 유닛(500)에서 산출되는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는 허리 사이즈(A), 직경이 감소되는 허벅지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번 측정하여 산출된 허벅지 통 사이즈(B1,B2,B3,B4,B5), 직경이 감소되는 종아리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복수개의 종아리 통 사이즈(C1,C2,C3,C4), 바지의 끝단으로부터 바지의 허리 부분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바지의 통을 다수번 측정하여 산출된 바지 끝단 통 사이즈(D1,D2,D3), 바지의 전체 길이 사이즈(E) 및 밑위길이(F) 및 힙 둘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지를 구매할 때 허리 사이즈(A)는 물론, 허벅지 통 사이즈, 종아리 통 사이즈를 고려하여 바지를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키에 맞춰 바지의 끝단을 일정 길이 절단하였을 때 바지의 끝단의 통 사이즈도 고려하여 바지를 구매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하는 바지를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지의 치수가 맞지 않아 반품 및 교환하는 빈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사이즈 산출 유닛(500)에 의하여 바지의 각 부위별 사이즈가 산출되면, 사이즈 산출 유닛(500)에 의하여 산출된 부위별 사이즈는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검사 모듈(700)은 바지 클램프 모듈(100)에 의하여 클램핑되고, 바지 팽창 모듈(200)에 의하여 팽창된 바지의 품질을 검사한다.
검사 모듈(700)은 제2 승하강 유닛(710), 검사용 촬영 유닛(720) 및 회전 모듈(730)을 포함한다.
제2 승하강 유닛(710)은 다양한 직선 왕복 운동 기구를 포함하며, 검사용 촬영 유닛(720)을 바지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검사용 촬영 유닛(720)은 CCD 카메라 등을 포함하며, 검사용 촬영 유닛(720)은 앞서 설명한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400)의 촬영 유닛(420) 대비 해상도가 뛰어난 컬러 CCD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검사용 촬영 유닛(720)은 바지의 미세한 파손, 절단, 박음질 상태, 지퍼 및 단추의 상태, 올 풀어짐, 색상 불량 등 바지의 전체적인 상태를 검사 및 바지의 정확한 색상을 판별할 수 있다.
검사용 촬영 유닛(720)에 의하여 검사된 항목은 양부 판별 뿐만 아니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특히 바지의 정확한 색상은 후술될 라벨 모듈에 의하여 인쇄된 후 라벨 등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바지의 정확한 색상도 라벨 또는 QR 코드를 통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회전 모듈(730)은 검사용 촬영 유닛(720)이 바지를 360도 검사할 수 있도록 검사용 촬영 유닛(720)이 바지 주변을 따라 회전시킨다.
회전 모듈(730)은 회전축(734)을 갖는 모터(732) 및 모터(732)의 회전축(734)에 결합되는 제2 승하강 유닛(710)이 고정되는 수평바(736)를 포함한다.
수평바(736)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734)가 결합되고, 수평바(736)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승하강 유닛(710)이 결합되고, 회전축(734)의 상부에 바지가 배치됨으로써 회전축(734)의 회전에 의하여 검사용 촬영 유닛(720)은 바지의 주변을 회전하면서 바지를 검사한다.
물론, 검사용 촬영 유닛(720)을 고정한 상태에서 바지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바지 클램프 유닛(100)이 바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지 클램프 유닛(100)을 회전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회전 모듈(730)을 사용한다.
도 9는 라벨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라벨 모듈(600)은 QR 코드 생성 유닛(610), QR 코드 인쇄 유닛(620), 라벨 장착 유닛(630)을 포함한다.
QR 코드 생성 유닛(610)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바지의 부위별 사이즈를 사용자가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QR 코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QR 코드는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가 저장된 인터넷 사이트 주소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핸드폰 등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서 쉽고 빠르게 바지 사이즈를 확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수 있다.
QR 코드 인쇄 유닛(620)은 종이 또는 천으로 형성된 라벨에 QR 코드 생성 유닛(610)에 의하여 생성된 QR 코드를 인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QR 코드 인쇄 유닛(620)은 오프라인으로 매장에서 바지를 구매하는 소비자를 위해 라벨에 QR코드와 함께 부위별 바지 사이즈를 도식으로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라벨 장착 유닛(630)은 QR 코드가 인쇄된 라벨을 바지의 특정 위치에 장착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바지 분리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라벨 장착 유닛(630)에 의하여 바지에 QR 코드까지 장착되면, 바지 팽창 모듈(200)에 의하여 팽창된 바지는 바지 분리 유닛(800)에 의하여 분리된 후 포장 공정으로 이송된다.
바지 분리 유닛(800)은 바지 그립 유닛(810), 정렬 유닛(820) 및 승하강 유닛(830)을 포함한다.
바지 그립 유닛(810)은 바지 팽창 모듈(200)에 의하여 팽창된 바지의 바지단을 그립한다.
정렬 유닛(820)은 바지 그립 유닛(810)이 지정된 위치에서 바지의 바지단을 정확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며, 정렬 유닛(820)은 바지 팽창 모듈(200)로부터 분리한 후 제1 및 제2 체인(310,320)의 외부로 이송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승하강 유닛(830)은 바지 팽창 모듈(200)로부터 공기가 제거되어 주름 부재(230)의 부피가 감소되는 과정에서 바지를 상승시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주름 부재(230)로부터 바지가 분리되도록 한다.
바지 팽창 모듈(200)로부터 바지가 분리되면 정렬 유닛(820)에 의하여 바지가 제1 및 제2 체인(310,320)의 외부로 이동된 후 포장 공정에서 포장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각 부위별 사이즈를 보다 세분하여 측정하여 각각의 의류에 대한 정확한 부위별 사이즈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의복에 제공하여 구매자가 정확한 의류 사이즈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전수 검사하여 의류 중 불량이 있는 의류를 판별하여 불량품 의류가 유통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를 보다 세분하여 측정 및 의류를 검사할 수 있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공장에서 제된 다양한 종류의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및 검사를 수행한 후 의류를 스팀에 의한 다림질을 수행한 후 출하되도록 함으로써 기성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바지 클램프 모듈 200 ... 바지 팽창 모듈
300 ... 이송 모듈 400 ... 바지 이미지 생성 모듈
500 ... 사이즈 산출 유닛 550 ... 사이즈 산출 모듈
600 ... 라벨 모듈 700 ... 검사 모듈
800 ... 다림질 유닛 C ... 제어 모듈

Claims (7)

  1.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림(rim) 형상을 갖는 거치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이전 공정에서 제조된 바지의 허리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지 클램프 모듈;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주름에 의하여 신축되는 주름부재 및 상기 주름부재에 공기를 공급 또는 제거하는 급배기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팽창 모듈; 및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 팽창 모듈의 상기 주름 부재에는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 부재에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스팀이 배출되어 상기 바지의 주름을 펴는 스팀 공급 유닛 및 상기 주름 부재에 고온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건조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스팀에 의하여 젖은 상기 바지를 건조하는 건조 공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다림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림질 유닛은 상기 바지의 전후면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바지의 형상대로 음각되어 상기 바지를 감싸는 다림질틀 및 상기 다림질틀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다림질틀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체인 벨트 유닛 및 상기 체인 벨트 유닛을 순환시키는 순환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즈 산출 모듈은 상기 바지 팽창 모듈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닛 및 상기 승하강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바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촬영하여 상기 바지의 부위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이미지 생성 유닛 및 상기 부위별 이미지로부터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산출된 복수개의 상기 바지 사이즈를 인터넷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QR 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생성 유닛, 상기 QR 코드 생성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QR코드를 라벨에 인쇄하는 QR코드 인쇄 유닛 및 상기 라벨을 상기 바지에 장착하는 라벨 장착 유닛을 포함하는 라벨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바지 사이즈는 허리 사이즈, 직경이 감소되는 허벅지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복수개의 허벅지 통 사이즈, 직경이 감소되는 종아리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산출된 복수개의 종아리 통 사이즈 및 상기 바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바지의 허리 부분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상기 바지의 통을 다수번 측정하여 산출된 바지 끝단 통 사이즈들을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장치.
  7.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림(rim) 형상을 갖는 거치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이전 공정에서 제조된 바지의 허리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지 클램프 모듈;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상기 바지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주름에 의하여 신축되는 주름부재 및 상기 주름부재에 공기를 공급 또는 제거하는 급배기 유닛을 포함하는 바지 팽창 모듈;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바지 사이즈를 생성하는 사이즈 산출 모듈; 및
    상기 바지 팽창 모듈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바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지의 길이 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바지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촬영하여 상기 바지의 외관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용 촬영 유닛 및 상기 검사용 촬영 유닛이 상기 바지를 360도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바지 주변으로 상기 검사용 촬영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모듈을 포함하는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KR1020220138692A 2022-10-25 2022-10-25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KR10249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92A KR102493580B1 (ko) 2022-10-25 2022-10-25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KR1020220158598A KR20240057941A (ko) 2022-10-25 2022-11-23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장치
KR1020220158597A KR20240057940A (ko) 2022-10-25 2022-11-23 바지를 팽창시켜 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92A KR102493580B1 (ko) 2022-10-25 2022-10-25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597A Division KR20240057940A (ko) 2022-10-25 2022-11-23 바지를 팽창시켜 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220158598A Division KR20240057941A (ko) 2022-10-25 2022-11-23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650A KR20220162650A (ko) 2022-12-08
KR102493580B1 true KR102493580B1 (ko) 2023-01-31

Family

ID=844369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692A KR102493580B1 (ko) 2022-10-25 2022-10-25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KR1020220158597A KR20240057940A (ko) 2022-10-25 2022-11-23 바지를 팽창시켜 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220158598A KR20240057941A (ko) 2022-10-25 2022-11-23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597A KR20240057940A (ko) 2022-10-25 2022-11-23 바지를 팽창시켜 치수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220158598A KR20240057941A (ko) 2022-10-25 2022-11-23 의류의 부위별 사이즈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935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10Y1 (ko) 2003-07-16 2003-11-05 이병수 바지 프레스의 주름 가압장치
JP2009165670A (ja) 2008-01-17 2009-07-30 Kurose Technical:Kk ズボン乾燥機
KR101748416B1 (ko) 2016-08-05 2017-06-16 김정인 스탠드형 다림질 장치
WO2020010441A1 (en) 2018-07-09 2020-01-16 Kevin Nielson Shape-adjustable chroma key compatible mannequin or body suit, and associated 3d image capture equipment
JP2020027406A (ja) 2018-08-10 2020-02-20 株式会社Ntc 測定システム、測定方法、測定サーバおよび測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652A (en) * 1993-08-11 1996-06-25 Levi Strauss & Co. Automatic garment insp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JP3162077U (ja) 2010-06-08 2010-08-19 オオサキメディカル株式会社 手術用ガーゼのホルダーと包装体
KR102380569B1 (ko) 2016-03-08 2022-03-30 더 라이크라 컴퍼니 유케이 리미티드 의복 사이즈 선택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32721B1 (ko) 2019-01-03 2020-07-10 (주) 아이딕션 신체 사이즈 측정용 사진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체 사이즈 측정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510Y1 (ko) 2003-07-16 2003-11-05 이병수 바지 프레스의 주름 가압장치
JP2009165670A (ja) 2008-01-17 2009-07-30 Kurose Technical:Kk ズボン乾燥機
KR101748416B1 (ko) 2016-08-05 2017-06-16 김정인 스탠드형 다림질 장치
WO2020010441A1 (en) 2018-07-09 2020-01-16 Kevin Nielson Shape-adjustable chroma key compatible mannequin or body suit, and associated 3d image capture equipment
JP2020027406A (ja) 2018-08-10 2020-02-20 株式会社Ntc 測定システム、測定方法、測定サーバおよび測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650A (ko) 2022-12-08
KR20240057940A (ko) 2024-05-03
KR20240057941A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2077B2 (ja) 自動衣服検査及び測定システム
JPH09505360A (ja) 自動化された衣服仕上げ処理システム
EP2098630A2 (en) Modular apparatus for adhesively assembling two fabric pieces
KR102493580B1 (ko) 의류 치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치수 측정 및 검사 장치
KR102373666B1 (ko) 살균처리가 가능한 의류제조시스템
CN218902710U (zh) 手机充电器外观检测设备
KR200463981Y1 (ko) 상의 다림장치
ITMO20090011A1 (it) Macchina stiratrice, particolarmente per la stiratura di indumenti quali camicie, giacche o simili
JP2020058502A (ja) 衣類折り畳み装置
US6116174A (en) Apparatus for framing fabrics in hoops
KR102221715B1 (ko) 부재의 치수변화 측정방법 및 장치
FI111348B (fi) Menetelmä tekstiilin käsittelyyn
US3619919A (en) Machine for pressing smock-type garments
US2915889A (en) Rug cleaning device
JP6108535B2 (ja) 布類検査装置
TWI539052B (zh) Sewing machine
JP6067960B2 (ja) カレンダーロールアイロナー
CN212353234U (zh) 一种自动化印刷生产线
KR20160004698A (ko) 셔츠 프레스 및 이의 제어 방법
EP0138371A2 (en) A trouser presser, and waist expander for trouser finisher
IT201900007770A1 (it)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controllo della stabilità dimensionale di un tessuto.
KR101067898B1 (ko) 바지용 열 전사 장치
CN117512921A (zh) 一种服饰制造用衣物熨烫设备
EP0122568B1 (en) Manikin for steam ironing clothes
KR200485844Y1 (ko) 바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