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973B1 -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973B1
KR102492973B1 KR1020210156734A KR20210156734A KR102492973B1 KR 102492973 B1 KR102492973 B1 KR 102492973B1 KR 1020210156734 A KR1020210156734 A KR 1020210156734A KR 20210156734 A KR20210156734 A KR 20210156734A KR 102492973 B1 KR102492973 B1 KR 102492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output
power
evacuation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21015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임의의 설치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면서, 지면을 향해 소정량의 빛을 방사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부; 상기 정보 출력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정보 출력부와 전원 공급부의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면서, 정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 유닛을 통해, 적어도 1종 이상의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Device for outputting guidance lights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소정 광량의 빛을 출력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처음 방문하는 병원, 실내공연장, 영화관, 도서관이나 어린이집등을 포함하는 실내다중복합시설 등에서 갑작스런 정전이나, 화재 시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건물 내부구조가 복잡한 관계로 출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경우 치명적인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각종 시설물에 있어 출구나 출구까지의 안내 유도표지가 없어서 대피지연 또는 일시적인 쏠림으로 인한 압사라는 대형 인명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 시설물의 내부 통로를 따라 바닥에 비상 통로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용 야광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이 종종 사용되고 있으나, 야광 도료의 얇은 도포층을 고려할 때 발광 효율이 매우 낮고, 행인의 발길에 의해 야광 도료가 쉽게 벗겨져서 수명이 짧은 관계로 재시공 또는 보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상기 야광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철역이나 각종 건물에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화재 등을 감시하는 센서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보행자의 탈출경로를 안내하는 비상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센서는 대부분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비상등은 벽면이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비상등의 경우, 화재 발생 시 건물에의 연기 등에 의해 식별하기가 쉽지 않으며, 건축물의 내벽에 매입되게 설치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설치 장소에도 제약 조건이 존재하여 반드시 필요한 위치에 설치가 어려워 명확한 대피 경로에 대한 안내를 진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다.
KR 10-1086767 B1 '비상시 유도기능을 갖는 엘이디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2011.11.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만으로도 건물 내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대피 경로를 보다 명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임의의 설치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면서, 지면을 향해 소정량의 빛을 방사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부; 상기 정보 출력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정보 출력부와 전원 공급부의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면서, 정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 유닛을 통해, 적어도 1종 이상의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정보 출력부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주 전원 유닛; 및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전원 유닛에서 상기 정보 출력부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정보 출력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보조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주 전원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조명 유닛;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소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소리 신호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 정보는, 임의의 상품을 광고하는 정보이면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광고 정보; 및 상기 설치 구역에서 출구까지의 대피 경로의 안내를 위한 정보이면서, 시각적 출력 방식 및 청각적 출력 방식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방식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대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대피 정보를 상기 조명 출력 장치의 설치 구역 바닥면 또는 벽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향해 출력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가 설치된 설치 구역에서, 상기 설치 구역의 온도, 습도, 연기의 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인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 출력부가 출력하는 빛의 휘도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취득된 연기의 양과 비례하여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 또는 벽면을 향해 조명을 출력하는 안내 조명 출력 장치와,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통해 획득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안내 조명 장치와 서비스 서버를 통신 연결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상기 설치 구역 상에 적어도 1종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정보 출력부; 상기 정보 출력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정보 출력부와 전원 공급부의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면서, 정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가 설치된 설치 구역의 환경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상기 설치 구역을 통행하는 통행자의 이동 경로를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카메라 유닛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촬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 경로를 분석한 정보인 이동 경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동 경로 분석 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 정보의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고. 상기 이동 경로 분석 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 정보의 유사도가 기준치를 하회하는 경우,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변경된 대피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를 통해 간편한 설치를 진행할 수 있으면서도, 정전 여부에 따라, 1종 이상의 안내 정보를 조명을 통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상황에 적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고 간편하게 필요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 상황 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동을 진행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 등에 따른 정전 시에도 안정적으로 대피 경로에 대한 안내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또한, 단순한 구조를 보유한 조명 유닛을 구비하고, 정전 유무에 따라 각각의 조명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명 유닛을 통해 보다 간편한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리 신호 출력 유닛을 통해, 정보의 시각적 출력과 함께, 상기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정보 전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또한, 평상시에는 광고 정보를 출력하여 상품에 대한 광고를 진행하면서,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대피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설치 구역의 바닥면 또는 벽면을 향해 대피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를 통해 설치 구역 내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향상된 신뢰성을 보유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연기의 양에 따라 대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빛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행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를 파악한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능동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조명 출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조명 출력 장치(1000)는 몸체(미도시), 정보 출력부(200), 전원 공급부(300), 제어부(400), 센서부(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미도시)는 임의의 설치 대상물에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미도시)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면서, 지면 또는 벽면을 향해 소정량의 빛을 방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조명 유닛은 제 1 조명 유닛(210) 및 제 2 조명 유닛(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조명 유닛(210)은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조명 유닛(220)은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상기 정보 출력부(2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 등에 의한 정전 시에도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 전원 유닛(310) 및 보조 전원 유닛(320)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은 상기 정보 출력부(2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은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전원 유닛(310)에서 상기 정보 출력부(20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정보 출력부(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은,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의 자연 방전에 의해 긴급 상황 발생 시 상기 제 2 조명 유닛(220)이 작동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 상황 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동을 진행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 등에 따른 정전 시에도 안정적으로 대피 경로에 대한 안내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400) 상기 정보 출력부(200)와 전원 공급부(300)의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면서, 정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정보 출력부(200)의 제어를 진행할 때,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 유닛(210,220)을 통해, 적어도 1종 이상의 안내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정보는 광고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고 정보는 임의의 상품을 광고하는 정보로, 형상이 존재하지 않는 무형 상품 및 유형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 구역에 대한 홍보를 진행하는 광고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정보는 시각적으로 출력되면서, 상기 설치 구역의 지면 또는 벽면에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 정보는 상기 설치 구역에서 출구까지의 대피 경로의 안내를 위한 정보이다.
특히, 상기 대피 정보는 시각적 출력 방식 및 청각적 출력 방식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정보 출력부(200)를 구성하는 조명 유닛(210)이 상기 대피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 출력 장치의 설치 구역 바닥면 또는 벽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향해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광고 정보를 출력하여 상품에 대한 광고를 진행하면서,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상기 대피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설치 구역의 바닥면 또는 벽면을 향해 대피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가 설치된 설치 구역의 환경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가 설치된 설치 구역에서, 상기 설치 구역의 온도, 습도, 연기의 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인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어부(400) 측으로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200)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설치 구역 내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향상된 신뢰성을 보유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00)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명 출력부(200)가 출력하는 빛의 휘도를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취득된 연기의 양과 비례하여 증감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연기의 양에 따라 대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빛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센서부(500)는 상술한 보조 전원 유닛의 잔여 전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전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의 잔여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인 전력량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조명 출력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소정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몸체(100) 내에 정보 출력부(200)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임의의 설치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설치 대상물은 건축물의 특정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동 수단에도 설치되어 상기 이동 수단에 부착된 채로 각종 정보의 출력을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명 유닛(210) 및 제 2 조명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조명 유닛(210)은 유지 보수 진행 시, 교체가 간편하도록 상기 몸체(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명 유닛(210)은 LED 모듈이 내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조명 유닛(210)의 전방에는 앞서 설명한 광고 정보가 출력되도록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로 구비되는 렌즈부재(2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 전원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후방에는 전원 공급 포트(2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명 유닛(220) 또한 마찬가지로 유지 보수 진행 시, 교체가 간편하도록 상기 몸체(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조명 유닛(210)은 LED 모듈이 내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조명 유닛(220)의 전방에는 앞서 설명한 대피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로 구비되는 렌즈부재(2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후방에는 전원 공급 포트(222)가 형성될 수 있다.
단순한 구조를 보유한 조명 유닛을 구비하고, 정전 유무에 따라 각각의 조명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명 유닛을 통해 보다 간편한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경우, 후술할 소리 신호 출력 유닛(230)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 있음에 따라 발명의 간결한 설명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소리 신호 출력 유닛(230)은, 상기 정보 출력부(200)를 구성하는 요소로, 상기 전원 공급부(3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1000)의 몸체 내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리 신호 출력 유닛(230)은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소리 신호 형식으로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정보인 긴급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소리 신호 출력 유닛(230)을 통해 출력되는 긴급 정보는 음성으로 대피로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정보와,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경보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리 신호 출력 유닛(230)을 통해, 상기 긴급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긴급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정보 전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안내 조명 출력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후술할 카메라 유닛(700)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 있음에 따라 발명의 간결한 설명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카메라 유닛(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카메라 유닛(700)은 상기 설치 구역을 통행하는 통행자의 이동 경로를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촬영 정보는 후술할 본 발명의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서 이동 경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행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를 파악한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능동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 또는 벽면을 향해 조명을 출력하는 안내 조명 출력 장치와,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통해 획득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안내 조명 장치와 서비스 서버를 통신 연결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기반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T)는 상기 서비스 서버(S)와 유무선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상기 단말기 내 정보, 생산자 및 소비자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상기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상기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생산자 및 소비자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상기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 연결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간의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의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한 연산 및/또는 처리 및/또는 가공을 진행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카메라 유닛(700)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촬영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카메라 유닛(700)을 통해 취득한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분석한 정보인 이동 경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피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인 대피 경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T)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이동 경로 분석 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 정보의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고. 상기 이동 경로 분석 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 정보의 유사도가 기준치를 하회하는 경우,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변경된 대피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유닛(700)을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S)에서 통행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를 파악한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능동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덧붙여,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센서부(500)에서 취득한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의 잔여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인 전력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T) 측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안내 조명 출력 장치
100 : 몸체
200 : 정보 출력부
210 : 제 1 조명 유닛
220 : 제 2 조명 유닛
230 : 소리 신호 출력 유닛
300 : 전원 공급부
310 : 주 전원 유닛
320 : 보조 전원 유닛
400 : 제어부
500 : 센서부
600 : 통신부
700 : 카메라 유닛
S : 서비스 서버
T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2)

  1. 임의의 설치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면서, 지면을 향해 소정량의 빛을 방사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210,220)을 포함하며, 적어도 1종 이상의 안내 정보를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정보 출력부(200);
    상기 정보 출력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보 출력부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주 전원 유닛(310)과,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전원 유닛에서 상기 정보 출력부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정보 출력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보조 전원 유닛(320)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300);
    상기 정보 출력부와 전원 공급부의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면서, 정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설치 대상물이 위치하는 설치 구역에서, 상기 설치 구역의 온도, 습도, 연기의 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인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렌즈부재(211)와, 후방에 전원 공급 포트(212)가 형성되는 제 1 조명 유닛(210);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렌즈부재(221)와, 후방에 전원 공급 포트(222)가 형성되는 제 2 조명 유닛(220);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임의의 상품을 광고하는 정보이면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광고 정보; 및
    상기 설치 구역에서 출구까지의 대피 경로의 안내를 위한 정보인 대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명 유닛과 상기 제 2 조명 유닛은 서로 다른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20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보 출력부(200)가 출력하는 빛의 휘도를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취득된 연기의 양과 비례하여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소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소리 신호 출력 유닛(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는,
    임의의 상품을 광고하는 정보이면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광고 정보; 및
    상기 설치 구역에서 출구까지의 대피 경로의 안내를 위한 정보이면서, 시각적 출력 방식 및 청각적 출력 방식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방식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대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대피 정보를 상기 조명 출력 장치의 설치 구역 바닥면 또는 벽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향해 출력하는 조명 유닛(210);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7. 삭제
  8. 삭제
  9.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 또는 벽면을 향해 조명을 출력하는 안내 조명 출력 장치와,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를 통해 획득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와 서비스 서버를 통신 연결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1000)는,
    임의의 설치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가 설치된 설치 구역 상에 적어도 1종 이상의 안내 정보를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정보 출력부(200);
    상기 정보 출력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보 출력부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주 전원 유닛(310)과,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전원 유닛에서 상기 정보 출력부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정보 출력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보조 전원 유닛(320)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300); 및
    상기 정보 출력부와 전원 공급부의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면서, 정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설치 구역의 온도, 습도, 연기의 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인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환경 정보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렌즈부재(211)와, 후방에 전원 공급 포트(212)가 형성되는 제 1 조명 유닛(210);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주 전원 유닛(310)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 유닛(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렌즈부재(221)와, 후방에 전원 공급 포트(222)가 형성되는 제 2 조명 유닛(220);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임의의 상품을 광고하는 정보이면서,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광고 정보; 및
    상기 설치 구역에서 출구까지의 대피 경로의 안내를 위한 정보인 대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명 유닛과 상기 제 2 조명 유닛은 서로 다른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20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보 출력부(200)가 출력하는 빛의 휘도를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취득된 연기의 양과 비례하여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조명 출력 장치는,
    상기 설치 구역을 통행하는 통행자의 이동 경로를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유닛(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카메라 유닛(700)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촬영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 경로를 분석한 정보인 이동 경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이동 경로 분석 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 정보의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고. 상기 이동 경로 분석 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 정보의 유사도가 기준치를 하회하는 경우,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제공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변경된 대피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0210156734A 2021-11-15 2021-11-15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49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34A KR102492973B1 (ko) 2021-11-15 2021-11-15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34A KR102492973B1 (ko) 2021-11-15 2021-11-15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973B1 true KR102492973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734A KR102492973B1 (ko) 2021-11-15 2021-11-15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9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767B1 (ko) 2009-10-06 2011-11-25 이익주 비상시 유도기능을 갖는 엘이디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0166A (ko) * 2011-08-19 2013-02-27 고재영 비상재해 및 다용도 레이저 유도등
KR101448461B1 (ko) * 2013-04-23 2014-10-15 김광우 비상정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정보 표시방법
KR101949883B1 (ko) * 2017-11-29 2019-05-20 (주)광인터내셔날 피난 유도를 위한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053701B1 (ko) * 2019-03-07 2019-12-09 이광흠 분리가능한 피난구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767B1 (ko) 2009-10-06 2011-11-25 이익주 비상시 유도기능을 갖는 엘이디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0166A (ko) * 2011-08-19 2013-02-27 고재영 비상재해 및 다용도 레이저 유도등
KR101448461B1 (ko) * 2013-04-23 2014-10-15 김광우 비상정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정보 표시방법
KR101949883B1 (ko) * 2017-11-29 2019-05-20 (주)광인터내셔날 피난 유도를 위한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053701B1 (ko) * 2019-03-07 2019-12-09 이광흠 분리가능한 피난구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5998B2 (en) Providing emergency egress guidance via peer-to-peer communication among distributed egress advisement devices
CN102298363B (zh) 简单节点式运输系统的控制方法与装置
AU2018282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ly interacting with elevators
US20180197502A1 (en) Glasses-type wearable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18505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based emergency egress and advisement
CN211827862U (zh) 一种多媒体互动电子沙盘
US11696107B2 (en) Heads up mass notification
EP36748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10822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2973B1 (ko)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안내 조명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US11935396B2 (en) Dynamic and/or adaptive signposting system
KR20120081328A (ko)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안내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광고 시스템
SE536311C2 (sv) Nödutrymningsmodul och nödutrymningssystem
KR102180258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JP2015025975A (ja) 通行者注意喚起装置
KR101482912B1 (ko) 상시 전원공급형 비젼보드를 이용하는 전광판 컨트롤 시스템
KR102261903B1 (ko) 이중화 전원 및 데이터 처리방법에 의한 재난경보·안내표지판
WO2018151972A1 (en) A evacuating system and evacuating method
KR101986489B1 (ko) 스마트 비상등
WO20221870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based emergency egress and advisement
KR100761045B1 (ko) 지하철 승강장용 광고 및 비상 유도 장치
KR102529298B1 (ko) 피난로 안내 시스템
JP2008102670A (ja) 集合住宅用避難誘導システム
TWM578855U (zh) Indoor emergency evacuation navigation system
KR102430954B1 (ko)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