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835B1 -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35B1
KR102492835B1 KR1020220092201A KR20220092201A KR102492835B1 KR 102492835 B1 KR102492835 B1 KR 102492835B1 KR 1020220092201 A KR1020220092201 A KR 1020220092201A KR 20220092201 A KR20220092201 A KR 20220092201A KR 102492835 B1 KR102492835 B1 KR 10249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dical
support
personal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승
변승혁
이연경
윤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Priority to KR102022009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35B1/ko
Priority to KR1020230008998A priority patent/KR102545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007Encryption, En-/decode, En-/decipher, En-/decypher, Scramble, (De-)compres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의무기록이나 질병 기록과 같은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 정보 및 모바일이나 웨어러블기기에 저장된 라이프로그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서버;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인코딩-디코딩 과정을 거쳐 개인에게 전송하고 마이데이터로 활용하는 데이터 관리서버; 및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Method of Utilizing Personnel Healthcare Record My-Data}
본 발명은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에서 임상 빅데이터 분석과 임상시험 솔루션을 제공하는 메디데이터는 시가총액이 41억달러(약 4조 4,000억 원)에 달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이처럼 보건의료 데이터를 올리고 거래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처가 마련되고 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에 대학병원 등 40개 기관이 참여하여 국내 5,000만 명 이상의 환자 진료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빅데이터로 구축되는 진료정보는 건강보험 정보이며, 개인의 종합건강검진 데이터를 통합 및 표준화하는 기업 및 기관은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개인의무기록 통합 기술 개발 연구 및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령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개인진료정보와 건강정보를 개인이 통합 관리 분석하여 맞춤형 개인건강 증진 및 보건 의료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여 개인건강기록 서비스가 Health ICT의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IT, BT, NT 등의 기술이 의료 서비스와 Convergence 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산업이 확대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확산, 개인건강기기, 모바일헬스 기술 등 관련 기술과 함께 향후 산업화가 예상되는 개인건강기록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의무기록 통합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과의 연계를 통한 PHR 정보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특정 관련 기관들(의료기관, 보험사 등)이 공유ㆍ연동할 수 있는 병원 시스템에서 종속되지 않는 Interconnected PHR 로 발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Interconnected PHR은 다양한 의료기관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서 분산된 다수의 서버 혹은 하나의 서버에 통합하여 저장하는 형태의 PHR이다.
특정 의료기관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이 본인의 건강기록에 대해 완벽한 관리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진료 정보교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개인의 완전한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로 다른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양식의 의무기록을 전송받아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서식과 용어 표준화 등이 선결되어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표준화 대상은 용어, 코드 등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부터 진료방식, 서식, 행정시스템 등 각 건강, 의료 기관들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도 있으며 그 중에도 용어는 가장 큰 장애 요인이며 국가 표준이 요구되고 있다.
의료데이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질병 기록과 같은 의료 정보, DNA 분석을 통한 유전체 정보, 모바일이나 웨어러블기기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라이프로그 정보로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결합하고 분석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다.
마이데이터란 정보를 소유하고 있는 개인이 정보 주체자로서 자신의 정보를 직접 관리하고 필요시 정보제공을 직접 통제함으로써 자산 및 신용관리, 개인 건강관리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한 서비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모든 과정이다. 즉, 개인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생한 개인의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직접 관리하고, 제3자 플랫폼 이용시 개인의 정보를 필요에 따라 제공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 기술은 이러한 프로세스 개념을 통해 개인의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며, 정보제공 주체가 금융, 의료, 통신 등 다양한 산업에 개인의 정보가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빅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의료 및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Personnel Healthcare Record My-Data, PHR-My-data 같은 경우, 국내에서 기술 진전이 더딘 상태이고, 기술 활용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제도적 합의 등도 문제인 상황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의료기관에 보관중인 데이터를 활용이 이뤄져야 하는데,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표준화된 API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의료기관의 분산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하고, 이들을 인코딩-디코딩 과정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고, 이후 과정에서는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은, 전자의무기록이나 질병 기록과 같은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 정보 및 모바일이나 웨어러블기기에 저장된 라이프로그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서버;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인코딩-디코딩 과정을 거쳐 개인에게 전송하고 마이데이터로 활용하는 데이터 관리서버; 및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각종 의료기관으로부터 개인 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하는 의료기관 타겟부; 및 각종 개인기기로부터 개인 라이프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하는 개인기기 타겟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기관 타겟부는, 각종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구조화하는 데이터 구조화부; 및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하는 데이터 통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부터 의무기록 데이터를 전송받아 각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의무기록 방식을 저장하면 표준화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의료기관 별로 상이한 의무기록 방식을 표준화하는 데이터 표준화부;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를 암호화(인코딩)하고 복원(디코딩)하기 위하여 문자코드 ASCII 또는 유니코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변환 및 복원하는 데이터 인코딩-디코딩부; 및 상기 암호화 또는 복원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에서, 데이터는 물리적인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 디바이스는 특정 공간에서 사각기둥 형상의 보관하우징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하우징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저장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 각 모서리에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지지체와 바닥지지체가 연결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탄성지지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보관하우징을 지지하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바닥지지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바닥과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바닥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홈에 상기 탄성지지체와 상기 바닥지지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본체; 상기 탄성지지체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일측면과 상기 이동홈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지지체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흡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이동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지지삼각체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는 지지기둥;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삼각체; 및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지지삼각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각종 의료기관의 분산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하고, 이들을 인코딩-디코딩 과정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고, 이후 과정에서는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데이터 수집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데이터 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데이터 관리서버와 사용자 단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A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데이터 수집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데이터 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데이터 관리서버와 사용자 단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10)은, 데이터 수집서버(100), 데이터 관리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서버(100)는, 전자의무기록이나 질병 기록과 같은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 정보 및 모바일이나 웨어러블기기에 저장된 라이프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서버(200)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10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인코딩-디코딩 과정을 거쳐 개인에게 전송하고 마이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부(300)는,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서버(100)는, 의료기관 타겟부(110) 및 개인기기 타겟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타겟부(110)는, 각종 의료기관으로부터 개인 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관은, 각종 병의원, 약국, 건강보험공단 등 의료 데이터를 취급하는 모든 곳이 될 수 있다. 개인 의무기록은 진료 기록, 처방 기록, 수술 이력, 결제 이력 등 의료 행위와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기기 타겟부(120)는, 각종 개인기기로부터 개인 라이프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기기(예를 들어, 스마트와치) 등 개인의 라이프기록 데이터를 취급하는 모든 기기가 될 수 있다. 라이프기록은 예를 들어, 수면 시간, 기상 시간, 식사량, 식사 시간, 운동량, 운동 시간,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 서 있는 시간, 앉아있는 시간, 바이오리듬 등 생활 전반에서 건강과 관련하여 측정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타겟부(110)와 개인기기 타겟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의료기관 및 개인기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 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타겟부(110)는, 데이터 구조화부(111) 및 데이터 통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화부(111)는, 각종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구조화할 수 있다. 즉, 병의원 정보 탐색, 의무기록 표준화, 병원 담당자와 개인간의 실시간 병원항목 연동 및 개인의무기록을 반영한 실시간 병원의 진료항목 비교분석하여 의무기록을 구조화한다.
데이터 통합부(112)는,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할 수 있다. 즉,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개인의 의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료실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관리서버(200)는, 데이터 표준화부(210) 데이터 인코딩-디코딩부(220) 및 데이터 송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표준화부(210)는, 데이터 수집서버(100)로부터 의무기록 데이터를 전송받아 각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의무기록 방식을 저장하면 표준화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의료기관 별로 상이한 의무기록 방식을 표준화할 수 있다.
표준화 작업 방법은, 표준화 작업 대상 의료기관 대상을 수집하는 제1 단계, 각 의료기관 진료 및 검강검진 코드 전산화를 진행하는 제2 단계, 표준화가 되는 진료 및 건강검진코드를 설정하는 제3 단계, 각 병의원 진료 및 건강검진 결과값을 추출하는 제4 단계,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결과값을 자동 변환시키는 제5 단계, 변환된 결과값을 활용하여 질환 별로 판정값을 적용하는 제6 단계, 검진결과값 및 판정값의 로직 타당성을 검토하는 제7 단계; 및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데이터 인코딩-디코딩부(220)는,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를 암호화(인코딩)하고 복원(디코딩)하기 위하여 문자코드 ASCII 또는 유니코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변환 및 복원할 수 있다.
즉,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Personnel Healthcare Record My-data, 이하 PHR-My-data)는 민감한 개인정보인 만큼 그동안의 데이터 보안수준보다 더욱 안정성이 확보된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 고 위조 및 변조가불 가능해야하며, 유출시 정보해석이 불가능하게 기술적 보완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 암호화 및 복원 과정이 필요하며, 상기 과정은 데이터 인코딩 및 디코딩의 변환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코딩과 디코딩 과정에서 데이터의 형태는 적용된 표준과 매뉴얼에 따라서 암호화-복원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데이터 보안, 데이터 처리속도, 데이터 저장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문자코드 ASCII 또는 유니코드를 통해 인코딩 과정을 거친 PHR-My-data는 정보주체인 개인이 동의하였을 경우 개인 디바이스인 스마트폰(즉, 사용자 단말부(300))에 저장할 수 있고, PHR-My-data를 필요로 하는 콘텐츠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데이터활용 활성화를 하면 디코딩 과정을 거쳐 해당 콘텐츠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분석결과와의 매칭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HR-My-data를 활용하고자 하는 플랫폼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료 이후의 경험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이 아닌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도 실현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부(230)는, 상기 암호화 또는 복원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서버(20)에서, 데이터는 물리적인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 디바이스는 특정 공간에서 사각기둥 형상의 보관하우징(H) 내부에 보관될 수 있고, 보관하우징(H)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저장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 각 모서리에 충격흡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흡수부(400)는, 본체부(410), 탄성지지체(420) 및 바닥지지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지지체(420)와 바닥지지체(43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탄성지지체(420)는, 상기 본체부(410)의 상부를 따라 다수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탄성지지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보관하우징(H)을 지지할 수 있다.
바닥지지체(430)는, 상기 본체부(410)의 하부를 따라 다수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바닥지지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바닥과 상기 본체부를 지지할 수 있다.
바닥지지체(4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지지체(4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410)는, 본체(412), 탄성부재(414) 및 흡수판(4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홈에 상기 탄성지지체(420)와 상기 바닥지지체(4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14)는, 상기 탄성지지체(42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탄성지지체(420)의 일측면과 상기 이동홈(4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흡수판(416)은, 상기 탄성지지체(42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홈(4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지지체(420)는, 지지기둥(422), 지지삼각체(424) 및 지지돌기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422)은, 상기 이동홈(413)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부재(4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지지삼각체(424)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기 위한 결합홈(422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삼각체(424)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기둥(42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422a)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지지돌기부(426)는,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지지삼각체(424)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삼각체(424)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42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기부(426)는, 슬라이딩홈(424a)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레일결합체(426a)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지지체(420)는, 상측에 위치하는 토류벽이 하강함에 따라 결속홈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돌기부(426)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지지삼각체(424)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기둥(422)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 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지지체(420)는, 바닥지지체(4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바닥지지체(4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데이터 관리서버(200)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다수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 개발 시스템은 개발 자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다. 각 개발 시스템은 신뢰 플랫폼 모듈(TPM: Trusted Platform Module) 표준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사용 허가된 개발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신뢰 플랫폼 모듈(TPM)은 일종의 보안 장치로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보안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스코드,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상세설명을 위한 문서, 코드의 이해를 위한 공정 수식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빌드한 모듈을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고, 그 특정 변수 가 임의의 다른 변수의 값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여부,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 해당 소프트 웨어 컴포넌트를 생성/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특정 일자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에 해당하는 개발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 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인덱스에 도달하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 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 류에 따라 중요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 성/수정 빈도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생성/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권한 정보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인 이력 정보는 그 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높으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서버(200)는, 서버 등의 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관리자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관리자 관리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입력되는 순서에 따른 순위에 따라 나열된 관리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자 관리 모듈은, 관리자의 관리 능력에는 상관없이 모듈로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즉 최초 입력되는 관 리자를 일 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최선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차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차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삼순위 관리자로 인정되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일 장치의 유지/보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관리자를 기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관리 모듈은,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집 주소 등)를 관리자 별로 등록하여 두어야 할 것이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나,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다른 관리자를 기 생 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의 선택은, 별도의 순위 없이 무작위로 선택하여도 무방하나, 이하에서 와 같이 관리자 선택에 순위를 두어 이벤트 해결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 선택의 우선순위 선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 중에서 최선순위(이때, 최초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최선순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관리 능력의 우열에 따라 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관리자 리스트에 추가되는 순위에 따른 것임)로부터 관리자를 선택하여 해당 이벤트의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최초 선택받은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기 못하거나, 이벤트 해결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차순위로 리스트에 올라 있는 관리자에게 동일한 해결 요청을 전송하며, 이러한 과정은 해당 이벤트가 해결될 때까지 진행하게 된다.
특정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면 관리자 선택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포인트 부여가 완료되면, 관리자 관리 모듈은,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데, 이때 관리 자들 간의 순위 판단에 상기 이벤트 해결에 따라 주어진 포인트를 고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는 후순위에 위치하였던 관리자라도 특정 이벤트 해결에 따라 수여된 포인트로 인하여 선순위로 순위가 상승할 수 있고, 선순위에 있던 관리자라도 이벤트 해결에 대응하지 못한 경 우에는 다른 관리자의 이벤트 해결로 인하여 해당 관리자의 후순위로 밀려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서버(200)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리스 트에 포함된 관리자들에게 부여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역량은 평가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장치의 이벤트 해결에 보다 적합한 관리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평가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평가 모듈은, 우선 이벤트 해결에 참가한 회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기 설정된 점수의 포인트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관리자가 특정 장치에 발생된 수리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고, 차후 다른 장치에 발생된 보수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역시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았다고 할 경우, 총 20점의 포인트를 통해 A의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다.
다만, 이때, 이벤트 해결에 따라 부여받는 포인트는 모든 이벤트에 동일하게 산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벤트 해결에 필요로 하는 전문성 또는 이벤트 해결에 따라 동원해는 노동 정도에 따라 각 이벤트마다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장치의 순찰하는 등과 같이 특별한 노동력이나 전문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이벤트의 경 우에는 해당 이벤트 해결에 비교적 낮은 점수인 1점을 산정하는 반면, 서버교체작업 등과 같이 일반 저숙련 관 리자의 해결을 기대할 수 없어 고숙련자의 투입이 필요로는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점수인 10점을 부여하는 등과 같이 정비의 난이에 따라 부여되는 포인트의 고저를 산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다른 장비에 대하여 기존 장비와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 장비의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되며, 해당 이벤트를 요청받은 관리자가 해결할 경우 관리자 평가 모듈은 이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은, 각각의 장치 별로 해당 장치에 보다 전문성을 갖출 관리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각 장치 별로 관리자 리스트를 따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서버(200)는, 시스템에 새로운 장비가 도입되는 경우, 해당 새로운 장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에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의 유무를 판독하며,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기 생성된 리스트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기 생성된 리스트를 업 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이하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 지식이 있는 관리자 유무를 판독한다. 이때, 사전 지식의 유무 판단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저장된 관리자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 스트에서 해당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없는 경우, 해당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비를 판독하고, 판독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새롭게 도입된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해당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따라서, 새롭게 도입되는 모든 장치 각각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새롭게 도입되는 장치와 유 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전문성을 갖춘 관리자로 하여금 정비를 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장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새로운 관리자를 선별하여 스카우트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100. 데이터 수집서버
200. 데이터 관리서버
300. 사용자 단말부
400. 충격흡수부

Claims (3)

  1. 전자의무기록이나 질병 기록과 같은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 정보 및 모바일이나 웨어러블기기에 저장된 라이프로그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서버;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인코딩-디코딩 과정을 거쳐 개인에게 전송하고 마이데이터로 활용하는 데이터 관리서버; 및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는,
    각종 의료기관으로부터 개인 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하는 의료기관 타겟부; 및
    각종 개인기기로부터 개인 라이프기록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하는 개인기기 타겟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기관 타겟부는,
    각종 의료기관의 의무기록을 구조화하는 데이터 구조화부; 및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하는 데이터 통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부터 의무기록 데이터를 전송받아 각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의무기록 방식을 저장하면 표준화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의료기관 별로 상이한 의무기록 방식을 표준화하는 데이터 표준화부;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를 암호화(인코딩)하고 복원(디코딩)하기 위하여 문자코드 ASCII 또는 유니코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변환 및 복원하는 데이터 인코딩-디코딩부; 및
    상기 암호화 또는 복원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에서,
    데이터는 물리적인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 디바이스는 특정 공간에서 사각기둥 형상의 보관하우징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보관하우징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저장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 각 모서리에 충격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지지체와 바닥지지체가 연결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탄성지지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보관하우징을 지지하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바닥지지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바닥과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바닥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홈에 상기 탄성지지체와 상기 바닥지지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본체;
    상기 탄성지지체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일측면과 상기 이동홈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지지체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흡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이동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지지삼각체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는 지지기둥;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삼각체; 및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지지삼각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92201A 2022-07-26 2022-07-26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KR10249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201A KR102492835B1 (ko) 2022-07-26 2022-07-26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KR1020230008998A KR102545745B1 (ko) 2022-07-26 2023-01-20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201A KR102492835B1 (ko) 2022-07-26 2022-07-26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998A Division KR102545745B1 (ko) 2022-07-26 2023-01-20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835B1 true KR102492835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201A KR102492835B1 (ko) 2022-07-26 2022-07-26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KR1020230008998A KR102545745B1 (ko) 2022-07-26 2023-01-20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998A KR102545745B1 (ko) 2022-07-26 2023-01-20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28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066B1 (ko) * 2018-04-05 2019-07-17 김교륭 사용자 맞춤 영양 제공 및 관리 방법
KR20200016458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유비케어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KR102144532B1 (ko) * 2020-01-13 2020-08-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KR20200124868A (ko) * 2019-04-25 2020-11-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체외진단장비 및 그 장비의 구동방법
KR20210133473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7355A (ja) * 2003-12-29 2007-06-28 シャーウッド インフォメーション パートナ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重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エンクロージャを使用した大容量ストレージ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125543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
KR20210135403A (ko) * 2020-05-05 2021-11-15 이동섭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10153878A (ko) *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비링크헬스케어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KR20210153845A (ko) * 2020-06-11 2021-12-20 주식회사 비링크헬스케어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1896B1 (ko) * 2020-11-26 2023-02-22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066B1 (ko) * 2018-04-05 2019-07-17 김교륭 사용자 맞춤 영양 제공 및 관리 방법
KR20200016458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유비케어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KR20200124868A (ko) * 2019-04-25 2020-11-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체외진단장비 및 그 장비의 구동방법
KR102144532B1 (ko) * 2020-01-13 2020-08-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KR20210133473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74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bbar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healthcare: Enhancing shared electronic health record interoperability and integrity
TWI815905B (zh) 用於調節健康照護網路中使用的加密貨幣的值的系統和方法
CN101622622B (zh) 个人健康记录系统及装置
Abbas et al. Blockchain-assisted secured data management framework for health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Internet of Medical Things
KR101982954B1 (ko) 헬스케어 데이터 상호 교환 시스템 및 방법
Arul et al. Multi-modal secure healthcare data dissemination framework using blockchain in IoMT
EP35745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optimal epilepsy treatment regimes
CN105659238A (zh) 用于患者数据交换系统的数据驱动模式
KR102033013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CN102270274A (zh) 病史诊断系统和方法
Donahue et al. Veterans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uccesses and challenges of nationwide interoperability
US20210104326A1 (en) Detecting prescription drug abuse using a distributed ledger and machine learning
Veena et al. Applications, opportunities, and current challenges in the healthcare industry
Poongodi et al. The Role of Blockchains for Medical Electronics Security
KR102033010B1 (ko) 개인의무기록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492835B1 (ko)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AU2020101898A4 (en) MHOC- Blockchain Technology: Medicine and Healthcare Observation Car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102492837B1 (ko) 의료마이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1067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of a user's health information to third parties
Bourke et al. Evidence generation from healthcare databases: recommendations for managing change
Venkatesh et al. Cloud Based Personal Health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Medical Recommender System
Wang et al. Big data analytics in biometrics and healthcare
Chukwu et al. Scaling up a decentralized offline patient ID generation and matching algorithm to accelerate universal health coverage: Insights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health facility survey in Nigeria
Latha et al. Telemedicine setup using wireless body area network over cloud
US10957434B2 (en) Updating a prescription status based on a measure of trust dyn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